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358A -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358A
KR20170139358A KR1020160071817A KR20160071817A KR20170139358A KR 20170139358 A KR20170139358 A KR 20170139358A KR 1020160071817 A KR1020160071817 A KR 1020160071817A KR 20160071817 A KR20160071817 A KR 20160071817A KR 20170139358 A KR20170139358 A KR 2017013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body portion
ground terminal
ground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훈
심우섭
조남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358A/ko
Priority to US16/308,733 priority patent/US10734872B2/en
Priority to EP17810446.9A priority patent/EP3471243B1/en
Priority to PCT/KR2017/000270 priority patent/WO2017213323A1/ko
Priority to CN201780035637.6A priority patent/CN109314446B/zh
Publication of KR2017013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358A/ko
Priority to US16/917,240 priority patent/US11108306B2/en
Priority to US17/393,720 priority patent/US11616425B2/en
Priority to US18/171,851 priority patent/US11784542B2/en
Priority to US18/461,587 priority patent/US2023042102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접지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클립부;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와이어가 끼워 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돌기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를 제공하여. 커패시터와 접지 단자의 결합력을 높이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흐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vehicl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가 마련되는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가 설치된다. 모터는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로터에 코일이 감긴 경우, 회전하는 로터에 감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정류자와 브러시(brush)가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정류자는 코일과 연결된 상태로 샤프트에 결합하여 회전하고, 브러시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정류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브러시는 정류자에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정류자는 순간적인 전극 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미세한 간격으로 극성부가 형성되므로 극성부와 브러시의 마찰 접속 시 불꽃 방전이 일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노이즈(noise)가 발생한다. 이러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가 설치된다.
필터는 커패시터(capacitor)가 사용될 수 있다. 커패시터는 접지 단자를 통해 노이즈를 방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커패시터의 와이어가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이때, 커패시터의 와이어는 접지 단자 위에 놓인 상태에서 바로 용접이 된다. 때문에 외력에 의해 커패시터의 와이어가 접지 단자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는 커패시터와 접지 단자의 결합력을 높이는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접지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클립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와이어가 끼워 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접지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클립과 제2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톱니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측단에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브러시 조립체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접지 단자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고, 상기 접지 단자 및 상기 브러시 조립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된 접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접지 와이어가 끼워 결합하는 클립부;및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돌기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 조립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정류자와, 상기 로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정류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러시 조립체와 상기 브러시 조립체와 연결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접지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클립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접지 와이어가 끼워 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와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부를 통해 커패시터의 와이어를 가조립 상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패시터의 와이어를 감싸는 클립부를 구비하여, 커패시터와 접지 단자의 결합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상부 측 일부를 절개하여 접지부를 구현하고, 몸체부의 하부에 구현된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클립부를 구현함으로써, 접지 단자를 형성하는 판금재의 스크랩을 크게 줄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와이어가 삽입된 접지 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접지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접지 단자의 정면도,
도 7은 접지 단자의 측면도,
도 8은 하우징과 접촉하는 접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접지 단자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접지 단자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접지 단자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는, 하우징(2)과, 스테이터(3)와, 로터(4)와, 회전축(5)과, 정류자(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는 로터(4)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4)의 회전을 유도한다. 스테이터(3)는 하우징(2)의 내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테이터(3)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4)에 감긴 코일과 회전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마그넷은 회전축(5)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N극과 S극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3)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결합되어 제작되거나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는 단일 코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로터(4)는 스테이터(3)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4)는 로터 코어와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로터 코어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티스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티스는 로터의 중심을 기준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그넷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티스에는 코일이 감긴다. 티스에는 인슐레이터가 장착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는 티스와 코일을 절연시킨다.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작용이 유발되어 로터(4)가 회전한다. 로터(4)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5)도 같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5)은 베어링(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는 하우징(2)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커버 조립체는 접지 단자(10)와, 커버 플레이트(20)와, 브러시 조립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면에 접지 단자(10)와 브러시 조립체(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면에는 접지 단자(10)와 브러시 조립체(30)가 결합된다. 브러시 조립체(30)는 커패시터(capacitor)(40:41,42)와 연결된다. 커패시터(41)의 와이어(50)는 접지 단자(10)와 연결된다. 또한, 커패시터(40:41,42)는 접속 단자(60)와 연결된다. 접속 단자(60)는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 형성된 터미널(70)과 연결된다. 터미널(70)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70)에 외주 전원이 연결되면, 접속 단자(60)와 커패시터(40:41,42)를 거쳐 브러시 조립체(30)에 전기가 공급된다. 브러시 조립체(30)는 정류자(6)를 거쳐 코일에 전기를 공급한다.
브러시 조립체(30)는 브러시와 브러시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포함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시 브러시가 정류자(6)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와이어가 삽입된 접지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패시터(41)는 접지 단자(10)와 연결된다. 커패시터(41)의 와이어(50)가 접지 단자(10)에 끼워진다. 접지 단자(10)는 커버 플레이트(200에 결합한다. 커버 플레이트(20)에는 접지 단자(10)가 끼워지는 홈(21a)을 포함하는 보스부(21)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접지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접지 단자의 정면도, 도 7은 접지 단자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 5 내지 도 7은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실시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접지 단자(10)는 몸체부(100)와, 접지부(200)와. 클립부(300)와 결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와, 접지부(200)와. 클립부(300)와, 결합부(40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이다. 그리고 몸체부(100)와, 접지부(200)와. 클립부(300)와, 결합부(400)는 하나의 판금재에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접지 단자(10)의 몸체를 이룬다. 접지부(200)는 몸체부(100)의 상측의 일부에서 상단 테두리까지 절개되어 그 절편이 제1 방향(도 7의 R)으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도 7의 R)은 접지 단자(10)가 커버 플레이트(200에 결합되었을 때,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2)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접지부(200)는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접지부(200)는 하우징(2)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클립부(300)는 몸체부(100)의 상단(100A)에서 제2 방향(도 7의 F)으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도 7의 F)은 접지 단자(10)가 커버 플레이트(20)에 결합되었을 때,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축(5)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클립부(300)는 굽어 형성되어 내측에 커패시터(41)의 와이어(50)가 끼워지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은 방향으로 와이어(50)가 클립부(300)에 끼워진다. 와이어(50)가 클립부(300)에 끼워 지면, 커패시터(41)가 접지 단자(10)에 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접 작업을 위해 와이어(50)를 잡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41)와 접지 단자(10)를 가 결합하는 구조는 자동화 공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구조이다.
한편, 클립부(300)에 와이어(50)가 삽입된 후, 와이어(50)가 유동되지 않도록 와이어(50)의 직경을 고려하여 클립부(300)의 홀이 가공될 수 있다.
클립부(300)는 브러시 조립체(30) 2개인 경우,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부(200)는 몸체부(100)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은 접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접지부(200)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클립(310)에는 2개의 브러시 조립체(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커패시터(41)의 와이어(5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클립(320)에는 2개의 브러시 조립체(30)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커패시터(41)의 와이어(50)가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몸체부(10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300)는 커버 플레이트(2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20)에는 돌출된 보스부(도 4의 21)가 마련되고, 보스부(도 4의 21)에는 홀(도 4의 21a)이 형성된다, 결합부(300)는 홀(도 4의 21a)에 삽입되어 몸체부(100) 및 클립부(300)를 커버 플레이트(20)에 고정시킨다.
결합부(300)는 돌기(410)를 포함한다. 돌기(410)는 결합부(300)와 홀(도 4의 21a)의 결합력을 높인다. 돌기(410)는 톱니 형상으로 구현되어, 일단 결합부(300)가 홈(21a)에 삽입되면, 빠지기 어렵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하우징과 접촉하는 접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300)가 홈(21a)에 결합된 상태에서, 클립부(300)에 와이어(50)가 연결되고, 접지부(200)는 하우징(2)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접지부(200)는 굽어 형성되어, 곡면을 이루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20)가 하우징을 덮는 과정에서 접지부(200)는 하우징(2)의 내측면으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20)가 하우징을 덮는 과정에서 접지부(200)는 탄성 변형된다.
도 9는 접지 단자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변형례에 따른 접지 단자(10)는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은 몸체부(1000의 하단(100B)에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단자(10)의 전개 형상에서 결합부(400)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400)의 양 측에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변형례에 따른 접지 단자(10)의 구조는 판금재의 스크랩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0은 접지 단자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2 변형례에 따른 접지 단자(10)는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은 몸체부(100)의 측단(100C)에서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접지 단자(10)에 따르면,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에 연결되는 와이어(50)의 연결 방향이 접지 단자(10)의 위쪽에서 아래쪽 또는 접지 단자(10)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변경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구조나, 커패시터(40:41,42)의 종류 및 위치에 대응하여 본 구조의 접지 단자(1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접지 단자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변형례에 따른 접지 단자(10)는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은 몸체부(100)의 일부가 절개된 절편이 굽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단자(10)의 전개 형상에서 제1 클립(310)과 제2 클립(320)이 몸체부(100)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판금재의 스크랩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접지 단자
20: 커버 플레이트
30: 브러시
40: 커패시터
100: 몸체부
200: 접지부
300: 클립부
310: 제1 클립
320: 제2 클립

Claims (20)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접지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클립부;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와이어가 끼워 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돌기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되는 접지 단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접지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클립과 제2 클립을 포함하는 접지 단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접지 단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톱니 형상 인 접지 단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굽어 형성되는 접지 단자.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굽어 형성되는 접지 단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클립과 상기 제2 클립 사이에 위치하는 접지 단자.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측단에서 굽어 형성되는 접지 단자.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은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굽어 형성되는 접지 단자.
  11.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브러시 조립체;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접지 단자;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고, 상기 접지 단자 및 상기 브러시 조립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된 접지부;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접지 와이어가 끼워 결합하는 클립부;및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돌기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버 조립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 조립체.
  16.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정류자;
    상기 로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스테이터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정류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러시 조립체와 상기 브러시 조립체와 연결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접지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클립부;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굽어 형성되어 접지 와이어가 끼워 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돌기를 포함하는 모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와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모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모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는 모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모터.
KR1020160071817A 2016-06-09 2016-06-09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139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817A KR20170139358A (ko) 2016-06-09 2016-06-09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6/308,733 US10734872B2 (en) 2016-06-09 2017-01-10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EP17810446.9A EP3471243B1 (en) 2016-06-09 2017-01-10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PCT/KR2017/000270 WO2017213323A1 (ko) 2016-06-09 2017-01-10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201780035637.6A CN109314446B (zh) 2016-06-09 2017-01-10 接地端子、盖组件及包括其的电机
US16/917,240 US11108306B2 (en) 2016-06-09 2020-06-30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US17/393,720 US11616425B2 (en) 2016-06-09 2021-08-04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US18/171,851 US11784542B2 (en) 2016-06-09 2023-02-21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US18/461,587 US20230421028A1 (en) 2016-06-09 2023-09-06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817A KR20170139358A (ko) 2016-06-09 2016-06-09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358A true KR20170139358A (ko) 2017-12-19

Family

ID=6092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817A KR20170139358A (ko) 2016-06-09 2016-06-09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3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86A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686A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8306B2 (en)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US9853406B2 (en) Ground structure for motor
KR102613969B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8206310A (ja) 電動モータ
KR20170139358A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7288840A (ja) ブラシ付きモータ
KR102511767B1 (ko) 모터용 커버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8137965A (ja) モータ
KR102604382B1 (ko)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984491B2 (ja) ブラシ保持構造
JP2017005934A (ja) 直流モータ
KR20180014619A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536249B2 (ja) 回転電機
KR102637238B1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5116063A (ja) ブラシ付直流モータ
JP5349984B2 (ja) 回転電機のブラシ装置および回転電機
KR102639511B1 (ko) 모터
JP2011015469A (ja) 回転電機のブラシ装置および回転電機
US11128203B2 (en) Motor
JP2011015470A (ja) 回転電機のブラシ装置および回転電機
KR20170129419A (ko) 모터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5080298A (ja) 回転電機
JP2010068587A (ja) 回転電機
KR20180017640A (ko) 터미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0166758A (ja) 回転電機のブラシ装置および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