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770A - 로봇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770A
KR20170139770A KR1020160072122A KR20160072122A KR20170139770A KR 20170139770 A KR20170139770 A KR 20170139770A KR 1020160072122 A KR1020160072122 A KR 1020160072122A KR 20160072122 A KR20160072122 A KR 20160072122A KR 20170139770 A KR20170139770 A KR 20170139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hambers
fan motor
chamb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125B1 (ko
Inventor
권기환
윤진욱
김동욱
하동우
홍석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25B1/ko
Priority to US16/308,568 priority patent/US11006800B2/en
Priority to PCT/KR2017/005280 priority patent/WO2017213362A1/ko
Priority to EP17810485.7A priority patent/EP3446607B1/en
Publication of KR20170139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로봇 청소기의 배출 유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청소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음이 저감시킬 수 있다. 로봇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소음이 저감된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로봇청소기는 거리 센서를 통해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 구역을 청소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는, 팬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본체를 주행시키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저면에는 흡입부가 마련되고,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한다. 흡입된 먼지는 본체 내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에 집진될 수 있다. 흡입부 측에는 바닥면의 이물질을 픽업하는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는 본체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의 내부 공간은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나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에 비해 작기 때문에 부피가 작은 팬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부피가 작은 팬모터는 캐니스터 타입이나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에 장착되는 팬모터에 비해 흡입력이 약할 수 있다. 팬모터의 흡입력이 약한 경우 청소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로봇청소기와 같은 공간 내에서 다른 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로봇청소기를 동작시켜 청소를 할 수 있다. 이때 로봇청소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다면 사용자가 다른 활동을 하는 데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팬모터의 흡입력이 큰 경우 소음도 그만큼 클 수 있으므로 종래의 로봇청소기에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나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에 비해 흡입력이 작고 부피가 작은 팬모터가 구비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유로의 구조가 개선되어 소음이 저감된 로봇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음 저감 구조에 의해 청소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팬모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챔버는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인접하는 챔버들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복수의 슬릿은, 인접하는 다른 챔버의 일면과 대향되는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챔버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챔버에는,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된다.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는 흡음재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는 흡음재가 위치된다.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는 흡음재가 위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하부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에 배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는 두 개의 챔버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두 개의 챔버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팬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유닛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팬모터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서로 마주하는 챔버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한다.
어느 하나의 챔버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챔버와 인접하는 면에 위치한다.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적어도 일부의 챔버에는 흡음재가 위치된다.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적어도 일부의 챔버의 내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에 의하면, 청소 효율이 향상되고,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팬모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예 따른 팬모터 유닛의 배출유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챔버에 흡음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3),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유닛(6) 및 로봇청소기(1)를 주행시키는 휠(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1)의 일측에는 브러시 유닛(5)이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5)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면의 이물질을 픽업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는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3)는 팬모터 유닛(6) 등이 수용되는 하부케이스(2) 및 하부케이스(2)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케이스(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의 일측에는 흡입구(21)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21)는 하부케이스(2)의 전방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3)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31)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31)는 상부케이스(3)의 후방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휠(4)은 두 개가 마련되어 하부케이스(2)의 좌우 가장자리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휠(4)에 의해 로봇청소기(1)는 전진, 후진, 회전주행 등의 이동 동작을 할 수 있다.
브러시유닛(5)은 흡입구(21)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5)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및 롤러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유닛(5)은 회전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구(21) 측으로 쓸어줄 수 있다.
팬모터 유닛(6)은 하부케이스(2)에 장착될 수 있다. 팬모터 유닛(6)와 흡입구(21) 사이는 유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 유닛(6)와 흡입구(21) 사이에는 집진장치가 위치되어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은 집진장치에 수거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는 팬모터 유닛(6)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팬모터 유닛(6)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케이스(3)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6)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60), 팬모터(60)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61) 및 제1하우징(61)이 수용되는 제2하우징(62)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62)의 상부에는 개구(620)가 형성되고, 개구(620)를 통해 제1하우징(61)이 제2하우징(6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2하우징(62)의 상부에는 커버(63)가 구비되어 개구(620)를 커버할 수 있다.
팬모터(60)는 종래의 로봇청소기에 적용되는 팬모터보다 강한 흡입력을 가진 팬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로봇청소기(1)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또는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등에 적용되는 흡입력이 강한 팬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은 팬모터(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모터(60)가 대략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1하우징(61)도 대략 원통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의 일측에는 팬모터(6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61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611)는 제1하우징(6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61)에는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615)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615)는 제1하우징(61)의 측면(6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의 하측에 위치한 유입구(6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60)를 통과하고, 제1하우징(61)의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615)는, 단일하게 구비되거나,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하우징(61)의 외측에는, 배출구(615)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챔버(612a, 612b)가 구비될 수 있다. 챔버(612a,612b)는 배출구(615)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챔버(612a, 612b)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배출구(615)에 대해 두 개의 챔버(612a, 612b)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챔버(612a, 612b)는, 배출구(615)의 하측에 구비되되, 배출구(615)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배출구(615)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 하측에 제1챔버(612a) 및 제2챔버(612b)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배출구(615)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1챔버(612a) 및 제2챔버(612b) 사이의 공간(616)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배출구(615)가 단일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챔버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배출구(615)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구(615)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챔버의 개수는 배출구(615)의 개수에 대응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출구(615)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챔버들의 크기 및 형태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챔버들의 크기 및 형태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구(615)의 개수와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의 개수는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선회하여 인접하는 두 개의 챔버가 형성하는 유로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접하는 두 개의 챔버(612a, 612b)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하우징(61)의 외측면(610)에는 챔버(612a, 612b)의 형태로 돌출된 리브(6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이 제2하우징(62)에 수용되면, 제1하우징(61)의 외측면, 제2하우징(62)의 내측면 및 리브(613)에 의해 챔버(612a, 612b)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613)는 제1하우징(61)의 외측면(610)으로부터 폐곡선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613)에는 복수의 슬릿(61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614)은 배출구(615)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의 양쪽에 위치된 리브(61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슬릿(614)은, 배출구(615)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챔버(612a)의 리브(613a)와 제2챔버(612b)의 리브(613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는 리브(613)에 복수의 슬릿(614)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리브(613)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슬릿(614)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62)은 대략 제1하우징(6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이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하우징(62)도 제1하우징(61)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62)의 상부에는 제1하우징(61)이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6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62)은, 제1하우징(61)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하우징(621) 및 내측 하우징(621)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하우징(62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하우징(622)은 내측 하우징(62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621)과 외측 하우징(62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의 배출구(615)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내측 하우징(621)과 외측 하우징(62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내측 하우징(621)의 일측에는 유입구(623)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623)는 내측 하우징(621)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623)가 내측 하우징(621)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저면과 가까운 측면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623)를 통해 내측 하우징(621)과 외측 하우징(622)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측 하우징(622)에는 배출구(62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624)는 외측 하우징(622)의 측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622)에 형성된 배출구(624)는 상부케이스(3)에 형성된 배출구(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624)를 통해 제2하우징(62)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부케이스(3)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해 로봇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63)는 제2하우징(6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620)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63)의 외측에는 체결부재가 장착되는 체결부재 장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62)에는 체결부재 장착부(630)에 대응되는 결합부(626)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63)는 체결부재 장착부(630) 및 결합부(626)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2하우징(62)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63)가 제2하우징(62)에 장착되는 구성은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6)에서, 팬모터(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제1하우징(61)에 형성되는 유입구(611)를 통해 팬모터 유닛(6) 내부로 유입되고, 제2하우징(62)에 형성되는 배출구(624)를 통해 팬모터 유닛(6)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611)를 통해 제1하우징(61) 내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60)를 통과하고, 제1하우징(61)에 형성된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2하우징(62)의 내측 하우징(621)에 형성된 유입구(623)를 통해 내측 하우징(621)과 외측 하우징(62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하우징(62)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측 하우징(622)에 형성된 배출구(6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624)를 통해 팬모터 유닛(6)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부 케이스(3)에 형성되는 배출구(31)를 통해 로봇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예 따른 팬모터 유닛의 배출유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6)에서 제1하우징(61)의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인접하는 챔버(612a, 61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유로(616)를 통과할 수 있다. 제2챔버(612b)에 인접하는 제1챔버(612a)의 리브(613a)와 제1챔버(612a)에 인접하는 제2챔버(612b)의 리브(613b)에는 각각 복수의 슬릿(614a, 614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슬릿(614a,614b)은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지나가는 유로(616)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유로(616)를 지나 제2하우징(6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대부분의 공기는 슬릿(614a, 614b)을 통해 챔버(612a, 612b)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유로(616)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챔버(612a, 612b)는 유로(616)를 통과하는 공기가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챔버(612a, 612b)는 유로(616)를 통과하는 공기의 주파수가 공명 현상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챔버(612a, 612b)는, 복수의 슬릿(614a, 614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주파수가 공명 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흡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챔버(612a, 612b)의 부피 및 형태에 따라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챔버(612a, 612b)의 부피 및 형태는 팬모터(60)의 종류, 하우징(61,62) 또는 케이스(2,3)의 크기 및 형태 등과 같은 로봇 청소기(1)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이 저감되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제1하우징의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제1하우징에 구비되는 챔버라 함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챔버(612a, 612b)와 같이 제1하우징(61)과 제2하우징(62)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를 의미한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61a)에는 배출구(615)의 좌우 측방 하부에 챔버(612a,612b)가 구비될 수 있다. 챔버(612a,612b)는 리브(613a, 613b)에 의해 형성된다. 리브(613a, 613b)에는 복수의 슬릿(614c, 614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슬릿(614a, 614b)과 다르게, 슬릿(614c,614d)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리브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614c, 614d)은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616)의 가장자리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614c, 614d)의 형성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로봇청소기의 소음이 효율적으로 저감될 수 있도록 적절히 그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은 대향되는 상하 방향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 대향되는 좌우 방향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61b)에 구비되는 챔버(612a, 612b)에는 복수의 슬릿이 아닌 복수의 홀(619a, 619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홀(619a, 619b)은 인접하는 두 개의 챔버(612a, 612b)에서 인접하는 양쪽 리브(613a, 613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리브(613a, 613b)에 복수의 홀(619a, 619b)이 형성된 경우에도, 리브(613a, 613b)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챔버(612a, 612b)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공명현상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챔버의 형태는 도 3 내지 도 7b에 도시된 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슬릿 또는 홀이 형성되는 위치도 챔버의 형태 또는 팬모터 유닛의 환경에 맞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61c)에는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612a, 612b)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출구(615)를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된 챔버(612a)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하우징(61c)에 복수의 챔버가 구비되는 경우, 좌측 챔버(612a)에 관한 내용은 다른 챔버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챔버(612a)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617a, 617b)이 구비될 수 있다. 챔버(612a)의 내부 공간은 격벽(617a, 617b)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617a, 617b)에 의해 챔버(612a)의 공간이 분할되어 챔버(612a)의 부피 및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챔버(612a)에 의한 공명 현상에 의해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챔버(612a)가 격벽(617a, 617b)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특정 영역의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격벽(617a, 617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612a) 내에서 세로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격벽은 챔버(612)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격벽(617a, 617b)에 의해 분할되어 형성되는 공간(6120,6121)은 서로 동일한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서로 상이한 부피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격벽(617a, 617b)의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7에 개시된 제1하우징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61d)에는, 도 8에 도시된 제1하우징(61c)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챔버(612a, 612b)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출구(615)를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된 챔버(612a)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하우징(61c)에 복수의 챔버가 구비되는 경우, 좌측 챔버(612a)에 관한 내용은 다른 챔버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챔버(612)에는 격벽(617c,617d)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617c, 617d)은 챔버(612a) 내에서 가로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격벽(617c, 617d)은, 도 8에 도시된 격벽(617a, 617b)과 마찬가지로, 챔버(612a)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챔버(612a)의 부피 및 형태를 변형시킨다. 격벽(617c,617d)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6122,6123)은 서로 동일한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거나 서로 상이한 부피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격벽(617c, 617d)이 구비되는 챔버(612a)에 의해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격벽(617c, 617d)의 구성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에 개시된 제1하우징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격벽의 연장 방향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격벽은 챔버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챔버 내의 공간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거나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챔버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챔버는 격벽에 의해 각각 상이한 형태로 공간이 분할되어 각각 상이한 주파수 영역에 대해 공명 현상을 일으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가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그 부피가 조절됨으로써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챔버에 흡음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61e)에 마련된 챔버(612a, 612b)에는 흡음재(618)가 위치될 수 있다. 흡음재(618)는 소리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구성으로서, 울, 스폰지, 유리 섬유(glass fiber) 등과 같은 다공성 섬유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합판이나 경질 섬유판 등의 판상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챔버(612a, 612b)에 흡음재(618)가 위치됨으로써, 팬모터 유닛(6)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은 더욱 효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제1하우징(61e)에 복수 개의 챔버가 구비되는 경우, 흡음재(618)는 모든 챔버에 위치되거나, 일부 챔버에만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챔버가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공간 모두에 흡음재가 배치되거나, 분할된 공간들 중 일부 공간에만 흡음재가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팬모터 유닛(8)은 로봇청소기(7) 내에 수평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로봇청소기(1)와 상이하다.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로봇 청소기에는 팬모터 유닛(6)이 수직 배치되고 있다.
팬모터 유닛(8)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점 이외에 브러시 유닛(92), 휠(93), 하부케이스(90), 상부케이스(91)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브러시 유닛(5), 휠(4), 하부케이스(2), 상부케이스(3)의 구성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로봇청소기(1)의 경우, 팬모터 유닛(6)이 수직 배치되어,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팬모터 유닛(6)의 저면에 마련된 유입구(611)를 통해 유입되어 팬모터 유닛(6)으로 유입된다. 팬모터 유닛(6)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60)를 통과하고 제1하우징(61)의 상부에 위치된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615)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제1하우징(61)과 제2하우징(62) 사이의 공간을 지나 제2하우징(62)의 상부에 위치된 배출구(624)를 통해 팬모터 유닛(6)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10에 개시된 로봇청소기(1)에서는 흡입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7)의 경우, 팬모터 유닛(8)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어 흡입구(9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의 이동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점 이외의 내용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10에 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팬모터(80)는 제1하우징(81)에 수용되고, 제1하우징(81)은 제2하우징(8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하우징(81)에는 복수의 슬릿(814a, 814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812a, 812b)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챔버(812a, 812b)는 제1하우징(81)의 외측면에 돌출된 리브(813a, 813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챔버(812a, 812b)는 격벽에 의해 그 공간이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챔버(812a, 812b)에는 흡음재가 위치될 수 있다.
팬모터 유닛(8)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80)를 통과하고, 제1하우징(81)에 형성된 배출구(810)를 통해 제1하우징(81)과 제2하우징(82)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하우징(81)과 제2하우징(8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하우징(82)에 형성된 배출구(820)를 통해 팬모터 유닛(8)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팬모터 유닛(8)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부케이스(91)에 형성된 배출구(910)를 통해 로봇청소기(7)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팬모터 유닛의 하우징에 형성된 챔버가 구비되고, 챔버를 형성하는 리브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소음을 저감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챔버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로(616)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팬모터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팬모터의 흡입력의 손실이 없이 공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챔버의 부피 및 형태를 변형시켜 소음의 특정 주파수 영역에 대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음을 저감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챔버의 구성에 관한 내용은 로봇청소기뿐만 아니라, 스틱형 청소기,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등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로봇청소기 2: 하부케이스
3: 상부케이스 6: 팬모터 유닛
21: 흡입구 31: 배출구
60: 팬모터 61: 제1하우징
62: 제2하우징 63: 커버
612a, 612b: 챔버 614a, 614b, 614c, 614d: 슬릿
615: 배출구 616: 유로
617a, 617b, 617c, 617d: 격벽 618: 흡음재
620: 개구 621: 내측 하우징
622: 외측 하우징 623: 유입구
624: 배출구
7: 로봇청소기 8: 팬모터 유닛
80: 팬모터 81: 제1하우징
82: 제2하우징 812a, 812b: 챔버
814a, 814b: 슬릿 90: 하부케이스
91:상부케이스 900: 흡입구
910: 배출구

Claims (20)

  1.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팬모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로봇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인접하는 챔버들 사이를 통과하는 로봇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구비되는 복수의 슬릿은, 인접하는 다른 챔버의 일면과 대향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로봇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로봇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는 흡음재가 구비되는 로봇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는 흡음재가 위치되는 로봇청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는 흡음재가 위치되는 로봇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하부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로봇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는 두 개의 챔버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두 개의 챔버 사이를 통과하는 로봇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 내측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로봇청소기.
  16.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팬모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유닛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팬모터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이 수용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서로 마주하는 챔버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로봇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챔버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챔버와 인접하는 면에 위치되는 로봇청소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적어도 일부의 챔버에는 흡음재가 위치되는 로봇청소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적어도 일부의 챔버의 내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로봇 청소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로봇 청소기.
KR1020160072122A 2016-06-10 2016-06-10 로봇청소기 KR10254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22A KR102549125B1 (ko) 2016-06-10 2016-06-10 로봇청소기
US16/308,568 US11006800B2 (en) 2016-06-10 2017-05-22 Robot cleaner
PCT/KR2017/005280 WO2017213362A1 (ko) 2016-06-10 2017-05-22 로봇청소기
EP17810485.7A EP3446607B1 (en) 2016-06-10 2017-05-22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22A KR102549125B1 (ko) 2016-06-10 2016-06-10 로봇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70A true KR20170139770A (ko) 2017-12-20
KR102549125B1 KR102549125B1 (ko) 2023-06-30

Family

ID=6057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122A KR102549125B1 (ko) 2016-06-10 2016-06-10 로봇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06800B2 (ko)
EP (1) EP3446607B1 (ko)
KR (1) KR102549125B1 (ko)
WO (1) WO2017213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70B1 (ko) * 2018-06-15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내 로봇
KR102137190B1 (ko) 2018-06-15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내 로봇
USD935118S1 (en) * 2019-11-28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vacuum cleaner
USD978463S1 (en) * 2021-01-14 2023-02-14 Beijing Roborock Technology Co., Ltd. Cleaning robot
DE102021128167A1 (de) * 2021-10-28 2023-05-04 Alfred Kärcher SE & Co. KG Reinigungs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s Strömungsumlenkungsel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18B1 (ko) * 2001-08-29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원심 송풍기
KR100725515B1 (ko) * 2005-12-15 2007-06-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 소음저감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1436631B1 (ko) * 2007-11-1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50125224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908622U1 (de) 1979-03-27 1980-02-2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taubsauger
KR100329475B1 (ko) 1998-06-05 2002-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판넬
KR200214600Y1 (ko) * 1998-06-18 2001-03-02 배길성 진공청소기용본체의모터소음저감구조
JP4028872B2 (ja) 2004-11-05 2007-12-26 三星光州電子株式会社 モータ組立体の排気装置及びこれを含む掃除機
KR101143773B1 (ko) 2004-12-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팬모터의 소음감소장치
KR101505380B1 (ko) * 2007-05-09 2015-03-23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표면 처리 로봇
JP5307871B2 (ja) 2011-09-29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掃除ロボ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18B1 (ko) * 2001-08-29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원심 송풍기
KR100725515B1 (ko) * 2005-12-15 2007-06-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 소음저감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1436631B1 (ko) * 2007-11-1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50125224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125B1 (ko) 2023-06-30
EP3446607A1 (en) 2019-02-27
WO2017213362A1 (ko) 2017-12-14
EP3446607B1 (en) 2022-05-18
US11006800B2 (en) 2021-05-18
US20190150687A1 (en) 2019-05-23
EP3446607A4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6607B1 (en) Robot cleaner
KR102385519B1 (ko) 로봇 청소기
US10980379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911294B1 (ko) 청소기
US8627542B2 (en)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US20070028574A1 (en) Dust collector for autonomous floor-cleaning device
US20160081522A1 (en) Robot cleaner
KR102492164B1 (ko) 진공 청소기
RU2015148264A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оснащенный таким пылеуловителем
KR102450240B1 (ko) 로봇 청소기
CA2551866A1 (en) Vacuum cleaner with final filtration compartment for reducing noise
CN111902068A (zh) 真空吸尘器
WO2013073129A1 (ja) 手乾燥装置
KR20050026166A (ko) 진공청소기
US20130180077A1 (en) Bag compartment for vacuum cleaner
EP1652457B1 (en) Main body structure of vacuum cleaner
CN208371718U (zh) 一种表面清洁器
JP2014018255A (ja) 電気掃除機
JP6111431B2 (ja) 電気掃除機
JP200907808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101014704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모터 냉각구조
CN106859492B (zh) 地刷组件及具有其的吸尘器
KR102367199B1 (ko) 로봇 청소기
JP200332539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60062238A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필터의 진동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