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758A -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758A
KR20170139758A KR1020160072090A KR20160072090A KR20170139758A KR 20170139758 A KR20170139758 A KR 20170139758A KR 1020160072090 A KR1020160072090 A KR 1020160072090A KR 20160072090 A KR20160072090 A KR 20160072090A KR 20170139758 A KR20170139758 A KR 2017013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ts
legs
bed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태오
조정빈
권용준
공소영
임유정
용채빈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758A/ko
Publication of KR2017013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3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 A47C17/132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with multiple seat cushions
    • A47C17/134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with multiple seat cushions by lifting or til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22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with means for uncovering a previously hidden mattress or similar bed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와, 제3 매트와, 한 쌍의 제1 다리들과, 한 쌍의 제2 다리들, 및 유지 기구를 포함한다. 제2 매트는 제1 매트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3 매트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 사이에 배치되며, 한쪽 단이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반대쪽 단이 제2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다리들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3 매트에 걸쳐 제1,3 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며, 제3 매트보다 제1 매트와 가까운 각각의 부위가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제2 다리들은 제1 다리들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제1 다리들보다 각각 내측에 배치되며, 제2,3 매트에 걸쳐 제2,3 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유지 기구는 제1 매트가 제1 다리들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3 매트가 제2 매트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Folding type bed for protector}
본 발명은 병실에서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 옆에 위치되어 보호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청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보호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병실은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마다 보호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자용 침대를 하나씩 갖추고 있다. 보호자용 침대는 환자용 침대 옆에 위치되어 보호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청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보호자용 침대는 사용되지 않을 경우 환자용 침대 밑으로 수납되어 환자용 침대 옆의 빈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보호자용 침대는 환자용 침대 밑에 수납되기 용이하도록 길이가 환자용 침대보다 짧고 폭도 비교적 좁은 형태로 구성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보호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보호자의 사용 편의를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622호(2004.04.21. 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용 침대의 양측 부분을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 예가 있으나, 등받이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보호자가 오랜 시간 앉아 있기가 불편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와, 제3 매트와, 한 쌍의 제1 다리들과, 한 쌍의 제2 다리들, 및 유지 기구를 포함한다. 제2 매트는 제1 매트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3 매트는 제1 매트와 제2 매트 사이에 배치되며, 한쪽 단이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반대쪽 단이 제2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다리들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3 매트에 걸쳐 제1,3 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며, 제3 매트보다 제1 매트와 가까운 각각의 부위가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제2 다리들은 제1 다리들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제1 다리들보다 각각 내측에 배치되며, 제2,3 매트에 걸쳐 제2,3 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유지 기구는 제1 매트가 제1 다리들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3 매트가 제2 매트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는 의자로 변환된 상태에서 등받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에 장시간 앉아 있기가 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에서 사용자가 앉는 부위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 경우, 사용자는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 다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제2 다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가 침대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가 의자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제2 매트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 다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제2 다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가 침대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가 의자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제1 매트(110)와, 제2 매트(120)와, 제3 매트(130)와, 한 쌍의 제1 다리(140)들과, 한 쌍의 제2 다리(150)들, 및 유지 기구(160)를 포함한다.
제1 매트(11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침대 변환시 수평으로 놓인 상태로 사용자의 머리와 등 부분을 받친다. 또한, 제1 매트(11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수직으로 놓인 상태로 제3 매트(130)를 지탱한다.
제2 매트(120)는 제1 매트(1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매트(12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침대 변환시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받치며,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친다.
제3 매트(130)는 제1 매트(110)와 제2 매트(120) 사이에 배치되며, 한쪽 단이 제1 매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반대쪽 단이 제2 매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매트(130)의 양쪽 단은 경첩에 의해 제1,2 매트(110, 120)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매트(13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침대 변환시 수평으로 놓인 상태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친다. 제3 매트(13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사용자의 등 부분을 받쳐 등받이 기능을 한다. 제1,2,3 매트(110, 120, 130)는 각각 쿠션 기능을 가지며, 사각 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다리(140)들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3 매트(110, 130)에 걸쳐 제1,3 매트(110, 13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제1 다리(140)는 대부분이 제1 매트(11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며 일부분이 제3 매트(130)를 지면에 지지할 수 있다.
제1 다리(140)들은 제3 매트(130)보다 제1 매트(110)와 가까운 각각의 부위가 제1 매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매트(11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제1 다리(140)들에 대해 회전해서 세워질 수 있다. 제1 다리(140)들은 제3 매트(130)보다 제1 매트(110)와 가까운 각각의 부위가 제1 매트(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매트(11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1 다리들(140)의 외측 부위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제1 다리(140)는 제1 수평대(141)와, 한 쌍의 제1 수직대(142)들, 및 제1 바퀴(143)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평대(141)는 제1,3 매트(110, 130)에 걸쳐 제1,3 매트(110, 1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1 수평대(141)는 제3 매트(130)보다 제1 매트(110)와 가까운 단이 제1 매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수평대(141)는 경첩에 의해 제1 매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평대(141)는 제1 매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제1,3 매트(110, 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3 매트(110, 13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제1 수평대(141)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접힐 수 있다. 제1 수평대(141)들은 제1 매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위 쪽에서 연결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대(142)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수평대(141)에 각 상단이 고정된다. 제1 다리(140)는 제1 수평대(141)와 제1 수직대(142)들에 의해 대략 ∩자 형태를 이루어 제1,3 매트(110, 13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제1 바퀴(143)들은 제1 수직대(142)들의 각 하단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다리(140)는 지면을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다리(150)들은 제1 다리(140)들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제1 다리(140)들보다 각각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다리(150)들은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제1 다리(140)들 사이로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침대 변환시 제1 다리(140)들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다리(150)들은 제2,3 매트(120, 130)에 걸쳐 제2,3 매트(120, 13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제2 다리(150)는 대부분이 제2 매트(12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며 일부분이 제3 매트(130)를 지면에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제2 다리(150)는 제2 상측 수평대(151)와, 제2 수직대(152)와, 제2 하측 수평대(153)와, 발(154), 및 제2 바퀴(15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상측 수평대(151)는 제2,3 매트(120, 130)에 걸쳐 제2,3 매트(120, 1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 상측 수평대(151)는 제2 매트(120)의 하면에 고정되고, 제3 매트(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3 매트(13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의자 변환시 제2 상측 수평대(151)로부터 분리되어 제2 매트(120)에 대해 접힐 수 있다.
제2 수직대(152)는 수직 배치되어 제2 상측 수평대(151)에 상단이 고정된다. 제2 하측 수평대(153)는 제2 수직대(152)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어 고정된다. 제2 다리(150)는 제2 상측 수평대(151)와, 제2 수직대(152)와, 제2 하측 수평대(153)에 의해 대략 I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발(154)은 제2 하측 수평대(153)의 하단에 지면과 맞닿게 연장된다. 제2 바퀴(155)는 발(154)보다 제3 매트(130)에 가깝게 위치되어 제2 하측 수평대(153)의 하단에 장착된다. 즉, 제2 하측 수평대(153)의 양단 중 제3 매트(130)와 먼 쪽의 단에 발(154)이 배치되고, 제3 매트(130)와 가까운 쪽의 단에 제2 바퀴(155)가 배치될 수 있다. 발(154)은 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2 다리(150)가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바퀴(155)는 발(154)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제2 다리(150)가 지면을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유지 기구(160)는 제1 매트(110)가 제1 다리(140)들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3 매트(130)가 제2 매트(120)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유지 기구(160)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가 침대로 변환된 상태, 의자로 변환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일 예로, 유지 기구(160)는 제1,2 바퀴(143, 155)들의 회전을 각각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제1,2 바퀴 브레이크(161, 16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퀴 브레이크(161)는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패드를 제1 바퀴(143)의 구름 면에 밀착 또는 분리시키는 고정해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퀴 브레이크(162)도 제1 바퀴 브레이크(16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2 바퀴 브레이크(161, 162)는 캐스터 바퀴에 사용되는 공지의 브레이크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제1,2 바퀴(143, 155)의 회전을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유지 기구는 제1 매트(110)와 제3 매트(130) 사이의 회전, 제2 매트(120)와 제3 매트(130) 사이의 회전을 각각 잠그거나 해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각각의 제2 다리(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기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가 의자로 변환된 상태에서, 제2 다리(15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제2 매트(120)를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에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2 수직대(152)는 고정대(152a) 및 가동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152a)는 하단이 제2 하측 수평대(153)에 고정된다. 가동대(152b)는 상단이 제2 상측 수평대(151)에 고정된다. 가동대(152b)는 하측 부위가 고정대(152a)의 상단 개구를 통해 고정대(15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 높이조절 기구(170)는 조절 나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나사(171)는 고정대(152a)의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된다. 조절 나사(171)는 회전 방향에 따라 선단이 가동대(152b)를 가압해서 고정하거나, 선단이 가동대(152b)로부터 분리되어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대(152b)는 높이 조절된 상태로 조절 나사(171)에 의해 고정대(152a)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대(152b)는 외측 면에 요입 홈(172)들을 가질 수 있다. 요입 홈(172)들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조절 나사(171)의 선단은 가동대(152b)의 높이에 따라 요입 홈(172)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가동대(152b)가 높이 조절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고정대(152a)는 상측 부위가 가동대(152b)의 하단 개구를 통해 가동대(152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조절 나사(171)가 가동대(152b)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길이가 1600㎜이고, 높이가 280㎜이며, 너비가 600㎜이며, 무게가 23㎏이며, 버티는 최대하중이 15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의자 변환시 길이가 630㎜이며, 조절 가능한 높이가 350㎜~40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침대 변환시 길이가 1600㎜이고, 의자 변환시 길이가 630㎜이므로, 대략 39%의 축소비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좁은 병실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키 172㎝, 몸무게 150㎏의 성인남자가 누운 상태에서 무게중심을 머리에서 0.35가 되도록 설정하고, 키 160㎝, 몸무게 150㎏의 성인여자가 누운 상태에서 무게중심을 머리에서 0.45가 되도록 설정한 조건에서 버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의 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를 침대로 변환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2,3 매트(110, 120, 130)는 사용자에 의해 수평으로 펼쳐진다. 그 다음, 제1,2 바퀴(143, 155)들은 유지 기구(160)의 제1,2 바퀴 브레이크(161, 162)들에 의해 잠금 처리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침대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를 의자로 변환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바퀴(155)들은 사용자에 의해 제2 바퀴 브레이크(162)에 의해 잠금 처리된 상태에서 해제된다. 그 다음, 제2 다리(150)들은 제1 다리(140)들 사이로 들어간다. 그러면, 제2 매트(120)와 제3 매트(130)가 서로 접히고, 제1 매트(110)와 제3 매트(130)가 서로 접힌다. 이때, 제3 매트(130)는 제2 매트(120)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제1 매트(11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제1 다리(140)들에 의해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제3 매트(130)를 지탱하게 된다.
그 다음, 제2 바퀴(155)들은 제2 바퀴 브레이크(162)에 의해 잠금 처리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는 의자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에서 제3 매트(130)는 제2 매트(120)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등받이 기능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장시간 앉아 있기 편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에서 제2 매트(120)는 제2 다리(150)들의 높이 조절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의자로 변환된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100)에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1 매트
120..제2 매트
130..제3 매트
140..제1 다리
150..제2 다리
160..유지 기구
161..제1 바퀴 브레이크
162..제2 바퀴 브레이크
170..높이 조절기구
171..조절 나사

Claims (3)

  1.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매트;
    상기 제1 매트와 제2 매트 사이에 배치되며, 한쪽 단이 상기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반대쪽 단이 상기 제2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매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1,3 매트에 걸쳐 상기 제1,3 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며, 상기 제3 매트보다 상기 제1 매트와 가까운 각각의 부위가 상기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 다리들;
    상기 제1 다리들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상기 제1 다리들보다 각각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3 매트에 걸쳐 상기 제2,3 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다리들; 및
    상기 제1 매트가 상기 제1 다리들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3 매트가 상기 제2 매트에 대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
    를 포함하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다리는,
    상기 제1,3 매트에 걸쳐 상기 제1,3 매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매트보다 상기 제1 매트와 가까운 단이 상기 제1 매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수평대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 수평대에 각 상단이 고정된 한 쌍의 제1 수직대들, 및 상기 제1 수직대들의 각 하단에 장착된 제1 바퀴들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2 다리는,
    상기 제2,3 매트에 걸쳐 상기 제2,3 매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제2 상측 수평대와, 수직 배치되어 상기 제2 상측 수평대에 상단이 고정된 제2 수직대와, 상기 제2 수직대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어 고정된 제2 하측 수평대와, 상기 제2 하측 수평대의 하단에 지면과 맞닿게 연장된 발, 및 상기 발보다 상기 제3 매트에 가깝게 위치되어 상기 제2 하측 수평대의 하단에 장착된 제2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제1,2 바퀴들의 회전을 각각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제1,2 바퀴 브레이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KR1020160072090A 2016-06-10 2016-06-10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KR20170139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090A KR20170139758A (ko) 2016-06-10 2016-06-10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090A KR20170139758A (ko) 2016-06-10 2016-06-10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58A true KR20170139758A (ko) 2017-12-20

Family

ID=6093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090A KR20170139758A (ko) 2016-06-10 2016-06-10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7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0439A (zh) * 2020-09-27 2020-12-25 江西省润华教育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方便学生学习的实木公寓床
KR102199227B1 (ko) 2020-04-28 2021-01-07 조한표 접이식 보호자 침대 겸용 의자
WO2021187661A1 (ko) * 2020-03-17 2021-09-23 진상식 해충 및 햇빛 보호장치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661A1 (ko) * 2020-03-17 2021-09-23 진상식 해충 및 햇빛 보호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2199227B1 (ko) 2020-04-28 2021-01-07 조한표 접이식 보호자 침대 겸용 의자
CN112120439A (zh) * 2020-09-27 2020-12-25 江西省润华教育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方便学生学习的实木公寓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233B2 (en) Tattoo chair
NL192425C (nl) Stoel voorzien van kniesteun.
AU2018223026B2 (en) A Postural Support Bracket
US20110219545A1 (en) Bed, particularly a hospital bed or care nursing bed
US9895005B2 (en) Convertible child seat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US10667976B2 (en) Low clearance medical imaging chair
KR20170139758A (ko) 접이식 보호자용 침대
US6345864B1 (en) Adjustable support and retention device for interchangeable furnishings and/or equipment
US20020189017A1 (en) Medical examination table step
KR101674286B1 (ko) 환자용 침대
KR101496587B1 (ko)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CN108888421A (zh) 多功能转移椅
KR102289619B1 (ko) 휠체어 탈부착식 침대
JP3134689U (ja) 背もたれ器具
KR101775573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KR101468048B1 (ko) 다용도 목욕의자
JP2023149320A (ja) 車椅子
KR101334014B1 (ko) 싱크대용 신체 지지장치
JP2018157923A (ja) 身体支持装置
DK177821B1 (da) Justerbar seng uden ydre ramme
KR20240007418A (ko) 사용성이 개선된 양 방향 사용 의자
JP2012231874A (ja) 杖兼椅子
KR20200144930A (ko) 각도조절이 되고 다리 받침대가 나오는 의자
KR20180001635U (ko) 의자 겸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