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937A - 유도 가열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937A
KR20170133937A KR1020160065406A KR20160065406A KR20170133937A KR 20170133937 A KR20170133937 A KR 20170133937A KR 1020160065406 A KR1020160065406 A KR 1020160065406A KR 20160065406 A KR20160065406 A KR 20160065406A KR 20170133937 A KR20170133937 A KR 20170133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oling
air
group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742B1 (ko
Inventor
차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42B1/ko
Priority to US15/602,404 priority patent/US10560985B2/en
Publication of KR2017013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열 코일; 상기 가열 코일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발열 소자;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다수의 발열 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송풍하는 냉각팬;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 중 제1그룹의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제1냉각 유로;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 중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 보다 발열량이 적은 제2그룹의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제2냉각 유로; 및 상기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제2냉각 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냉각팬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냉각 유로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2냉각 유로를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기기{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조리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가열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기가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열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열에 의하여 조리용기 자체가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유도 가열 조리기에 이용되는 인버터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도록 가열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는 통상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고주파의 전류를 가열코일에 흐르도록 하여 가열코일에 고주파 자계가 형성되도록 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1554호에는 전기 레인지의 인덕션 히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 레인지의 인덕션 히터의 경우,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는 히트싱크의 방열부 및 결합부로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회로기판의 내측 부위를 향하게 됨으로써 회로기판의 각 부위 중 히트싱크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부위 뿐만 아니라 상기 회로기판의 여타 부위에 구비된 각 회로부품을 방열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방열팬에 의해서 송풍된 공기가 나뉘어 유동하므로, 발열온도가 가장 높은 히트싱크의 방열부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히터의 출력이 높을수록 방열부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부의 작동을 위한 소자 들 중에서 발열온도가 높은 소자를 집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온도가 높은 소자를 냉각시킨 공기가 나머지 발열 소자를 냉각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발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의 원활한 냉각을 위하여,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다수의 발열 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송풍하는 냉각팬;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 중 제1그룹의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제1냉각 유로;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 중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 보다 발열량이 적은 제2그룹의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제2냉각 유로; 및 상기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제2냉각 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냉각팬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냉각 유로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2냉각 유로를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팬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구가 형성되는 제1벽과, 상기 제1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동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제2벽을 향하여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제2냉각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 사이에서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제1냉각 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제2냉각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
상기 제1냉각 유로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2냉각 유로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제2벽과 이격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 변화가 원활하도록,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질 수 있다.
공기가 제2냉각유로의 제2그룹의 발열 소자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제2냉각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제1그룹의 발열 소자가 설치되는 방열 부재와, 상기 방열 부재와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단은 상기 방열 부재에 설치되는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의 최저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방열 부재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발열량이 높은 제1그룹의 발열 소자를 공기가 집중 냉각시킨 후에 발열량이 낮은 제2그룹의 발열 소자를 냉각시키므로, 발열 소자 들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유로가 라운드진 가이드벽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동 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서 탑 플레이트 및 가열 코일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소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냉각팬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방열부재 및 발열소자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하우징 내에서 유동 가이드에 의해서 발열 소자의 위치가 구획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내의 발열 소자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1)는, 음식물이나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top plate: 10)와, 상기 탑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케이싱(casing: 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10)에는 음식물이나 용기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표식(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1)는 유도 가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부(30)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다수의 가열 코일(51, 52, 53, 54)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다수의 가열 코일(51, 52, 53, 54) 중 둘 이상의 유도 가열 코일이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도 가열부(30)는, 정류부(30), 인버터(32, 33, 34, 35), 공진 커패시터(41, 42, 43, 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31)는 외부로부터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32, 33, 34, 35)는 각각 입력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2개의 스위칭소자가 직렬로 연결되고, 이 스위칭 소자의 출력 전압에 의해서 가열 코일(51, 52, 53, 54)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열 코일(51, 52, 53, 54)은 공진 커패시터(41, 42, 43, 44)에 연결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유도 가열부(30)는 4개의 가열 코일(51, 52, 53, 5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각 가열 코일(51, 52, 53, 54)은 두 개의 스위칭소자에 의해서 구성되는 인버터(32, 33, 34, 35)와, 두 개의 커패시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진 커패시터(41, 42, 43, 4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인버터(32, 33)와 두 개의 가열 코일(51, 52) 및 두 개의 공진 커패시터(41, 42)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다른 두 개의 인버터(34, 35)와 다른 두 개의 가열 코일(53, 54) 및 다른 두 개의 공진 커패시터(43, 44)가 또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시간에 제어되어 스위칭소자가 서로 교호로 동작하면서 가열코일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구동부로터 인가되는 스위칭소자의 온오프 시간은 점차 보상되는 형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가열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도 가열부(30)를 구성하는 정류부(31), 인버터(32, 33, 34, 35), 공진 커패시터(41, 42, 43, 44) 들은 상기 유도 가열부(30)의 작동 시 발열하는 발열 소자이다.
본 발명에서 발열 소자 들은 가열 코일(51, 52, 53, 54)의 전류 인가를 위하여 작동하는 소자이다.
상기 발열 소자 들은 후술할 하우징(도 4의 70 참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가열 코일(51, 52, 53, 54)은 별도의 코일 설치부(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발열 소자 들 중에서, 정류부(31) 및 인버터(32, 33, 34, 35)는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높은 발열 소자(61)(이하 "제1그룹의 발열 소자"라 함)이고, 공진 커패시터(41, 42, 43, 44)는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적은 발열 소자(62)(이하 "제2그룹의 발열 소자"라 함)이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부(3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발열량이 높은 제1그룹의 발열 소자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어야 한다. 물론, 발열량이 적은 제2그룹의 발열 소자의 원활한 냉각도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발열 소자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기 위한 냉각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서 탑 플레이트 및 가열 코일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열 소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냉각팬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방열부재 및 발열소자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하우징 내에서 유동 가이드에 의해서 발열 소자의 위치가 구획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1)는, 발열 소자 들을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 70)과, 상기 하우징(70)으로 냉각을 위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냉각팬(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은, 바닥벽(710)과 양측벽(720, 7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의 바닥면(710)은 상기 케이싱(2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 코일(51, 52, 53, 54)이 설치되는 코일 설치부(50)는 상기 하우징(70)의 상측에서 일 예로 상기 양측벽(720, 7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은, 상기 냉각팬(80)이 연결되는 제1벽(723)과, 상기 제1벽(723)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벽(7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723)은 상기 양측벽(720, 721)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2벽(724)은 상기 양측벽(720, 721)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70)은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벽(723)은 상기 냉각팬(80)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구(725)와, 발열 소자 들을 냉각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출구(7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입구(725)와 상기 공기 출구(726)는 상기 제1벽(724)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에는 상기 발열 소자 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8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의 바닥벽(71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이 설치되기 위한 보스부(711, 7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711, 712)는 상기 바닥벽(7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을 관통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보스부(711, 712)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의 일부가 보스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을 보스부(711, 7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이 상기 보스부(711, 7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은 상기 하우징(70)의 바닥벽(710)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이 상기 보스부(711, 7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은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의 상측을 유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의 하측과 상기 하우징(70)의 바닥벽(710) 사이 공간을 유동할 수 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810)과 연결된 발열 소자 들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에 설치되는 방열 부재(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820)는 일예로 히트 싱트(heat sink)일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8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벽(723)과 상기 제2벽(7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 부재(820)는 상기 하우징(70)의 양측벽(720, 721) 중 제1측벽(7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820)는 상기 제1측벽(7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부재(820)와 상기 송풍팬(80) 사이에 상기 공기 입구(725)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80)에서 송풍되어 상기 공기 입구(72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방열 부재(820)와 바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량이 높은 발열 소자 들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도록, 발열량이 높은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가 상기 방열 부재(820)에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정류부(31)와 인버터(32, 33)가 상기 방열 부재(8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31)와 상기 인버터(32, 33)가 상기 방열 부재(8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정류부(31)와 상기 인버터(32, 33)는 인쇄회로기판(810)에 전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 들은 상기 방열 부재(8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배치가 제한되지는 않으나, 인버터(32, 33) 사이에 상기 정류부(31)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에 바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진 커패시터(41, 42, 43, 44)가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에 바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는 상기 방열 부재(8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쇄회로기판(810)에 상기 방열 부재(8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는 상기 하우징(70)의 양측벽 중 제2측벽(721)과 상기 방열 부재(8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8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 들로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1)는, 상기 냉각팬(80)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70)의 제2측벽(724)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90)는 상기 하우징(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에는 다수의 가이드 결합부(713, 714)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 결합부(713, 714) 중 일부의 가이드 결합부(713)는 상기 하우징(70)의 제1측벽(720)에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일부의 가이드 결합부(714)는 상기 하우징(70)의 바닥벽(7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90)는, 공기 입구(72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70)의 상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열 코일(51, 52, 53, 54)의 열이 상기 방열 부재(8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910)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 결합부(713, 714)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910)를 관통한 후에 상기 다수의 가이드 결합부(713, 71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910)는 상기 방열 부재(820)의 상측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방열 부재(82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90)는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의 제1냉각 유로(도 8의 63참조)가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의 제2냉각 유로(도 8의 64참조)와 구획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 플레이트(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91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는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와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입구(725)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가 집중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는 상기 공기 입구(72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으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공기 입구(72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충분히 상기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의 하단은 상기 방열 부재(820)에 설치된 제1그룹의 발열 소자(62)의 최저점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81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910)의 좌우 폭(공기 입구(725)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방열 부재(820)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와 상기 하우징(70)의 제1측벽(720)의 좌우 폭은 상기 상기 방열 부재(820)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부재(820)의 좌우 폭은 상기 공기 입구(725)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를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는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의 단부에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 사이 공간을 유동하면서 방향이 전환된 후에 상기 제2그룹 발열 소자(62)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은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를 냉각시킨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 방향 변화가 원활해지도록 상기 제2벽(724)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을 가이드벽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벽(724)은 상기 제1벽(7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내의 발열 소자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는 상기 하우징(70)의 제1벽(723)과 상기 제2벽(724) 사이에서 상기 제1벽(723) 및 상기 제2벽(724)과 각각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냉각 유로(63)와 상기 제2냉각 유로(64)를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의 일측에 상기 제1냉각 유로(63)가 위치되고, 타측에 제2냉각 유로(64)가 위치된다.
상기 냉각팬(80)이 작동하면, 상기 냉각팬(80)에 의해서 공기가 상기 공기 입구(725)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70) 내로 유입된다. 이때, 냉각을 위한 공기는 상기 공기 입구(725)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70)의 제1측벽(720)과 상기 구획 플레이트(720) 사이의 제1냉각유로(63)로 유입된다.
상기 제1냉각유로(63)로 유입된 냉각을 위한 공기는 상기 방열 부재(820)에 설치된 제1그룹의 발열 소자(61)를 집중적으로 냉각하면서 상기 제1냉각유로(63)를 유동한다.
상기 제1냉각유로(63)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920)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70)의 제2벽(724) 사이의 연결 유로(65)를 유동하면서 방향 전환된 후에 상기 제2냉각유로(64)를 유동하면서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를 냉각시킨다.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62)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공기 출구(726)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70)에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량이 높은 제1그룹의 발열 소자를 공기가 집중 냉각시킨 후에 제1그룹의 발열 소자 보다 발열량이 낮은 제2그룹의 발열 소자를 냉각시키므로, 발열 소자 들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유로가 라운드진 가이드벽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동 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벽에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가 형성됨에 따라서, 제2냉각유로에 위치되는 제2그룹의 발열 소자의 충분한 냉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유도 가열 조리기기 10: 탑 플레이트
20: 케이싱 30: 유도 가열부
31: 정류부 32, 33, 34, 35: 인버터
41, 42, 43, 44: 공진 커패시터 51, 52, 53, 54: 가열 코일
70: 하우징 810: 인쇄회로기판
820: 방열 부재 90: 유동 가이드
910: 커버 플레이트 920: 구획 플레이트

Claims (10)

  1. 가열 코일;
    상기 가열 코일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발열 소자;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다수의 발열 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송풍하는 냉각팬;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 중 제1그룹의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제1냉각 유로;
    상기 다수의 발열 소자 중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 보다 발열량이 적은 제2그룹의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제2냉각 유로; 및
    상기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제2냉각 유로를 구획하며, 상기 냉각팬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냉각 유로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2냉각 유로를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팬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구가 형성되는 제1벽과,
    상기 제1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2벽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동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제2벽을 향하여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제1냉각 유로와 상기 제2냉각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 사이에서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제1냉각 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제2냉각 유로가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로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2냉각 유로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제2벽과 이격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는 유도 유도 가열 조리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제2냉각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출구가 구비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가 설치되는 방열 부재와,
    상기 방열 부재와 상기 제2그룹의 발열 소자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단은 상기 방열 부재에 설치되는 상기 제1그룹의 발열 소자의 최저점 보다 낮게 위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촉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방열 부재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1020160065406A 2016-05-27 2016-05-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10192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406A KR101927742B1 (ko) 2016-05-27 2016-05-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US15/602,404 US10560985B2 (en) 2016-05-27 2017-05-23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406A KR101927742B1 (ko) 2016-05-27 2016-05-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937A true KR20170133937A (ko) 2017-12-06
KR101927742B1 KR101927742B1 (ko) 2019-02-26

Family

ID=6041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406A KR101927742B1 (ko) 2016-05-27 2016-05-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60985B2 (ko)
KR (1) KR101927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9930A1 (en) 2020-03-12 2021-09-1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and air guide included in the same
KR102492198B1 (ko) * 2021-08-30 2023-0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그리들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6167B1 (fr) * 2017-12-22 2021-11-26 Groupe Brandt Piece de support destinee a recevoir au moins un element fonctionnel d'une table de cuisson
JP7055088B2 (ja) * 2018-11-15 2022-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及び厨房家具
KR20220161031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305A (ja) * 2002-08-27 200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1253805A (ja) * 2010-05-06 2011-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9B1 (ko) 2005-01-1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인덕션 히터
ES2447294T3 (es) * 2009-07-03 2014-03-11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KR102009344B1 (ko) * 2012-12-03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이의 출력 레벨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305A (ja) * 2002-08-27 200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1253805A (ja) * 2010-05-06 2011-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9930A1 (en) 2020-03-12 2021-09-1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and air guide included in the same
KR102492198B1 (ko) * 2021-08-30 2023-0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그리들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7406A1 (en) 2017-11-30
US10560985B2 (en) 2020-02-11
KR101927742B1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742B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EP1936283B1 (en) Cooking appliance
US8634193B2 (en) Device and method using induction to improve natural convection cooling
US9622390B2 (en) Apparatus for cooling inverter
CN111327208B (zh) 具散热机制的逆变器装置
JP57127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3297401A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KR101846088B1 (ko) 유로분리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7105741A (ja) 溶接装置
EP3684142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JP5716964B2 (ja) 冷却装置
CN106060991B (zh) 电磁炉风道结构和电磁炉
JP2010040188A (ja) 加熱調理器
JP2012075510A (ja) 炊飯器
KR20220080379A (ko) 전기 레인지
JP2013252006A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230099250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31A (ko) 가전 기기
KR20220161032A (ko) 가전 기기 및 이에 설치되는 히트 싱크
EP4350219A1 (en) Electric range
EP4351276A1 (en) Microwave oven
KR20230023222A (ko) 전기 레인지
KR20180032975A (ko) 전자 부품 패키지
KR20220072206A (ko) 전기 레인지
KR20230112933A (ko) 전원공급이 가능한 온도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