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661A - 적층 세라믹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661A
KR20170135661A KR1020170027659A KR20170027659A KR20170135661A KR 20170135661 A KR20170135661 A KR 20170135661A KR 1020170027659 A KR1020170027659 A KR 1020170027659A KR 20170027659 A KR20170027659 A KR 20170027659A KR 20170135661 A KR20170135661 A KR 20170135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de
multilayer ceramic
ceramic capacitor
length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135B1 (ko
Inventor
다까시 사사끼
도시야 구지
쇼따 야지마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48Terminals the terminals embracing or surrounding the capacitive element, e.g.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폭>길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의 각각에 부착된 제1 부분과 적어도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에 회전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실장 불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이,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이 가장 크고, 또한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의 길이 L22가 가장 작고,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로부터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을 향해 서서히 길이가 작아지는 외형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본 발명은 폭>길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의 각각에 부착된 제1 부분과 적어도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길이와 폭과 높이에 따라 사이즈가 정해져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일반적으로 길이>폭의 관계를 갖고 있고,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ESL(등가 직렬 인덕턴스)을 저감하기 위해, 폭>길이의 관계를 갖는 LW 역전 타입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높이를 작게 하기 위해,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의 각각에 부착된 제1 부분과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외부 전극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
여기서, 도 1을 사용하여, 후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항목에서 설명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비교예로서, 폭>길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의 각각에 부착된 제1 부분과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길이, 폭, 높이의 각각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길이, 폭, 높이라고 표기한다.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길이 L10과 폭 W10과 높이 H10이 폭 W10>길이 L10>높이 H10의 관계를 갖고 있다.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콘덴서 본체(11)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 설치된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본체(11)는 복수의 내부 전극층(11a)이 유전체층(11b)을 통해 적층된 용량부와, 용량부의 폭 방향 양측과 높이 방향 양측을 덮는 유전체 마진부를 갖고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층(11a)의 단부 테두리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에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12)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일 면[도 1의 (C)의 좌측면]에 부착된 제1 부분(12a)과 높이 방향 일 면[도 1의 (C)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부분(12b)이 연속된 형태를 갖고 있다. 제2 외부 전극(13)은 콘덴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다른 면[도 1의 (C)의 우측면]에 부착된 제1 부분(13a)과 높이 방향 일 면[도 1의 (C)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부분(13b)이 연속된 형태를 갖고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폭 W10>길이 L10의 관계를 갖고, 또한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 제1 외부 전극(12)과 제2 외부 전극(1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길이>폭의 관계를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비해,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 상승 현상(맨해튼 현상 또는 툼스톤 현상이라고도 칭해지고 있음)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이 상승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외부 전극(12)의 제2 부분(12b)과 제2 외부 전극(13)의 제2 부분(13b)의 길이 방향 간격 CL10을, 제2 부분(12b 및 13b)의 길이 L11보다도 최대한 작게 하고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중의 CP1은 제1 외부 전극(12)의 제2 부분(12b)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제1 도체 패드, CP2는 제2 외부 전극(13)의 제2 부분(13b)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제2 도체 패드이다. 제1 도체 패드 CP1의 길이 및 폭은 제1 외부 전극(12)의 제2 부분(12b)의 길이 L11 및 폭 W10[도 1의 (B)를 참조]에 대략 일치하고, 제2 도체 패드 CP2의 길이 및 폭은 제2 외부 전극(13)의 제2 부분(13b)의 길이 L11 및 폭 W10[도 1의 (B)를 참조]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우선, 제1 도체 패드 CP1의 표면과 제2 도체 패드 CP2의 표면에 크림 땝납 등의 크림상 접합재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제1 외부 전극(12)의 제2 부분(12b)과 제2 외부 전극(13)의 제2 부분(13b)의 각각이, 도포된 크림상 접합재에 접촉하도록 회로 기판에 탑재한다. 계속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가 탑재된 회로 기판을 리플로우로에 투입하고, 제1 외부 전극(12)의 주로서 제2 부분(12b)을 제1 도체 패드 CP1에 접합하고, 제2 외부 전극(13)의 주로서 제2 부분(13b)을 제2 도체 패드 CP2에 접합한다.
상기 탑재 시에, 적층 세라믹 콘덴서(10)가 이상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도 2의 +Dl 및 -Dl을 참조)이나 폭 방향(도 2의 +Dw 및 -Dw를 참조)으로 다소 어긋난 상태가 되어도, 상기 접합 시의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도 2 중앙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하고, 그 위치가 도 2에 나타낸 정상적인 위치로 자동으로 수정된다.
그런데, 상기 탑재 시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가 이상 위치로부터 회전 방향(도 3의 +θ 및 -θ를 참조)으로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이 회전 어긋남의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탑재용 흡착 노즐로 흡착한 후의 반송 과정에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탑재용 흡착 노즐로 흡착한 상태에서 흡착 노즐과 적층 세라믹 콘덴서(10)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이나, 탑재용 흡착 노즐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흡착할 때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피흡착 개소의 표면 요철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상승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제1 외부 전극(12)의 제2 부분(12b)과 제2 외부 전극(13)의 제2 부분(13b)의 길이 방향 간격 CL10을, 제2 부분(12b 및 13b)의 길이 L11보다도 최대한 작게 하고 있다. 그로 인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탑재 시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회전 어긋남(도 3에서는 약 15도의 회전 어긋남)이 발생하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1 외부 전극(12)의 제2 부분(12b)이 제2 도체 패드 CP2에 접촉하여 실장 불량을 발생시켜 버린다. 덧붙여 말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 어긋남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발생하면, 이 회전 어긋남을 상기 접합 시의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 수정할 수는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271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28481호 공보
본 발명은 폭>길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의 각각에 부착된 제1 부분과 적어도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에 회전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실장 불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폭>길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1 부분과 적어도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제1 외부 전극과,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다른 면에 부착된 제1 부분과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제2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이며, 상기 길이를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길이, 상기 폭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폭이라고 표기했을 때,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은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가 가장 크고, 또한 폭 방향 단부 테두리 각각의 길이가 가장 작고, 상기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 단부 테두리 각각을 향해 서서히 길이가 작아지는 외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의하면,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에 회전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실장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비교예를 나타내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저면도, 도 1의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제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제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저면도.
도 5의 (A)는 도 1의 (A)의 S21-S21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주요부 확대도, 도 5의 (C)는 도 1의 (A)의 S22-S22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제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제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A)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8의 (B)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9의 (A)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9의 (B)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10은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11의 (A)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11의 (B)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12의 (A)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8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12의 (B)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9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의 (B)의 대응도.
도 13의 (A)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10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의 (A)의 대응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주요부 확대도.
도 14의 (A)는 도 4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1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의 (A)의 대응도,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제1 주요부 확대도, 도 14의 (C)는 도 14의 (A)의 제2 주요부 확대도.
우선,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길이, 폭, 높이의 각각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길이, 폭, 높이라고 표기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길이 L20과 폭 W20과 높이 H20이 폭 W20>길이 L20>높이 H20의 관계를 갖고 있다.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콘덴서 본체(21)와,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 설치된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본체(21)는 복수의 내부 전극층(21a)이 유전체층(21b)을 통해 적층된 용량부(부호 생략)와, 용량부의 폭 방향 양측과 높이 방향 양측을 덮는 유전체 마진부(부호 생략)를 갖고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층(21a)은 대략 동일한 직사각 형상 외형과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이들 단부 테두리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제1 외부 전극(22)의 제1 부분(22a)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a)에 교대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총 8의 내부 전극층(21a)을 도시하고 있지만, 내부 전극층(21a)의 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콘덴서 본체(21)의 내부 전극층(21a)을 제외한 부분의 주성분은, 예를 들어 티타늄산바륨, 티타늄산스트론튬, 티타늄산칼슘, 티타늄산마그네슘, 지르콘산칼슘, 티타늄산지르콘산칼슘, 지르콘산바륨, 산화티타늄 등의 유전체 재료(유전체 세라믹 재료)이다. 또한, 각 내부 전극층(21a)의 주성분은, 예를 들어 니켈, 구리, 팔라듐, 백금, 은, 금,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이다.
제1 외부 전극(22)은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일 면[도 5의 (A)의 좌측면]에 부착된 제1 부분(22a)과 높이 방향 일 면[도 5의 (A)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부분(22b)이 연속된 형태를 갖고 있다. 제2 외부 전극(23)은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다른 면[도 5의 (A)의 우측면]에 부착된 제1 부분(23a)과 높이 방향 일 면[도 5의 (A)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부분(23b)가 연속된 형태를 갖고 있다. 도 5의 (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높이 H20을 작게 하기 위해,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의 두께는 제1 부분(22a)의 두께보다도 얇고,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두께는 제1 부분(23a)의 두께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의 층 구조를 도 5의 (B)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외부 전극(22 및 23)은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일 면과 다른 면의 각각에 밀착한 제1 하지막(f1)과,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과 제1 하지막(f1)에 밀착한 제2 하지막(f2)과, 제1 하지막(f1)과 제2 하지막(f2)의 외면에 밀착한 표면막(f3)을 갖고 있다.
제1 하지막(f1)의 주성분은, 예를 들어 니켈, 구리, 팔라듐, 백금, 은, 금,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이고, 바람직하게는 베이킹막이다. 제2 하지막(f2)의 주성분은, 예를 들어 구리, 니켈, 백금, 팔라듐, 금,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이고, 바람직하게는 베이킹막 또는 건식 도금막이다. 표면막(f3)의 주성분은, 예를 들어 구리, 니켈, 주석, 팔라듐, 금, 아연, 이들의 합금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습식 도금막 또는 건식 도금막이다. 또한, 표면막(f3)은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로 해도 되고, 3층 구조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양 하지막(f1 및 f2)의 외면에 습식 도금법에 의해 구리막과 니켈막과 주석막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층 구조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양 하지막(f1 및 f2)의 외면에 습식 도금법에 의해 니켈막과 주석막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의 (A)를 사용하여,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2 부분(22b 및 23b)의 외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높이 방향 일 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제2 부분(22b 및 23b) 각각의 외형은 대략 육각형이다. 제2 부분(22b 및 23b)의 각각은 길이 L21이 가장 큰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와,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길이 L22가 가장 작은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을 향해 길이(부호 생략)가 서서히 작아지는 2개의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를 연속해서 갖고 있다.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외측 테두리는 직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직선」은 곧은 선이나, 다소의 기복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직선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각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의 외측 테두리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해 볼록한 곡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곡선」은 단일의 곡률 반경을 갖지 않는 곡선이나, 단일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이나, 구부러짐이 일정하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곡선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부분(22b 및 23b)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방향 간격 CL20은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보다도 작다. 또한, 제2 부분(22b 및 23b)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폭 W21은, 바람직하게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폭 W20의 1/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폭 W20의 1/3 이상 11/12 이하이다. 또한, 제2 부분(22b 및 23b)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의 2/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의 1/8 이상 2/3 이하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시작품의 하나에 기초하여 그려져 있으므로,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2 부분(22b 및 23b)의 외형의 이해를 촉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 시작품에 있어서의 각 치수를 이하에 나타낸다.
시작품(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길이 L20은 600㎛, 폭 W20은 1000㎛, 높이 H20은 125㎛이다.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2 부분(22b 및 23b)의 외형에 관한 치수는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이 230㎛, 각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가 100㎛,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폭 W21이 640㎛, 각 폭 방향 단부(22)의 폭 W22가 180㎛이다. 또한,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2 부분(22b 및 23b)의 길이 방향 간격 CL20은 140㎛이다. 또한,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1 부분(22a 및 23a)의 두께는 40㎛, 제2 부분(22b 및 23b)의 두께는 10㎛이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제조 방법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제조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콘덴서 본체(21)의 내부 전극층(21a)을 제외한 부분의 주성분이 티타늄산바륨이고, 내부 전극층(21a)의 주성분이 니켈이고,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1 하지막(f1)의 주성분이 니켈, 제2 하지막(f2)의 주성분이 니켈, 표면막(f3)의 주성분이 주석인 경우에는, 우선, 티타늄산바륨 분말과 유기 용제와 유기 바인더와 분산제 등을 함유한 세라믹 슬러리와, 니켈 분말과 유기 용제와 유기 바인더와 분산제 등을 함유한 내부 전극 페이스트와, 니켈 분말과 티타늄산바륨 분말(공재)과 유기 용제와 유기 바인더와 분산제 등을 함유한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계속해서, 캐리어 필름의 표면에 세라믹 슬러리를 도공하여 건조함으로써 제1 시트를 제작한다. 또한, 이 제1 시트의 표면에 내부 전극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건조함으로써, 내부 전극층 패턴군이 형성된 제2 시트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1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위 시트를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하여 열 압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높이 방향 한쪽의 유전체 마진부에 대응한 부위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2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위 시트(내부 전극층 패턴군을 포함함)를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하여 열 압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용량부에 대응한 부위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1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위 시트를 소정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하여 열 압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높이 방향 다른 쪽의 유전체 마진부에 부위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적층된 전체를 본 열 압착함으로써, 미소성 적층 시트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미소성 적층 시트를 격자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콘덴서 본체(21)에 대응한 미소성 콘덴서 본체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딥이나 롤러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미소성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양 단부면 각각에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미소성 제1 하지막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롤러 도포나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미소성 제1 하지막을 갖는 미소성 콘덴서 본체의 높이 방향 일 면의 양단부 각각에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미소성 제2 하지막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미소성 제1 하지막 및 미소성 제2 하지막을 갖는 미소성 콘덴서 본체를 소성로에 투입하고, 환원 분위기 하에서, 또한 티타늄산바륨과 니켈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로 복수개 일괄적으로 소성하여(탈바인더 처리와 소성 처리를 포함함), 각 외부 전극의 제1 하지막[니켈, 도 5의 (B)의 f1을 참조]과 제2 하지막[니켈, 도 5의 (B)의 f2를 참조]을 갖는 콘덴서 본체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1 하지막 및 제2 하지막을 갖는 콘덴서 본체에 있어서의 제1 하지막과 제2 하지막의 외면에, 전해 도금에 의해, 각 외부 전극의 표면막[주석, 도 5의 (B)의 f3을 참조]을 제작한다.
또한, 각 외부 전극의 제1 하지막[도 5의 (B)의 f1을 참조]과 제2 하지막[도 5의 (B)의 f2를 참조]은 미소성 콘덴서 본체에 소성 처리를 실시하여 얻은 콘덴서 본체에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건조하고, 이것에 베이킹 처리를 실시하여 제작해도 된다. 덧붙여 말하면, 콘덴서 본체(21)의 내부 전극층(21a)을 제외한 부분의 주성분이 티타늄산바륨 이외의 유전체 재료여도 되는 것, 내부 전극층(21a)의 주성분이 니켈 이외의 금속 재료여도 되는 것,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1 하지막(f1)의 주성분이 니켈 이외의 금속 재료여도 되는 것, 제2 하지막(f2)의 주성분이 니켈 이외의 금속 재료여도 되는 것, 표면막(f3)의 주성분이 주석 이외의 금속 재료여도 되는 것, 표면막(f3)을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로 해도 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 중의 CP1은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제1 도체 패드, CP2는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제2 도체 패드이다. 이들 도체 패드 CP1 및 CP2는 도 2 및 도 3에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즉, 제1 도체 패드 CP1의 길이 및 폭은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의 길이 L21 및 폭 W20[도 4의 (B)를 참조]에 대략 일치하고, 제2 도체 패드 CP2의 길이 및 폭은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길이 L21 및 폭 W20[도 4의 (B)를 참조]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우선, 제1 도체 패드 CP1의 표면과 제2 도체 패드 CP2의 표면에 크림 땝납 등의 크림상 접합재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13b)의 각각이, 도포된 크림상 접합재에 접촉하도록 회로 기판에 탑재한다. 계속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가 탑재된 회로 기판을 리플로우로에 투입하고, 제1 외부 전극(22)의 주로서 제2 부분(22b)을 제1 도체 패드 CP1에 접합하고, 제2 외부 전극(23)의 주로서 제2 부분(23b)을 제2 도체 패드 CP2에 접합한다.
상기 탑재 시에, 적층 세라믹 콘덴서(20)가 이상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도 6의 +Dl 및 -Dl을 참조)이나 폭 방향(도 6의 +Dw 및 -Dw를 참조)으로 다소 어긋난 상태가 되어도, 상기 접합 시의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도 6의 중앙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하고, 그 위치가 도 6에 나타낸 정상적인 위치로 자동으로 수정된다.
그런데, 상기 탑재 시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20)가 이상 위치로부터 회전 방향(도 7의 +θ 및 -θ를 참조)으로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이 회전 어긋남의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탑재용 흡착 노즐로 흡착한 후의 반송 과정에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탑재용 흡착 노즐로 흡착한 상태에서 흡착 노즐과 적층 세라믹 콘덴서(20)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이나, 탑재용 흡착 노즐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흡착할 때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피흡착 개소의 표면 요철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이,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이 가장 크고, 또한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의 길이 L22가 가장 작고,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로부터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을 향해 서서히 길이가 작아지는 외형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탑재 시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에 회전 어긋남(도 7에서는 약 15도의 회전 어긋남, 도 3에 나타낸 회전 어긋남과 동일함)이 발생해도,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이 제2 도체 패드 CP2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즉, 상기 탑재 시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20)가, 도 3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와 동일한 각도의 회전 어긋남이 발생해도, 실장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 어긋남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에 발생해도, 이 회전 어긋남은 상기 접합 시의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이,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이 가장 크고, 또한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의 길이 L22가 가장 작고,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로부터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 각각을 향해 서서히 길이가 작아지는 외형을 갖고 있다. 즉,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비해,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의 회전 어긋남에 대한 허용 능력이 높기 때문에,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 회전 어긋남에 기인한 실장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방향 간격 CL20이,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즉,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높이 H20이 작아지거나 질량이 저하되거나 해도,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 상승 현상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폭 W21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폭 W20의 1/3 이상이 되어 있다. 즉,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의 면적 감소를 최대한 억제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실장 시에 있어서의 접속의 고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덧붙여 말하면, 각 내부 전극층(21a)의 폭을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폭 W21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항절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가,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22b1 및 23b1)의 길이 L21의 2/3 이하가 되어 있다. 즉,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의 회전 어긋남에 대한 허용 능력을 보다 높이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회로 기판에 실장할 때에 회전 어긋남에 기인한 실장 불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4를 사용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제1 변형예 내지 제11 변형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이들 제1 변형예 내지 제11 변형예를 채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제1 변형예> 도 8의 (A)에 나타낸 제1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의 폭 W22를, 도 4의 (B)에 나타낸 폭 W22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제2 변형예> 도 8의 (B)에 나타낸 제2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의 폭 W22를, 도 4의 (B)에 나타낸 폭 W22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제3 변형예> 도 9의 (A)에 나타낸 제3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를, 도 4의 (B)에 나타낸 길이 L22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제4 변형예> 도 9의 (B)에 나타낸 제4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를, 도 4의 (B)에 나타낸 길이 L22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제5 변형예> 도 10에 나타낸 제5 변형예는 도 4의 (B)에 나타낸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의 외측 테두리를, 직선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이 「직선」은 곧은 선이나, 다소의 기복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직선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제6 변형예> 도 11의 (A)에 나타낸 제6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의 폭 W22를, 도 10에 나타낸 폭 W22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제7 변형예> 도 11의 (B)에 나타낸 제7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22b2 및 23b2)의 폭 W22를, 도 10에 나타낸 폭 W22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제8 변형예> 도 12의 (A)에 나타낸 제8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를, 도 10에 나타낸 길이 L22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제9 변형예> 도 12의 (B)에 나타낸 제9 변형예는 제1 외부 전극(22)의 제2 부분(22b)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2 부분(23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폭 방향 단부 테두리(22b3 및 23b3)의 길이 L22를, 도 10에 나타낸 길이 L22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제10 변형예> 도 13에 나타낸 제10 변형예는 도 5의 (A)에 나타낸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에 비해, 제1 외부 전극(22)의 제1 부분(22a)과 제2 외부 전극(23)의 제1 부분(23a)의 각각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다른 면[도 13의 (A)의 상면]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의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의 층 구조는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제1 하지막(f1)은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일 면과 다른 면의 각각에 밀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 높이 방향 양단부가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도 13의 (A)의 하면 및 상면]보다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지막(f2)은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과 제1 하지막(f1)에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표면막(f3)은 제1 하지막(f1)과 제2 하지막(f2)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1 부분(22a 및 23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위는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다른 면[도 13의 (A)의 상면]에 인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표면막(f3)은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로 해도 된다.
<제11 변형예> 도 14에 나타낸 제11 변형예는 도 5의 (A)에 나타낸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에 비해, 제1 외부 전극(22)이,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일 면[도 14의 (A)의 좌측면]에 부착된 제1 부분(22a)과, 높이 방향 일 면[도 14의 (A)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부분(22b)과, 높이 방향 다른 면[도 14의 (A)의 상면]에 부착된 제2 부분(22b)이 연속된 형태로 되어 있고, 이것과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23)이, 콘덴서 본체(21)의 길이 방향 다른 면[도 14의 (A)의 우측면]에 부착된 제1 부분(23a)과, 높이 방향 일 면[도 14의 (A)의 하면]에 부착된 제2 부분(23b)과, 높이 방향 다른 면[도 14의 (A)의 상면]에 부착된 제2 부분(23b)이 연속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의 각각은 2개의 제2 부분(22b 및 23b)을 갖고 있다.
이 경우의 제1 외부 전극(22)과 제2 외부 전극(23)의 층 구조는 도 14의 (B) 또는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도 14의 (B)에서는 제1 하지막(f1)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도 14의 (A)의 하면 및 상면]보다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한쪽의 제2 하지막(f2)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과 제1 하지막(f1)의 높이 방향 일 면[도 14의 (B)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제2 하지막(f2)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다른 면과 제1 하지막(f1)의 높이 방향 다른 면[도 14의 (B)의 상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표면막(f3)이 제1 하지막(f1)과 2개의 제2 하지막(f2)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1 부분(22a 및 23a)의 길이는 한쪽의 길이보다도 다른 쪽의 길이가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표면막(f3)은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4의 (C)에서는 제1 하지막(f1)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 및 다른 면[도 14의 (A)의 하면 및 상면]보다도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한쪽의 제2 하지막(f2)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일 면과 제1 하지막(f1)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의 제2 하지막(f2)이 콘덴서 본체(21)의 높이 방향 다른 면과 제1 하지막(f1)에 밀착하도록 형성되고, 표면막(f3)이 제1 하지막(f1)과 2개의 제2 하지막(f2)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제1 부분(22a 및 23a)의 길이는 한쪽의 길이보다도 다른 쪽의 길이가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외부 전극(22 및 23)의 표면막(f3)은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로 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 도 4 및 도 5에는 길이 L20이 600㎛, 폭 W20이 1000㎛, 높이 H20이 125㎛인 시작품의 하나에 기초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20)를 그리고 있지만,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길이 L20을 300㎛, 폭 W20을 600㎛, 높이 H20을 125㎛로 해도 되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20)의 길이 L20을 200㎛, 폭 W20을 400㎛, 높이 H20을 125㎛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각 외부 전극의 제2 부분의 외형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길이와 폭과 높이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20 : 적층 세라믹 콘덴서
21 : 콘덴서 본체
21a : 내부 전극층
21b : 유전체층
22 : 제1 외부 전극
22a : 제1 외부 전극의 제1 부분
22b : 제1 외부 전극의 제2 부분
22b1 : 제2 부분의 폭 방향 중앙부
22b2 : 제2 부분의 폭 방향 단부
22b3 : 제2 부분의 폭 방향 단부 테두리
23 : 제2 외부 전극
23a : 제2 외부 전극의 제1 부분
23b : 제2 외부 전극의 제2 부분
23b1 : 제2 부분의 폭 방향 중앙부
23b2 : 제2 부분의 폭 방향 단부
23b3 : 제2 부분의 폭 방향 단부 테두리
L20 :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길이
L21 :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제2 부분의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
L22 :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제2 부분의 폭 방향 단부 테두리 각각의 길이
W20 :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폭
W21 :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제2 부분의 폭 방향 중앙부의 폭
W22 :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제2 부분의 폭 방향 단부 각각의 폭
CL20 : 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의 제2 부분의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 방향 간격

Claims (5)

  1. 폭>길이의 관계를 갖고, 또한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1 부분과 적어도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제1 외부 전극과, 콘덴서 본체의 길이 방향 다른 면에 부착된 제1 부분과 높이 방향 일 면에 부착된 제2 부분이 연속된 형태의 제2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길이를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길이, 상기 폭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를 폭이라고 표기했을 때,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은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가 가장 크고, 또한 폭 방향 단부 테두리 각각의 길이가 가장 작아지는 외형을 갖고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은 상기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 단부 테두리 각각을 향해 길이가 작아지는 외형을 갖고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 방향 간격은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보다도 작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중앙부의 폭은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상기 폭의 1/3 이상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단부 테두리의 길이는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의 2/3 이하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0170027659A 2016-05-30 2017-03-03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337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7068A JP6577906B2 (ja) 2016-05-30 2016-05-30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JP-P-2016-107068 201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661A true KR20170135661A (ko) 2017-12-08
KR102337135B1 KR102337135B1 (ko) 2021-12-09

Family

ID=6041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659A KR102337135B1 (ko) 2016-05-30 2017-03-03 적층 세라믹 콘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99170B2 (ko)
JP (1) JP6577906B2 (ko)
KR (1) KR102337135B1 (ko)
CN (1) CN107452505B (ko)
HK (1) HK1243821A1 (ko)
TW (1) TWI708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7893B2 (ja) * 2017-09-25 2022-02-09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7107712B2 (ja) * 2018-03-19 2022-07-27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82926B2 (ja) * 2018-07-17 2022-12-05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102561932B1 (ko) * 2018-08-29 2023-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커패시터 부품
JP2020184593A (ja) * 2019-05-09 2020-11-12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226161B2 (ja) 2019-07-17 2023-0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20190116186A (ko) * 2019-09-23 201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JP2022090195A (ja) * 2020-12-07 2022-06-17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実装基板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23047645A (ja) * 2021-09-27 2023-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20230103495A (ko) * 2021-12-31 2023-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254A (ja) * 2001-03-22 2002-09-27 Tdk Corp 表面実装型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6173270A (ja) * 2004-12-14 2006-06-29 Tdk Corp チップ型電子部品
JP2009027148A (ja) 2007-06-18 2009-02-05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5228481A (ja) 2014-05-09 2015-12-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204B2 (ja) * 2006-03-10 2010-03-17 Tdk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267583B2 (ja) * 2011-01-21 2013-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254A (ja) * 2001-03-22 2002-09-27 Tdk Corp 表面実装型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6173270A (ja) * 2004-12-14 2006-06-29 Tdk Corp チップ型電子部品
JP2009027148A (ja) 2007-06-18 2009-02-05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5228481A (ja) 2014-05-09 2015-12-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8273B (zh) 2020-10-21
CN107452505B (zh) 2020-11-24
US20170345572A1 (en) 2017-11-30
JP2017216268A (ja) 2017-12-07
US10199170B2 (en) 2019-02-05
HK1243821A1 (zh) 2018-07-20
KR102337135B1 (ko) 2021-12-09
CN107452505A (zh) 2017-12-08
TW201810319A (zh) 2018-03-16
JP6577906B2 (ja)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661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US9336946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board having the same
US10734160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102076145B1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과 제조 방법
US10818438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20180182550A1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US10283269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mount structure
KR20170113108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US10008332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100883524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20170113118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JP2016178161A (ja) 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部品連
US10121594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20180108479A1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JP637870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11437189B2 (e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KR20190116134A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US11393626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JP2019145772A (ja) 積層型キャパシタ
WO2024075427A1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24090008A1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2222290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24075428A1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658772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実装回路基板
KR20230089377A (ko) 세라믹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