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462A -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 Google Patents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462A
KR20200104462A KR1020190022472A KR20190022472A KR20200104462A KR 20200104462 A KR20200104462 A KR 20200104462A KR 1020190022472 A KR1020190022472 A KR 1020190022472A KR 20190022472 A KR20190022472 A KR 20190022472A KR 20200104462 A KR20200104462 A KR 2020010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ace
plate
storage furnitur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263B1 (ko
Inventor
채병철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아트와이어 filed Critical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to KR102019002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판체(11,13,15)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부(S)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3); 상기 외부케이스(3) 개방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S)를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문짝(5); 및 상기 문짝(5) 폐쇄 시 상기 판체(11,13,15)와 상기 문짝(5) 모서리면(21,23,25) 사이의 공간(G)을 조명하도록 상기 판체(11,13,15) 일측에 장착되는 조명기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예컨대, 싱크대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수납용 가구의 경우, 외부케이스 상판과 문짝의 상단 모서리면 사이에 개폐용 파지홈으로 형성된 공간에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이 조명기구에 의해 해당 공간을 조명함으로써, 문짝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납용 가구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Furniture For Storage With A Door Indirect Lighting}
본 발명은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용 가구의 외부케이스를 이루는 판체와 가구의 문짝 사이에, 문짝 개폐 시 손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파지홈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고, 이 공간 내에 설치된 조명기구에 의해 공간을 조명함으로써, 문짝의 외관을 일층 미려하게 만든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가구 들 특히, 주방용 가구들은 외관보다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왔으며, 점차 디자인이나 색상 등 가구 외관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주방용 가구들은 수납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변화를 통해 크게 심미감을 높일 여지가 적고, 또 색상의 변화를 통해서 심미감을 높이는 데도 일정 한계에 다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조명을 이용해 수납용 가구에 대한 심미감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651호로 발광 램프를 구비한 싱크대 도어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싱크대 도어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내부의 수납공간(103)을 개폐하는 도어(105)의 표면에 투시가능한 투명재질부(107)를 부착하되, 이 투명재질부(107)에 다양한 문양이나 그림을 새겨 넣고, 투명재질부(107)와 도어(105) 표면 사이의 틈새 공간에 LED램프(109)를 설치함으로써, 이 LED램프(109)의 발광에 의해 투명재질부(107)의 그림이 표현되도록 하여 도어(101)의 심미감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도어(105)와 도어(105)가 독립적으로 개폐되므로, 구조적으로 구분되어 있고, 따라서 도어(105) 표면에 설치되는 LED램프(109)도 모두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배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전기설비가 매우 복잡해지고, 따라서 제품 또는 설치 단가가 높아지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LED램프(109) 등 관련 전기설비가 지속적으로 개폐를 반복하는 도어(105)에 설치되므로 내구 강도가 쉽게 저하되며, 도어(105) 개방 시 함께 싱크대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조리대나 개수통으로부터 수침을 받기 쉬워 고장이나 손상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65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조명을 구비한 수납용 가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납용 가구의 외부케이스를 이루는 판체와 외부케이스를 개폐하는 문짝 사이에 개폐용 파지홈으로 사용되는 공간을 두고, 이 공간 내에 조명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는 문짝의 일측 모서리면이 조명기구에 의해 간접 조명되도록 하여, 수납용 가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이 외부케이스 판체와 문짝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의 조립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위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의해 해당 공간을 조명할 뿐 아니라, 수납부도 조명함으로써, 수납용 가구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판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부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 개방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를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문짝; 및 상기 문짝 폐쇄 시 상기 판체와 상기 문짝 모서리면 사이의 공간을 조명하도록 상기 판체 일측에 장착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납용 가구가 싱크대일 때, 상기 판체는 상판이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문짝의 상단 모서리면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을 조명하도록 상기 상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용 가구가 찬장일 때, 상기 판체는 하판이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문짝의 하단 모서리면과 상기 하판 사이의 공간을 조명하도록 상기 하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모서리가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또한, 상기 수납용 가구가 싱크대 또는 찬장일 때, 상기 판체는 측판이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문짝의 측단 모서리면과 상기 측판 사이의 공간을 조명하도록 상기 측판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측판에 인접하여 상기 개방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의 상기 저면, 상기 하판의 상기 상면, 또는 상기 측판의 상기 측면과 일편이 만나며, 상기 문짝의 배면과 타편이 만나는 L자형 프레임에 의해 상기 공간이 마감되되, 상기 타편은 상기 문짝의 상단 모서리면, 하단 모서리면, 또는 측단 모서리면보다 안 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개폐용 파지홈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는 LED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에 따르면, 예컨대, 싱크대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수납용 가구의 경우에는 외부케이스 상판과 문짝의 상단 모서리면 사이에, 또 찬장과 같이 천장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수납용 가구의 경우에는 외부케이스 하판과 문짝의 하단 모서리면 사이에, 그리고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싱크대 또는 찬장의 경우에는 외부케이스 측판과 문짝의 측단 모서리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설치된 조명기구에 의해 해당 공간을 조명함으로써, 문짝의 상단, 하단, 또는 측단 모서리를 따라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납용 가구의 심미감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케이스의 상판 등 판체와 문짝의 모서리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에 있어, 판체와 문짝 사이의 공간을 L자형 프레임에 의해 마감하고 있으므로, 공간을 형성함에 따른 작업 편리성이나 조립 안정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L자형 프레임을 광투과성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조명하는 조명기구에 의해 수납용 가구 내부의 수납부까지도 조명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수납용 가구의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발광 램프를 구비한 싱크대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측면의 판체를 제거한 상태로 도 3의 수납용 가구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가구를 도시한 상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가구를 도시한 상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납용 가구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케이스(3), 문짝(5), 및 조명기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문짝(5) 일변을 따라 배치된 조명기구(7)에 의해 문짝(5)의 일변이 간접 조명됨으로써, 외장의 심미감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케이스(3)는 수납용 가구(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체(11,13,15) 즉, 부 몸체의 상방을 이루는 상판(11), 외부 몸체의 하방을 이루는 하판(13), 및 외부 몸체의 좌우측방과 후방을 이루는 측판(15)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판체(11,13,15)에 의해 그 내부에 수납부(S)를 형성한다.
상기 문짝(5)은 위와 같은 외부케이스(3)의 전방 개방구(O)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3)의 개방구(O) 일측에 설치되는 바, 외부케이스(3) 내부의 수납부(S)를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여기에서, 문짝(5)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여닫이문으로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지만, 미닫이문으로 될 수도 있고, 서랍식으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또, 여닫이식 문짝(5)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 가구(1)가 싱크대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낮게 배치될 경우 상단 모서리면(21) 쪽에 개폐용 파지홈으로 사용되는 공간(G)이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 가구(1)가 찬장과 같이 천장에 인접하도록 높게 배치될 경우 하단 모서리면(23) 쪽에 공간(G)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 가구(1)가 중간 높이에 설치될 경우 측단 모서리면(25) 쪽에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7)는 위와 같은 공간(G)을 조명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명기구(7)는 공간(G)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공간(G)을 이루는 판체(11,13,15)의 표면에 장착되는 바, 문짝(5)이 폐쇄된 때 위와 같이 판체(11,13,15)와 문짝(5) 모서리면(21,23,25)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G)을 조명함으로써, 수납용 가구(1)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만든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 가구(1)가 바닥에 설치되는 싱크대일 때는 문짝(5)의 개방에 편리하도록 개폐용 파지홈 역할을 하는 공간(G)이 상판(11)과 문짝(5)의 상단 모서리면(21) 사이에 형성되므로, 조명기구(7)는 상판(11)의 저면 모서리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장착됨으로써 공간(G)을 조명한다.
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 가구(1)가 천장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찬장일 때는 문짝(5) 개방의 편리를 위해 개폐용 파지홈 역할을 하는 공간(G)이 하판(13)과 문짝(5)의 하단 모서리면(23) 사이에 형성되므로, 조명기구(7)는 하판(13)의 상면 모서리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장착됨으로써 공간(G)을 조명한다.
또,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납용 가구(1)가 천장과 바닥 사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싱크대 또는 찬장일 때는 개폐용 파지홈 역할을 하는 공간(G)이 측판(15)과 문짝(5)의 측단 모서리면(25) 사이에 형성되므로, 조명기구(7)는 측판(15)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장착됨으로써 공간(G)을 조명한다.
이와 같이, 공간(G)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문짝(5) 폐쇄 시, 판체(11,13,15)의 안쪽면 즉, 상판(11)의 저면, 하판(13)의 상면, 또는 측판(15)의 측면과, 문짝(5)의 상단 모서리부분, 하단 모서리부분, 또는 측단 모서리부분, 그리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L자형 프레임(31)에 의해 형성되는 바, 이 L자형 프레임(31)은 도 4의 경우, 일편(33)이 즉, 세로편이 상판(11)의 저면(B)에, 도 5의 경우 하판(13)의 상면(T)에, 또는 도 6에 도시된 경우 측판(15)의 측면(L)과 만나도록 위치하며, 타편(35)이 즉, 가로편이 문짝(5)의 배면(17)과 만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세로편과 가로편은 판체(11,13,15) 문짝(5)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동시에, 공간(G)을 형성하며, 가로편은 개방구(O)를 형성한다. 다만, 가로편 안쪽에는 개방구(O)를 형성하는 보강프레임(41)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개방구(O)는 보강프레임(41)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타편(35) 즉, 가로편은 도 4의 경우에 문짝(5)의 상단 모서리면(21)보다, 도 5의 경우에 문짝(5)의 하단 모서리면(23)보다, 또는 도 6의 경우에 문짝(5)의 측단 모서리면(25)보다 안 쪽에 위치함으로써, 공간(G)을 개폐용 파지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L자형 프레임(31)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공간(G)이 외부케이스(3)의 전후좌우 4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외부케이스(3)의 전후좌우면 각각에 하나씩 모두 4 개가 필요하게 되며, 직교하면서 이웃하는 L자형 프레임(31)과의 연결을 위해 말단과 말단 사이에 이음부재(43)가 개재된다. 이 이음부재(43)는 좌우의 날개(45)와 몸통(47) 사이의 틈새(49)에 L자형 프레임(31)의 세로편(33) 말단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L자형 프레임(31)와 연결되어, 이웃한 2 개의 L자형 프레임(31)을 직교 상태로 마감한다.
또한, L자형 프레임(31)은 광투과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명기구(7)에 의해 수납부(S) 내부 공간을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납용 가구(1)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와 같은 수납용 가구(1)의 문짝(5)과 판체(11,13,15) 예컨대, 상판(11) 사이에 문짝 개폐용 파지홈으로 사용하도록 확보한 공간(G)에 조명기구(7)를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상단 모서리를 따라 문짝(5)을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납용 가구(1)의 외관을 일층 미려하고 세련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찬장과 같이 천장에 높게 설치되는 수납용 가구(1)의 경우에는 문짝(5)과 하판 사이의 공간(G)에,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싱크대나 찬장의 경우에는 문짝(5)과 측판 사이의 공간(G)을 조명기구(7)에 의해 조명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수납용 가구(1)의 외관을 일층 미려하고 세련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달리 도면을 통해 설명하지 않았지만, 미닫이문의 경우에도 문짝의 측단 모서리면과 외부케이스의 측판 사이에 위 공간(G)과 같은 개폐용 파지홈으로 사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경우, 이 공간에 조명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문짝의 해당 모서리면을 간접 조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납용 가구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서랍식 수납용 가구에 있어서도, 외부케이스 수납부에 전후 이동하도록 삽입되는 서랍의 전면판 모서리면과 외부케이스 판체 사이에 공간(G)과 같은 공간을 두고, 이 공간에 조명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문짝 즉, 서랍 전면의 해당 모서리면을 간접 조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납용 가구의 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수납용 가구 3 : 외부케이스
5 : 문짝 7 : 조명기구
11 : 상판 13 : 하판
15 : 측판 21 : 상단 모서리면
23 : 하단 모서리면 25 : 측단 모서리면
31 : L자형 프레임 41 : 보강프레임
43 : 이음부재 G : 공간
O : 개방구 S : 수납부

Claims (6)

  1. 복수의 판체(11,13,15)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부(S)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3);
    상기 외부케이스(3) 개방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S)를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문짝(5); 및
    상기 문짝(5) 폐쇄 시 상기 판체(11,13,15)와 상기 문짝(5) 모서리면(21,23,25) 사이의 공간(G)을 조명하도록 상기 판체(11,13,15) 일측에 장착되는 조명기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가구가 싱크대일 때, 상기 판체(11,13,15)는 상판(11)이고, 상기 조명기구(7)는 상기 문짝(5)의 상단 모서리면(21)과 상기 상판(11) 사이의 공간(G)을 조명하도록 상기 상판(11)의 저면(B)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모서리가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가구가 찬장일 때, 상기 판체(11,13,15)는 하판(13)이고, 상기 조명기구(7)는 상기 문짝의 하단 모서리면(23)과 상기 하판(13) 사이의 공간(G)을 조명하도록 상기 하판(13)의 상면(T)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모서리가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가구가 싱크대 또는 찬장일 때, 상기 판체(11,13,15)는 측판(15)이고, 상기 조명기구(7)는 상기 문짝(5)의 측단 모서리면(25)과 상기 측판(15) 사이의 공간(G)을 조명하도록 상기 측판(15)의 측면(L)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모서리가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G)은 상기 상판(11), 상기 하판(13), 또는 상기 측판(15)에 인접하여 상기 개방구(O)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11)의 상기 저면(B), 상기 하판(13)의 상기 상면(T), 또는 상기 측판(15)의 상기 측면(L)과 일편(33)이 만나며, 상기 문짝(5)의 배면(17)과 타편(35)이 만나는 L자형 프레임(31)에 의해 상기 공간(G)이 마감되되, 상기 타편(35)은 상기 문짝(5)의 상단 모서리면(21), 하단 모서리면(23), 또는 측단 모서리면(25)보다 안 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공간(G)을 개폐용 파지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모서리가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7)는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모서리가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KR1020190022472A 2019-02-26 2019-02-26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KR102331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72A KR102331263B1 (ko) 2019-02-26 2019-02-26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472A KR102331263B1 (ko) 2019-02-26 2019-02-26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462A true KR20200104462A (ko) 2020-09-04
KR102331263B1 KR102331263B1 (ko) 2021-11-26

Family

ID=7247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472A KR102331263B1 (ko) 2019-02-26 2019-02-26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408B1 (ko) * 2021-12-23 2022-02-28 주식회사 에?? 가구용 손잡이채널 모서리 조립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438Y1 (ko) * 2004-06-25 2004-10-02 (주)대흥시스템 도어 스톱채널을 갖춘 가구
KR20090012651U (ko) 2008-06-07 2009-12-10 김선종 발광 램프를 구비한 싱크대 도어
KR20100009443U (ko) * 2009-03-18 2010-09-29 박병구 조명기능을 갖는 비 노출형 가구 도어의 개폐 손잡이장치
KR20170122437A (ko) * 2016-04-27 2017-11-06 한성환 싱크대
KR20170137289A (ko) * 2016-06-03 2017-12-13 정주현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438Y1 (ko) * 2004-06-25 2004-10-02 (주)대흥시스템 도어 스톱채널을 갖춘 가구
KR20090012651U (ko) 2008-06-07 2009-12-10 김선종 발광 램프를 구비한 싱크대 도어
KR20100009443U (ko) * 2009-03-18 2010-09-29 박병구 조명기능을 갖는 비 노출형 가구 도어의 개폐 손잡이장치
KR20170122437A (ko) * 2016-04-27 2017-11-06 한성환 싱크대
KR20170137289A (ko) * 2016-06-03 2017-12-13 정주현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408B1 (ko) * 2021-12-23 2022-02-28 주식회사 에?? 가구용 손잡이채널 모서리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263B1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4462A (ko)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KR200431571Y1 (ko) 조명 장식장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JP4550596B2 (ja) 照明設備
KR200295737Y1 (ko) 조명등
KR20120137079A (ko) 측면발광형 조명장치
MXPA04005944A (es) Separacion de ducha con iluminacion.
US20100315020A1 (en) Furnishing complement, in particular for house-rooms separation
KR20190090529A (ko) 조립식 화장실
KR20220019339A (ko) 건물의 내외장용 조명장치
CN209761222U (zh) 一种新型的门体结构
KR20080002641U (ko) 조명기구
KR200431083Y1 (ko) 시력보호용 천장 매립등
WO2022205889A1 (zh) 用于冰箱的门体及冰箱
KR20140132238A (ko)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CN208997798U (zh) 一种led面板灯
KR20110111974A (ko) 실내 조명등의 커버판 개폐장치
JP2012231992A (ja) 間仕切家具
KR102120019B1 (ko) 조립식 화장실
KR200326078Y1 (ko) 조명램프내장형 거울
KR101163281B1 (ko) 천장용 조명기구
JP3963005B2 (ja) 間接照明構造
CN209106592U (zh) 一种储物柜
KR20090001377U (ko) 천정매립형 등
JP3199221U (ja) 仏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