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833A -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833A
KR20170133833A KR1020160065125A KR20160065125A KR20170133833A KR 20170133833 A KR20170133833 A KR 20170133833A KR 1020160065125 A KR1020160065125 A KR 1020160065125A KR 20160065125 A KR20160065125 A KR 20160065125A KR 20170133833 A KR20170133833 A KR 20170133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luid
unit
image
samp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종로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로의료기 filed Critical (주)종로의료기
Priority to KR102016006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833A/ko
Priority to PCT/KR2017/004599 priority patent/WO2017204474A1/ko
Publication of KR2017013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G01N33/48792Data management, e.g. communication with processing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용이하게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며,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는 시료부가 삽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시료부에 도포되는 체액을 확대 촬영하는 유닛부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회로부에 구비되는 테스트유닛;과 상기 테스트유닛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체액을 촬영하여 획득한 촬영영상을 상기 테스트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체액영상을 분석하여 체액의 상태를 판별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Stand-alone type portable test device for body fluid analysis}
본 발명은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용이하게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며,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상태, 신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바쁜 일과시간을 쪼개어 시간을 내야 하며, 불편하고 복잡한 수속 및 진료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특히, 대부분이 이러한 수속을 진행하더라도 장시간 대기해야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반면, 실제 검진 및 검사는 매우 짧은 시간에 진행된다. 즉, 검진 및 검사를 받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많은 불편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로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지간한 불편함은 감수하며 생활하고 견디기 힘들정도의 고통 또는 불편함이 발생해야만 전문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신체상황을 빈번하게 확인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신체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용화되어 이용되는 기술은 극히 드문 실정이다.
오히려, 과거로부터 사용되어온 간단한 테스터기의 사용은 꾸준하며, 젊은 세대들은 특히 편리한 사용법, 적은 소요 시간 및 비용, 빠른 결과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률이 구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테스터기는 신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들 예를 들어 타액, 소변, 땀과 같은 분비물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비물들에 포함된 호르몬을 검출하거나, 분비물의 상태변화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테스터기는 신체가 특정 상황 예를 들어, 특정 질병에 걸리거나, 감염되거나, 배란기와 같이 신체의 이상 또는 특이사항 발생시에 타액에 포함된 성분의 변화,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다. 기본에는 임신진단, 당뇨진단, 혈당확인을 위한 테스터기들이 다양한 형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테스터기는 비교적 정확도가 높고, 사용이 간편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때는 언제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임신진단 테스트기는 최근 결혼 연령의 증가, 사회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의 증가, 운동 부족에 의해 증가하는 불임 및 난임부부들에 의해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임신진단 테스트기는 임신여부를 판별할 수 있을 뿐 불임 및 난임으로 고생하는 사용자의 임신 가능성을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즉, 기존의 테스트기는 임신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만 확인할 수 있을뿐, 여성의 임신 가능성 여부, 배란기의 도래, 남성의 수정 능력과 같은 중요한 사항은 테스트기를 통해 확인하지 못하고 의료기관의 진료에 의해서만 확인되는 한계가 있다.
미국 공개 특허 US2008/0255472A1(2008. 10. 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테스터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액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짧은 시간 내에 직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성 및 남성 모두 각각의 테스트 목적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여성은 자신의 배란기를 확인하여 임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남성은 자신의 정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신 가능성을 높이도록 하는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용이하게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며,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는 시료부가 삽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시료부에 도포되는 체액을 확대 촬영하는 유닛부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회로부에 구비되는 테스트유닛;과 상기 테스트유닛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체액을 촬영하여 획득한 촬영영상을 상기 테스트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체액영상을 분석하여 체액의 상태를 판별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료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시료부에 광을 공급하도록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부; 일측이 상기 시료부의 일면을 마주대하도록 배치되는 렌즈군; 상기 렌즈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의 동작 및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 상기 체액영상을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료부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렌즈군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물질로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에 구비되는 광원은 단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시료부의 안내 및 지지를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료부는 광투과성의 합성수지, 천연고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료부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헝되되, 단색으로 착색되거나, 미리 정해진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료부는 상기 체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스트유닛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체액영상은 상기 체액의 건조에 따라 형성되는 결정물; 상기 체액에 포함된 세포; 및 상기 체액에 포함된 특이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액영상은 상기 체액 속에 포함된 정자, 질점막 세포, 구강세포, 세균 및 세균에 감염된 세포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테스터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액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짧은 시간 내에 직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는 여성 및 남성 모두 각각의 테스트 목적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여성은 자신의 배란기를 확인하여 임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남성은 자신의 정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신 가능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는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용이하게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며, 용이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휴대용 검사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테스트 유닛의 시료부와 테스트유닛 본체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테스트 유닛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회로부와 주요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패턴 분석을 위한 체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실제 체액을 이용한 테스트 영상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테스트 영상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구획패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체액이 정액 또는 질분비물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휴대용 검사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테스트 유닛의 시료부와 테스트유닛 본체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3은 테스트 유닛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회로부와 주요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독립형 휴대용 검사장치는 테스트 유닛(10)과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스트 유닛(10)은 사용자의 체액을 시료로 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체액의 영상 분석이 수행될 수 있도록, 체액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테스트 유닛(10)은 시료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시료부(20)에는 사용자의 체액이 도포되어 테스트 유닛(10)에 결합된다. 테스트 유닛(10)은 체액이 도포된 시료부(20)가 결합되면,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100)에 의해 시료부(20)를 확대 촬영하여, 체액영상을 작성하고, 작성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체액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전문 검진기관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 유닛(10)의 상세 구성과 사용자단말(100)에 의한 분석 방법은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를 위해 테스트 유닛(10)은 자체적으로 체액이 도포된 시료부(20)의 체액을 확대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생성된 체액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단말(100)에 전달한다. 때문에 테스트 유닛(10)은 이러한 기능의 실행을 위해 도 4와 같이 전원부(30), 조명부(50), 메모리(60), 통신부, 제어부(80) 및 카메라(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들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11)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내부에 테스트 유닛(10)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을 수납하여 고정하고,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으로부터 이러한 구성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스(11)는 내부적으로 구성을 분리 구획하고, 시료부(20)에 도포된 체액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너케이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이너케이스(13)는 회로부(40)와 유닛부(15)를 분리하는 역할과 함께 유닛부(15)의 카메라(110), 조명부(50) 및 시료부(20)에 암실을 제공함과 아울러, 카메라(110) 및 렌즈군(35)과 시료부(20)가 일정한 거리 즉, 초점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스(11)에는 체액이 도포되는 시료부(20)가 삽입 또는 추출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홀(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12) 부근의 케이스(11) 내측에는 안착부(34)가 형성되어, 시료부(20)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스(11)는 합성수지, 금속과 같이 외부 충격에 강하고, 가벼운 물질로 제조할 수 있으나, 강화유리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케이스(11)에는 충전을 위한 외부 전원장치와의 연결 또는 메모리(6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31), 전원부(30)의 교체를 위한 뚜껑이 형성될 수 있다.
시료부(20)는 검사하고자 하는 체액이 도포되며, 테스트 유닛(10)의 카메라(110)가 체액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재물대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시료부(20)는 체액이 도포되는 시트(21)와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베이스(23)로 구성된다. 시트(21)는 베이스(23) 면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함몰된 면에 체액이 도포되며, 이를 통해 일정한 양의 체액이 시트(21)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료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광의 투과 및 선명한 영상의 획득을 위해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유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체액의 영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도록 단색으로 채색되거나, 필름이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30)는 테스트 유닛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30)는 교체가 가능하고 가벼운 1회용 건전지, 또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케이스(11)에 형성되는 단자에 의해 외부전원과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1)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사용자 단말,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와 연결될 수 있다.
조명부(50)는 전원부(3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광원(52)이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을 시료부(20)에 전달하여 시료부(20)에 도포된 체액의 영상이 확인 또는 촬영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광원부(10)는 시료부(20)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110)와 대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원(52)에서 발생된 광이 시료부(20)를 투과하여 카메라(110)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조명부(50)는 광원(52)과 광원(52)의 점들을 제어하기 위한 광원회로(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광원회로(51)는 회로기판(40)에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50)의 광원(52)은 녹색, 청색, 적색과 같은 단색광을 방출하는 단색광원으로 구성되어, 체액 속 물질 또는 체액에 의해 생성된 결정과 같은 촬영대상의 영상이 선명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원(52)은 다색광원 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으며, 이러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52)인 경우 시료부(20)가 착생괴거나 특정 광의 파장만 통과시키는 필름(54)이 광원(52)과 시료부(20) 사이에 게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광원(52)과 시료부(20), 카메라(11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거울, 도광 수단과 같은 광경로 변경 수단을 이용하여 광원(52)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카메라(11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60)는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체액영상을 제어부(8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테스트유닛(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60)는 회로기판(40)에 고정되는 고정형 메모리일 수 있으나, SD카드와 같이 테스트유닛(10)에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모리일 수 있으며, 내장메모리외에도 인터페이스단자(31)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메모리일 수 있다.
통신부은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체액영상을 전달한다. 통신부은 메모리(60)에 저장되거나,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체액영상을 통신채널을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부은 USB, 적외선,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사용자단말(100)과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복수의 통신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과의 통신채널 형성을 위해 통신부은 사용자단말(100)에 통신채널 형성을 위한 콜을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콜을 수신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80)는 테스트유닛(10)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시료부(20)에 도포된 체액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체액영상을 사용자단말(100)에 전달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80)는 동작명령을 케이스(11) 외부에 마련되는 스위치 또는 통신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전달받고, 시료부(20)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되는 체액영상을 메모리(60)에 저장하며, 사용자단말(100)의 요청시 또는 통신채널의 재개시 저장된 체액영상을 통신부에 전달하여 사용자단말(100)에 송신하게 된다. 이를 위헤 제어부(80)는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단말(1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80)는 실시간으로 영상이 사용자단말(100)로 전달되도록 카메라(110)와 통신부 사이의 데이터 즉, 체액영상의 전달을 중개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11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30)의 전원을 받아 동작하여, 시료부(20)의 체액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아울러, 제어부(80), 통신부, 메모리(60), 전원부(30) 나아가 조명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부의 일정공간을 할애하여 구성되는 공간에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이에 준하는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구성은 일례로 제시된 것일뿐, 소형화 경량화를 위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범주의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사용자단말(100)은 테스트유닛(10)과 통신채널에 의해 연결되어 테스트유닛(10)으로부터 체액영상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체액영상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0)은 유무선 통신채널에 의해 테스트유닛(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설치에 의해 체액영상의 분석이 가능한 단말이면 어떠한 형태의 단말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일례로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패드, 노트북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 도 5는 패턴 분석을 위한 체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실제 체액을 이용한 테스트 영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7은 테스트 영상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구획패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체액 특히, 타액(또는 침)의 경우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임기 여성의 타액은 특별한 징후를 뚜렷이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타액에 포함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정확한 배란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임으로 고생하는 부부가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임기의 여성의 경우 배란일이 가까워 오면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량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타액의 염분 농도가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타액을 일정시간 건조시키는 경우 비가임기, 과도기 및 가임기에 따라 각각 다른 타액 결정 구조를 나타내게 된다.
일례로, 비가임기 즉,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는 여성의 타액을 건조하여 촬영하는 경우 도 5의 (a)에서와 같이 뚜렷한 결정 구조를 찾을 수 없는 형태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실제 촬영한 이미지가 도 6의 (a)에 나타나 있다. 도 5의 (a)와 도 6의 (a)에서와 같이 비가임기에는 특별한 결정 구조를 찾을 수 없으며, 일부 타액 세포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과도기 즉, 비가임기에서 배란이 이루어지는 가임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의 여성 타액은 도 5의 (b)와 같은 형태로 약간의 결정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결정 형태는 전해질, 점액, 효소 등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장방향 형상의 타액 세포(salivary cells)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가임기 즉, 배란이 이루어지는 시기가 되면, 도 5의 (c)에서와 같이 결정질이 일방향으로 뻗는 형태 즉, 양치식물의 잎 모양(fern patterns)이 명확하게 나타나게 된다. 도 6의 (b)는 실제 가임기 여성의 타액을 촬영한 영상이다. 이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도 6의 (a)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액 상태 판별 시스템은 이러한 타액의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가임기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분석정보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사용자단말(100)이 촬영된 테스트 영상을 이미징 처리하여 결정선을 명확히하고, 결정선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지, 아니면 (c)와 같이 양치식물의 잎 모양의 직선형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게 되며, 특히 직선형 패턴의 길이 밀도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해 비가임기, 과도기 및 가임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분석정보로 제공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및 비가임기, 과도기, 가임기의 판별은 패턴의 밀도, 형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지 처리의 경우 영상을 흑백으로 재처리하고, 흑백 처리의 명암을 판별하여 선형 판단 및 이를 통해 길이와 밀도의 판단이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 처리 및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 7과 같이 구획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해당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폐선의 내부 영역)에 얼마나 많은 직선 또는 타원형 선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분석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획패턴은 사용자단말(100)의 렌즈군(35) 또는 시료부(20)에 인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분석영상의 일부분을 구획패턴으로 구분하여 이미징 처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8은 체액이 정액 또는 질분비물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분석정보의 작성은 남성의 정액에 대해서도 수행이 가능하다. 남성의 정액을 본 발명의 상태 감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별하는 경우, 정자의 수, 정자의 활동도, 정자의 기형 여부와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정자의 상태를 호전시킨 후 임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액의 분석에 있어서도 구획패턴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a)와 (b)의 중앙에 형성된 격자형태의 패턴 내에 위치하는 정자의 수, 활동도, 형태를 판별함으로써 용이하게 정자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촬영된 영상의 전반에 분포되는 정자를 사용자단말(100) 또는 의료기관시스템(미도시)이 모두 분석하지 않고, 구획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안에 있는 정자를 대상으로 샘플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빠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0)의 패턴처리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좀더 세밀하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패턴은 도 7 및 도 8에는 격자형태로 구성된 예가 되어 있으나, 타원,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면 중앙뿐 아니라 임의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를 확인하여 밀도가 높은 곳에 구획패턴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100)에서 정자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타액 분석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우선 사용자단말(100)이 시료부(20)에 도포된 정액을 촬영하여 테스트 영상을 확보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테스트 영상에서 일정 영역 내에 확인되는 정자의 수, 특정 정자의 이동거리, 이동거리의 평균, 회전여부, 회전속도, 회전반경을 산출한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테스트 영상을 여러장 촬영하여 사용하거나, 동영상 형태로 촬영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속의 특정 정자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선택된 정자의 정자 특성을 판단함으로써 정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샘플링 정자를 복수로 선택함으로서 정자 특성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테스트 영상 중 일부 정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자의 영상을 선명한 패턴 또는 흑백 영상으로 이미지 처리한 후 미리 저장된 이미지,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되는 형태를 가지는지 비교하여 정자의 기형 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체(동그란 부분) 하나당 미부(꼬리 형태)의 갯수, 미부의 구부러짐 여부, 선체의 기형상을 판별하여 테스트 영상 속의 정자가 정상적인 형태를 가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정자의 선택 및 샘플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패턴을 적용하고, 테스트 영상 속 정자들 중 구획패턴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정자를 대상으로 정자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샘플링 정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분석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분석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의 부하부담을 경감시켜 빠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c)에서와 같이 질분비물을 관찰하여 세균성 질증, 질염과 같은 병증의 유무 및 진찰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분비물을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관찰하는 경우 정상적인 경우 질점막세포 만이 관찰되지만, 도 8의 (c)에서와 같이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 (c)에서 검은 점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물질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의 경우 질 내부에서 항균물질의 분비가 감소함으로써 질내 산도가 증가하고 혐기성 세균이 과증식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과증식된 혐기성 세균들이 질점막세포의 표면에 흡착되어 질점막 세포가 검은 점들로 뒤덮인 모습을 보이게 되며, 검사장치에 의해 이러한 증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는 타액, 질분비물, 남성의 정액과 같은 신체 분비물을 확대 촬영하고 이를 영상분석 및 유관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유무, 질병명, 배란기와 같은 다양한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테스트 유닛 11 : 케이스
12 : 삽입홀 13 : 이너케이스
15 : 유닛부 16 : 회로부
20 : 시료부 21 : 시트
23 : 베이스 30 : 전원부
34 : 안착부 35 : 렌즈부
40 : 회로기판 50 : 조명부
51 : 광원회로 52 : 광원
54 : 필름 60 : 메모리
70 : 통신모듈 80 : 제어부
100 : 사용자 단말 110 : 카메라

Claims (11)

  1. 시료부가 삽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시료부에 도포되는 체액을 확대 촬영하는 유닛부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회로부에 구비되는 테스트유닛;과
    상기 테스트유닛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체액을 촬영하여 획득한 촬영영상을 상기 테스트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체액영상을 분석하여 체액의 상태를 판별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시료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시료부에 광을 공급하도록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부;
    일측이 상기 시료부의 일면을 마주대하도록 배치되는 렌즈군;
    상기 렌즈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의 동작 및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 상기 체액영상을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렌즈군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물질로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검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에 구비되는 광원은 단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시료부의 안내 및 지지를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광투과성의 합성수지, 천연고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헝되되, 단색으로 착색되거나, 미리 정해진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부는 상기 체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유닛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체액영상은
    상기 체액의 건조에 따라 형성되는 결정물;
    상기 체액에 포함된 세포; 및
    상기 체액에 포함된 특이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영상은
    상기 체액 속에 포함된 정자, 질점막 세포, 구강세포, 세균 및 세균에 감염된 세포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KR1020160065125A 2016-05-26 2016-05-26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KR20170133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25A KR20170133833A (ko) 2016-05-26 2016-05-26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PCT/KR2017/004599 WO2017204474A1 (ko) 2016-05-26 2017-04-28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25A KR20170133833A (ko) 2016-05-26 2016-05-26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833A true KR20170133833A (ko) 2017-12-06

Family

ID=6041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125A KR20170133833A (ko) 2016-05-26 2016-05-26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33833A (ko)
WO (1) WO20172044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57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인트인 체액 관찰 기기
EP4062829A4 (en) * 2019-12-02 2023-01-18 Intin Inc. BODY FLUID OBSERV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6299B (zh) * 2019-04-01 2023-08-25 谢跃兵 一种便携式居家体液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504U (ko) * 1999-01-05 2000-08-05 장덕순 타액을이용한여성배란일광학측정기
KR20040077258A (ko)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엔비테크놀러지 배란일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103B1 (ko) * 2012-12-03 2014-07-02 대한민국 세균 검출 키트 판독 시스템
US10024858B2 (en) * 2013-03-13 2018-07-17 Tahoe Institute For Rural Health, Llc Portable blood count monitor
KR101533107B1 (ko) * 2014-11-14 2015-07-01 (주)종로의료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배란 측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57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인트인 체액 관찰 기기
EP4062829A4 (en) * 2019-12-02 2023-01-18 Intin Inc. BODY FLUID OBSERV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74A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3114B2 (ja) 照明が改善された体液検査装置
US20160139156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home monitoring of physiological states and conditions
KR101891180B1 (ko) 체액 상태 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태 감별 방법
CN103278618A (zh) 一种生物芯片信息读取装置及信息分析方法
KR101813867B1 (ko) 조명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101920273B1 (ko) 체액 검사장치용 시료부 및 이를 구비하는 체액 검사장치
JP6622918B2 (ja) 自然光を利用した体液分析用検査装置
KR20170133833A (ko)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KR101994982B1 (ko)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WO2017104993A1 (ko) 단말기 출력광 및 전달광을 이용한 체액 분석용 검사장치
KR102008843B1 (ko) 타액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가임기 검사 시스템
JP2021521468A (ja) 体液分析用の検査装置
KR20220053789A (ko)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0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20

Effective date: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