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572A -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572A
KR20170138572A KR1020177034782A KR20177034782A KR20170138572A KR 20170138572 A KR20170138572 A KR 20170138572A KR 1020177034782 A KR1020177034782 A KR 1020177034782A KR 20177034782 A KR20177034782 A KR 20177034782A KR 20170138572 A KR20170138572 A KR 2017013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metal base
lip portions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769B1 (ko
Inventor
스콧 두들리
로버트 멀리만
양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13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7Spot arc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와 그것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제 1 및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들과 상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는 제 1 하단 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 제 1 및 제 2 립부들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는 제 2 하단 플레이트, 제 1 수형 연결부, 제 1 및 제 2 립부들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1 암형 연결부 내에 위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제 1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2 암형 연결부의 상면, 및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에 상단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본 출원은 2016.04.18 일자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324,003호와 2016.05.09일자 미국 특허 출원 제15/149,288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미국 특허 가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일단 설계된 상태에서 변형이 불가능하여, 그것에 장착되는 전지팩들의 개수를 증가시키더라도 확장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하나 이상의 전지팩을 고정하도록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크기가 바람직한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암형 연결 수단들과 수형 연결 수단들을 가진 개선된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들을 계속한 끝에, 암형 연결부와 수형 연결부를 구비한 특정한 구조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를 개발하였고, 이러한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전지팩의 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확장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thermally conductive base member)를 제공한다. 상기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제 1 하단 플레이트(bottom plate),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female coupling portions), 제 1 및 제 2 립부들(rib portions)를 포함하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metal base member)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end)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및 2 립부들은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top surface)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은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제 2 하단 플레이트, 제 1 수형 연결부(male coupling portion),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는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를 더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와 인접하여 제 2 하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암형 연결부 내에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유로 채널(flow channel)이 설정되도록, 제 1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2 암형 연결부의 상면, 및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 상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플레이트(top plate)를 더 가지고 있다. 상기 상단 플레이트는,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 상에서 더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및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fluidly)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제 1 유입부 부재(inlet portion member)를 더 가지고 있다. 상기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및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제 1 배출부 부재(outlet portion member)를 더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하단 플레이트, 제 1 및 2 암형 연결부들과,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 2 하단 플레이트, 제 1 수형 연결부들과,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제 2 하단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암형 연결부에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수형 연결부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유로 채널이 설정되고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2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 및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에 상단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 1 유입부 부재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 1 배출부 부재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지팩들과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를 가진 도 1의 전지 시스템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하단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라인 4-4에 따른 도 2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일부의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또 다른 부위의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라인 7-7에 따른 도 2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일부의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또 다른 부위의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2에서 라인 10-10에 따른 도 2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일부의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또 다른 부위의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2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제 1 단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라인 14-14에 따른 도 13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2에 개시되어 있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제 2 단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라인 16-16에 따른 도 15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2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19는 도 2의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설치 장치와 용접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 시스템(10)이 제공되어 있다. 전지 시스템(10)은 전지팩들(20, 22, 24, 26)과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전지 시스템(10)은 가로축(3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의 이점은, 전지팩들(20-26)을 고정하기 위한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의 크기를 늘리기 위해, 금속 베이스 부재(60)을 금속 베이스 부재들(62, 64)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암형 연결부들을 가진 금속 베이스 부재(60: 도 4에 개시되어 있음)을 베이스 부재(30)이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지팩들(20-26)은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 상에 직접 위치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지팩들(20-26) 각각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리튬 이온 파우치형 전지셀들을 가지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지팩들(20-26)으로부터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로 열을 전도하기 위해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가 제공되어 있다.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는 금속 베이스 부재들(60, 62, 64), 상단 플레이트(70), 유입부 부재들(80, 82), 배출부 부재들(90, 92), 및 열 전도성 패드(100)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 베이스 부재(60)은 하단 플레이트(120), 암형 연결부들(130, 132) 및 립부들(134, 136, 138, 140, 142)을 가지고 있다. 하단 플레이트(120)은 하면(160: 도 6에 개시되어 있음)과 상면(162)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금속 베이스 부재(6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형 연결부(130)은 하단 플레이트(120)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암형 연결부(130)은 실질적으로 C 형상의 부위이다. 암형 연결부(130)은 상면(180: 도 5에 개시되어 있음), 하면(182), 단부면(183), 및 단부면(183) 내로 연장되어 있는 그루브(184)를 가지고 있다.
암형 연결부(132)는 하단 플레이트(120)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암형 연결부(132)는 실질적으로 C 형상의 부위이다. 암형 연결부(132)는 상면(200: 도 6에 개시되어 있음), 하면(202), 단부면(203), 및 단부면(203) 내로 연장되어 있는 그루브(204)를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베이스 부재(62)는 하단 플레이트(240), 수형 연결부들(242), 립부들(244, 246), 및 외부 레지부(outer ledge portions: 248)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금속 베이스 부재(62)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단 플레이트(240)은 하면(260: 도 5에 개시되어 있음)과 상면(262)를 가지고 있다.
수형 연결부(242)는 하단 플레이트(240)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하단 플레이트(240)에 연결되어 있다. 수형 연결부(242)는 확장부(270)을 포함하고 있다. 수형 연결부(242)는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암형 연결부(130)의 그루브(184) 내에 위치하고 암형 연결부(130)에 연결되어 있다.
립부들(244, 246)은 하단 플레이트(240)의 상면(262: 도 5에 개시되어 있음)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립부들(244, 246)은 암형 연결부(242)와 외부 레지부(24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립부들(244, 246)은 하단 플레이트(24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또한, 립부들(244, 246)은 하단 플레이트(240)의 상면(26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부 레지부(248)은 하단 플레이트(240)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 레지부(248)는 하면(274: 도 4에 개시되어 있음)과 상면(276)을 포함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금속 베이스 부재(64)는 하단 플레이트(340), 수형 연결부들(342), 립부들(344, 346), 및 외부 레지부(348)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금속 베이스 부재(64)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단 플레이트(340)은 하면(360: 도 6에 개시되어 있음)과 상면(362)를 가지고 있다.
수형 연결부(342)는 하단 플레이트(340)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하단 플레이트(340)에 연결되어 있다. 수형 연결부(342)는 확장부(370)을 포함하고 있다. 수형 연결부(342)는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암형 연결부(132)의 그루브(204) 내에 위치하고 암형 연결부(132)에 연결되어 있다
립부들(344, 346)은 하단 플레이트(340)의 상면(362)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립부들(344, 346)은 암형 연결부(342)와 외부 레지부(34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립부들(344, 346)은 하단 플레이트(34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또한, 립부들(344, 346)은 하단 플레이트(340)의 상면(362: 도 6에 개시되어 있음)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부 레지부(348)은 하단 플레이트(340)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 레지부(348)는 하면(374: 도 4에 개시되어 있음)과 상면(376)을 포함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단 플레이트(70)은 금속 베이스 부재(60)에서 암형 연결부(130)의 상면(180), 립부들(134, 136, 138, 140, 142)의 상면들, 및 암형 연결부(132)의 상면(200) 상에 위치하여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단 플레이트(70)은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암형 연결부(130), 립부들(134, 136, 138, 140, 142), 및 암형 연결부(132)에 용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접 결합부(weld joint: 382)는 상단 플레이트(70), 암형 연결부(132), 및 수형 연결부(342)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용접 결합부(384)는 상단 플레이트(70), 암형 연결부(130), 및 수형 연결부(242)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상단 플레이트(70)은 또한 금속 베이스 부재(62)에서 립부들(244, 246)의 상면들과 외부 레지부(248)의 상면(276) 상에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단 플레이트(70)은 금속 베이스 부재(62)의 립부들(244, 246)과 외부 레지부(248)에 용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접 결합부(386)은 상단 플레이트(70)과 외부 레지부(248)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상단 플레이트(70)은 또한 금속 베이스 부재(64)에서 외부 레지부(348)의 상면(376), 립부들(344, 346)의 상면들 상에 위치하여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단 플레이트(70)은 금속 베이스 부재(64)의 외부 레지부(348)과 립부들(344, 346)에 용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접 결합부(380)은 상단 플레이트(70)과 외부 레지부(348)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20)은 냉매(cooling fluid)를 수령하기 위한 서너 개의 유로 채널들(flow channels)을 설정하고 있다. 유로 채널(400)은 외부 레지부(348), 립부(344),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02)은 립부들(344, 346),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04)는 립부(346), 수형 연결부(342)와 암형 연결부(132)의 연결 부위,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유로 채널(406)은 암형 연결부(132), 립부(134),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08)은 립부들(134, 136)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10)은 립부들(136, 138)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유로 채널(412)은 립부들(138, 140)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14)는 립부들(140, 142)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16)은 립부(142), 암형 연결부(130)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유로 채널(418)은 수형 연결부(242)와 암형 연결부(130)의 연결 부위, 립부(244),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20)는 립부들(244, 246)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로 채널(422)은 립부(246), 외부 레지부(248) 및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8 및 도 11를 참조하면, 유입부 부재들(80, 82)는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유입부 부재(80)은 유로 채널들(412, 414, 416, 418, 420, 422)과 유동적으로 연통한다. 유입부 부재(82)는 유로 채널들(400, 402, 404, 406, 408, 410)과 유동적으로 연통한다. 유체 공급 시스템(fluid supply system: 도시하지 않음)은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의 유로 채널들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유입부 부재들(80, 82)를 통해 공급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입부 부재들(80, 82)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 플레이트(70)에 용접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출부 부재들(90, 92)는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부 부재(90)은 유로 채널들(412, 414, 416, 418, 420, 422)과 유동적으로 연통한다. 배출부 부재(92)는 유로 채널들(400, 402, 404, 406, 408, 410)과 유동적으로 연통한다. 유체 공급 시스템(fluid supply system: 도시하지 않음)은 배출부 부재들(90, 92)로부터 유체를 수령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출부 부재들(90, 92)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 플레이트(70)에 용접되어 있다.
열 전도성 패드(100)은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 상에 위치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4 및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3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간소화를 목적으로, 유로 채널들 중의 오직 일부 만을 이하의 방법에서 설명할 것이다.
과정(480)에서, 하단 플레이트(120), 암형 연결부들(130, 132) 및 립부들(138, 140)를 가지고 있는 금속 베이스 부재(60)을 제공한다. 암형 연결부(130)은 하단 플레이트(120)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암형 연결부(132)는 하단 플레이트(120)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립부들(138, 140)는 하단 플레이트(120)의 상면(162)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립부들(138, 140)은 암형 연결부들(130, 13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과정(482)에서, 하단 플레이트(240), 수형 연결부(242) 및 립부들(244, 246)을 가지고 있는 금속 베이스 부재(62)를 제공한다. 수형 연결부(242)는 하단 플레이트(240)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하단 플레이트(240)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62)의 립부들(244, 246)은 하단 플레이트(240)의 상면(262)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과정(484)에서, 하단 플레이트(340), 수형 연결부(342) 및 립부들(344, 346)을 가지고 있는 금속 베이스 부재(64)를 제공한다. 수형 연결부(342)는 하단 플레이트(340)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하단 플레이트(340)에 연결되어 있다. 하단 플레이트(340)의 립부들(344, 346)은 하단 플레이트(340)의 상면(362)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과정(486)에서, 설치 장치(placement machine: 600, 도 19에 개시되어 있음)는 금속 베이스 부재(62)의 암형 연결부(242)를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암형 연결부(130)에 위치시켜 연결한다.
과정(486)에서, 용접 장치(welding machine: 602)는, 유로 채널(412)가 금속 베이스 부재(70)의 립부들(138, 140)과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고 유로 채널(420)이 금속 베이스 부재(62)의 립부들(244, 246)과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도록, 암형 연결부(130)의 상면(180), 암형 연결부(132)의 상면(200), 금속 베이스 부재(60)의 립부들(138, 140), 및 금속 베이스 부재(62)의 립부들(244, 246)에 상단 플레이트(70)을 용접한다.
과정(492)에서, 용접 장치(602)는, 유로 채널(402)가 금속 베이스 부재(64)의 립부들(344, 346)과 상단 플레이트(70) 사이에 설정되도록, 금속 베이스 부재(64)의 립부들(344, 346)에 상단 플레이트(70)를 용접한다.
과정(494)에서, 용접 장치(602)는, 유로 채널들(412, 420)과 유동적으로 연통하는,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에 유입부 부재(80: 도 2에 개시되어 있음)를 용접한다.
과정(496)에서, 용접 장치(602)는, 유로 채널들(412, 420)과 유동적으로 연통하는,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에 배출부 부재(90)를 용접한다.
과정(498)에서, 용접 장치(602)는, 유로 채널(402)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는,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에 유입부 부재(82)를 용접한다.
과정(500)에서, 용접 장치(602)는, 유로 채널(402)과 유동적으로 연통하는, 상단 플레이트(70)의 상면에 배출부 부재(92)를 용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이점은, 제 2 및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암형 연결부들을 가진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를 활용하여, 복수의 전지팩들을 고정하기 위한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만 관계되어 자세하게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변형, 개조, 치환 또는 동등한 배열을 합체하여 개량될 수 있고, 그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는 경우,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전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2)

  1. 제 1 하단 플레이트(bottom plate),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female coupling portions), 제 1 및 제 2 립부들(rib portions)를 포함하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metal base member)로서, 상기 제 1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end)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및 2 립부들은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top surface)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
    제 2 하단 플레이트, 제 1 수형 연결부(male coupling portion),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는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로서, 상기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와 인접하여 제 2 하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암형 연결부 내에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유로 채널(flow channel)이 설정되도록, 제 1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2 암형 연결부의 상면, 및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 상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플레이트(top plate)로서,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 상에서 더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상단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fluidly)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제 1 유입부 부재(inlet portion member); 및
    상기 제 1 및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제 1 배출부 부재(outlet por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thermally conductive base member).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하단 플레이트, 제 2 수형 연결부, 및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는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로서, 상기 제 2 수형 연결부는 제 3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제 3 하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고,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3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2 수형 연결부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2 암형 연결부 내에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3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상기 상단 플레이트가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 내에서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로 채널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된 제 2 유입부 부재; 및
    상기 제 3 유로 채널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된 제 2 배출부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암형 결합부는 그루브를 설정하는 실질적으로 C 형상의 부위(C-shaped portion)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수형 결합부는,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연결된 확장부(extension portion)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확장부는 제 2 하단 플레이트에 평행하고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용접 조인트(weld joint)가 상단 플레이트,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암형 연결부, 및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수형 연결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들과 상단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열 전도성 패드(thermally conductive p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11.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으로,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는 제 1 하단 플레이트, 제 1 및 2 암형 연결부들과,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암형 연결부는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1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1 및 제 2 암형 연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는 제 2 하단 플레이트, 제 1 수형 연결부들과,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수형 연결부는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제 2 하단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2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암형 연결부에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수형 연결부를 연결하는 과정;
    상기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유로 채널이 설정되고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2 암형 연결부의 상면,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 및 제 2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2 립부들에 상단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과정;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 1 유입부 부재를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 채널들과 유동적으로 연통되는 상단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 1 배출부 부재를 연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는 제 3 하단 플레이트, 제 2 수형 연결부, 및 제 1 및 제 2 립부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수형 연결부는 제 3 하단 플레이트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제 3 하단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립부들은 제 3 하단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 2 수형 연결부를 제 1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2 암형 연결부 내에서 연결하는 과정;
    상기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과 상단 플레이트 사이에 제 3 유로 채널이 설정되도록, 상단 플레이트를 제 3 금속 베이스 부재의 제 1 및 제 2 립부들에 용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7034782A 2016-04-18 2017-04-05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KR101953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4003P 2016-04-18 2016-04-18
US62/324,003 2016-04-18
US15/149,288 US10170810B2 (en) 2016-04-18 2016-05-09 Thermally conductive base memb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thermally conductive base member
US15/149,288 2016-05-09
PCT/KR2017/003711 WO2017183834A1 (ko) 2016-04-18 2017-04-05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572A true KR20170138572A (ko) 2017-12-15
KR101953769B1 KR101953769B1 (ko) 2019-03-04

Family

ID=6011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782A KR101953769B1 (ko) 2016-04-18 2017-04-05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70810B2 (ko)
EP (1) EP3300163B1 (ko)
JP (1) JP6490297B2 (ko)
KR (1) KR101953769B1 (ko)
CN (1) CN107851866B (ko)
PL (1) PL3300163T3 (ko)
WO (1) WO2017183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6301A1 (en) * 2020-03-03 2021-09-08 Constellium Singen GmbH High flatness snapped-in and sealed bottom floor for battery enclosures encompassing an integrated cool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7141A1 (en) * 2009-12-18 2011-06-22 Valeo Klimasysteme GmbH Cooling device for a vehicle drive battery and vehicle drive battery assembly having a cooling device.
KR20130132459A (ko) * 2010-10-29 2013-12-04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배터리 유닛 구조
KR20140105077A (ko) * 2013-02-21 2014-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2014191916A (ja) * 2013-03-26 2014-10-06 Mitsubishi Motors Corp 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3630B2 (en) 2002-08-27 2004-08-31 Axcelis Technologies, Inc. Segmented cold plate for rapid thermal processing (RTP) tool for conduction cooling
JP2009252646A (ja) 2008-04-09 2009-10-29 Calsonic Kansei Corp 発熱体の冷却装置
KR101261736B1 (ko) 2011-06-13 2013-05-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팩
US8999547B2 (en) * 2011-12-22 2015-04-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8997676B2 (en) 2012-01-31 2015-04-07 Bae Systems Land & Armaments, L.P. Retractable trim vane for amphibious vehicle
FR2986190B1 (fr) * 2012-02-01 2015-02-27 Plastic Omnium Cie Boitier pour module electrique d'un pack batteri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ack batteri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14007029A (ja) * 2012-06-22 2014-01-16 Yoshiaki Nagaura 金属空気電池
KR101431550B1 (ko) 2012-07-03 2014-10-06 (주)인벤티오 배터리 냉각 장치 및 배터리 냉각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4216298A (ja) * 2013-04-30 2014-11-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US9537127B2 (en) 2014-11-12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w profile battery assembly for electrified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7141A1 (en) * 2009-12-18 2011-06-22 Valeo Klimasysteme GmbH Cooling device for a vehicle drive battery and vehicle drive battery assembly having a cooling device.
KR20130132459A (ko) * 2010-10-29 2013-12-04 다나 캐나다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배터리 유닛 구조
KR20140105077A (ko) * 2013-02-21 2014-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2014191916A (ja) * 2013-03-26 2014-10-06 Mitsubishi Motors Corp 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3834A1 (ko) 2017-10-26
PL3300163T3 (pl) 2019-05-31
EP3300163B1 (en) 2018-11-14
US20170324129A1 (en) 2017-11-09
JP2018524786A (ja) 2018-08-30
KR101953769B1 (ko) 2019-03-04
EP3300163A1 (en) 2018-03-28
JP6490297B2 (ja) 2019-03-27
EP3300163A4 (en) 2018-05-16
CN107851866A (zh) 2018-03-27
CN107851866B (zh) 2020-05-01
US10170810B2 (en)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6039B2 (en) Cell connector
CN103999256B (zh) 蓄能器
CN105387735A (zh) 热交换器
US20160126160A1 (en) System for cooling dual sides of power semiconductor device
CN106233528A (zh) 电池组和组装电池组的方法
JP2020513646A (ja) パワーバッテリーベースおよびパワー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2015529949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25962B2 (en) Power converter
EP3096391B1 (en) Battery module
CN107004659B (zh) 冷却器组件、及冷却器组件的制造方法
US20130011705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the temperature control of a batter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CN206340634U (zh) 电池模组和新能源汽车
WO2021093084A1 (zh) 电池模组成组夹具及使用方法
KR101953769B1 (ko) 열 전도성 베이스 부재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32506B1 (ko) 센싱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
EP3327855A1 (en) Battery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01379660B (zh) 多槽接头
KR20170003535A (ko)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조립 방법
KR101968717B1 (ko) 전지모듈 및 상호연결 어셈블리의 전압센싱부재에 제 1 및제 2 전지셀들의 제 1 및 제 2 전기 단자들을 연결하는 방법
CN201349040Y (zh) 一种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电池包
CN210110909U (zh) 电池汇流排、电池和供电设备
US20210384589A1 (en) Method for producing busbar, busbar, and battery module
CN210744059U (zh) 极耳与汇流排连接结构及电池模组
JP6465966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相互接続アセンブリの第1電圧検出部材及び第2電圧検出部材に第1及び第2電池セルの第1及び第2電気端子を接続する方法
CN113644336B (zh) 电池箱和具有其的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