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098Y1 - 주방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098Y1
KR200434098Y1 KR2020060025360U KR20060025360U KR200434098Y1 KR 200434098 Y1 KR200434098 Y1 KR 200434098Y1 KR 2020060025360 U KR2020060025360 U KR 2020060025360U KR 20060025360 U KR20060025360 U KR 20060025360U KR 200434098 Y1 KR200434098 Y1 KR 200434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ower supply
emitting diode
lighting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성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2020060025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주방용 조명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주방용 조명등은, 벽체에 설치되는 조명몸체; 조명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조명몸체에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설치되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선반에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및 주변의 작업영역을 조명함으로써 전력의 낭비 없이 반영구적으로 밝은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품을 용이하게 식별함은 물론 밝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주방, 확산액세서리, 발광다이오드, LED, SMPS, 선반

Description

주방용 조명등{Light for Kitche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조명등에서 선반부가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조명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방용 조명등 3 : 상부장의 하부벽체
10 : 조명몸체 12 : 센서수용부
14 : SMPS 수용부 15 : 제1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17 :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18 : 액세서리 거치부
30 : SMPS 40 : 제1 발광다이오드
42 : 조명덮개 50 : 센서
60 : 제2 발광다이오드 70 : 확산 액세서리
본 고안은, 주방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의 상부장 하부벽체와 같은 장소에 장착되어 주방의 주(主) 조명을 켜지 않고도 선반에 진열 및 수납된 물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밝은 작업환경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조명해 주는 주방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라 함은 벽면에 평탄하게 설치되어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만든 널빤지를 말하는 것으로, 물건을 진열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선반은 보통 가정의 거실 및 주방 등의 실내 공간과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과 같은 실외 공간에도 설치되며, 최근에는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선반이 많이 고안되어 장소에 제한 없이 장식용 또는 수납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동안 선반의 소재로 목재 또는 합판 등으로 제작되는 평판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유리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 등도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주방의 경우에는 가족들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하거나 담소를 나누는 자리인 만큼 아늑함과 미적인 기능까지 갖추는 것이 좋으므로 선반을 주방의 벽면에 설치한 후 찻잔이나, 접시, 그릇 등을 진열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반에 있어서는, 물품이 진열되거나 수납되는 데에는 불편함이 없으나, 주방에 설치된 주(主) 조명을 켜지 않으면 선반에 놓여진 물품의 식 별이 용이하지 않았다. 즉, 주방에 진열되거나 수납된 물품 중 필요한 물품을 찾기 위해서는 주방의 메인(main) 조명을 켠 후 물품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고려하여, 최근에 선반의 내부에 조명기구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고 이 공간에 조명기구를 내장하여 선반의 천공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를 갖는 주방용 조명등이 소개된 바 있다. 즉, 조명기구를 내장함으로써 주방용 조명등은 사용의 편리성과 기능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방용 조명등에 있어서도 역시, 상대적으로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할로겐 램프나 형광등이 사용되어 전력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전원공급장치로 리니어전원공급 장치가 사용되어 각각의 조명에 적절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외의 경우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 조명등이 소개된 바 있으나 어댑터 외장형이므로 어댑터를 보관하거나 숨길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조명등은 터치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젖은 손으로 접촉시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선반에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및 주변의 작업영역을 조명함으로써 전력의 낭비 없이 반영구적으로 밝은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품을 용이하게 식별함은 물론 밝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벽체에 설치되는 조명몸체; 상기 조명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조명몸체에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접근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로의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와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조명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조명몸체의 하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명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액세서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방용 조명등은, 외부로부터 접근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로의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SMPS(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상기 조명몸체는, 상기 조명몸체의 전방영역에 설치되어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수용부; 상기 센서수용부의 후방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SMPS를 수용하는 SMPS 수 용부; 상기 SMPS 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들를 지지시키는 제1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상기 SMPS 수용부의 후방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를 지지시키는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및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확산액세서리를 거치시키는 액세서리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액세서리는 아크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의 전방에서 상기 조명몸체에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아크릴 재질의 조명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는 주방의 상부장의 하부벽체일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조명등에서 선반부가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방 용 조명등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조명등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명등(1)은, 주방의 상부장 하부벽체(3)에 설치되는 조명몸체(10)와, 조명몸체(10)에 내장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즉 본 실시 예에서의 스위칭 모드 파워서플라이(30, Switching Mode Power Supply, 이하에서는 'SMPS'라 명칭하기로 함)와, 조명몸체(10)에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 배치되어 SMPS(3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40, LED, Light Emitting Diode)와, 외부로부터 접근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1 발광다이오드(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주방용 조명등(1)은, 제1 발광다이오드(40)와는 별도로 SMPS(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SMPS(3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60, LED, Light Emitting Diode)와, 조명몸체(10)의 하단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조명몸체(10)와 결합되어 제2 발광다이오드(6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액세서리(70)를 더 구비한다.
먼저, 조명몸체(10)는, 상기한 여러 요소들을 그 내부에 내장하거나 또는 외부에 거치시키는 몸체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영역에 마련되어 센서(50)를 수용 및 지지하는 센서수용부(12)와, 선단영역의 바로 후미 즉 중앙의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SMPS(30)를 수용 및 지지하는 SMPS 수용부(14)와, 중앙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40)를 지지시키는 제1 발광다이오드 지지부(15)와, 중앙영역의 후미 즉 후방영역에 마련되어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 드(60)를 지지시키는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17)와, 후방영역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확산액세서리(70)를 거치시키는 액세서리 거치부(18)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명몸체(10)에 내장되는 전원공급장치 즉 본 실시 예의 SMPS(30)는, 일반적으로 전력용 MOSFET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 전압을 일단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통하여 제어된 직류 출력 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이러한 SMPS(30)는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전력의 흐름을 제어하기 때문에 종래의 리니어(linear) 방식의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SMPS(30)는 상기한 장점들로 인해, 통신용 및 산업용 PC, OA기기, 가전기기 등의 민수용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SMPS(30)를 주방용 조명등(1)의 전원공급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본 실시 예의 주방용 조명등(1)이 슬림화될 수 있으며, 또한 SMPS(30)가 조명몸체(10)에 내장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종래의 어댑터 외장형의 조명등(미도시)에서 어댑터를 보관하기에 곤란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SMPS(30)는 본 실시 예의 주방용 조명등(1)에 설치된 제1 발광다이오드(40)와 제2 발광다이오드(60)에 적절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이 과잉으로 소모되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전력사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발광다이오드(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몸체(10) 내에 마련된 제1 발광다이오드 지지부(15)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주방의 작업공간을 밝게 조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공간에서 요구되는 밝기 정도에 기초하여 3cd(칸델라) 이상의 밝기를 갖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가 선택되어 10mm에서 200mm 이내의 간격으로 조정 배열된다. 단, 제1 발광다이오드(40)의 밝기 및 제1 발광다이오드(40) 간의 간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광원으로 발광다이오드(40, 60)가 사용되는 이유는, 발광다이오드(40, 60)가 광원으로서 여러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발광다이오드(40, 60, LED, Light Emitting Diode)는, 광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매우 적으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에 유리하며, 다른 광원들에 비해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각각의 제1 발광다이오드(40) 전방에는, 제1 발광다이오드(40)에서 발광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조명덮개(42)가 조명몸체(10)와 결합된 상태로 마련된다. 조명덮개(42)는 아크릴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조명몸체(10)에 결합되며, 재질의 투명성으로 인해 제1 발광다이오드(40)에서 발광되는 빛을 도 3의 화살표 방향(A)으로 적절히 분산시켜 밝은 작업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명덮개(42)는 각각의 제1 발광다이오드(40)에 대해 각각 마련될 수도 있지만, 제1 발광다이오드(40)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조명몸체(10)에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제1 발광다이오드(40)에 전력을 인가시키기 위해서 전술하였듯이 전원을 공급하는 SMPS(30)가 마련되고, 또한 SMPS(30)가 제1 발광다이오드(4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50)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의 센서(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몸체(10)의 전방영역에 마련된 센서수용부(12)에 수용 설치된다. 또한 센서(50)의 전방에는 센서(50)의 이탈을 저지하는 센서 이탈저지부(52)가 조명몸체(10)와 결합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센서(50)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의 센서(5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두 종류의 센서(50)를 모두 설치함으로써 주방용 조명등(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접촉식 센서와 비접촉식 센서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접촉식 센서로는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으면 접점이 접촉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센서들을 사용하고, 비접촉식 센서로는 사용자와의 직접적 접촉 없이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근접 스위치나 포터센서와 같은 센서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주방용 조명등(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밝은 환경 속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작업영역에 빛을 발광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40)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 주방용품들이 진열되거나 수납되는 선반부(7, 확산액세서리의 전면부)를 조명하는 별도의 제2 발광다이오드(60)와, 제2 발 광다이오드(60)에서 발광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확산액세서리(70)를 더 구비한다.
제2 발광다이오드(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몸체(10)의 후방영역의 내측 상단면에 설치된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17)에 고정된 상태로 마련된다. 제2 발광다이오드(60)는 제1 발광다이오드(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발광다이오드(60)로 구성되며, 제1 발광다이오드(40)와는 별도로 SMPS(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SMPS(30)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빛을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발광다이오드(40)가 외부의 신호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듯이, 제2 발광다이오드(40) 역시 센서(50)의 전원공급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확산액세서리(70)는, 조명몸체(10)의 후방영역의 하부에 마련된 액세서리 거치부(18)에 결합되어 제2 발광다이오드(60)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발광다이오드(60)에서 발광되는 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B)을 따라 확산액세서리(70)로 전달되고, 이어서 또 다른 화살표의 방향(C)을 따라 확산액세서리(70)의 전면부로 확산된다.
본 실시 예의 확산액세서리(70)는, 투명성을 지니는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빛을 확산시키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그 전면의 선반부(7)에 배치되는 각종 물품에 빛을 비춤으로써 심미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액세러리(70)의 전면에는 각종 주방용품 예를 들면 조미료통(5) 등을 진열 및 거치시키는 선반부(7)가 결합되어 각종 주방용품을 거치시킬 수 있다. 선반부(7)는 확산액세서리(70)와 같이 투명성을 지니 는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선반부(7)는 조미료통(5) 등을 진열 및 거치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선반부(7a)는 확산액세서리(70a)에 결합되되 컵(2) 등을 진열 및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방용 조명등(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주방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영역에 조명을 켜기 위하여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센서(50)에 접근 신호를 제공하면 제1 발광다이오드(40) 및 제2 발광다이오드(60)가 켜지게 된다. 제1 발광다이오드(40) 및 제2 발광다이오드(60)에서 발광되는 빛은 바로 작업영역에 조명되는 것이 아니라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제작된 부재들 즉 조명덮개(42)와 확산액세서리(70)를 통해 도 3의 화살표 방향(A, B, C)으로 확산되어 작업영역 및 거치된 주방용품을 조명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제1 발광다이오드(40) 및 제2 발광다이오드(60)가 켜지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접촉식 센서에 직접 접촉을 함으로써 접근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적외선 등과 같은 비접촉식 감지 방법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센서에 접근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전원발생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전원발생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 즉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30, SMPS)는 전원을 발생시킨 후 제1 발광다이오드(40) 및 제2 발광다이오드(6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어서, 제1 발광다이오드(40) 및 제2 발광다이오드(6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40, 60)는 켜지게 된다. 이때 제1 발광다이오드(40)에서 발광되는 빛은 제1 발광다이오드(40) 전방에서 조명몸체(10)에 설치된 아크릴 재질의 조명덮개(42)에 의해 주방의 작업영역으로 확산되고(화살표'A'방향), 제2 발광다이오드(60)에서 발광되는 빛은 조명몸체(10)의 하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확산액세서리(70)로 발광되고(화살표 'B'방향), 확산액세서리(70)는 이 빛을 확산액세서리(70) 전면 및 전방의 일 영역으로 빛을 확산시킨다(화살표'C'방향).
이러한 제1 발광다이오드(40) 및 제2 발광다이오드(60)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해 작업자는 소정의 작업을 밝은 환경 속에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제2 발광다이오드(60)에서 확산액세서리(70)를 통해 조명되는 빛을 통해 선반부(7)에 진열 및 수납되어 있는 주방용품의 위치를 확실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효과까지 더불어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명등(1)은, 주방용 선반에 진열 및 수납되어 있는 물품에 빛을 발광하는 별도의 조명을 마련함으로써 물품의 식별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본 실시 예의 조명몸체가 상부장의 하부벽체에 부착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상부장의 하부벽체 이외에도 적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적절한 장소가 존재할 경우 그 장소에 적용하여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선반에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및 주변의 작업영역을 조명함으로써 전력의 낭비 없이 반영구적으로 밝은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품을 용이하게 식별함은 물론 밝은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조명을 위한 제1 발광다이오드와 별도로 제2 발광다이오드를 마련하고 제2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액세서리를 조명몸체에 설치함으로써, 조명 시에 디자인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8)

  1. 벽체에 설치되는 조명몸체;
    상기 조명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조명몸체에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접근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로의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와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조명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조명몸체의 하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명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액세서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조명등은, 외부로부터 접근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로의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SMPS(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몸체는,
    상기 조명몸체의 전방영역에 설치되어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수용부;
    상기 센서수용부의 후방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SMPS를 수용하는 SMPS 수용부;
    상기 SMPS 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들를 지지시키는 제1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상기 SMPS 수용부의 후방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발광다이오드를 지지시키는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및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 지지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확산액세서리를 거치시키는 액세서리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액세서리는 아크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발광다이오드의 전방에서 상기 조명몸체에 결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아크릴 재질의 조명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주방에 설치된 상부장의 하부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명등.
KR2020060025360U 2006-09-20 2006-09-20 주방용 조명등 KR200434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60U KR200434098Y1 (ko) 2006-09-20 2006-09-20 주방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60U KR200434098Y1 (ko) 2006-09-20 2006-09-20 주방용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098Y1 true KR200434098Y1 (ko) 2006-12-15

Family

ID=4178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60U KR200434098Y1 (ko) 2006-09-20 2006-09-20 주방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0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48Y1 (ko) 2008-06-05 2010-07-28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한 led 조명 기구
KR200451090Y1 (ko) 2009-01-21 2010-11-24 (주)성일솔레드 에스엠피에스가 내장된 엘이디 경관조명등
KR101023784B1 (ko) * 2009-07-14 2011-03-23 (주)대성엘이디 주변부 감응형 엘이디 보안등
KR200454904Y1 (ko) * 2008-12-02 2011-08-03 (주)성일솔레드 엘이디 경관조명등
KR101810890B1 (ko) * 2016-03-16 2017-12-21 박병기 엣지형 led조명등
KR101945775B1 (ko) * 2016-06-03 2019-02-08 정주현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916A (ko) * 2006-01-19 2006-02-03 권대웅 인체감지센서가 내장된 엘이디 센서 램프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916A (ko) * 2006-01-19 2006-02-03 권대웅 인체감지센서가 내장된 엘이디 센서 램프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48Y1 (ko) 2008-06-05 2010-07-28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한 led 조명 기구
KR200454904Y1 (ko) * 2008-12-02 2011-08-03 (주)성일솔레드 엘이디 경관조명등
KR200451090Y1 (ko) 2009-01-21 2010-11-24 (주)성일솔레드 에스엠피에스가 내장된 엘이디 경관조명등
KR101023784B1 (ko) * 2009-07-14 2011-03-23 (주)대성엘이디 주변부 감응형 엘이디 보안등
KR101810890B1 (ko) * 2016-03-16 2017-12-21 박병기 엣지형 led조명등
KR101945775B1 (ko) * 2016-06-03 2019-02-08 정주현 주방가구의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4098Y1 (ko) 주방용 조명등
US20070241259A1 (en) Room light responsive cabinet lighting apparatus
US7152997B1 (en) LED utility light with stand
KR101820859B1 (ko) 엘이디 조명등이 구비된 옷걸이 봉
CN212156723U (zh) 灯组件
WO2008133446A1 (en) Shelf for depositing a keyboard
JP2001250420A (ja) 棚板の照明装置
KR101038590B1 (ko) 음식용 접시
KR102394283B1 (ko) 주광색led 및 전구색led 통합형 조명등 장치
KR101466012B1 (ko) 와인병 거치대
JP2005183222A (ja) 棒状照明具
KR20160069223A (ko) 선반의 조명등장치
WO2020171162A1 (ja) Ledランプ照明付き被服用ハンガー
US8672527B2 (en) Luminous light apparatus
KR200343464Y1 (ko) 조립식 진열대용 선반
RU167182U1 (ru) Зеркало с торцевой подсветкой
CN217885453U (zh) 具有地灯的床头柜
JP3166800U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照明装置
CN215923125U (zh) 一种收纳盒
KR200318319Y1 (ko) 조명겸용 인테리어선반
KR20100003700U (ko) 주방용 조명장치
WO2008141533A1 (fr) Bande de base lumineuse
KR200301663Y1 (ko) 조명 기능을 가진 받침대
KR20090094928A (ko) 조명장치
CN210696944U (zh) 具有发光功能的搁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