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600A -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600A
KR20170138600A KR1020160070043A KR20160070043A KR20170138600A KR 20170138600 A KR20170138600 A KR 20170138600A KR 1020160070043 A KR1020160070043 A KR 1020160070043A KR 20160070043 A KR20160070043 A KR 20160070043A KR 20170138600 A KR20170138600 A KR 2017013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ixed
fixing
exterior materia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348B1 (ko
Inventor
신극철
Original Assignee
신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극철 filed Critical 신극철
Priority to KR102016007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3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구조물의 외측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구조물의 측부에 "ㄴ"자형 앵글에 의한 이격연결대와 고정지지대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각 고정지지대에는 압출 성형된 체결고정바를 종,횡방향으로 결합 형성한 후, 이들 각각의 체결고정바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나사 고정시킴에 따라,
"ㄴ"자형 앵글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무수히 체결시켜 견고한 프레임 구조체가 완성되게 하므로 강풍이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시설 유지가 가능한 것이고,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체결고정바의 결합 고정 및 상기 체결고정바를 이용한 외장재의 장착으로 인해 고공 용접 등의 위험한 작업 조건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용접에 의한 비드 혹은 슬래그 등이 돌출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외장재의 장착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의 전면에서 고정나사만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체결고정바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에 대한 시공 기간의 단축 물론 시공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Install structures of bridges exterior pannel}
본 발명은 교량 구조물의 외측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ㄴ"자형 앵글을 이용하여 교량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대하여 나사 고정되는 외장재로 이루어져, 더욱 견고한 고정 설치는 물론 외장재의 시공 기간의 단축과 시공비의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고가도로 등 교량 구조물에 설치되는 전선이나 각종 배관 및 안전시설물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 건축물과 교량 구조물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교량 구조물의 외측 미관이 미려하도록 상기 교량 구조물의 외측(하부, 측면 등)에 외장재를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 구조물의 외측에 외장재를 결합 설치하기 위한 구조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349호 '교량용 외장재 고정 구조물'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2122호 '외장재를 위한 교량구조물용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교량용 외장재 고정 구조물'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교량의 외벽에 제1,2프레임으로 이루어진 L자형 프레임을 결합하고 나서 상기의 L자형 프레임에 일자형 프레임을 결합한 다음 상기 일자형 프레임에 외장재를 부착함으로 상기 교량의 외벽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안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교량의 외벽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한 고정 구조물의 구성이 매우 많음은 물론 이로 인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고, 상기의 고정 구조물로는 외장재를 직선 형태로밖에 설치할 수 없음에 따라 상기 교량의 외벽이 곡면을 갖거나 굴곡된 경우에는 상기의 고정 구조물로는 외장재를 설치할 수 없으며, 상기 교량에서 곡면 및 굴곡된 부분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형상에 맞도록 고정 구조물의 각 프레임을 여러 개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형상대로 각 프레임을 변경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각 프레임을 포함한 고정 구조물의 제작에 따른 작업성 저하 및,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외장재를 위한 교량구조물용 프레임'은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구조물의 하면과 측면에 H빔 형상의 프레임을 결합하고 나서 상기의 프레임에 외장재를 부착함으로 상기 교량구조물의 하면과 측면에 외장재를 고정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교량구조물의 하면과 측면이 일정한 형상을 굴곡된 경우에는 굴곡부를 갖는 H빔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교량구조물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교량구조물의 하면과 측면 즉, 교량 구조물의 외측 형상이 다양한 형태로 굴곡되거나 곡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의 H빔인 프레임으로는 상기 교량구조물에 외장재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상기 교량구조물의 외측 형상대로 H빔의 프레임을 절곡 및 굴곡시켜야 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제작하는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그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곡면이나 굴곡된 교량구조물의 외측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움에 따라 상기 교량구조물에 외장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82239호의 경우 복수 개의 프레임 단부에 연결링크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연결링크부재를 중심으로 각 프레임이 회동되면서 상기 각 프레임이 서로 굴절됨으로써, 교량 구조물의 굴곡 구간에 따라 상기의 각 프레임을 다양한 형태로 굴절하여 이를 교량 구조물에 결합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량 구조물의 외측에 프레임 및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고정 설치함은 물론 외장재의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교량 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구조가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및 프레임 구조는 모두 각관 혹은 프로파일 관체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들 관체에 대한 상호 결합구조가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외장재의 부착면에 균일하지 못한 것이고, 관체의 시공이 잘못 이루어지거나 시공오차를 벗어나 설치된 경우에는 외장재의 시공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외장재 설치용 프레임 구조는 각관 등을 종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들의 표면에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외장재를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상기 외장재가 고정되는 상기 관체는 종횡의 교차 단부에서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용접 과정에서 비드(bead)와 슬래그(slag)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들 비드와 슬래그로 인해 외장재가 각관에 밀착 고정되지 못하는 폐단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경우 용접 작업 후 상기 슬래그 제거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비드의 두께로 인해 외장재를 벌려 고정시키거나 외장재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등 외관이 지극히 불량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용접에 의한 프레임 관체의 연결방법은 용접부위가 매우 많아 작업 시간이 매우 길고 육안에 의해 용접 부위를 관찰하여야 하므로 용접 누락 부분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체의 안정성에 매우 취약한 것은 물론 강풍이 불거나 지속적인 진동으로 인해 용접 인접부에 대한 취약파손 및 미용접부로 인한 부분 소실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외장재가 나사 고정되는 각관 혹은 프로파일 관체 등은 설치 상태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 일정 두께와 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철 혹은 두꺼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재질 및 두께로 된 각관 혹은 관체 등은 고정나사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삽입되지 못하므로 작업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작업 효율성도 매우 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교량 구조물의 측부에 "ㄴ"자형 앵글에 의한 이격연결대와 고정지지대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각 고정지지대에는 압출 성형된 체결고정바를 종,횡방향으로 결합 형성한 후, 이들 각각의 체결고정바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나사 고정시킴에 따라,
앵글의 조립에 의한 견고한 프레임 구조체의 설치는 물론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하여 고정바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결합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체결고정바를 통해 외장재를 신속하고 편리한 것은 물론 밀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외장재에 대한 시공기간의 단축 및 시공 품질이 크게 향상되게 한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측부에 "ㄴ"자형 앵글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 구조체는 교량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 고정되는 고정설치대와 상기 고정설치대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이격연결대와 상기 이격연결대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에는, 일측에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밀착체결면이 형성되며 이들 끼움홈부와 밀착체결면의 사이에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체결고정바를 각기 결합 형성하여, 분할 형성된 외장재의 각 끝단이 상기 체결고정바의 밀착체결면 상에 체결나사를 통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ㄴ"자형 앵글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무수히 체결시켜 견고한 프레임 구조체가 완성되게 하므로 강풍이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시설 유지가 가능한 것이고,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체결고정바의 결합 고정 및 상기 체결고정바를 이용한 외장재의 장착으로 인해 고공 용접 등의 위험한 작업 조건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용접에 의한 비드 혹은 슬래그 등이 돌출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외장재의 장착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의 전면에서 고정나사만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체결고정바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에 대한 시공 기간의 단축 물론 시공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 대한 전체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 있어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 있어 프레임 구조체의 결합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지지대와 체결고정바의 결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지지대와 체결고정바의 또 다른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지지대 및 체결고정바와 외장재의 결합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 대한 전체 시공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 있어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 있어 프레임 구조체의 결합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에서의 체결고정바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외장재 설치구조는, 교량의 일측 혹은 양측에 대하여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외장재(30)(30')를 연속하고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외장재(30)(3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각기 프레임 구조체(10)와 체결고정바(20)가 사용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의 프레임 구조체(10)는 "ㄴ"자형 앵글을 이용하며 교량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고정설치대(11)(11')와 이격연결대(12)(12') 및 고정지지대(13)(13')로 구분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고정설치대(11)(11')는 교량의 측부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어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설치대(11)(11')의 상,하 간격으로 인해 전체 외장재의 설치 높이가 결정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설치대(11)(11')로부터 직교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이격연결대(12)(12')는 전기한 외장재(30)(30')가 교량의 측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고정설치대(11)(11')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연결대(12)(12')를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지지대(13)(13') 역시 전기한 고정설치대(11)(11') 및 이격연결대(12)(12')와 마찬가지로 "ㄴ"자형 앵글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끝단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체결 고정시킴에 따라 이들 고정설치대(11)(11')와 이격연결대(12)(12') 및 고정지지대(13)(13')에 의한 견고한 고정 설치의 프레임 구조체(10)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연결대(12)(12')에 대한 고정지지대(13)(13')의 체결 구조는,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끝단으로부터 "ㄴ"자형 앵글의 수직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지지대(13)(13')를 볼트(80)에 의해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끝단으로부터 "ㄴ"자형 앵글의 수평부에 일측 고정지지대(13)(13')를 볼트(80)에 의해 체결 고정시키는 것이며, 타측의 고정지지대(13)(13')는 별도로 구비된 연결브라켓(70)을 이용하여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수직부에 볼트(80) 체결함에 따라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끝단으로부터 종,횡방향으로 상기 고정지지대(13)(13')를 체결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결 상태에서 이들 각각의 앵글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80)는 각 앵글의 표면으로 전혀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외장재(30)(30')에 대한 밀착 고정에 전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어, 상기 "ㄴ"자형 앵글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10)의 조립이 완성되면 각각의 고정지지대(13)(13')에 대하여 별도로 구비된 체결고정바(20)를 삽입 고정시키면 되는 것인데, 상기 체결고정바(20)는 압출 성형되어 필요 길이만큼 절단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기한 고정지지대(13)(13')에 상기 체결고정바(20)를 끼워 고정시키면 되는 것으로 종횡방향으로 연결 형성된 고정지지대(13)(13')에 대하여 상기 체결고정바(20)를 모두 삽입 고정시켜, 상기 체결고정바(20) 역시 고정지지대(13)(13')와 마찬가지로 종,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체결고정바(20)는 일측에 전기한 고정지지대(13)(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끼움홈부(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편편한 상태의 밀착체결면(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고정바(20)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24)이 단수 혹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체결홈(24)을 이용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대(50)가 탄력 고정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체결대(50)는 체결고정바(20)의 하단에 밀착되는 것이고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홈(24)으로 탄력 계지 및 결합되도록 한 언더컷 형태로 된 체결구(5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대(13)(13')에 상기 체결고정바(20)의 끼움홈부(2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정바(20)의 체결홈(24)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대(50)의 체결구(51)를 강제로 삽입 및 결합시키면 이들 체결고정바(20)와 체결대(50)의 체결력으로 인해 상기 고정지지대(13)(13')가 구속 및 고정되면서 상호 간의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고정바(20)의 끼움홈부(21) 내폭은 고정지지대(13)(13')의 두께보다 넓은 폭으로 설계하고,끼움홈부(21)의 내측 끝단부터 체결대(50)의 일측면까지의 거리는 고정지지대(13)(13')의 높이보다 넓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대(13)(13')에 체결고정바(20) 및 체결대(50)를 조립 고정하게 되면 상기 체결고정바(20)는 소정이 폭으로 유동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고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 간의 유격 상태로의 조립은 "ㄴ"자형 앵글의 길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못하는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상기 체결고정바(20)에 어느 정도의 유격을 부여함에 따라 상기 외장재(30)(30')의 체결과정에서 이격연결대(12)(12')와 고정지지대(13)(13') 간의 들쑥날쑥한 체결상태에 대응하여 이들 유격으로 인해 각각의 체결고정바(20)와 외장재(30)(30')가 유격 범위 내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외장재(30)(30') 전체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고른 상태의 외장재 표면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구조체(10)를 완전히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체결고정바(20)를 결합한 후 이들 체결고정바(20)에 대하여 외장재(30)(30')를 밀착 고정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혹은 현장 상황에 따라 고정설치대(11)(11')에 이격연결대(12)(12')를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지지대(13)(13')의 연결 및 체결고정바(20)의 결합과 외장재(30)(30')의 밀착 고정을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교량의 측부 전체를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외장재(30)(30')는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횡방향의 고정지지대(13)(13')에 대하여 체결고정바(20)와 체결대(50)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정바(20)의 밀착체결면(22)에 서로 이웃하는 외장재(30)(30')의 각 끝단이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 외장재(30)(30')를 별도의 체결나사(40)(40')를 통해 상기 체결고정바(20)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고정지지대(13)(13')에 대해서도 각 고정지지대(13)(13')에 체결고정바(20) 및 체결대(50)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정바(20)의 밀착체결면(22)으로 외장재(30)(30')의 각 끝단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나사(40)(40')를 서로 나사 고정시키면 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나사(40)(40')는 외장재(30)(30') 및 체결고정바(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부(23) 내로 노출될 것이므로 상기 고정지지대(13)(13')와의 간섭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외장재(30)(30')의 체결부 사이에 도 8의 도시와 같이 백업재 및 실란트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우수한 기밀 및 수밀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바람이나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지지대(13)(13')와 체결고정바(20)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격 및 하중을 완화 및 완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고정바(20)는 끼움홈부(21)가 형성된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부(23)를 내,외로 연통시키는 개방구(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개방구(25)를 이용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체결고정바(20)의 내측으로 글라스 울 혹은 발포 폼 등으로 된 흡음재(6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흡음재(60)는 외장재 및 프레임 구조체(10)에 작용하는 바람이나 진동에 의한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 흡음재(60)의 경우 외장재(30)(30')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나사(40)(40')로 인해 재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부(23) 내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단수 혹은 복수의 계지돌조(26)(26')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부(23) 내에 흡음재(60) 등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계지돌조(26)(26')가 흡읍재(60)를 간섭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상기 흡음재(60)가 체결고정바(20) 내에서 유동하거나 빠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체결고정바(20)의 밀착체결면(22)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홈(27)(27')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27)(27')에 의해 체결나사(40)(40')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밀착체결면(22)에 외장재(30)(3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40)(40')를 가압하며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체결나사(40)(40')가 가이드홈(27)(27')으로 파고들면서 보다 빠르고 일정한 위치로 나사 고정될 것이므로 작업 속도의 향상 및 일정한 작업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설치구조는 작업 효율성이 크게 높아지는 것은 물론 기존의 용접 방식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해소하는 동시에 균일한 작업 표면을 형성할 수 있어 매우 고품질의 외장재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프레임 구조체 11,11' : 고정설치대
12,12' : 이격연결대 13,13' : 고정지지대
20 : 체결고정바 21 : 끼움홈부
22 : 밀착체결면 23 : 수용공간부
24 : 체결홈 25 : 개방구
26,26' : 계지돌조 27,27' : 가이드홈
30,30' : 외장재
40,40' : 체결나사
50 : 체결대 51 : 체결구
60 : 흡음재
70 : 연결브라켓
80 : 볼트

Claims (7)

  1. 교량의 측부에 "ㄴ"자형 앵글에 의한 프레임 구조체(1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 구조체(10)는 교량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 고정되는 고정설치대(11)(11')와 상기 고정설치대(11)(11')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이격연결대(12)(12')와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지지대(13)(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13)(13')에는, 일측에 끼움홈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밀착체결면(22)이 형성되며 이들 끼움홈부(21)와 밀착체결면(22)의 사이에는 수용공간부(23)가 형성된 체결고정바(20)를 각기 결합 형성하여,
    분할 형성된 외장재(30)(30')의 각 끝단이 상기 체결고정바(20)의 밀착체결면(22) 상에 체결나사(40)(40')를 통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이격연결대(12)(12')에 대한 고정지지대(13)(13')의 결합은, "ㄴ"자형 앵글에 의한 이격연결대(12)(12')의 수직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지지대(13)(13')를 볼트(80) 결합 형성하고,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수평부를 이용하여 일측 수평방향의 고정지지대(12)(12')를 볼트(80) 결합 형성하며, 타측 수평방향의 고정지지대(12)(12')는 별도로 구비된 연결브라켓(70)을 이용하여 상기 이격연결대(12)(12')의 수직부에 볼트(80) 결합되게 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볼트(80)가 고정지지대(13)(13')의 전면으로 미돌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체결고정바(20)는, 일측에 체결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4)에는 일측에 체결구(51)가 돌출 형성된 체결대(5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고정지지대(13)(13')에 삽입된 체결고정바(20)에 대한 체결대(50)의 결합에 의해 고정지지대(13)(13')와 체결고정바(20)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체결고정바(20)의 수용공간부(23) 내에는 흡음재(60)를 삽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흡음재(60)는, 체결고정바(20)의 수용공간부(23)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개방구(25)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흡음재(60)는, 체결고정바(20)의 수용공간부(23)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계지돌조(26)(26')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체결고정바(20)의 밀착체결면(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7)(27')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KR1020160070043A 2016-06-07 2016-06-07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KR10191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043A KR101919348B1 (ko) 2016-06-07 2016-06-07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043A KR101919348B1 (ko) 2016-06-07 2016-06-07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600A true KR20170138600A (ko) 2017-12-18
KR101919348B1 KR101919348B1 (ko) 2018-11-20

Family

ID=6092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043A KR101919348B1 (ko) 2016-06-07 2016-06-07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8587A (zh) * 2019-01-22 2019-03-2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抑制涡激共振的板式吊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0821A1 (en) * 2004-04-23 2007-09-27 Kenji Omiya Wall Exterior Structure for Outer Wall Heat-Insulated Building and Wall Exterior Base, Lateral Furring Frame for Wall 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overing Wall Using Lateral Furring Frame, and Exterior Base Material and Outer Wall Using Exterior Base Material
KR200380630Y1 (ko) * 2005-01-18 2005-03-31 지산공업 (주) 교량외장재 고정구조
KR101451201B1 (ko) * 2013-06-07 2014-10-16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8587A (zh) * 2019-01-22 2019-03-2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抑制涡激共振的板式吊杆
CN109518587B (zh) * 2019-01-22 2023-09-29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抑制涡激共振的板式吊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48B1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US773578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fire protection systems
KR200483799Y1 (ko) 배관 거치대
KR101368692B1 (ko)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101719297B1 (ko) 진동흡수용 내진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CN110520662B (zh) 水平配管4方向支撑装置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JP2015092114A (ja) 挟締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部材の固定構造
KR101322409B1 (ko) 유리 커튼 월 지지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커튼 월 시스템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1369468B1 (ko)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CN107816157B (zh) 一种连续横梁式玻璃幕墙系统
KR101546471B1 (ko) 커튼월 구조
KR101566325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919348B1 (ko)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 설치구조
KR101657479B1 (ko) 토목 건축에 의한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 설치구조
JP2019214927A (ja) 防火建具
KR200444900Y1 (ko) 배관 지지장치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KR20190107541A (ko)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JP7477345B2 (ja) 壁つなぎ用治具及び該治具を備えた外壁パネル部材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JP5559102B2 (ja) 軸組材の接合装置
KR102515172B1 (ko) 논피스 방식 내진 보강 연결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