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161A - 숱가위 - Google Patents

숱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161A
KR20170139161A KR1020177034547A KR20177034547A KR20170139161A KR 20170139161 A KR20170139161 A KR 20170139161A KR 1020177034547 A KR1020177034547 A KR 1020177034547A KR 20177034547 A KR20177034547 A KR 20177034547A KR 20170139161 A KR20170139161 A KR 2017013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b
tip
scalp
thinning sci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214B1 (ko
Inventor
노리유키 츠지이
Original Assignee
카페리토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리토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카페리토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3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두피를 따르도록 나있는 곱슬머리 또는 머리카락의 다발 중에서 빗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곱슬머리를 커팅하는 것에 적합한 숱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숱가위는 빗날과 봉날을 구비한 헤어 커팅용 숱가위에 있어서, 상기 빗날은 상기 봉날보다 길고, 그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빗날(2)의 선단 부분을 두피에 대고 빗날(2)을 머리카락의 나있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켜도 두피를 상처 입히지 않고, 빗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 같은 곱슬머리를 효율 좋게 솎아낼 수 있다.

Description

숱가위
본 발명은 이용실, 미용실에서 사용되는 숱가위에 관한 것이다.
숱가위(5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날(51) 및 봉날(52)을 갖고 있고, 이 2개의 날에 의해 끼운 것을 전단하는 수동 이기(利器)이다. 빗날(51)에는 다수의 절입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숱가위(50)는 절입과 절입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라고 불리고 있는 부분(53)의 선단과 봉날(52) 사이에 끼운 머리카락을 전단하고, 절입의 부분에 들어간 머리카락은 자르지 않도록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머리카락을 솎아내도록 커팅한다. 일반의 숱가위(50)는 기준선(54)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날(52)의 쪽이 빗날(51)보다 길고, 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빗날(51) 및 봉날(52)의 서로 마주 보는 날의 선단(55, 56)은 코너각이 대략 90°로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숱가위(50)로 머리카락을 커팅할 경우, 다발로 한 머리카락(6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숱가위(50)를 넣어서 전단 동작을 행하고 있었다. 이때 숱가위(50)는 봉날(52)을 하측으로 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빗날(51)보다 받침측의 봉날(52)이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많은 것은 이 이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커팅법으로는 숱가위(50)의 선단이 두피에 닿는 일이 없기 때문에 봉날(52)의 선단 부분의 예리함이나 길이가 문제가 되는 것은 특별히 없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 8-98963호 공보
종래의 숱가위(50)를 사용해서 행하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팅 방법으로는 머리 안에 섞여있는 곱슬머리를 타깃으로 하는 것은 어려웠다.
흰머리 커팅용의 가위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 가위는 육안으로 확인된 흰머리를 한 개마다 정성스럽게 잘라내기 위해서 제안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 곱슬머리를 효율 좋게 커팅하는 것은 아니다(일본 특허공개 2010-259476호 공보를 참조).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머리카락의 다발 안에 섞여있는 곱슬머리 그리고 두피로부터 다른 머리카락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있는 곱슬머리를 효율 좋게 솎아낼 수 있는 숱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빗날과 봉날을 구비한 헤어 커팅용 숱가위에 있어서, 상기 빗날은 다수의 절입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입과 절입 사이에 톱니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빗날은 상기 봉날보다 길고, 그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고, 상기 선단은 1㎜ 이하의 폭의 톱니로 되어 있고, 상기 톱니의 선단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날의 선단을 두피에 대고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면서 사용함으로써 두피를 따르도록 다른 것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나있는 곱슬머리를 상기 오목부에 붙잡게 하여 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날의 톱니는 상기 빗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선단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상기 빗날과 상기 봉날 사이에 끼운 머리카락을 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날의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날의 선단의 톱니의 부분을 마주 보는 상기 봉날의 선단 부분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빗날의 선단을 두피에 대고, 빗날을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면서 헤어 커팅함으로써 곱슬머리를 효율 좋게 솎아낼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커팅법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숱가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숱가위의 선단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2(a)는 닫히기 직전의 상태, 도 2(b)는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는 숱가위가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숱가위를 두피에 대고, 머리가 나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커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행해지고 있는 커팅의 모양의 해설도이다.
도 6(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숱가위를 두피에 댄 상태의 설명도이며, 도 6(b)는 종래의 숱가위를 두피에 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머리를 다발로 해서 들어 올려 머리가 나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커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행해지고 있는 커팅의 모양의 해설도이다.
도 9는 숱가위의 봉날의 개량예를 나타내고, 도 9(a)는 숱가위가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도 9(a)의 B-B'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 도 9(c)는 도 9(a)의 C-C' 단면도, 도 9(d)는 도 9(a)의 D-D' 단면도이다.
도 10은 숱가위의 빗날의 톱니의 개량예의 3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숱가위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숱가위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숱가위는 헤어 커팅용 숱가위에 있어서, 빗날은 봉날보다 길고,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봉날의 선단도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빗날의 선단에 있는 톱니는 그 폭이 두피를 따르도록 다른 것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나있는 곱슬머리가 올려지도록 1㎜ 이하의 폭으로 설정한다. 상기 구성의 숱가위는 빗날의 선단을 두피에 대고, 빗날을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면서 두피를 상처 입히는 일 없이 안전하게 헤어 커팅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숱가위(1)는 빗날(2)과 봉날(3)을 갖고 있고, 이 2개의 날에 의해 끼운 것을 전단하는 수동 이기이다. 빗날(2)은 다수의 절입(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절입과 절입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5)가 빗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봉날(3)은 대략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절단날이며, 날끝 부분의 단면은 예각으로 되어 있다. 숱가위(1)는 톱니(5)와 봉날(3) 사이에 끼운 머리카락을 전단하고, 절입(4)의 부분에 들어간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도록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머리카락을 솎아내도록 커팅한다.
빗날(2)은 기준선(20)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날(3)보다 길고, 또한 그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모서리 라운딩 처리란 두피에 닿게 되는 선단 부분에 각져 있는 부분이 없도록 둥그스름하게 하는 처리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날(2)의 선단을 원호형상으로 둥글게 모따기하고, 또한 이 선단 부분에 대해서 도 1에 있어서 수직 방향에 있는 빗날(2)의 에지 부분의 각을 두피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R은 작지만) 둥글고 매끄럽게 모따기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봉날(3)의 선단 부분도 마찬가지로 모서리 라운딩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빗날(2)을 봉날(3)보다 길게 하고, 그 선단을 모서리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빗날(2)의 선단 부분을 두피에 대고 빗날(2)을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켜도 두피를 상처 입히는 일 없고, 빗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 같은 곱슬머리를 다른 머리카락을 상처 입히는 일 없이 솎아낼 수 있다(도 5, 도 6(a)를 참조). 봉날(3)의 선단을 모서리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빗날(2)을 지나치게 기울인 경우, 또는 강하게 두피에 압박해버려 그 끝이 파고들었을 경우에 두피를 빗날(2) 및 봉날(3)의 사이에 끼워도 두피를 상처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숱가위(50)(도 11을 참조)에서는 봉날(52) 쪽이 빗날(51)보다 길고, 빗날(51) 및 봉날(52)의 선단(55, 56)이 예리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숱가위(50)를 사용해서 상기 커팅법을 행하기 위해서는 두피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사용하는 사람에게 고도의 기능을 요구한다. 그러나 숱가위(1)를 사용하면 누구나 안전하게 이 커팅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기술적으로 현저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날(2)의 톱니(5)는 선단이 반원형상의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볼록형상의 가장 선단의 부분에는 머리카락 1~2개, 바람직하게는 1개가 들어가는 사이즈, 예를 들면 폭 0.1㎜~0.3㎜ 전후의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숱가위를 완전히 닫아도 빗날(2)의 절입의 최심 부분(7)에까지 봉날(3)은 닿지 않는다.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날(2)의 톱니(5)는 빗날(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선단 단면(A-A'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톱니(5),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6)와 봉날(3) 사이에 끼운 머리카락을 전단한다. 단면이 직사각형, 즉 선단부가 예리하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빗날(2)을 두피를 따르도록 자라고 있는 곱슬머리를 일으키기 위해서 문자 그대로 빗으로서 사용해도 머리카락을 상처 입히는 일이 없다. 톱니의 폭(W1)은 두피를 따르도록 다른 것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나있는 곱슬머리를 능숙하게 올리도록 1㎜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T1)는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숱가위(1)는 빗날(2)을 두피에 대고 사용하지만, 머리카락의 양을 고려하면 선단에 있는 톱니(5a)로부터 3~4번째에 있는 톱니(5)까지가 실제로 곱슬머리를 솎아내도록 커팅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숱가위(50)(도 11을 참조)와는 달리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날(2)의 선단에 있는 톱니(5a)에도 오목부(6)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헤어 라인 가까이에서 곱슬머리를 커팅할 수 있다. 톱니(5a)의 선단 부분의 폭(W2)은 빗날(2)의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된 형상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에 있어서 다른 톱니(5)의 폭(W1)과 마찬가지로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숱가위(1)는 빗날(2)의 선단 부분을 두피에 대고 빗날(2)을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도 5의 화살표(21))을 향해서 이동시키면서 사용한다. 이 커팅법을 실시함으로써 빗날(2)을 빗으로서 사용하고, 동시에 두피를 따르도록 나있어 빗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곱슬머리(도 5의 화살표(22, 23)로 나타낸다)를 톱니(5)(선단의 톱니(5a)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하다)의 오목부(6)에 붙잡게 하여 커팅할 수 있다. 숱가위(1)는 빗날(2)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톱니(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숱가위(50) 대신에 당연히 사용할 수 있다(도 12를 참조).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숱가위(1)의 빗날(2)의 선단은 모서리 라운딩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두피에 닿아도 상처를 입힐 우려는 적다. 이것에 비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숱가위의 빗날(51)을 두피에 대고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두피를 상처 입힐 우려가 있다. 이렇게 숱가위(1)는 빗날(2)을 두피에 대고 사용하는 데에 안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을 다발로 해서 들어 올려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도 8의 화살표(24))으로 숱가위(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커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발로 묶은 머리카락 안에 있는 빗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곱슬머리(도 8의 화살표(25, 26)로 나타낸다)를 톱니(5)의 오목부(6)에 붙잡게 하여 효율 좋게 커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봉날(3)의 선단 부분은 모서리 라운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만, 가위가 머리카락을 전단력에 의해 커팅한다는 원리와, 절단기(페이퍼 커터)의 구조와, 그리고 빗날(2)의 톱니(5)에 붙잡힌 1~2개의 머리카락을 커팅한다는 요건에 착목하면 도 9(b),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날(3)의 선단 부분(3a)도 빗날(2)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빗날(2)의 선단의 톱니(5)와 봉날(3) 사이에 두피를 끼웠을 경우에 두피를 상처 입힌다는 리스크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밖에 봉날(3)의 선단으로부터 빗날(2)의 선단의 톱니(5)와 봉날(3)의 접점의 직전의 개소까지의 상기 봉날(3)의 날끝을 직사각형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봉날(3)이 두피를 직접 문질렀을 경우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날(2)의 톱니(5)의 개량예로서 톱니(8)를 사용해도 좋다. 톱니(8)는 톱니의 폭방향을 따라 경사진 산형,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규 분포 곡선에 근사하는 형상을 갖고, 경사 부분에 2개 이상의 오목부(9)를 형성한 구성을 채용한다. 톱니(8)의 선단 부분의 양단, 도 10에서는 오목부(9)의 양쪽 외측의 부분은 모서리 라운딩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톱니(8)는 그 선단이 두피에 찔릴 정도는 아니지만, 톱니(5)에 비하면 뾰족하므로 곱슬머리를 올리는 능력이 높고, 또한 그 오목부(9)가 상기 올린 곱슬머리를 효율 좋게 붙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종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톱니(5)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가위로서의 전단 동작에 따라 빗날(2)이 이동하는 궤적에 맞춰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톱니(5)의 선단의 오목부(6)로 곱슬머리를 붙잡는 확률을 좋게 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숱가위는 미용 및 이용실에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발명의 본질을 고려하면 사용 대상은 사람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숱가위는 개 등의 동물의 털을 커팅하는 수동 이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어 커팅의 단어는 사람의 머리카락의 커팅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개 등의 동물의 털을 커팅하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 50: 숱가위 2, 51: 빗날
3, 52: 봉날 4: 절입
5, 5a, 8: 톱니 6, 9: 오목부
7: 절입의 최심 부분

Claims (4)

  1. 빗날과 봉날을 구비한 헤어 커팅용 숱가위에 있어서,
    상기 빗날은 다수의 절입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입과 절입 사이에 톱니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빗날은 상기 봉날보다 길고, 그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은 1㎜ 이하의 폭의 톱니로 되어 있고, 상기 톱니의 선단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날의 선단을 두피에 대고 머리카락이 나있는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면서 사용함으로써 두피를 따르도록 다른 것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나있는 곱슬머리를 상기 오목부에 붙잡게 하여 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숱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날의 톱니는 상기 빗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선단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상기 빗날과 상기 봉날 사이에 끼운 머리카락을 전단하는 숱가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날의 선단이 모서리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숱가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빗날의 선단의 톱니의 부분을 마주 보는 상기 봉날의 선단 부분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숱가위.
KR1020177034547A 2016-02-12 2017-01-31 숱가위 KR101945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4669 2016-02-12
JP2016024669A JP5950379B1 (ja) 2016-02-12 2016-02-12 すきバサミ
PCT/JP2017/003267 WO2017138397A1 (ja) 2016-02-12 2017-01-31 すきバサ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161A true KR20170139161A (ko) 2017-12-18
KR101945214B1 KR101945214B1 (ko) 2019-02-07

Family

ID=5637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547A KR101945214B1 (ko) 2016-02-12 2017-01-31 숱가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63673B2 (ko)
JP (1) JP5950379B1 (ko)
KR (1) KR101945214B1 (ko)
CN (2) CN207189728U (ko)
GB (1) GB2562549B (ko)
SG (1) SG11201709700QA (ko)
TW (1) TWI636750B (ko)
WO (1) WO20171383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56A (ko) 2019-06-20 2020-12-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의 털을 깎는 기능을 갖는 동물용 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0379B1 (ja) * 2016-02-12 2016-07-13 株式会社カペリート すきバサミ
US10905103B1 (en) * 2017-11-15 2021-02-02 Kyle Edward McKiver Device for assisting application of medicaments to pets
US11865734B2 (en) * 2021-08-04 2024-01-09 Chao Wei Slide cutting shear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296A (en) * 1910-01-25 1910-10-18 George H Peddle Surgeon's scissors.
US2272580A (en) * 1940-10-21 1942-02-10 Phillips Brooks Hair cutting and thinning shears
US2267949A (en) * 1940-10-31 1941-12-30 H M Hartnett Hair waving shears
GB653422A (en) * 1948-11-05 1951-05-16 Joseph Spencer Bouckley Improvements relating to haircutting scissors
US2558264A (en) * 1949-04-21 1951-06-26 John H Metcalf Tapering and thinning shears
DE2721672A1 (de) * 1977-05-13 1978-11-23 Spengler & Meurer Friseurschere
GB8408657D0 (en) * 1984-04-04 1984-05-16 Irvine Rusk Ltd Hairdressing scissors
US5107591A (en) * 1991-04-01 1992-04-28 Hikari Corporation Thinning scissors
JP2967269B1 (ja) * 1998-06-29 1999-10-25 有限会社刃物屋トギノン 毛すき鋏
JP3470175B2 (ja) * 1999-01-22 2003-11-25 足立工業株式会社 滑り止め加工されたカット鋏
CN1096340C (zh) * 2000-07-17 2002-12-18 叶文雅 一种可剪少量发的特型剪刀
JP2003062364A (ja) * 2001-08-29 2003-03-04 Hachiro Hirakawa 調髪用梳鋏
CN2574470Y (zh) * 2002-10-11 2003-09-24 林芳津 夹式发梳
JP2005323951A (ja) * 2004-05-17 2005-11-24 Hachiro Hirakawa 調髪用梳鋏
US7159321B2 (en) * 2004-09-01 2007-01-09 Wen-Ya Yeh Notched single-edge thinning scissors
US9027252B2 (en) * 2010-03-19 2015-05-12 Wahl Clipper Corporation Low resistance hair clipper blade tooth profile
EP2857154B1 (en) * 2013-10-01 2019-02-20 Koninklijke Philips N.V. Blade set and hair cutting appliance
EP2875917A1 (en) * 2013-11-22 2015-05-27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utting appliance and blade set
JP5950379B1 (ja) * 2016-02-12 2016-07-13 株式会社カペリート すきバサミ
EP3238895B1 (en) * 2016-04-27 2019-01-23 Braun GmbH Blade, shaver with a blad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la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56A (ko) 2019-06-20 2020-12-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의 털을 깎는 기능을 갖는 동물용 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6750B (zh) 2018-10-01
JP5950379B1 (ja) 2016-07-13
CN107081791B (zh) 2019-09-10
JP2017140282A (ja) 2017-08-17
GB2562549A (en) 2018-11-21
CN207189728U (zh) 2018-04-06
TW201728285A (zh) 2017-08-16
CN107081791A (zh) 2017-08-22
GB2562549B (en) 2021-10-27
SG11201709700QA (en) 2017-12-28
GB201717602D0 (en) 2017-12-13
US10363673B2 (en) 2019-07-30
KR101945214B1 (ko) 2019-02-07
US20180126569A1 (en) 2018-05-10
WO2017138397A1 (ja)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14B1 (ko) 숱가위
US5107591A (en) Thinning scissors
JP6848128B2 (ja) バリカンのための櫛
US5711075A (en) Unitarily formed plastic soft tissue nipper
CN101516583B (zh) 理发器
JPS61290978A (ja) そぎばさみ
EP2526811A1 (de) Verfahren zum Schneiden von Kopfhaaren und Vorrichtung zur Verwendung hierbei
WO2018214690A1 (zh) 高低齿削发剪
US11485032B2 (en) Hair-cutting shears
JP2007244548A (ja) 梳鋏
US1633893A (en) Comb
US20220117369A1 (en) Hair tie extraction implement
KR101652821B1 (ko) 안전수단이 구비된 집게형 코털깎이
US20120179170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Pseudofolliculitis Barbae, Pseudofolliculitis Pubis, And Pseudofolliculitis Nuchae
CN210869336U (zh) 宠物梳子
WO2020038217A1 (zh) 护发牙剪
US2241719A (en) Hair clippers
US20080229587A1 (en) Grooming Scissors
US20220183439A1 (en) Beard and Hair Comb in Shape of Axe
KR100656988B1 (ko) 가위형 미용빗
KR20120004890U (ko) 장 가위
KR200418645Y1 (ko) 미용가위
JP2005034577A (ja) 理髪用梳鋏
CH706538A2 (de) Verfahren zum Schneiden von Kopfhaaren und Vorrichtung zur Verwendung hierbei.
KR20080005499U (ko) 틴닝 기능이 개선된 미용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