KR20240093179A -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3179A
KR20240093179A KR1020220176181A KR20220176181A KR20240093179A KR 20240093179 A KR20240093179 A KR 20240093179A KR 1020220176181 A KR1020220176181 A KR 1020220176181A KR 20220176181 A KR20220176181 A KR 20220176181A KR 20240093179 A KR20240093179 A KR 2024009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lumbar support
chair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ublication of KR2024009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3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의 오목한 형상과, 상기 좌판(200)(200a)(200b) 배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들어오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총합 뚜께(d) 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사람의 허리 형태가 "C"형으로 되는 척추오목부본 발명은 듀얼 좌판과 S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고,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게 하여,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엉덩이 부분이 들어가는 (1100)에 요추등받이(500)가 형성되어, 책상 앞에서 좌판에 앉은 자세에서도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이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Chair having separate seat and Lumbar support of chair}
본 발명은 4지 동물에서 일어선 자세에서 생활한 인간의 역사가 3만년 정도이며, 앉은 자세에서, 즉 의자 생활한 역사가 1백년정도 밖에 되지 않아, 의자와 사람의 앉은 형태가 부조화하여, 여러 가지 질환을 야기하기에, 지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으로, 십여 년 동안 스탠딩 데스크를 사용해 보았지만, 고관절 무릅관절 발목관절과 혈액순환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앉은 자세에서 직립의 척추의 S라인을 유지 하기 고안된 것이다. 즉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요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추등받이(500)의 총합 뚜께(d) 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사람의 허리 형태가 C형으로 되는 척추오목부(1100)에 요추등받이(500)가 형성되어, 책상 앞에서 좌판에 앉은 자세에서도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이 있게 하는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요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앉은 자세에서의 스탠딩 자세에서 나오는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가 개발한 공개특허 10-2017-0139949호의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및 본 발명자의 선출원인 특허공보 10-1105780호에 의하여 개발된 2개로 구분된 좌판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 요추받이가 적용된 의자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 요추받이의 분리된 개략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의 좌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b)는 각각 인체 구조학상 단일 좌면의자 착석시 척추골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및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착석시 좌골결절을 모아주는 힘을 발휘하는 분리된 좌면의 스트레스 분포 모식도이며, 도 5는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 요추받이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한 의자는 2개로 분리된 좌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의 좌판지지대(220)와 팔걸이부(230)와, 그리고 다리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판지지대(220)의 하면에는 요추받이지지대(400)가 지지대체결볼트(403)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요추등받이(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요추등받이(500)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되, 이들은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배면 양측으로 지지대고정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고정부재(530)는 설계시 굵기와 높이에 대한 최적의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2개로 분리형성되어있되, 하부의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상부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이 결합되어 회전중심봉(5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일측 중앙부분에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안착판에는 볼트체결공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이들과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봉(540)의 중앙지점에는 “ㄷ”자형 지지대안착부(550)가 용접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안착부(550)가 요추받이지지대(400)에 의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에 용접고정된 회전중심봉(540)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중심봉(540)은 좌우측으로 고정부재걸림부(부호 미도시)의 사이와 회전중심봉수용홈(부호 미도시)사이에서 요추등받이(500)가 억지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지지대고정부재(530)에 의하여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지고, 또한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응용부재연결간(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는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 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추받이의 구성은 사람의 요추에 직접적으로 깊게 밀어 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어서, 사람이 편하게 앉는 것은 물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체 공학적 구조는 도 4, 6~9에서 나타내었듯이, 도 6, 7에서는 일반적인 사람의 자세에 따라 요추가 변형되는 관계를 나타내었고, 도 8에서는 일반적인 사람이 서있을 때의 요추가 “C”자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었고, 도 9는 도 8의 일반적인 사람이 서있을 때의 요추가 위치에 따라 “C”자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영상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도 6에서 사람 그림 A. B, C, E는 D는 사람이 서있는 상태의 그림이고, 그림 D는 누워 있는 자세이며, 그림 E, F는 의자에 앉을 경우에 발받침대를 설치하여 발의 위치를 높여서 앉는 자세로서, 이때 굽어지는 허리 척추는 도 7에 척추 곡선 A, B, C, D, E, F, G로 나타나 있고, 도 8, 9에서는 소위 스탱딩 의자에서 서서 일할 경우에 척추가 곧게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단일 좌면의자 착석시 척추골반의 변화를 살펴보면, 사람은 기립 자세에서 두개골에서부터 시작된 중력방향의 체중전달이 척주를 타고 천골로 전달이 되면 그것이 천장관절을 통해 양분되어 고관절로 전달된다.
그러나 의자에 앉게 되면 고관절(비구)로 전달되던 체중은 양측 좌골 결절이 좌면에 닿아있어 이를 통해 체중이 전달되게 되는데 이는 골반골이 상체의 체중 거의 전부를 지탱해야 한다는 뜻이다. 일부는 하체를 타고 지면에 닿아있는 족부가 지탱한다.
좌골결절은 슬괵근(hamstring muscle)의 기시부로 좌골결절의 외측에는 좌골신경이 슬괵근 에 둘러쌓여 하지로 주행한다. 슬괵근이 좌골결절을 전방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고(경미한 슬괵근 구축), 기립자세와 비교하여 시상면상 천장관절을 중심축으로 하는 무명골의 후방회전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도 9의 각도 표시는 전만각이라고 하며, 상기 각도가 크면 전만각이 커지게 되고, 작아지면 줄어드는 것으로, 전만각이 크면 건강하다는 의미인 것으로 알려진 신체 상식입니다.
좌골 결절은 외측으로 벌어지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회음부가 당겨 펴지며(stretch out) 회음부로 가해지는 체중의 중량도 늘게 되어 회음부압박력이 증가한다. 이는 좌골결절부위로 체중전달이 쏠리는 단일좌면 의자의 특징이다. 골반골의 후방회전으로 인하여 미추골이 아래로 위치하게 되고 미추골과 연결된 천골은 더욱 후방회전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순응하여 후방천장관절인대는 양측으로 벌어지는 장력을 감당하여야 하며, 천장관절 증후군이라는 일련의 증세를 유발한다. 동시에 천골의 회전에 맞추어 요추는 정상 전만곡이 소실되는 구부정한 자세(slump sitting)을 가지게 된다.
이는 당연히 추간판에 가해지는 비정상 압력을 증가시켜 디스크 등의 요통을 악화시키고 뿐만 아니라 척추에 연관된 흉요추부 근육 및 인대에도 스트레스를 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도면 제3,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 특허발명은 양측 좌면이 분리되어 있으며, 체중이 가해지면 각 좌면은 몸의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단일좌면 의자와 결정적으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
첫 번째로, 회음부를 압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음부의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공기의 순환도 방해받지 않는다.
두 번째로, 좌골결절을 서로 모으는 방향으로 지지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좌면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로 지지하게 되므로 골반회전이 전방향 회전하는 힘이 더욱 크게 작용하게 만든다. 이는 미골 및 천골에 미치는 압박력 및 긴장도를 완화시키며, 천장관절후면부 인대에 미치는 장력 또한 감소시킨다. 자연스럽게 요추 전만각 유지에 신체는 에너지를 상대적으로 덜 쓰게 된다. 또한 좌면과 접촉하는 하체면에 골고루 체중을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기존의 논문들에서 지적하고 있는 하체의 순환문제를 상당부분 개선하였다.
회음부 이완, 회음부 공기순환, 좌면접촉면에 고른 압력분포, 천골의 정상 전굴 유지, 천장관절 긴장도 이완, 정상 요추 전만각 유지, 요추부 근육 인대 정상 긴장도 유지 로 선순환되는 과정이 유지된다. 또한 적절한 요추 지지대가 하부요추에 적용되어 있어 이상적인 의자의 조건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를 갖추었다.
상기한 선순환 구조가 지속되면 구부정한 자세에서 비롯된 소화기계에 가해지는 압박이 줄어들게 되며 항문 및 전립선, 방광등의 혈액순환도 개선된다. 기존의 단일좌면 의자만 사용하던 사람은 이건 특허발명을 사용하면 자세의 편안함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수적인 순환개선에 대하여도 분명한 차이를 느끼게 되는 것을 발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는 2개의 좌판에 엉덩이가 앉혀지고, 요추받이(500)가 요추에 닿아 3점 응력구조로 작용하도록 형성하였으나, 사람의 허리뼈 구조에 따라 요추받이(500)가 받쳐주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 사람의 가장 편하고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앉아서 일을 할 수 있는 편안한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더구나, 듀얼 타입의 좌판에 대한 탄성을 주는 스프링의 구조도 종래에는 내측 부분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누적 피로도에 의하여 판스프링이 파단되어 끈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종래 발명의 단순히 3점 응력 구조만으로 형성되어 의자 구조를 벗어나 사람이 앉는 자세의 안정성(2개의 좌판 중 앉는 부분이 오목하게 내려가게 하는 구조)과 이에 맞추어 요추받이(500)의 위치(사람의 허리 구조에 따라 오목하게 안착된 엉덩이 위치에서 허리가 원래의 구조로 형성되는 ‘C’형의 오목한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 의자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더구나, 듀얼 타입의 좌판에 대한 탄성을 주는 스프링의 구조도 종래에는 내측 부분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누적 피로도에 의하여 판스프링이 파단되어 끈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좌판(200)(200a)(200b)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일렬로 좌판 1개당 2개의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되어 좌판 중심으로 힌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판의 전면 안쪽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을 주면서도,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뒤편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구조가 없는 구조로 형성하여 양측의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고,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게 하여,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엉덩이 부분이 들어가는 좌판의 오목한 형상과, 상기 좌판(200)(200a)(200b) 배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들어오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총합 뚜께(d) 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사람의 허리 형태가 “C”형으로 되는 척추오목부(1100)에 요추등받이(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판(200)(200a)(200b)은 2개로 나뉘어 지면서, 정확한 요추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엉덩이가 닿는 하부에는 스프링이 없는 상태로 형성하여, 앉을 경우에는 하향되어 2개의 엉덩이가 2개의 받침점이 되고, 상기 요추등받이(500)가 1개의 지지점이 되어 3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C자형 허리부분에 상기 요추받이(500)가 접하게 되되, 허리의 높이에 따라 상기 요추받이(500)가 움직여 탄성을 줄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570)을 요추받이(500)의 하단에 형성하며, 사람의 체형에 따라 지지대(400)의 장공(410)에 의하여 상기 요추받이(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3점 구조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책상 앞에서 좌판에 앉은 자세에서도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이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발명의 단순히 3점 응력 구조만으로 형성되어 의자 구조를 벗어나 사람이 앉는 자세의 안정성(2개의 좌판 중 앉는 부분이 오목하게 내려가게 하는 구조)과 이에 맞추어 요추받이(500)의 위치(사람의 허리 구조에 따라 오목하게 안착된 엉덩이 위치에서 허리가 원래의 구조로 형성되는 "C"형의 오목한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 의자 구조를 발명하였고, 책상 앞에서의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과 스탠딩에서 오래 일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시간 앉아 일을 하더라도 피곤하지 않도록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탠딩 자세로서의 효과는 C형 허리를 유지하여 각종 허리에 나타나는 폐단을 없애는 것으로, 본 발명의 C형 자세로 유리하는 구조에 의하여 앉은 자세로 스탠딩 자세의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듀얼 타입의 좌판에 대한 탄성을 주는 스프링의 구조도 종래 내측 부분에 설치된 판스프링의 누적 피로도에 의하여 판스프링이 파단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통형 탄성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자아내었다.
도 1은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 요추받이가 적용된 의자 사시도
도 2는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 요추받이의 분리된 개략 측면도
도 3은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의 좌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b)는 각각 인체 구조학상 단일 좌면의자 착석시 척추골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및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착석시 좌골결절을 모아주는 힘을 발휘하는 분리된 좌면의 스트레스 분포 모식도
도 5는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 요추받이의 결합된 사시도
도 6, 7은 일반적인 사람의 자세에 따라 요추가 변형되는 관계를 나타낸 영상
도 8은 일반적인 사람이 서있을 때의 요추가 “C”자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영상
도 9는 도 8의 일반적인 사람이 서있을 때의 요추가 위치에 따라 “C”자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영상
도 10은 사람이 의자에 앉았을 때 취해지는 요추부분의 허리가 “C”자 형태를 이루어져 본 발명의 의자 형상이 접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 영상
도 11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개략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좌판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좌판 구조가 뒷면에 스프링이 없는 부분에서 작동되는 나타낸 정면도
도 14(a)(b)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좌판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20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가 지지대의 장공을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21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에 커버를 결합하는 분리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와 사람이 앉았을 때의 척추 형상과 요추받이가 작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사람이 의자에 앉았을 때 취해지는 요추부분의 허리가 “C”자 형태를 이루어져 본 발명의 의자 형상이 접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 영상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개략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좌판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좌판 구조가 뒷면에 스프링이 없는 부분에서 작동되는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4(a)(b)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의 좌판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한 의자는 2개로 분리된 좌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직시각형상의 좌판(200)(200a)(200b)과 다리부(270)와 결합되는 사각판형상으로 된 좌판지지판(220)과, 상기 좌판(200)(200a)(200b) 하부에 좌판힌지부지지판(250)(250a)(250b)을 볼트(201a)(210b)로 체결 고정하고, 그리고 상기 좌판힌지부지지판(250)(250a)(250b)에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된 원판형상의 한쪽이 돌출된 회동저지부재(230)(230a)(230b)가 형성되며, 상기 좌판지지판(220)(220a)(220b)에 용접체결된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된 고정브라켓(240)(240a)(240b)이 형성도 있으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하부꺽임부(401)는 상기 좌판지지판(220)의 중앙부상의 하부에서 볼트(221)에 의하여 체결되며, 요추받이(500)가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 요추등받이(50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200)(200a)(200b) 하부에 안쪽 방향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에 의하여 양측의 상기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되어 있다(이하, “고정 위치”라 한다).
이 경우 안착된 엉덩이는 의자의 좌판 뒤편에서 고정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앉은 자세에서 사람의 척추가 곧은 “C”형으로 기립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부(210)(210a)(210b)는 의자의 측면에서 보아 한 쌍이 양측으로 나란히 상기 좌판(200)(200a)(200b) 하부에서 엉덩이 중심(좌판 중심)으로 힌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보아 각각의 좌판(200)(200a)(200b)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일렬로 좌판 1개당 2개의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되어 엉덩이 중심(좌판 중심)으로 힌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판의 안쪽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을 주면서도,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뒤편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구조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측의 상기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되는 것이다.
뒷면에서 보아 좌판(200)(200a)(200b)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일렬로 좌판 1개당 2개의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되어 엉덩이 중심(좌판 중심)으로 힌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판의 안쪽에는 받침대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뒷면에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구조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측의 상기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210)(210a)(210b)가 없는 곳에서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에 의하여 양측의 상기 좌판(200)(200a)(200b)이 탄성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아 그대로 탄발력만 작용하게 되고(딱딱하지 않게 되고)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좌판 뒷면에서는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요추등받이(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가 지지대의 장공을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중 요추받이에 커버를 결합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요추등받이(500)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되, 이들은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배면 양측으로 지지대고정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고정부재(530)는 설계시 굵기와 높이에 대한 최적의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2개로 분리형성되어있되, 하부의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상부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이 결합되어 회전중심봉(5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은 하부에 일측이 두텁게 형성된 고정부재안착돌부(535a)와, 일측이 얇게 형성된 고정부재체결판(535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여기에 볼트(539)가 3개 체결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15는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를 보강하는 리브이다.
그리고, 상기 안쪽 측면 가장자리의 볼트(539) 2개는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에 형성된 회전중심봉(540)을 사이에 끼울 수 있는 고정부재걸림부(53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볼트(539)가 체결되어 회전중심봉(540)을 고정시키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하면에 회전중심봉수용홈(53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봉(540)을 억지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일측 중앙부분에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안착판(532a)에는 볼트체결공(533)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이들과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봉(540)의 중앙지점에는 “ㄷ”자형 지지대안착부(550)가 회전중심봉(540)에 용접고정된 체결너팅부(552)에 체결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의 중심부에는 지지대높이조절공(550a)이 형성되어 지지대연결부재(551)의 볼트(551b)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볼트(551b)에는 볼트손잡이(551a)와 단턱부(551c)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551c)는 상기 볼트(551b)의 깊이를 조절하여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551b)에 의하여 체결너팅부(552)와 함께 지지대안착부(550)에 끼워지는 요추받이지지대(400)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안착부(550)가 요추받이지지대(400)에 의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에 용접고정된 회전중심봉(540)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중심봉(540)은 좌우측으로 고정부재걸림부(532b)의 사이와 회전중심봉수용홈(536)사이에서 요추등받이(500)가 억지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와 지지대고정부재(530)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외부커버(600)가형성되는데, 상기 외부커버(600)는 중심부에 볼트공(610)을 형성하고, 상하좌우 가장자리에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구조를 커버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상의 외면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에는 수평꺽임부(620a)가, 좌우측으로는 수직꺽임부(620b)가 형성되어 이들을 수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외부커버(600)는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와 볼트(551b)에 의하여 접착 고정되게 되고, 또한 여기에 요추받이지지대(400)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외부커버(600)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 나란히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는 큐션부받침대(521)과 큐션부(522)로 구분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큐션부받침대(521)에는 응용부재연결간(560)이 형성되어 상기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62)에 체결볼트(561)가 체결되어 양자를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57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의 외곽 하단에 형성되어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회동시에 코일스프링(570)이 요추받이지지대(400)에 압착하게 되면,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요추에 대하여 상하 탄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지지대고정부재(530)에 의하여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지고, 또한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상기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는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 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다(이하, “유동 위치”라 한다).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의 중심부에는 지지대높이조절공(550a)이 형성되어 지지대연결부재(551)의 볼트(551b)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볼트(551b)에는 볼트손잡이(551a)와 단턱부(551c)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551c)는 상기 볼트(551b)의 깊이를 조절하여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551b)에 의하여 체결너팅부(552)와 함께 지지대안착부(550)에 끼워지는 요추받이지지대(400)를 조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추받이의 구성은 사람의 요추에 직접적으로 깊게 밀어 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어서, 사람이 편하게 앉는 것은 물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정확한 요추부위(요추4, 5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판(200)(200a)(200b) 이 2개로 나뉘어 지면서, 엉덩이가 닿는 하부에는 스프링이 없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앉을 경우에는 하향되어 2개의 엉덩이가 2개의 받침점이 되고, 상기 요추등받이(500)가 1개의 지지점이 되어 3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C자형 허리부분에 상기 요추받이(500)가 접하게 되는 구조이고, 사람의 체형에 따라 지지대(400)의 장공(410)에 의하여 상기 요추받이(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므로, 상기 3점 구조로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500)는 상, 하, 앞, 뒤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좌판(200)(200a)(200b)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일렬로 좌판 1개당 2개의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되어 엉덩이 중심(좌판 중심)으로 힌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판의 전면 안쪽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을 주면서도,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뒤편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구조가 없는 구조로 형성하여 양측의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하고,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고,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게 하여,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엉덩이 부분이 들어가는 좌판의 오목한 형상과, 상기 좌판(200)(200a)(200b) 배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들어오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총합 뚜께(d) 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사람의 허리 형태가 “C”형으로 되는 척추오목부(1100)에 요추등받이(500)가 형성되어, 책상 앞에서 좌판에 앉은 자세에서도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이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도 22은 본 발명인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와 사람이 앉았을 때의 척추 형상과 요추받이가 작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고정위치로서 상기 좌판(200)(200a)(200b) 하부에 안쪽 방향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에 의하여 양측의 상기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되고, 유동위치로서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상기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고,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 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엉덩이 부분이 들어가는 좌판의 오목한 형상과, 상기 좌판(200)(200a)(200b) 배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들어오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뚜께 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사람의 허리 형태가 “C”형으로 되는 오목부분에 요추등받이(500)가 형성되어, 책상 앞에서의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과 스탠딩에서 오래 일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시간 앉아 일을 하더라도 피곤하지 않도록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200a, 200b : 좌판
210, 210a, 210b : 힌지부
220, 220a, 220b : 힌지부 : 좌판지지판
240, 240a, 240b : 고정브라켓
250, 250a, 250b : 좌판힌지부지지판
300a, 300b : 코일스프링
400 : 지지대
500 : 요추받이
510 : 요추받이기초부재
520 : 요추받이응용부재
530 : 지지대고정부
540 : 회전중심봉
550 : 지지대안착부
570 : 코일스프링
600 : 외부커버

Claims (2)

  1. 좌판(200)(200a)(200b)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일렬로 좌판 1개당 2개의 힌지부(210)(210a)(210b)가 형성되어 좌판 중심으로 힌지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판의 전면 안쪽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이 형성되어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쿠션을 주면서도,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뒤편에는 탄성코일스프링(300a)(300b)의 구조가 없는 구조로 형성하여 양측의 좌판(200)(200a)(200b)이 의자 중앙부에서 오목하게 눌러져 엉덩이가 편안하게 안착되게 하고, 요추받이기초부재(510)가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고,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게 하여, 사람이 앉을 경우에는 엉덩이 부분이 들어가는 좌판의 오목한 형상과, 상기 좌판(200)(200a)(200b) 배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요추받이지지대(400)로부터 들어오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총합 뚜께(d) 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사람의 허리 형태가 “C”형으로 되는 척추오목부(1100)에 요추등받이(500)가 형성되어, 책상 앞에서 좌판에 앉은 자세에서도 스탠딩 자세에서 나타나는 척추가 곧게 되어 인체의 원활한 혈액 순환이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200)(200a)(200b)은 2개로 나뉘어 지면서, 정확한 요추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엉덩이가 닿는 하부에는 스프링이 없는 상태로 형성하여, 앉을 경우에는 하향되어 2개의 엉덩이가 2개의 받침점이 되고, 상기 요추등받이(500)가 1개의 지지점이 되어 3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C자형 허리부분에 상기 요추받이(500)가 접하게 되되, 허리의 높이에 따라 상기 요추받이(500)가 움직여 탄성을 줄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570)을 요추받이(500)의 하단에 형성하며, 사람의 체형에 따라 지지대(400)의 장공(410)에 의하여 상기 요추받이(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3점 구조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KR1020220176181A 2022-12-15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KR2024009317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3179A true KR20240093179A (ko) 2024-06-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736A (en) Ergonomic seating apparatus with inclined femoral portion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7607738B2 (en) Contoured seat and method
RU2303383C2 (ru) Стул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проблем, связанных с сидячим образом жизни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RU21992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US5887951A (en) Orthopedic seating orthosis for correcting posture and restricting gluteal spreading
US11471345B2 (en) Adjustable ergonomic chair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0807370B1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US4783121A (en) Improved chair with convex upper backrest and forward seat surfaces
US4668015A (en) Chair without a back/a stool
US4489982A (en) Pelvic support method and means
US10172464B2 (en) Chair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KR20240093179A (ko)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KR20210040530A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EP1261263B1 (en) Ergonomically designed chair
CA2960301C (en) Chair
KR102497522B1 (ko) 자세 교정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좌식 의자
CA2375917A1 (en) An improved open-angle seat for a chair
JP3245175U (ja) 椅子
KR20240067580A (ko) 요통경감의자
KR20170139949A (ko)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KR20240031483A (ko) 시트 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