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79A - 장어 가죽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장어 가죽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879A
KR20170136879A KR1020160068988A KR20160068988A KR20170136879A KR 20170136879 A KR20170136879 A KR 20170136879A KR 1020160068988 A KR1020160068988 A KR 1020160068988A KR 20160068988 A KR20160068988 A KR 20160068988A KR 20170136879 A KR20170136879 A KR 2017013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eel
leather hides
processing
edg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윤
정희정
Original Assignee
정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윤 filed Critical 정희윤
Priority to KR102016006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879A/ko
Publication of KR2017013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7/00Special leathers and their manufacture
    • C14B7/06Leather webs built up of interengaged strips or pieces, e.g. by bra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58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5/00Apparatus for chemical treatment or washing of hides, skins, or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28Multi-step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5/00Degreasing lea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어로부터 가죽 원피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죽 원피 상에 재단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재단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가죽 원피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가죽 원피의 재단된 나머지 부분인 복수의 엣지(edge)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복수의 엣지부를 상호 나란하게 배치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어 가죽 가공 방법{METHOD OF PROCESSING EEL SKIN}
본 발명은 장어 가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어 가죽 절단 가공 시 버려지는 엣지(edge)를 새로운 원단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죽의 원료가 되는 동물피는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성되고, 상피층은 탈지처리 등의 전처리 과정 중에 제거되어 진피층만이 가죽이 된다.
다양한 가죽 원료 중, 우피나 양피 등과 같이 포유류 동물로부터 산출된 가죽과 달리 장어류로부터 얻어지는 가죽은 진피층이 얇기 때문에 촉감이 부드러워 소비자의 선호도가 좋다.
장어는 민물장어(뱀장어 또는 풍천장어), 곰장어(먹장어), 붕장어(아나고) 및 갯장어(참장어, 바닷장어 또는 하모)로 대분된다.
이중, 뱀장어와 곰장어는 동일한 장어류에 속하지만 뱀장어에는 등지느러미가 있어서 가죽으로 제조되면 지느러미가 부착되어 있던 부위가 갈라지는 반면, 곰장어는 등지느러미가 없어서 가죽으로 제조한 상태에서 중앙부에 파형의 독특한 무늬가 생성되어 심미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곰장어의 가죽 가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리된 곰장어 원피는 세척하여 드럼 내에서 석회수에 침적시켜 불필요한 지방이나 단백질 등을 제거하는 탈지공정을 수행하고, 이를 다시 물과 활성제 등을 투입하여 처리한 후 깨끗이 세척한 후, 드럼 내에서 원피 속에 침투된 석회 및 지방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탈회공정을 수행하고, 이 원피를 개미산 등으로 산 처리하는 침산공정 및 크롬염을 투입하여 염색 처리하고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직사각형 패널 등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로 재단함으로써 장어 가죽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 패널 등을 이용하여 재단하는 과정에서 엣지(edge) 부분이 폐기 처분되어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특허등록 10-1069715호(2011.10.04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어 가죽 가공 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은 장어로부터 가죽 원피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죽 원피 상에 재단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재단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가죽 원피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가죽 원피의 재단된 나머지 부분인 복수의 엣지(edge)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복수의 엣지부를 상호 나란하게 배치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엣지부의 서로 인접하는 일부분이 접합되어 절곡되도록 하고, 상기 접합된 부분을 세워 이어박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죽 원피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장어의 불필요한 지방 및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지 공정 및 수성염색을 위한 염색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가죽 원피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가죽 원피를 60℃ 내지 70℃에서 가열 및 수세 공정을 수행한 후 자연광에서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엣지부를 상기 모재 상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하여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모재는 노방 또는 데님 원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합된 부분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시켜 다림질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은 장어 가죽 가공 시 발생되는 엣지부를 수집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생산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 원단에 이종 소재를 이어 박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 색상으로 제조한 가죽 원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 색상으로 제조한 가죽 원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진행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 원단에 이종 소재를 이어 박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 색상으로 제조한 가죽 원단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 색상으로 제조한 가죽 원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어 가죽 가공 방법은 가죽 원피 추출(S100), 가죽 원피에 재단판 배치(S110), 가죽 원피 재단(S120), 엣지부 수집(S130) 및 엣지부 접합(S140)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가죽 원피 추출은 장어 한 마리마다 껍질을 벗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장어 한 마리 마다 등선의 무늬를 갖고 있으며 배를 절개하여 껍질을 벗기는 방법으로 가죽 원피가 추출될 수 있다. (S100) 여기서, 장어는 절개된 부분에는 숨쉬는 구멍이 나열되어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장어의 고기와 표지(가죽 원피)를 분리시킨 다음 가죽 원피(100)만 모아서 가죽 원피 처리용 드럼에 넣고, 세척한 다음, 석회수를 드럼에 넣어 충분히 침적시킨 뒤 가죽 원피(100)를 인출하여 원피에 붙어 있는 지방이나 불필요한 단백질 등을 제거하는 탈지(脫脂) 작업을 하게 된다.
지방을 제거한 가죽 원피(100)는 다시 드럼에 넣어서 물과 활성제 등을 투입하여 처리하고 세척한 다음, 석회 및 잔여 지방을 제거하는 탈회(脫灰) 작업을 하고 난 후, 개미산 등으로 산(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후, 60℃ 내지 70℃에서 수성 염색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5℃에서 수성 염색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60℃ 내지 70℃에서 가열 및 수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염색이 완료된 가죽 원피를 얻을 수 있으며, 자연광에서 3일 내지 4일 동안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 원피(100) 상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재단판(200)을 배치한다. (S110) 여기서, 작업자가 재단판(200)을 한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별도의 절단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다. (S120) 여기서, 재단판(200)은 절단 부재의 날부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갖는 판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재단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 부재에 의해 재단된 엣지부(100a, 100b)를 가죽 원피(100)로부터 분리시켜 복수의 엣지부(100a, 100b)를 수집한다. (S130) 이때, 남겨지는 가죽 원피(100)의 엣지(edge)부는 대략 2mm~5mm 정도로 불규칙하게 남게 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된 복수의 엣지부(100a, 100b)를 나란하게 배치시켜 상호 인접하는 엣지부(100a, 100b)를 접합시킨다. (S140) 이때, 엣지부(100a, 100b)의 외곽은 불규칙하므로 최대한 상호 인접하는 일부분이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인접하는 엣지부(100a, 100b)의 오버랩되는 부분을 재봉하여 이어 붙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엣지부(100a, 100b)를 세로로 세워 이어박기를 수행함으로써 가죽 원단(101)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엣지부(100a, 100b)의 접합된 부분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시켜 다림질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디자인 소재 부착이 가능하도록 평탄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더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소재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즉, 가죽 원피의 엣지부마다 이종의 모재와 혼합하여 재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 박기 공정이 수행된 가죽 원피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여질 수 있으며, 특히 도 10은 동일한 색상의 가죽 원피가 재봉된 상태이고, 도 11은 다양한 색상의 가죽 원피가 재봉된 상태를 나타낸다.
가죽 원피(100)는 얇기 때문에 구멍이 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재(11) 상에 나란하게 배치하여 재봉할 수도 있다. 이때 얇은 원단 제작에 사용되는 BROTHER社 모델명 DB2-B737로 제작할 수 있고, 재봉 바늘로는 얇은 가죽에 사용될 수 있는 바늘로서, 11호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봉재 용도에 따라 재봉용 바늘은 샤프 포인트(sharp point; 바늘 끝부분은 둥근 모양이며 소재의 바탕실을 나누어 실과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바늘)를 사용할 수 있다. 실은 일반 가방에는 폴리실을 사용하지만 장어 가죽은 얇으므로 면실 10합 코아사를 사용할 수 있다.
모재(11)는 노방 또는 데님 원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노방은 가죽의 느낌과 흡사한 고시감(hardness; 풀먹인 것처럼 뻣뻣한 느낌)이 있으며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후 정련하지 않은 비단실인 생사(生絲)를 경사ㅇ위사로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견직물로, 정련하지 않았기 때문에 빳빳한 촉감을 갖는 특성이 있다. 또한, 노방을 식서 방향으로 장어 엣지부 크기만큼 가윗밥을 내어 손으로 찢어서 올 풀린 느낌을 최대한 살려(평직 원단에서만 표현이 가능함)주며 장어 가죽의 엣지부 느낌과 비슷하고 자연스러우면서도 빈티지 느낌이 나도록 표현할 수 있다.
현재 장어의 가죽 원단(101)의 표면가공 수준은 Polyurethane(PU) 코팅수지를 이용한 다이렉트 코팅방식(2-Step finishing)으로 초기의 호일(Foil)가공에 비해 우수한 스크레치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되고 Washing 공정 이후에는 더욱 실제 가죽표면과 유사한 질감을 나타내는 수준까지 왔으나 소재의 다양한 접목을 통한 심미성 발현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공예적 텍스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종소재의 결합, 펀칭, 레이어링등의 기법이 가죽표면에 발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최근 섬유에서 주로 활용되는 박막필름을 활용한 라미네이팅 가공(3-Step finishing)이 적합하다.
즉, 제1 공정에서는 호일 가공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공정에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가공을 통해 호일 가공에 의한 스크래치 및 마모에 취약하고 인조 가죽 느낌에 의해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제3 공정에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가공을 통해 이종 소재의 접착이 가능한 표면을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텍스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스 및 망사 등을 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단, 섬유에서의 라미네이팅 공정을 기초로 장어의 열적특성, 수축률, 강도 등을 고려한 장어가죽용 3-Step finishing 라미네이팅 최적조건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PU가공 제품에서만 머물러있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 폭의 향상과 스크래치/마모 개선으로 상품경쟁력을 높인 3단계 PE 가공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죽 원피
100a, 100b: 엣지부
101: 가죽 원단
200: 재단판

Claims (7)

  1. 장어로부터 가죽 원피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죽 원피 상에 재단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재단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가죽 원피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가죽 원피의 재단된 나머지 부분인 복수의 엣지(edge)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복수의 엣지부를 상호 나란하게 배치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엣지부의 서로 인접하는 일부분이 접합되어 절곡되도록 하고, 상기 접합된 부분을 세워 이어박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 원피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장어의 불필요한 지방 및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지 공정; 및
    수성염색을 위한 염색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가죽 원피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 원피를 60℃ 내지 70℃에서 가열 및 수세 공정을 수행한 후 자연광에서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엣지부를 상기 모재 상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노방 또는 데님 원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된 부분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시켜 다림질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가죽 가공 방법.
KR1020160068988A 2016-06-02 2016-06-02 장어 가죽 가공 방법 KR20170136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88A KR20170136879A (ko) 2016-06-02 2016-06-02 장어 가죽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88A KR20170136879A (ko) 2016-06-02 2016-06-02 장어 가죽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79A true KR20170136879A (ko) 2017-12-12

Family

ID=6094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988A KR20170136879A (ko) 2016-06-02 2016-06-02 장어 가죽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8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95211B (zh) 具有改善特性的菌丝体材料的产生方法
CN109310176A (zh) 越过缝线的印刷
US2022013299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ootwear
CN104720169A (zh) 一种竹编时装的制备工艺
CN113423301B (zh) 基于皮革的鞋类
KR101825554B1 (ko) 악어가죽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방 제조방법
CN104630393A (zh) 利用绒山羊原料皮制作羊绒毛皮的方法以及羊绒毛皮
KR101000079B1 (ko) 아플리케용 부착물의 제조방법
KR20170136879A (ko) 장어 가죽 가공 방법
CN108265397A (zh) 鞋材装饰用再生皮基布制备方法
CN116446188A (zh) 用于制备成品皮革替代品的方法
EP3041962B1 (en) Tanning process for producing leather with high elastic properties and leather obtained
DK180833B1 (en) Leather footwear
WO2019223019A1 (zh) 蚕茧配饰及其制作方法
KR200481573Y1 (ko) 나전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직된 나전직 원단
JPH05186904A (ja) 板状繭の製造方法及び繭布
KR101581411B1 (ko) 식물성 텐닝 약품을 사용하는 가죽 제조 방법
US4660363A (en) Method of making fur bearing strands
CN108284651B (zh) 复合层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723672B (zh) 一种仿蕾丝鞋面的制作工艺
KR102016539B1 (ko) 코팅 처리된 내피 악어가죽을 재활용한 악어가죽의 제조방법
CA1235916A (en) Method of making fur bearing strands
JPH08311500A (ja) 牛・豚等鞣革製ジーンズ及びその製造法
CN207044826U (zh) 复合层材料
RU208419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ме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