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238A -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 Google Patents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238A
KR20140132238A KR1020130051522A KR20130051522A KR20140132238A KR 20140132238 A KR20140132238 A KR 20140132238A KR 1020130051522 A KR1020130051522 A KR 1020130051522A KR 20130051522 A KR20130051522 A KR 20130051522A KR 20140132238 A KR20140132238 A KR 20140132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resin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마크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크스톤 filed Critical (주)마크스톤
Priority to KR102013005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238A/ko
Publication of KR2014013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21V33/0016Furnishing for windows and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너비를 갖는 소정 두께의 패널 형태로 제공되는 기본 틀, 상기 기본 틀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기본 틀의 표면에 결합되는 광 투과성의 덮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패널은 하나 이상의 색상, 문자, 문양, 심볼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덮개 패널을 향하여 조명을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이 배치되되, (+)(-)전원이 공급되는 (+)(-)작동바아를 포함하는 작동자 부분과, 상기 (+)(-)작동바아에 대응하는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자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자 부분과 고정자 부분은 상호 대응하여 도어의 문짝 또는 문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도어 폐쇄시 (+)(-)작동바아와 (+)(-)접점의 접속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인테리어 조명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MOVING SWITCHING TYPE INTERIOR ILLUMINATION DOOR}
본 발명은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도어 표면에 조명이 투과되도록 하여 심미감과 함께 알림 또는 광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 조명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이나 장롱문 등에서는 도어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문자나 심볼, 문양 이미지 등을 형성하고, 여기에 조명을 도어에 투과시켜 보다 개선된 이미지와 심미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함과 더불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 도 1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조명효과를 갖는 도어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의 구성은 유리도어(10)와 전원공급부(20), 발광장치(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리도어(1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금속 보강판(14)이 부설되어 금속 보강판(14)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여닫이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닫이 문으로 사용되는 유리도어(10)의 상측에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원공급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20)에는 점멸기(22)와 같이 조명빛을 실시간으로 점멸시켜주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0)는 발광장치(30)와 연결되고 발광장치(30)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34) 및 이 안정기(34)와 연결되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36)를 포함하고 있다.
이같이 구성된 발광장치(30)는 빛을 발광하여 상기 유리도어(10)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0)에 빛을 투과시키게 되는데, 이를 통해 유리도어(10)의 표면에 보다 개선된 심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조명 도어의 경우, 도어의 움직임과는 상관없이 제어수단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항상 일정한 조명을 발광하도록 되어 있어 도어의 작동에 따른 상태 변경시에 조명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조명이 불필요한 순간에도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되어 전력 낭비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도어의 개폐 동작에 의해 도어 표면에 조명이 투과되는 것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절감되고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알림 또는 광고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더욱 높인 인테리어 조명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와 너비를 갖는 소정 두께의 패널 형태로 제공되는 기본 틀, 상기 기본 틀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기본 틀의 표면에 결합되는 광 투과성의 덮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패널은 하나 이상의 색상, 문자, 문양, 심볼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덮개 패널을 향하여 조명을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이 배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작동바아를 포함하는 작동자 부분과, 상기 (+)(-)작동바아에 대응하는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자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자 부분과 고정자 부분은 상호 대응하여 도어의 문짝 또는 문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도어 폐쇄시 (+)(-)작동바아와 (+)(-)접점의 접속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바아는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도어 개폐에 따라 (+)(-)접점에 대하여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발광수단은 전구 또는 LED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본 틀은 요홈부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방 패널과, 요홈부의 각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중간 패널로 이루어지며, 덮개 패널은 두께 6mm 이하의 인조대리석으로 구성하되, 상기 인조대리석은 투명 수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배치된 다수의 반투명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무기 충전에, 가교제, 경화제, 소포제, 안료, 염료,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이형제, 중합 억제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수지부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광투과율이 80% 이상이고, 투명성 안료 또는 투명성 염료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동작시 도어 표면에 조명이 투과되는 것을 조절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도어의 전면 또는 일부에 형성된 각종 문양 또는 문자, 심볼, 이미지 등을 통한 알림 또는 광고 기능과 함께 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효과를 갖는 도어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의 패널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도어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어 패널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 도어를 위한 무빙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무빙 스위칭 시스템의 접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 도어의 패널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도어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어 패널의 조립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 도어의 도어 패널은 목재나 금속,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한 기본 틀(1)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본 틀(1)은 소정 두께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패널의 표면에 소정 길이와 너비를 갖추어 하나 이상의 음각으로 요홈부(2)를 형성한다. 또한, 기본 틀(1)은 요홈부(2)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방 패널(3)과 요홈부(2)의 각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중간 패널(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홈부(2)에는 기본 틀(1)의 표면으로 조명을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5), 예를 들어 전구나 LED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요홈부(2)의 전방면에는 일정한 광 투과성을 갖는 덮개 패널(4)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 패널(4)은 하나 이상의 색상, 문자, 문양, 심볼 또는 이미지 등(이하 'M'으로 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본 틀(1)의 전면에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볼트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덮개 패널(4)은 예를 들어 인조대리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인조대리석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mm 이하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덮개 패널(4)을 이루는 인조대리석은 투명 수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베이스 수지 내에 배치된 다수의 반투명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 수지로는 아크릴계 인조대리석, 폴리에스테르계 인조대리석, 에폭시계 인조대리석 및 E-스톤 계열 등을 포함한, 이 분야에 공지된 각종 인조대리석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수지는 인조대리석의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수지칩 또는 천연소재칩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종의 칩을 포함함으로써 인조대리석에 보다 천연색과 유사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수지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수지는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공정에서 수지 조성물의 중합 및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화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수지에는 상기 외에도 소포제, 무기 안료나 염료,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이형제, 중합 억제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베이스 수지에 포함되는 상술된 투명 수지부는 두께 1 c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율이 80% 미만이면, 인조대리석의 배면 또는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도, 상기 조명에 의한 빛이 새어 나오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투명 수지부의 광투과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인조대리석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보다 미려하고 다양한 장식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부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성 안료 또는 투명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료 또는 염료의 함유로 인해 투명 수지부 자체가 고유의 색상을 가지게 되므로 주간 등에 조명 효과가 없는 경우 또는 조명에 의한 경우 등에서 보다 다양한 장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 도어를 위한 무빙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무빙 스위칭 시스템의 접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인테리어 조명 도어를 위한 무빙 스위칭 시스템은 작동자 부분(6)과 고정자 부분(7)을 포함한다. 작동자 부분(6)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작동바아(8a,8b)가 각각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자 부분(7)에는 (+)(-)작동바아(8a,8b)에 대응하여 (+)(-)접점(7a,7b)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작동바아(8a,8b)는 스프링(9a,9b)에 의해 각각 탄지된 구조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구조로부터 (+)(-)작동바아(8a,8b)는 도어를 닫는 순간 문틀에 의해 잠시 뒤로 밀렸다가 스프링력에 의해 다시 앞으로 이동하여 (+)(-)접점(7a,7b)에 닿게 된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서 작동자 부분(6)은 도어측에 설치하고 고정자 부분(7)은 문틀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반대의 설치도 가능하다. 또한, (+)(-)작동바아(8a,8b)와 (+)(-)접점(7a,7b)은 자석스위치나 솔레노이드 스위치, 접촉센서 또는 광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는 도어가 열리면 (+)(-)작동바아와 (+)(-)접점이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고, 도어가 닫히면 (+)(-)작동바아와 (+)(-)접점이 스위칭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이 차단되면 도어 표면의 조명이 꺼지고, 전원이 공급되며 도어 표면의 조명은 켜져 목적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에 따르면, 일반 출입문이나 방화문으로 적용된 본 발명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의 경우, 고정자 부분(111)과 작동자 부분(121)이 문틀(110)과 문짝(12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설치도 가능하다.
도 5b에 따르면, 장롱이나 붙박이장, 싱크대 등의 가구용 도어로 적용된 본 발명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200)가 도시되어 있다. 미닫이 도어의 경우, 문짝(210)의 어느 일측에 작동자 부분(211)을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고정자 부분(212)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의 경우, 고정자 부분(222,232)과 작동자 부분(221,231)이 문틀과 문짝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설치도 가능하다.
도 5c는 화장실 큐비클 도어로 적용된 본 발명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의 경우에도 출입문이나 방화문과 마찬가지로 고정자 부분(311)과 작동자 부분(321)이 문틀(310)과 문짝(320)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설치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직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기본 틀
2 : 요홈부
3 : 후방 패널
4 : 덮개 패널
5 : 발광수단
6, 121,211,221,231,321 : 작동자 부분
7,111,212,222,232,311 : 고정자 부분
7a,7b : (+)(-)접점
8a,8b : (+)(-)작동바아
9a,9b : 스프링
100,200,300 : 도어
110,310 : 문틀
120,210,220,230,320 : 문짝

Claims (6)

  1. 일정한 길이와 너비를 갖는 소정 두께의 패널 형태로 제공되는 기본 틀, 상기 기본 틀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음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기본 틀의 표면에 결합되는 광 투과성의 덮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패널은 하나 이상의 색상, 문자, 문양, 심볼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덮개 패널을 향하여 조명을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는 (+)(-)작동바아를 포함하는 작동자 부분과, 상기 (+)(-)작동바아에 대응하는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자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자 부분과 고정자 부분은 상호 대응하여 도어의 문짝 또는 문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도어 폐쇄시 (+)(-)작동바아와 (+)(-)접점의 접속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는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도어 개폐에 따라 (+)(-)접점에 대하여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틀은 요홈부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방 패널과, 요홈부의 각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중간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전구 또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6. 제 1항에 있어서,
    덮개 패널은 두께 6mm 이하의 인조대리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조대리석은 투명 수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배치된 다수의 반투명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 수지부는 광투과율이 80% 이상이고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KR1020130051522A 2013-05-07 2013-05-07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KR20140132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522A KR20140132238A (ko) 2013-05-07 2013-05-07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522A KR20140132238A (ko) 2013-05-07 2013-05-07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238A true KR20140132238A (ko) 2014-11-17

Family

ID=5245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522A KR20140132238A (ko) 2013-05-07 2013-05-07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2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280B1 (ko) * 2016-03-29 2016-09-29 이영운 건축물의 채광과 조명이 가능한 도어
KR102291055B1 (ko) * 2020-12-11 2021-08-19 (주)디자인핸즈 장식용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280B1 (ko) * 2016-03-29 2016-09-29 이영운 건축물의 채광과 조명이 가능한 도어
KR102291055B1 (ko) * 2020-12-11 2021-08-19 (주)디자인핸즈 장식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2238A (ko) 무빙 스위칭 방식의 인테리어 조명 도어
CN103953153A (zh) 仿形镂空造型饰面结构及其安装方法
CN102927760A (zh) 用于冰箱的门体和具有它的冰箱
KR200421668Y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커버패널
JP4550596B2 (ja) 照明設備
KR20110000029A (ko) 발광형 장식재
CN208122149U (zh) 石面装饰板
CN202915206U (zh) 一种led平板灯
CN203867041U (zh) 镂空透光饰面结构
CN103993695A (zh) 镂空透光饰面结构及其安装方法
CN201747214U (zh) 具有异形镜饰和照明设备的门
CN201998724U (zh) 面板装置以及具有该面板装置的空调器
KR102331263B1 (ko)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CN207076102U (zh) 带有灯光装置的玩具抓物机
CN201652005U (zh) 墙面装饰线条灯
KR20090004594U (ko) 발광 문양을 가지는 상자 구조물
JP2001262955A (ja) キャビネットの照明構造
CN207427634U (zh) 一种新型发光电用控制板
Melin The Information Curtain: Creating digital patterns with dynamic textiles
CN205535636U (zh) 可埋置电子产品的安装座
US20140268814A1 (en) Customized signature decorative lamp
KR20130030500A (ko) 장식조명
CN213340151U (zh) 一种智能开关面板
CN220548871U (zh) 装饰性面板组件及设备
CN220930974U (zh) 应用于展示层柜的led层板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