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789A -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789A
KR20220053789A KR1020200137930A KR20200137930A KR20220053789A KR 20220053789 A KR20220053789 A KR 20220053789A KR 1020200137930 A KR1020200137930 A KR 1020200137930A KR 20200137930 A KR20200137930 A KR 20200137930A KR 20220053789 A KR20220053789 A KR 2022005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cy
diagnostic strip
scanner
camera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911B1 (ko
Inventor
정주영
이채영
박석훈
박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12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12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 A61B2010/0032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based on measurement of pH-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진단 스트립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및배출부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카메라버튼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진단 스트립지의 테스트 영역을 촬영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버튼의 입력에 의한 상기 카메라모듈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내부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관리 앱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Pregnancy diagnosis scanner and pregnancy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단 스트립지의 스캔이 가능하고, 스캔된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확한 임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란 테스트기는,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황체형성호르몬(LH; luteinizing hormone) 농도를 항원 항체 반응으로 체크하여 배란일, 즉 임신가능기간을 알려 주는 체외 진단기이다.
이러한 배란 테스트기는, 황체형성호르몬에 반응하는 약품이 묻어 있는 스틱 형태의 용지 등으로 제공되고, 임신 테스트기와 마찬가지로 소변을 배란 테스트기의 표시선까지 대략 3초간 담그면 된다.
그러나 기존의 배란 테스트기는 테스트 후 일정 시간 대기해야 하고, 기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테스트 결과가 부정확한 경우 다시 테스트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단 스트립지의 스캔이 가능하고, 스캔된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확한 임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7469호(2016년08월0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진단 스트립지를 삽입및배출부를 통하여 삽입하고, 카메라버튼을 입력하여 카메라모듈로 적외선 촬영이 가능하여 스캔이 이루어지고, 진단 스트립지의 스캔된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확한 임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진단 스트립지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배출할 수 있는 삽입및배출부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카메라버튼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진단 스트립지의 테스트 영역을 촬영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버튼의 입력에 의한 상기 카메라모듈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내부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관리 앱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소형 적외선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며,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고정시키는 홀더; 스캔 이미지 전송이 완료된 진단 스트립지 배출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배출버튼;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된 제1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일단에 연결된 제2스프링과 연결된 자기판을 눌러 상기 홀더를 개방시켜 진단 스트립지의 고정을 해제하는 푸싱스틱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관리 앱은 머신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미지 분석 결과로 정량적 결과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삽입및배출부에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카메라버튼을 입력하여 제어부의 제어하에 카메라모듈을 동작시켜 진단 스트립지의 테스트 영역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스캔 완료된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의 관리 앱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앱은 머신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미지 분석 결과로 정량적 결과값을 도출하여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로 적외선 촬영이 가능하여 진단 스트립지의 스캔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임신 테스트 영역의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확한 임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캔된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의 관리 앱과 연동하여 전송받고, 임신 여부에 대한 결과값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리 앱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테스트한 결과를 저장하고, 누적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여 임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신러닝 학습에 의해 이미지 인식 및 명도 차이를 학습시키고, 스캔된 이미지에 대해 학습된 결과로 정확한 임신 여부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고, 정확한 결과값을 도출하여 사용자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의 테스트 진행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4는 관리 앱에서 스캔 이미지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의 전체 진단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상의 몸체부(20)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진단 스트립지(1) 일부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배출할 수 있는 삽입및배출부(70)가 마련되고, 몸체부(20) 내부에는 임신 진단에 필요한 구성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진단 스트립지는 시중의 임신 진단용 스트립지가 될 수 있으며, 테스트 영역의 검출 선을 통하여 임신 여부를 진단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배란테스트지, 임신테스트지, pH테스트지, 소변검사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몸체부(20)의 상단에는 카메라버튼(30)이 구비되어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1)의 테스트 영역을 촬영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 탈착 가능하도록 거치대(20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모듈(10), 제1,2엘이디(21,22), 카메라버튼(30), 제어부(40), 배터리(50), 제1,2 스프링(61, 62), 삽입및배출부(70), 홀더(80), 자기판(90), 배출버튼(95), 푸싱스틱(96)이 포함된다.
카메라모듈(10)은 몸체부(20) 내부에 마련되고, 카메라버튼(30)에 의해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카메라버튼(30)의 하부에 위치하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에 맞도록 소형 카메라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임신 테스트 영역의 명도차를 구분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로 적외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는 몸체부(20) 내부에 마련되고, 카메라버튼(30)의 입력에 의한 카메라모듈(1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카메라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엘이디나 전원 온/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제2 엘이디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 내부의 PCB 보드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스캔 이미지를 연동되는 관리 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는 통신 기능과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아두이노 PCB 보드가 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 WI-FI, ZIGBEE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제어부(40)와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로 스마트폰, 패블릿폰, 테블릿, 노트북형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제어부(40)를 동작시키기 위한 리튬 등의 형태로 된 소형 배터리(50)가 마련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몸체부(20) 일단에 삽입및배출부(70)가 형성됨에 따라 소변이 묻은 진단 스트립지(1)를 삽입및배출부(70)의 안쪽 방향으로 진단 스트립지(1)의 테스트 영역이 삽입되도록 삽입시킨다.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진단 스트립지(1)의 일부가 삽입시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1)가 고정되도록 홀더(80)가 마련되어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며, 홀더(8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카메라버튼(30)을 동작시키면, 진단 스트립지(1)의 테스트 영역에 위치한 카메라모듈(10)로 적외선 촬영에 의해 테스트 영역의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제어부(40)는 획득된 스캔 이미지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실행된 관리 앱으로 해당 스캔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스캔 이미지 전송 여부를 입력받거나 블루투스 통신을 페어링 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버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스캔 이미지 전송이 완료된 진단 스트립지(1) 폐기를 위해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의 몸체부(20) 단부에 위치한 배출버튼(95)을 누르면 제1스프링(61)이 연결된 푸싱스틱(96)을 탄성으로 누르게 되고, 푸시스틱의 단부에 연결된 자기판(90)이 제2스프링(62)과 연결된 ㄱ자 모양의 홀더(80)를 개방시켜 진단 스트립지(1)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며, 이후 진단 스트립지(1)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는 진단 스트립지(1) 삽입시 스트립지 삽입을 자동 인식하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삽입이 인식된 경우에 카메라모듈(10)이 동작하도록 하여 배터리 절전 기능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중복 삽입 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기능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신 진단용 스캐너(100)의 테스트 진행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먼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진단 스트립지(1)를 삽입및배출부(70)에 삽입하고, 카메라버튼(30)을 입력하면, 제어부(40)의 제어로 카메라모듈(10)이 동작하여, 진단 스트립지(1)의 테스트 영역에 스캔이 이루어진다(S100).
스캔 완료된 스캔 정보(스캔 이미지)는 모바일 단말의 관리 앱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된다(S102).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폰, 패블릿폰, 태블릿, 노트북형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관리 앱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캔 이미지 화면을 제공하고, 테스트 영역의 시약선 검출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얻기 위해 이미지 분석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S104).
이후 머신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미지 분석 결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신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S106, S108).
도출된 정량적 결과값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어 임신 진단 결과를 사용자가 직접 확률 수치로 확인하여 쉽게 임신 가능성(배란 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모듈(10)로 진단 스트립지(1) 촬영시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에이다부스트(AdaBoo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선형판별식 해석(Linear Disciminant Analysis: LDA),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usis: PCA) 등의 알고리즘이 내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 기법들은 모두 외형에 기반하여 인식대상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 트레이닝에 사용될 촬상 이미지들의 집합에 의해 트레이닝된 모델을 이용해서 진단 스트립지(1)의 테스트 영역 주위의 영역을 검출하며, 여러 주변의 제약 조건들이 트레이닝을 통해 극복되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테스트 영역의 인식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앱에서 이미지 분석시 카메라 성능의 한계나 카메라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전송된 스캔 이미지 데이터가 선명하지 않은 경우의 이미지 복원이나, 카메라 해킹 등으로 인한 촬영된 스캔 이미지 위조를 판별하기 위해서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 또는 재생성할 수 있어 손상된 이미지 복원에 활용될 수 있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은 기존의 딥러닝 네트워크와는 달리 여러 개의 심층 신경망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기존 심층 신경망 모델보다 수십 배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지만, 이미지 복원에 탁월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1 ; 진단 스트립지
10 ; 카메라모듈
20 ; 몸체부
21 ; 제1엘이디
22 ; 제2엘이디
30 ; 카메라버튼
40 ; 제어부
50 ; 배터리
61 ; 제1스프링
62 ; 제2스프링
70 ; 삽입및배출부
80 ; 홀더
90 ; 자기판
95 ; 배출버튼
96 ; 푸싱스틱
100 ; 임신 진단용 스캐너
200 ; 거치대

Claims (5)

  1.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진단 스트립지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배출할 수 있는 삽입및배출부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카메라버튼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진단 스트립지의 테스트 영역을 촬영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버튼의 입력에 의한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내부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관리 앱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소형 적외선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며,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고정시키는 홀더;
    스캔 이미지 전송이 완료된 진단 스트립지 배출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배출버튼;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된 제1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일단에 연결된 제2스프링과 연결된 자기판을 눌러 상기 홀더를 개방시켜 진단 스트립지의 고정을 해제하는 푸싱스틱
    을 더 포함하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앱은
    머신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미지 분석 결과로 임신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 결과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임신 진단용 스캐너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에 있어서,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삽입및배출부에 삽입된 진단 스트립지를 카메라버튼을 입력하여 제어부의 제어하에 카메라모듈을 동작시켜 진단 스트립지의 테스트 영역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스캔 완료된 스캔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의 관리 앱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앱은 머신러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미지 분석 결과로 정량적 결과값을 도출하여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신 진단용 스캐너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KR1020200137930A 2020-10-23 2020-10-23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결과 표시 방법 KR10253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30A KR102534911B1 (ko) 2020-10-23 2020-10-23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결과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30A KR102534911B1 (ko) 2020-10-23 2020-10-23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결과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789A true KR20220053789A (ko) 2022-05-02
KR102534911B1 KR102534911B1 (ko) 2023-05-19

Family

ID=8159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30A KR102534911B1 (ko) 2020-10-23 2020-10-23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결과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98691U (zh) * 2015-05-05 2015-10-14 福建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兔用雌雄鉴别及早孕鉴别器
KR101647469B1 (ko) 2015-05-29 2016-08-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배란 테스트기
JP2019023647A (ja) * 2013-10-02 2019-02-14 エス・ピー・デイー・スイス・プレシジヨン・ダイアグノステイクス・ゲー・エム・ベー・ハー 改善された妊娠検査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008843B1 (ko) * 2019-01-29 2019-08-07 주식회사 스타고 타액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가임기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3647A (ja) * 2013-10-02 2019-02-14 エス・ピー・デイー・スイス・プレシジヨン・ダイアグノステイクス・ゲー・エム・ベー・ハー 改善された妊娠検査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204698691U (zh) * 2015-05-05 2015-10-14 福建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兔用雌雄鉴别及早孕鉴别器
KR101647469B1 (ko) 2015-05-29 2016-08-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배란 테스트기
KR102008843B1 (ko) * 2019-01-29 2019-08-07 주식회사 스타고 타액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가임기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911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516B2 (en) Electronic test device data communication
US9386221B2 (en) Portable lateral test reader
EP1866637B1 (en) Body fluid testing component for analyte detection
EP3612963B1 (en) Biochemical analyser based on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ing test strips and a smartdevice
US20150051502A1 (en) Breath analyz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preserving, and presenting breath analysis data
CN108553081A (zh) 一种基于舌苔图像的诊断系统
US8724855B2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er terminal
CN105286880B (zh) 基于智慧云的血氧检测系统
CN106483283A (zh) 一种诊断测试体系
CN103210311A (zh) 血糖测定装置
CN105973885A (zh) 一种基于颜色识别的快速检测系统和快速干化学检测方法
KR101920273B1 (ko) 체액 검사장치용 시료부 및 이를 구비하는 체액 검사장치
CN204740070U (zh) 试纸条判读分析装置
CN104515767A (zh) 检测卡匣读取装置及其读取方法
KR102534911B1 (ko) 임신 진단용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결과 표시 방법
KR20170133833A (ko) 독립형 휴대용 체액 검사장치
KR101126641B1 (ko)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혈액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진료 및 혈액정보관리 시스템
CN205144569U (zh) 基于智慧云的血氧检测系统
US11049242B2 (en) Portable and rapid screening in vitro detection system
CN104655294A (zh) 体温测量方法、装置及体温计
CN206450683U (zh) 一种诊断测试体系
CN211409017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体外诊疗检测装置
CN209858580U (zh) 一种自助检测盒及其互联网体外诊断自助检测系统装置
CN216847826U (zh) 一种快速检测试剂信息强制收集系统
CN210743597U (zh) 一种晨检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