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693A -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693A
KR20170138693A KR1020160070781A KR20160070781A KR20170138693A KR 20170138693 A KR20170138693 A KR 20170138693A KR 1020160070781 A KR1020160070781 A KR 1020160070781A KR 20160070781 A KR20160070781 A KR 20160070781A KR 20170138693 A KR20170138693 A KR 2017013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ony
minutes
korean
cultivated
peon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003B1 (ko
Inventor
김현규
박혁주
이미나
Original Assignee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0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01N30/7206Mass spectrometers interfaced to gas chromat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2030/062Preparation extracting sample from raw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30/12Preparation by evaporation
    • G01N2030/126Preparation by evaporation evaporating sample
    • G01N2030/128Thermal desorpt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의 판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막대 흡착 추출법 및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동종간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을 판별할 수 있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METHOD FOR DISCRIMINATION OF PAEONIA LACTIFLORA PALLS CULTURED IN KOREAN}
본 발명은,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막대 흡착 추출법 및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동종간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을 판별할 수 있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내 대표적인 약용작물 중 하나인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은 다양한 약리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사물탕 및 각종 한약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재배·유통되는 작약은 주로 동일한 종으로 한국에서 재배된 것과 중국에서 재배된 것으로 구분되어 유통되고 있다.
중국에서 재배된 작약은 재배 시 생육 상태가 불량하여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지는데, 저가의 중국 재배 작약이 불법·변칙 유통되어 한국 재배 작약과 혼합 사용되고 있어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의 상품가격 및 출하 안정을 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서로 동일한 품종의 작약은 재배지의 차이가 있어도 외형 및 내부 형태학적 형질에 차이가 없어 육안으로 재배지를 판별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을 가려내기 위해서는 기기분석에 의한 판별 방법이 요구된다.
작약의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한 종래 특허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45636호가 있다. 상기 한국 공개특허는 작약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기술로서, 작약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작약의 품종을 판별하기 위한 키트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는 특정 유전자를 검출하여 단지 작약의 품종만을 확인하는 기술로서, 동일 품종 내에서 재배지가 한국인 것을 판별하고 100% 한국 재배 작약을 가려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45636호 (공개일: 2013년 5월 6일)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막대 흡착 추출법 및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재배지가 한국인 100% 한국 재배 작약을 판별할 수 있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거나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작약 추출물을 분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단계는 교반막대 흡착 추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교반막대 흡착 추출은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 중에서 작약 추출물을 흡착할 수 있는 교반막대를 약 1000 rpm 내지 약 1500 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작약 침출물은 작약 건조분말을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하여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은 탈이온수 또는 증류수를 용매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얻은 분석 결과로부터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을 판별하는 것일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얻은 분석 결과 중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 약 4 내지 5 분 사이에 증류수 피크가 검출될 때, 약 13.6 내지 13.8 분 사이에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를 한국 재배 작약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13.6 분 내지 13.8 분 사이에 검출된 피크는 파에놀 성분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반막대 흡착추출법 및 열탈착 GC/MS 분석법을 이용하여 동일 품종 간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을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한국 내에서 재배된 작약을 판별할 수 있으며, 정성분석이 가능하여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의 혼합 여부도 판별할 수 있으므로, 한국 재배 작약의 상품화 과정에서 저가의 중국산 작약의 유입을 막아 한국 재배 작약의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과정을 나타내고, 도 1b는 작약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며, 도 1c는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TD-GC/MS)를 이용한 분석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 교반막대 흡착 추출에 이용되는 교반막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SIM 모드 분석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를 나타낸 SIM 모드 분석결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한국 재배 작약"이란, 한국 토양에서 6 개월 이상 재배하여 수확한 학명이 Paeonia Lactiflora Pall.인 작약의 뿌리, 줄기, 잎, 꽃 또는 종자를 의미한다. 상기 한국 재배 작약은 중국산 모종을 가져와 한국 토양에 정식하여 6 개월 이상 재배하여 수확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한국 토양에서 6 개월 이상 재배하여 얻은 중국산 작약의 종자를 다시 다음 재배를 위해 한국 토양에 파종한 후 다시 6 개월 이상 재배하여 수확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과정을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은 작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TD-GC/MS)를 이용하여 상기 작약 추출물을 분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은 작약 추출물을 제조하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작약 추출물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은 작약 추출물을 제조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작약 뿌리의 건조분말을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넣어 약 6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약 3 시간 동안 가열하고, 약 1 시간 동안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작약 침출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작약 침출물에 대해 원심분리 (약 3000 rpm, 약 10 분)를 수행하여 침전물을 제거한다 (상등액 수집).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또는 iso-프로판올일 수 있으며, 상기 온도는 사용하는 알코올의 끓는점을 고려하여 약 6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올이 사용될 경우 가열 온도는 약 60℃가 바람직하다.
상기 작약 건조분말은 건조된 작약뿌리의 분쇄물로서 플레이크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교반막대 흡착 추출법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용매 중에 상기 작약 침출물을 희석하는 과정, 교반막대를 이용하여 작약 추출물을 흡착하는 과정, 및 작약 추출물이 흡착된 교반막대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도 1b 참조).
우선, 상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수득된 작약 침출물은 용매 중에 약 10 배 내지 약 50 배까지 희석되어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교반막대를 이용하여 작약 추출물을 흡착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반막대를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에 침지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상기 교반막대는 내부에 자성물질이 장착된 유리막대 표면에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이 코팅되어 있는 것으로서, 약 10 ㎕ 내지 약 300 ㎕의 PDMS가 코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교반막대는 교반을 통해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으로부터 작약 추출물을 흡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코팅된 PDMS가 작약 추출물을 흡착하게 된다. 이때 PDMS가 자성 막대 표면에 10 ㎕ 미만으로 코팅될 경우 흡착량이 너무 적어 분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PDMS 코팅양에 비례하여 흡착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감도 또한 증가한다.
상기 교반막대는 약 1000 rpm 내지 약 1500 rpm의 속도로, 약 0.5 시간 내지 약 24 시간 동안 교반될 수 있다. 교반 시간은 약 1 시간 내지 약 8 시간이 바람직하며 약 1 시간 내지 약 2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작약 추출물이 흡착된 교반막대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작약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용매들, 예를 들어,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깨끗한 티슈를 이용하거나, 자연건조, 진공건조, 또는 가열건조와 같이 본 본야에서 이용되는 통상의 건조 과정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제 2 단계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GC/MS)를 이용하거나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TD-GC/MS)를 이용하여 상기 작약 추출물을 분석하는 과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교반막대를 열탈착 장치에 투입한 후 가열하여 작약 추출물을 탈착하는 과정, 작약 추출물을 냉각시키는 과정, 및 GC/MS에 의해 분석되는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도 1c 참조).
건조된 교반막대를 열탈착 장치에 투입한 후 가열하여 작약 추출물을 탈착하는 과정은, GC/MS에 연결되어 있는 열탈착 장치 (thermal desorption unit, TDU)에 상기 건조된 교반막대를 넣고 약 250℃ 내지 약 5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작약 추출물을 열탈착 시킬 수 있다. 이때,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10 분으로 단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약 추출물을 냉각시키는 과정은, 상기 열탈착된 작약 추출물을 GC 도입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응축 시스템 (cooled injection system, CIS)에서 약 -120℃ 내지 약 -10℃로 응축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각은 통상의 냉각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목적 온도에 따라 액체 질소 또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GC/MS에 의해 분석되는 과정은, 응축된 작약 추출물을 GC/MS에 주입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며, 분석 결과로서 총이온 크로마토그램 (total ion chromatogram, TIC), 질량분석 결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TD-GC/MS)를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얻은 분석 결과로부터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얻은 분석 결과 중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 약 4 분 내지 약 5 분 사이에 증류수 피크가 검출될 때, 약 13.6 분 내지 약 13.8 분 사이에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 한국 재배 작약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류수 피크의 존재비가 약 3.5 × 106 일 때, 약 13.6 분 내지 약 13.8 분 사이에 약 1000 이상의 존재비, 예를 들어, 약 1 × 103 내지 약 9 × 1020의 존재비를 나타내는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를 한국 재배 작약으로 판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는 '5 분간 50℃ 유지->분당 10℃의 속도로 온도상승->5 분간 250℃ 유지'의 오븐 온도 조건을 갖는 GC 컬럼을 통해 수득된 것이다. 이때, 제 2 단계에서 진행되는 분석은 증류수를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증류수는 총이온 크로마토그램 중 머무름 시간 약 4 분 내지 약 5 분 사이, 예를 들어, 약 4.7 분, 구체적으로 4.683 분에 최초 피크가 검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는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 머무름 시간 약 4 분 내지 약 5 분 사이에 검출되는 증류수의 피크가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을 위한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약 13.6 분 내지 약 13.8 분 사이에 검출된 피크는 파에오놀 (paeonol) 성분에 의한 것이다. 파에오놀은 분자량이 166이고, 화학식은 C15H24O 이고, CAS No.가 552-41-0 인 화합물이다. 상기 파에오놀은 한국 재배 작약에서만 검출되며, 동일 품종이라도 한국이 아닌 타국 지방에서 재배된 작약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타국이라 함은 작약이 분포되어 있는 중국, 일본, 몽골, 또는 동시베리아를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또는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제조예 : 작약 침출물 준비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 뿌리 50 점을 한국 내에서 구입하고, 중국에서 재배된 중국산 작약 뿌리 20 점을 중국 현지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 및 중국에서 재배된 작약은 건조한 후 각각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준비하였다. 2 종류의 작약 분말을 각각 1 g씩 준비한 후, 메탄올 50 mL 중에 넣어 65℃의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2 종류의 작약 침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후, 2 종류의 작약 침출물에 대해 원심분리 (약 3000 rpm, 약 10 분)를 각각 수행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실시예 1
단계 1: 작약 추출물의 제조
별도의 용기에 증류수 20 mL를 채우고 PDMS가 코팅된 교반막대 (Gerstel사, 교반막대 길이: 10 mm, PDMS 막 두께: 1 mm, PDMS 양: 32 ㎕)를 침지하였다.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작약 침출물 상등액 중 20 ㎕를 취하여 상기 교반막대가 침지되어 있는 용기에 투입하고 1200 rpm의 속도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과정을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된 2 종류의 작약 침출물 상등액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으며, 1 시간 후 작약 추출물이 교반막대에 충분히 흡착된 다음, 교반막대를 건져 깨끗한 티슈로 물기를 닦아 건조시켰다.
단계 2: TD- GC /MS 분석
단계 2에서 이용된 분석기기의 분석 조건은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단계 1에서 수득된 교반막대를 각각 열탈착 장치 (TDU: GERSTEL Solution 763 (015762-090-NS))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GERSTEL TDU/CIS Agilent GC/MS; GC: Agilent 7890B GC (G3442B), MSD: 5977A MSD (G7042AA))에 투입하여 교반막대로부터 작약 추출물을 열탈착 시킨 후, 이어서 냉각응축시스템 (CIS: GERSTEL Solution 763 (015762-090-NS))에서 -20℃로 응축시켜 일시에 GC/MS로 주입되어 분석되도록 하였다. GC Oven에서는 50℃에서 5 분간 유지 후, 250℃까지 10 ℃/min의 비율로 온도를 상승시켜 5 분간 유지하는 조건으로 분석되도록 하였다. GC/MS 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는 도 3 내지 5에, 질량분석 결과는 도 6에, SIM 모드 정량분석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결과
도 3을 참조하면,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약 13.5 분 내지 14 분 사이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이 혼합된 시료에 대해 교반막대 흡착 추출과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정성분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혼합시료에서도 한국에서 재배된 작약과 타국 지방에서 재배된 작약을 가려낼 수 있어, 유통 과정에서 활용 시, 중국 재배 작약이 혼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4의 확대 이미지 중 (1)로 표시한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은 중국 재배 작약에 대한 것이고, (2)로 표시한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은 한국 재배 작약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의 각각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한 것으로, 한국 재배 작약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만 약 13.7 분 내지 13.8 분 구간 내에서 검출된 피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약 13.7 분 내지 13.8 분 구간 내에서 검출된 피크의 성분에 대해 질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성분은 분자량 (MW)이 166인 파에오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의 SIM 모드 정량분석 결과를 참조하면, m/z 151을 기본으로 SIM Mode 분석 결과 중국 재배 작약과 한국 재배 작약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실시예 2
TD-GC/MS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추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국에서 재배된 중국산 작약 뿌리 50 점과 중국에서 재배된 중국산 작약 뿌리 20 점을 50 g씩 취하여 분쇄한 후, 이 중 1 g을 취하였고, 이를 Ethyl acetate 용매 50 mL에 희석하여 65℃ water bath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침출물에 대해 원심분리 (약 3000 rpm, 약 10분)를 수행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50 mL의 부피 플라스크에 붓는다. 50 mL를 정확하게 맞춘 후 0.45 ㎛ 필터를 이용하야 필터링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은 도 8에 나타내었으며, SIM 모드 정량분석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도, 13.7 분 내지 13.8 분에 중국 재배 작약과 한국 재배 작약이 구분되는 피크를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GC/MS를 이용하여 한국 재배 작약을 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과 유사하게 중국 재배 작약과 한국 재배 작약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5 분간 50℃ 유지->분당 10℃의 속도로 온도상승->5 분간 250℃ 유지'의 오븐 온도 조건을 갖는 GC 컬럼을 통해 수득된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 RT 약 13.6 분 내지 약 13.8 분 범위 에서 검출되는 피크의 검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GC/MS를 이용거나 TD-GC/MS를 이용하여 재배지가 한국인 작약을 판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작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거나 열탈착 장치를 가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작약 추출물을 분석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교반막대 흡착 추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막대 흡착 추출은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 중에서 작약 추출물을 흡착할 수 있는 교반막대를 1000 rpm 내지 1500 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수행되는 것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침출물은 작약 건조분말을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하여 수득되는 것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침출물-함유 용액은 탈이온수 또는 증류수를 용매로서 포함하는 것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얻은 분석 결과로부터 한국 재배 작약과 중국 재배 작약을 판별하는 것인,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얻은 분석 결과 중 총이온 크로마토그램에서 4 분 내지 5 분 사이에 증류수 피크가 검출될 때, 13.6 분 내지 13.8 분 사이에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 한국 재배 작약으로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3.6 분 내지 13.8 분 사이에 검출된 피크는 파에오놀 성분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KR1020160070781A 2016-06-08 2016-06-08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KR101919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781A KR101919003B1 (ko) 2016-06-08 2016-06-08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781A KR101919003B1 (ko) 2016-06-08 2016-06-08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693A true KR20170138693A (ko) 2017-12-18
KR101919003B1 KR101919003B1 (ko) 2018-11-15

Family

ID=6092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781A KR101919003B1 (ko) 2016-06-08 2016-06-08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0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63A (ko) * 2017-07-25 2019-02-07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작약의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작약의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
CN109632991A (zh) * 2018-12-21 2019-04-16 广东方制药有限公司 一种利用hplc特征图谱检测鉴别白芍与酒白芍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63A (ko) * 2017-07-25 2019-02-07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작약의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작약의 원산지를 판별하는 방법
CN109632991A (zh) * 2018-12-21 2019-04-16 广东方制药有限公司 一种利用hplc特征图谱检测鉴别白芍与酒白芍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003B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siak et al. Plant seed species identification from chemical fingerprints: a high-throughput application of direct analysis in real time mass spectrometry
Lu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yrethrins residues in teas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i et al. Visualizing metabolite distribution and enzymatic conversion in plant tissues by desorption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imaging
CN101334385B (zh) 一种芳香植物挥发性有机物的分析方法
AU2020101673A4 (en) Method for identifying "almond aroma" black tea resource at seedling stage
Kim et al.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characterization of fragrances of lemon verbena (Aloysia triphyll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KR101919003B1 (ko) 한국 재배 작약의 판별 방법
Saraji et al. Single‐drop microextraction followed by in‐syringe derivatiza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detection for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in fruits and fruit juices
CN114324678B (zh) 异鼠李素-3-o-新橙皮苷作为草果蜜特征性标志物的应用
Li et al. Electrostatic field–induced tip‐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for direct analysis of raw food materials
KR20170007650A (ko) 한국재배종 천궁 판별 방법
TW201627666A (zh) 分析蜂蜜中之液態香料之方法
CN110927309A (zh) 一种快速评价烟叶及其制品中香味物质含量的方法
Arendowski et al. Laser desorption/ionisation mass spectrometry imaging of European yew (Taxus baccata) on gold nanoparticle‐enhanced target
Ma et al. Integration of GC-MS based non-targeted metabolic profiling with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volatile differentiation in tobacco leaves from North Carolina, India and Brazil
CN114002363B (zh) 苯乳酸作为尼勒克新疆黑蜂蜂蜜特征性标志物的应用
Sandhu et al. Global metabolome of palmer amaranth (Amaranthus palmeri) populations highlights the specificity and inducibility of phytochemical responses to abiotic stress
CN113984940A (zh) 一种高通量快速检测高山杜鹃花挥发性成分的分析方法
KR101816003B1 (ko) 한국품종 당귀 판별 방법
Janistyn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scopic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cyclic guanosine-3′: 5′-monophosphate in maize seedlings (Zea mays)
Kim et al. Development of easy and efficient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ethyl carbamate using GC-MS in various fermented foods
Krizevski et al. Quantitative stereoisomeric determination of phenylpropylamino alkaloids in khat (Catha edulis Forsk.) using chiral GC-MS
Leinweber et al. A new rapid micro‐method for the molecular‐chemical characterization of rhizodeposits by field‐ionization mass spectrometry
CN114088827B (zh) 莽草酸和奎宁酸作为椴树蜜特征性标志物的应用
CN109781872A (zh) 植烟土壤中化感物质的提取方法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