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289A -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289A
KR20170137289A KR1020160069201A KR20160069201A KR20170137289A KR 20170137289 A KR20170137289 A KR 20170137289A KR 1020160069201 A KR1020160069201 A KR 1020160069201A KR 20160069201 A KR20160069201 A KR 20160069201A KR 20170137289 A KR20170137289 A KR 2017013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frame
ligh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775B1 (ko
Inventor
정주현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정주현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현, 김정은 filed Critical 정주현
Priority to KR102016006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7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H05B37/021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두운 상항에서도 별도의 조명기구 작동 없이 다양한 조건이 센싱되면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 각종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발광부가 후방측에 삽입 설치되며 전방에는 전방 일 측에는 감지방식으로 발광부의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를 설치하는 광패널에 일체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수납몸체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과 발광부, 센서부를 일체의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 및 제작단가를 절감하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감지 신호로 제어부에서 발광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주방의 주변을 조명하는 동시에 안전한 시야 확보와 인테리어측면의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방가구의 조명장치{The lighting device of the 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두운 상항에서도 별도의 조명기구 작동 없이 센서감지를 통한 조건이 감지되면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씽크대는 주방용품으로서 항상 물기가 잔존하는 가구이며, 이러한 씽크대에 부착되는 조명기구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대한 전기의 흐름이 안정되게, 차단 또는 개방되어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또한 조명을 비추는 기능적인 역할과 함께 주방의 미적 효과를 증대시키는 인테리어 역할도 하게 된다.
대부분 씽크대의 구조는 상부에 마련된 씽크대 서랍장의 저면에 조명기구가 부착되어 사용되며, 이 조명기구는 조명기구의 스위치를 켜면 빛이 씽크대 및 주변을 밝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씽크대용 조명기구는 씽크대 서랍장의 하단에 설치되며, 조명기구의 내부에는 광원으로 LED나 형광등이 설치되며, 조명기구의 조명창은 불투명 플라스틱 조광판이고, 온/오프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씽크대용 조명기구는 씽크대 사용자와 조명기구가 가깝게 위치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형광등을 직접노출 광원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반투광판을 조광판으로 사용하여 빛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실제 조명의 밝기에 비해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씽크대용 조명기구는 주부가 설거지나 요리중 물의 손에 젖은 상태에서 조명을 켜고 끄게 되어, 종래의 일반적인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누전이나 사용자의 감전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방식으로 온/오프 방식으로 작동하며 상부 씽크대의 하부면에 설치되는데 이 설치되는 높이가 사용자의 눈높이 범위에 속함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씽크대용 조명기구는 설치를 위한 프레임이나 방열부 및 조명 확산을 위한 조광판이 반드시 필요하여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소비자에게 설치 비용 부담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씽크대용 조명기구는 조광판이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씽크대의 개폐문 상부에 설치될 경우 사람의 손을 삽입하여 개폐문을 조작하는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조광판의 형태를 개선하여 씽크대의 개폐문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단화시켜 제작비용을 감소시켜 소비자의 비용 부담을 해소하고 설치 및 취급이 간편하도록 개선한 가구용 조명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10-1009685 (엘이디 조명기구) 2. 등록번호 10-1328403 (도어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3. 공개번호 20-2009-0010082 (아크릴 도광판을 이용한 씽크대용 엘이디 조명기구) 4. 공개번호 10-2008-0107907 (싱크대용 LED 전등) 5. 등록번호 10-1032424 (싱크대용 엘이디 조명등)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조명 상태에서 주방 근처로 이동시 별도의 조명기구의 조작없이 센싱 감지를 통해 발광을 함으로써 주방의 주변을 조명하는 동시에 시야 확보를 할 수 있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주방기구의 형태에 따라 프레임이나 광패널의 형태를 최적화시켜 기존의 주방가구나 출시되는 주방기구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기구가 설치된 건물의 네트워크 환경이나 각종 보안 감시장치들과 연동되어 빛이나 소리로 작동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조명 장치의 작동시에는 비 작동하며 비 조명시에는 동작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부의 발광 패턴과 발광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발광상태를 통해 작동 조건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부를 여러 개로 설치시 메인조명부의 제어를 통해 서브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조명부의 작동 상태를 홈네트워크나 다양한 감지장치와 별도로 스마트폰의 어플을 통해 알림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몸체에 설치를 위한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커버하도록 프레임에 고정하는 광패널과, 제어를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발광부가 후방측에 삽입 설치되며 전방에는 전방 일 측에는 감지방식으로 발광부의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를 설치하는 광패널에 일체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수납몸체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과 발광부, 센서부를 일체의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 및 제작단가를 절감하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감지 신호로 제어부에서 발광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조명 상태에서 주방 근처로 이동시 별도의 조명기구의 온/오프 조작없이 센싱 감지를 통해 발광을 함으로써 주방의 주변을 조명하는 동시에 안전한 시야 확보와 인테리어측면의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주방기구의 형태에 따라 프레임이나 광패널의 형태를 최적화시켜 기존의 주방가구나 출시되는 주방기구에 적용 가능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주방기구가 설치된 건물의 네트워크 환경이나 각종 보안 감시장치들과 연동되어 빛이나 소리로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른 조명 장치의 작동시에는 비 작동하며 비 조명시에는 동작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부의 발광 패턴과 발광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발광상태를 통해 육안으로 작동 조건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명부를 여러 개로 설치시 메인조명부의 제어를 통해 서브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조명부의 작동 상태를 홈네트워크나 다양한 감지장치와 별도로 스마트폰의 어플을 통해 알림하도록 하여 외부에서도 내부 상황을 파악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100a)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100a) 중 발광부 및 센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100b)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100b)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100c)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100c)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를 나타낸 개념도로 도면 a는 브이자형태의 절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b는 일자형 절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의 조명장치를 조도센서, 부저, 열전소자, 홈네트워크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 구성도,
도 10, 도 11, 도 12는 각각 조명장치를 여러 개로 형성할 경우 조명장치(100a), 조명장치(100b), 조명장치(100c)를 연결선으로 연결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a), 조명장치(100b), 조명장치(100c)가 주방가구인 씽크대에 설치되는 개념 사시도,
도 14, 도 15,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a), 조명장치(100b), 조명장치(100c)가 주방가구인 씽크대에 설치되는 개념 단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방가구의 조명장치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몸체(1)에 설치를 위한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발광부(20)와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0)를 커버하도록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광패널(40)과, 제어를 위한 제어부(50)로 구성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프레임(10)과 발광부(20), 센서부(30)를 일체의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 및 제작단가를 절감하며 센서부(30)에서 발생되는 감지 신호로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를 작동시키는 조명장치(100)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조명장치(100)의 프레임(10)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프레임(10)은 '┐'형태로 형성하거나, 상기 프레임(10)은 일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여 수납몸체(1)의 몸체프레임(1a)에 나사나 접착수단을 이용한 부착방식으로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이 '|'자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가구 제작시 흔히 발생하는 잔여 목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이 '┐'형태이거나, 상기 프레임(10)이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목재로 제작 가능하지만 금속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자 형상일 경우에는 발광부(20)가 후방측에 삽입 설치되며 전방에는 전방 일 측에는 감지방식으로 발광부(20)의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30)를 설치하는 광패널(40)이 상부에 결합되어 기억자 형태를 이루도록 일체 형태로 구성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형태이거나 '⊃'형태일 경우에는 반사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광부(20) 및 센서부(30)가 커버되도록 광패널(40)을 프레임(10)의 패널홈(11)에 끼움하며, 상기 프레임(10)과 광패널(40)의 양 끝단에는 마감패널(42)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20)는 발광램프(21)를 엘이디램프(LED LAMP)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발광부(20)는 일 측 또는 양측에 발광램프(21)를 형성하고, 상기 발광램프(21)의 광(光)이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투광부재(22)를 형성하며, 상기 투광부재(2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분 절개부(23)를 형성하여 절개부(23)에서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투광부재(22)는 광섬유 같은 재질로 형성하여 발광램프(21)를 일 끝단이나 양 끝단에 위치시켜 조명을 할 경우 빛이 투광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브이자 형태나 일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부(23) 부분에서 의해 빛이 난 반사되어 절개부(23)에 발광램프(21)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광램프(21)가 존재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발광램프(21)는 단색 램프 또는 다색 램프로 형성하여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단색 발광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게 발광시 지속적 발광형태, 깜빡거리는 형태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30)는 진동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진동센서(31), 소리를 감지하여 동작하는 소리센서(32),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3)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패널(4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중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광패널(40)이 직육면체 형태일 경우 발광부(20)의 설치를 위하여 후방 끝단이 일부분 제거된 발광홈(41)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센서부(30)의 설치를 위한 센서홀(43)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발광홈(41)은 발광부(20)가 결합되더라도 여유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여 발광부(20)의 발열이 여유 공간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광패널(40)은 발광부(20)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하는 끝단측은 융기되고 반대편 끝단은 함몰된 물결 형태이거나 판 형태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광패널(40)의 전방 일 측에는 핸드폰, PDA, 테블릿PC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45)를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상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50)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충전포트(45)는 USB커넥터 방식이나 핀 타입 방식 등 다양한 충전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포트(45)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개 형태나 슬라이딩커버를 광패널(40)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패널(40)이 물결 형태일 경우에는 프레임(10)이 '┐'형태일 경우 적용이 바람직하며, 광패널(40)이 판 형태일 경우에는 프레임(10)이 '⊃'형태일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조로써, 광패널(40)이 물결 형태일 경우에는 프레임(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패널홈(11)에 상부 끝단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하부 끝단은 지지단(12)에 지지되고, 상기 광패널(40)이 판 형태일 경우에는 프레임(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패널홈(11)에 상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수납몸체(1)의 일 측에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미관을 위하여 수납몸체(1)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00)는 프레임(10)의 일 측에 조도센서(60)를 형성하여 다른 조명에 의한 광이 수광되면 센서부(30)에서 센싱 감지신호를 발생하더라도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작동에 의한 전력 낭비를 예방하고자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00)는 프레임(10)의 일 측에 부저(90)를 구성하여 빛을 통한 알림 기능뿐만 아니라 소리를 이용한 알림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조명장치(100)는 가스감지기(6)와 연결하여 가스감지기(6)의 가스 누출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나 부저(90)를 단독 또는 동시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조명장치(100)는 조명의 단순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주방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스 조리기구의 사용시 가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주방 근처에 설치되는 가스감지기(6)와 연동시켜 가스 누출시 빛과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빠르게 알림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100)는 가정의 홈네트워크(200)와 제어부(50)를 연결하여 홈네트워크(200)를 통한 조작제어 및 홈네트워크(200)와 연결된 방범감지기(201)의 방법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나 부저(90)를 단독 또는 동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명장치(100)의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홈네트워크(200)에서 각종 작동, 기능 설정 등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0)는 주방의 조리기구(5)의 열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90)를 형성하고, 상기 열전소자(90)의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축전지(91)를 제어부(50)에 연결되게 수납몸체(1)의 내부공간 일 측에 형성하여, 상기 조리기구(5)의 열을 이용해 열전소자(9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지(91)에 충전시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축전지(91)는 제어부(50)로 전원을 공급할 때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조명장치(100)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리기구(5)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열전소자(90)를 통해 조명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지(91)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셀(92)을 연결하여, 상기 태양광셀(92)의 태양광 발전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지(91)에 충전시켜 발광부(20) 및 제어부(5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태양광셀(92)의 조명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00)를 여러 개로 형성할 경우 하나를 메인조명부(80)로 나머지는 서브조명부(81)로 설정하고, 상기 메인조명부(80)와 서브조명부(81)가 연결되도록 각각 연결단자(82)를 형성하여 단자 접점되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단자(82)와 이웃하는 연결단자(82)를 연결선(83)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82)는 메인조명부(80)와 서브조명부(81)의 발광부(20)를 연결선(83)을 이용하여 전기 접점을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연결단자(82)는 프레임(10)이 '│'형태일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발광부(20)와 발광부(20)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82)는 프레임(10)이 '┐'형태이거나 '⊃'형태일 경우에는 프레임(10)과 광패널(40)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패널(42)을 관통해 노출되도록 발광부(20)와 발광부(20)의 끝단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82)는 플러그 단자 형태나 핀 단자로 구성이 가능하며 연결선(83)의 길이는 사용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며, 양 끝단에는 연결단자(82)에 접속되도록 대응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00)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몸체(1)에 형성되는 개폐문(2)을 개방할 수 있도록 수납몸체(1)의 상판(3)과 개폐문(2)의 사이 설치공간(4)에 설치하거나, 상기 개폐문(2)에 간섭되지 않는 수납몸체(1)의 하부측에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장치(100)는 주방가구의 수납몸체(1)의 형태에 따라 설치위치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00)의 조명장치(100)는 3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하나는 프레임(10)과 광패널(40)을 기억자 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형태의 제1조명장치(100a), 다른 하나는 기억자형 프레임(10)에 광패널(40)을 결합한 형태의 제2조명장치(100b), 또 다른 하나는 씨자형 프레임(10)의 광패널(40)을 결합한 형태의 제2조명장치(100c)로 제작한다.
먼저, 상기 제1조명장치(100a)는 프레임(10)과 광패널(40)을 니은자 형태가 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광패널(40)의 후방 끝단에 형성된 패널홈(11)과 센서홀(43)에 각각 패널홈(11)에는 발광부(20)를 삽입하고 센서홀(43)에는 센서부(3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수납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고 제어부(50)에 연결된 전선 및 신호선은 프레임(10)과 수납몸체(1)의 몸체프레임(1a)을 관통하여 발광부(20) 및 센서부(30)에 각각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일체로 결합된 프레임(10)과 광패널(40)은 주방가구 중 특히 씽크대의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몸체(1)에 설치하는데, 씽크대의 상판과 개폐문이 형성되는 설치공간(4)에 삽입하여 볼트를 이용하거나 부착방식으로 설치하며, 제어부(50)는 주방에 설치되어진 콘센트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를 완료한다.
이로써, 상기 제1조명장치(100a)는 프레임(10)과 광패널(40)을 일체의 형태로 형성하여 체적이 작아지고 별도의 반사판의 구성이 불필요하여 구조를 간단화해 제작단가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가 간편해지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조명장치(100a)는 발광부(20) 및 광패널(40)의 교체가 간편하여 실생활에서 유리 관리가 편리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명장치(100b)는 설치공간(4)의 몸체프레임(1a)에 프레임(10)을 고정 설치한 후,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발광부(20)와 센서부(3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광패널(40)을 프레임(10)의 상부 끝단은 패널홈(11)에 끼우고 하부 끝단은 지지단(12)에 지지시킨 다음 마감패널(42)을 프레임(10)과 광패널(40)의 양 끝단에 결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수납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고 제어부(50)에 연결되된 전선 및 신호선은 수납몸체(1)를 관통하여 발광부(20) 및 센서부(30)에 각각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3조명장치(100c)는 수납설치공간(4)의 설치공간(4)에 프레임(10)을 고정 설치한 후,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발광부(20)와 센서부(30)를 고정 설치하고 광패널(40)을 프레임(10)의 패널홈(11)에 끼운 다음 마감패널(42)을 프레임(10)과 광패널(40)의 양 끝단에 결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수납몸체(1)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제어부(50)에 연결된 전선 및 신호선은 프레임(10) 및 수납몸체(1)의 몸체프레임(1a)을 관통하여 발광부(20) 및 센서부(30)에 각각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주방에 설치되어진 콘센트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를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제1,2,3조명장치(100a)(100b)(100c)는 조명상태, 비조명상태에서 설정조건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지만 센서부(30)에 조건에 맞는 센싱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5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서는 발광부(20)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시켜 조명상태에서는 다양한 인테리어적인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고, 어두운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시켜 줄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조명장치(100)의 센서부(30)는 주방에서의 각종 작업시 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진동센서(31), 박수소리와 같은 소리를 감지하여 동작하는 소리센서(32), 어두운 상태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3) 중 사용여건이나 설치여건에 따라 설치 및 호환성을 증진시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00)의 투광부재(22)는 절개부(23) 부분에서 의해 빛이 난반사되어 발광램프(21)가 직접 발광하는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발광램프(21)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100)의 발광램프(21)는 단색 램프 또는 다색 램프로 형성하여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단색 발광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게 발광시 지속적 발광형태, 깜빡거리는 형태로 작동하여 여러 가지 조명기능과 각종 분위기 연출 및 메시지 의미를 내포하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조명장치(100)의 광패널(40)은 발광부(20)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하는 끝단측은 융기되고 반대편 끝단은 함몰된 물결로 수납몸체(1)의 개폐문(2)을 개폐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시켜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광패널(40)에 형성되는 충전포트(45)를 이용하여 핸드폰, PDA, 테블릿PC 등을 간편히 충전할 수 있어 별도로 충전하기 위한 전원 콘센트가 필불요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100)의 프레임(10) 일 측에 조도센서(60)를 형성하여 다른 조명시 오프(OFF) 동작으로 불필요한 작동에 의한 전력 낭비를 예방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00)의 부저(90)를 이용하여 빛을 통한 알림 기능 뿐만아니라 소리를 이용한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으며, 가스감지기(6)의 가스 누출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나 부저(90)를 단독 또는 동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즉각적이며 정확하게 위급상황을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0)를 여러 개로 형성할 경우 하나를 메인조명부(80)로 나머지는 서브조명부(81)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메인조명부(80)와 서브조명부(81)를 연결선(83)으로 연결하여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설치구조가 간단해지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100)는 홈네트워크(200)에서 각종 작동, 기능 설정 등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설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0)는 조리기구(5)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열전소자(90)를 통해 조명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생성 및 이용할 수 있어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00)는 제어부(50)에 사물인터넷 송수신 기능부를 형성하고 스마트폰의 전용 어플을 이용하여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수납몸체 1a : 몸체프레임
2 : 개폐문 3 : 상판
4 : 공간 5 : 조리기구
6 : 가스감지기 10 : 프레임
11 : 패널홈 12 : 지지단
20 : 발광부 21 : 발광램프
22 : 투광부재 23 : 절개부
30 : 센서부 31 : 진동센서
32 : 소리센서 33 : 감지센서
40 : 광패널 41 : 발광홈
42 : 마감패널 43 : 센서홀
44 : 패널홈 45 : USB단자
50 : 제어부
60 : 조도센서 90 : 부저
80 : 메인조명부 81 : 서브조명부
82 : 연결단자 83 : 연결선
90 : 열전소자 91 : 축전지
100 : 조명장치 100a : 제1조명장치
100b : 제2조명장치 100c : 제3조명장치
200 : 홈네트워크 201 : 방범감지기

Claims (12)

  1.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몸체(1)에 설치를 위한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발광부(20)와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0)를 커버하도록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광패널(40)과, 제어를 위한 제어부(50)로 구성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발광부(20)가 후방측에 삽입 설치되며 전방에는 전방 일 측에는 감지방식으로 발광부(20)의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30)를 설치하는 광패널(40)에 일체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센서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수납몸체(1)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0)과 발광부(20), 센서부(30)를 일체의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 및 제작단가를 절감하며 센서부(30)에서 발생되는 감지 신호로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는 진동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진동센서(31), 소리를 감지하여 동작하는 소리센서(32),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3) 중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프레임(10)은 '┐'형태로 형성하거나,
    상기 프레임(10)은 일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여 수납몸체(1)에 나사나 부착방식으로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0)는 발광램프(21)를 엘이디램프(LED LAMP)로 구성하거나,
    상기 발광부(20)는 일 측 또는 양측에 발광램프(21)를 형성하고, 상기 발광램프(21)의 광(光)이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투광부재(22)를 형성하며, 상기 투광부재(2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분 절개부(23)를 형성하여 절개부(23)에서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광램프(21)는 단색 램프 또는 다색 램프로 형성하여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단색 발광하거나 색상이 변화하게 발광시 지속적 발광형태, 깜빡거리는 형태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패널(4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중 하나로 형성하며,
    상기 광패널(40)은 발광부(20)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하는 끝단측은 융기되고 반대편 끝단은 함몰된 물결 형태이거나 판 형태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광패널(40)의 전방 일 측에는 핸드폰, PDA, 테블릿PC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45)를 제어부(5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수납몸체(1)에 형성되는 개폐문(2)을 개방할 수 있도록 수납몸체(1)의 상판(3)과 개폐문(2)의 사이 설치공간(4)에 설치하거나,
    상기 개폐문(2)에 간섭되지 않는 수납몸체(1)의 하부측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프레임(10)의 일 측에 조도센서(60)를 형성하여 다른 조명에 의한 광이 수광되면 센서부(30)에서 센싱 감지신호를 발생하더라도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프레임(10)의 일 측에 부저(9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가스감지기(6)와 연결하여 가스감지기(6)의 가스 누출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나 부저(90)를 단독 또는 동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를 여러 개로 형성할 경우 하나를 메인조명부(80)로 나머지는 서브조명부(81)로 설정하고, 상기 메인조명부(80)와 서브조명부(81)가 연결되도록 각각 연결단자(82)를 형성하여 단자 접점되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단자(82)와 이웃하는 연결단자(82)를 연결선(83)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가정의 홈네트워크(200)와 제어부(50)를 연결하여 홈네트워크(200)를 통한 조작제어 및 홈네트워크(200)와 연결된 방범감지기(201)의 방법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50)에서 발광부(20)나 부저(90)를 단독 또는 동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주방의 조리기구(5)의 열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90)를 형성하고, 상기 열전소자(90)의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축전지(91)를 제어부(50)에 연결되게 수납몸체(1)의 일 측에 형성하고,
    상기 축전지(91)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셀(92)을 연결하여,
    상기 조리기구(5)의 열을 이용해 열전소자(9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지(91)에 충전시키거나, 태양광셀(92)의 태양광 발전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지(91)에 충전시켜 발광부(20) 및 제어부(5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KR1020160069201A 2016-06-03 2016-06-03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KR10194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01A KR101945775B1 (ko) 2016-06-03 2016-06-03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01A KR101945775B1 (ko) 2016-06-03 2016-06-03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289A true KR20170137289A (ko) 2017-12-13
KR101945775B1 KR101945775B1 (ko) 2019-02-08

Family

ID=6094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01A KR101945775B1 (ko) 2016-06-03 2016-06-03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462A (ko) * 2019-02-26 2020-09-04 (주)대진아트와이어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281A (ko) 2021-12-21 2023-06-28 이화순 주방 인테리어 시공기간 단축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40Y1 (ko) * 2003-03-28 2003-06-27 주식회사 한룩스 주방용 조명 장치
KR200345332Y1 (ko) * 2003-12-17 2004-03-18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방용 라디오 조명장치
JP2015156292A (ja) * 2014-02-20 2015-08-2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Led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098Y1 (ko) * 2006-09-20 2006-12-15 주식회사 동남 주방용 조명등
KR101032424B1 (ko) * 2009-03-12 2011-05-03 이상민 싱크대용 엘이디 조명등
KR101341362B1 (ko) * 2012-03-07 2013-12-13 주식회사 포인디자인 쇼케이스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40Y1 (ko) * 2003-03-28 2003-06-27 주식회사 한룩스 주방용 조명 장치
KR200345332Y1 (ko) * 2003-12-17 2004-03-18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방용 라디오 조명장치
JP2015156292A (ja) * 2014-02-20 2015-08-2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Led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462A (ko) * 2019-02-26 2020-09-04 (주)대진아트와이어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775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981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20070241259A1 (en) Room light responsive cabinet lighting apparatus
WO2005018286A1 (en) Energy saving lamp with sensor
KR10094436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5156521B2 (ja)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KR101945775B1 (ko)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TWI727406B (zh) 照明組件及用於照亮存儲單元的方法
JP5563708B1 (ja) Led照明装置
CN207407242U (zh) 一种多用途感应灯
CN112629141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WO2004085771A1 (en) A household appliance
JP4654924B2 (ja) 人体検出型自動スイッチ
CN210345197U (zh) 一种吸顶灯
KR20070069665A (ko) 냉장고용 핸들조립체
KR20150003737U (ko) 수배전반용 조명등
CN208794829U (zh) 一种冰箱把手夜光装置
JP2014127247A (ja) Led照明装置
KR200312800Y1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KR101046291B1 (ko) 가구의 조명장치
CN210112323U (zh) 一种设备箱用带自动开关的照明灯
TW201534179A (zh) 照明器具
KR20160069223A (ko) 선반의 조명등장치
KR100918210B1 (ko) 무드조명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56741B1 (ko) 전자렌지 제어부의 조명장치
TWI554714B (zh)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