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798A - 필름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798A
KR20170133798A KR1020160065041A KR20160065041A KR20170133798A KR 20170133798 A KR20170133798 A KR 20170133798A KR 1020160065041 A KR1020160065041 A KR 1020160065041A KR 20160065041 A KR20160065041 A KR 20160065041A KR 20170133798 A KR20170133798 A KR 2017013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
composition
film composition
person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217B1 (ko
Inventor
김병준
문교태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6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2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0Organic dyes or pigments; Optical brighte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유용한 필름에 관한 것이며, 필름은 조성물 제형 내에서 안정하지만, 사용시 분해되면서, 유효성분(착색제 포함)을 방출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1종 이상의 비수용성 폴리머와 1종 이상의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필름이 제형 상태에서는 분해되지 않지만, 사용시 일정 압력을 가하면 분해되어 유효성분 (착색제 포함)이 방출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필름 조성물{Film composition}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함유되는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제형 내에서 안정하지만, 퍼스널 케어 조성물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분해되면서, 필름 조성물 내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방출하는 특징을 갖는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다양한 기능을 함유한 캡슐이나 필름을 함유하여 외관 차별화뿐만 아니라, 사용시 효과적으로 유효성분을 전달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그 중, 치약 조성물 내에 필름을 함유한 선행특허의 예로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15-7017700호는 수용성 필름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성 필름은 50% 이상의 폴리비닐알콜과 50% 이하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08-7017832호에서의 필름은 제1용해도(first solubility)을 보유하는 제1중합체 및 제2용해도를 보유하는 제2중합체를 함유하고, 물에서 상기 제1용해도가 제2용해도보다 높은 특징이 있다.
상술한 2가지 선행특허에 따른 필름은 모두 수용성 폴리머를 필요로 하고, 더욱이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15-7017700호는 수용성 필름이므로, 제조시는 물론이고 제형 내에서 안정성이 유지되기에 어려움이 있고, 필름 내 유효성분이 사용 전에 방출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필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시에 비로소 필름 조성물이 분해되어 유효성분이 방출되는 필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 전, 예를 들어 제조 단계, 유통 단계, 또는 저장 단계에서는 유효성분의 방출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함유되는 필름 조성물로서, 1종 이상의 비수용성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을 함유하는 필름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및 이러한 필름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1종 이상의 비수용성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을 이용해 제조된 필름이 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제조 단계에서는 안정성을 유지하고, 치약 조성물의 사용시 가해지는 양치압에 의해서는 분해되어 필름 내 존재하던 유효성분이 신속하게 방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로 포함되기 위한 것으로, 1종 이상의 비수용성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비수용성 폴리머는 필름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성분으로 포함되며, 실질적으로 불용성이고, 비친수성이며, 사용 전 제형 내 및 사용 조건 하에서 물에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다. 상기 '실질적으로 불용성' 또는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다'라 함은 물에 대해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1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01 중량% 미만으로 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폴리머는 인체, 특히 구강용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고, 안전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유도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가교결합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알킬 셀룰로오스(예를 들어, 에틸 셀룰로오스, 부틸 셀룰로오스, 이소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중화되지 않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셀락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 중합체(예를 들어, 디메틸실리콘 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검류(예를 들어, 잔탄검, 카라기난검 등),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필름 형성 중합체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20,00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00이상 및 약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0,000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알킬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폴리머는 필름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0 - 65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30 - 5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필름의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렵고, 65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필름제조시 필름의 점도가 높아 필름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은 필름 매트릭스 내에 담지되어 있으며,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은 필름에 가해지는 일정한 외부 압력에 의해 필름 매트릭스가 붕괴(분해)하도록 돕는다. 실질적으로 불용성이고, 비친수성이며, 사용 전 제형 내에서 및 사용 조건 하에서 물에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다. 상기 '실질적으로 불용성' 또는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다'라 함은 물에 대해 1 중량% 미만, 0.5 중량% 미만, 0.1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01 중량% 미만으로 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은 인체, 특히 구강용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고, 안전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류(예를 들어, 콜로이드실리카, 덴탈타입실리카, 이산화규소, 침강실리카 등),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티탄, 제2인산칼슘(Dicalcium phosphate dehydrate), 무기칼슘,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실리카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은 필름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0 - 4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20 - 4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일정 압력 이상에도 필름이 분해되지 않아 유효성분의 신속한 방출에 문제가 있고, 40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사용 전 필름 안정성 유지가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에 있어서, 비수용성 폴리머와 비수용성 무기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의 중량비는 1: 1 내지 100: 1 (비수용성 폴리머 : 비수용성 무기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1: 1 내지 70: 1, 가장 바람직하게 3: 1 내지 40: 1이다.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신속히 분해가 되지 않거나, 분해가 너무 빨리되서 조성물 내에서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머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필름 조성물 중량 대비 30 중량% 미만, 1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1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5 중량% 미만, 더더욱 바람직하게 1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폴리머는 전체 필름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머의 중량 대비 75 중량% 미만, 50 중량% 미만, 30 중량% 미만, 1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 1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 폴리머인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해 필름 조성물을 제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고 필름이 분해(붕괴)되며, 이는 보관 온도에 불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에 있어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포함되는 필름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소제 또는 유효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plasticizer)는 필름에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필름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머의 종류와 그 처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캐스터오일, 솔비톨,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효성분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심미적 또는 장식적 효과를 제공하고나 또는 의도된 용도로서 사용될 경우 조성물 내에 원하는 효용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약효제, 향미제 및 착색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약효제는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염화세틸피리디늄, 아이소프로필메틸페놀, 후박추출물, 센텔라정량추출물, 녹차추출물, 인산계 화합물(소듐 포스페이트, 디소듐 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 등) 또는 효소류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향미제에는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사카린나트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페퍼민트 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멘톨 유도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에는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크색소, 산화철이며, 수용성착색제가 아닌 비수용성색소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는 필름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성분의 종류 및 처방에 따라 당업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저급 탄소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필름 제조 단계에서 건조하여 휘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조성물은 필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은 필름 조성물의 혼합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며, 당업계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은 다양한 형태 혹은 모양 일 수 있다. 또한, 필름은 원하는 모양 및 두께일 수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 파편, 또는 조각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필름은 한층 혹은 여러층으로 제조시, 최종두께는 300um 이하, 바람직하게 10um - 300um이다. 10um 이하일 경우는 제조 단계에서 부서질 수 있고, 300um 이상이면 사용시에도 분해되지 않아 유효성분의 용출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사용 전에는 붕괴(분해)되지 않고 사용 시에 비로소 붕괴(분해)되어 필름 내 유효성분의 신속한 방출이 이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이라 함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쓰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퍼스널 케어 조성물이 치약으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사용이라 함은 양치를 의미할 것이다. 또한, '사용 전'이라 함은 필름의 제조 단계,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제조 단계를 포함해, 필름 제조 후 사용 전에 이르기까지 예상 가능한 모든 단계 (예를 들어, 보관 단계, 유통 단계 등)를 의미한다.
필름이 사용시 붕괴(분해)되는 원인 요소는 압력으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구강용 퍼스널 케어 조성물 사용시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치약으로 제형화된 구강용 퍼스널 케어 조성물 사용시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치약 제조를 위해 믹싱시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는 안전성이 유지되는데, 이것은 필름의 성분중에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이 치약 제조시에는 치약내의 수분 혹은 오일을 흡수하지 않으나, 제조후부터는 조금씩 치약내에 존재하는 수분 혹은 오일을 흡수하여 필름의 강도가 제조시보다는 약해진다. 양치시 분해되는 필름의 압력은 500 cm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g/cm2 이하이다. 500 g/cm2이상일 경우, 필름이 부서지는 것이 쉽지않고, 필름을 부수기 위해 무리한 힘이 가해져 구강의 경우에는 잇몸에 손상을 퍼스널케어제품에서는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붕괴(분해)는 필름이 그 구조,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필름이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필름 내 포함된 성분들, 특히 유효성분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온도 안정성이 있으며, 상온 내지 60℃의 온도 범위에서 붕괴(분해)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포함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기능, 목적, 사용대상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5.0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0.1-0.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를 벗어나, 중량% 미만이면 눈에 보이지 않고, 중량% 초과하면 사용시에 뭉쳐지거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는 필름 외에 통상적으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강용 퍼스널 케어 조성물인 경우, 예를 들어, 유효성분, 습윤제, 연마제, 약효제, 감미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향료, 기포제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마제는 예를 들어, 침강 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 인산일수소칼슘, 함수 알루미나,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칼슘 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최종 제품의 연마도를 미국 또는 영국에서 표준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는 방사선 표본 치아 마모량 측정법 또는 마모 표면 치아 시편 면적 측정법으로 측정하여 200이하의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습윤제는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 감미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소르비톨수용액, 비결정성소르비톨수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사용량은 치약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70중량% 함유될 수 있다.
결합제는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해주는 역할로 수용성의 고분자 종류 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알지네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포제는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 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 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기포제로는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링황산나트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효제는 예를 들어, 불화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아민 및 불화주석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불소화합물,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또는 산성피로인산나트륨, 효소류,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또는 알란토인의 유도체 또는 비타민류가 1종 혹은 그 이상 선택적으로 사용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미제로는 예를 들어, 사카린나트륨(수화물),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pH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료로는 예를 들어,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기타 첨가제로서 텍스트라나제 등의 효소류를 사용 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 잔량의 물은 20%이하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름이 사용될 수 있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예는 화장품, 세면도구 및 국소용 헬스 케어 타입 퍼스널 케어 제품 등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구강 위생 제품(예를 들어, 치약, 구강 현탁액, 및 마우스 케어 제품); 샴푸; 화학적 및 비-화학적 헤어 컬링(hair curling) 및 헤어 스트레이트닝(hair straightening) 제품; 헤어 스타일 유지 및 헤어 컨디셔닝 제품; 네일, 손, 발, 얼굴, 두피 및/또는 체모 염색을 위한 로션 및 크림; 페이스 및 바디 메이크업; 네일 케어 제품; 수렴제; 데오드란트; 발한 억제제; 제모제; 피부 보호용 크림 및 로션(예컨대 선스크린); 스킨 및 바디 클렌저; 스킨 컨디셔너(skin conditioner); 스킨 토너(skin toner); 스킨 퍼밍(skin firming) 조성물; 액체 비누; 바 비누(bar soap); 바쓰 제품; 및 면도 제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중 어떠한 것은 추가로 약제학적, 생약적, 및/또는 뉴트라슈티컬(neutraceutical)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퍼스널 케어 제품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제한 없이 특히 액체, 겔, 스프레이, 에멀젼(예를 들어, 로션 및 크림 등), 샴푸, 포마드(pomade), 폼(foam), 연고, 정제, 스틱(예를 들어, 립 케어(lip care) 제품), 메이크업, 좌제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떠한 것도 구강, 피부 또는 헤어에 적용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예컨대, 물로 헹구거나, 샴푸 또는 비누로 세정함으로써 제거될 때까지 접촉된 채로 있도록 설계된다. 겔은, 부드럽거나, 단단하거나 압착가능할 수 있다. 에멀젼은 수중유, 유중수, 물-및-실리콘, 또는 다상일 수 있다. 스프레이는 수동 펌핑되는 손가락-작동식 스프레이어로부터 전달되는 비가압식 에어로졸이거나 가압식 에어로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조성물, 특히 구강용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유용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필름은 조성물 제형 내에서 안정하지만, 일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분해되면서, 필름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던 성분, 예를 들어 기능성 성분 또는 착색제를 방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포함시킬 다른 성분과의 분리 포함을 위해 필름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필름 조성물에 함유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퍼스널 케어 조성물 사용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생기는 심미적 또는 장시적 변화(예를 들어, 색 변화, 향미 변화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능성 물질 중 안정성이 취약한 성분을 필름 조성물로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필름 조성물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즉, 에탄올에 표 1 또는 표 2에 기재된 전 성분들(예컨대, 비수용성 폴리머, 비수용성 무기염류 혹은 무기산화물, 유효성분 등의 분말 혹은 유용성 성분)을 분산시켜 1차 혼합하였고,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증발시켜 필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필름의 두께는 대략 0.2mm였다. 이를 정사각형 사이즈로 절단하여 치약에 0.3 중량%로 투입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는 통상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먼저, 정제수 및 습윤제로 구성되는 액상부분에 소량의 첨가제를 배합한 뒤 연마제를 배합하였다. 이에 더하여, 기포제, 향료 및 기타 첨가제를 배합하여, 통상의 치약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성 분 명 성분비
실리카 20.0
농글리세린(98%) 30.0
소르비톨수용액(70%) 3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5
잔탄검 0.5
불화나트륨 0.22
향 료 1.0
사카린나트륨 1.0
구연산, TEA 적량
정제수 To 100
치약을 제외한 필름 조성물은 이하 본 설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성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에틸셀룰로스 30 30 50 50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실리카 20 35 20 35
색소 1 1 1 1
센텔라정량추출물 0.01 0.01 0.01 0.01
글리세린 10 10 10 10
에탄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구성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에틸셀룰로스 30 50 30 30 30 30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0 10 20 20 10 10 20 20
실리카 20 35 20 35 20 35 20 35
색소 1 1 1 1 1 1 1 1 1 1
센텔라정량
추출물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에탄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제형 내 필름의 장기 안정성 평가
제조된 필름을 정사각형 사이즈(가로, 세로 각각 0.2mm)로 절단하여 치약에 0.3중량%로 투입하고 믹싱 후(균일하게 필름이 치약에 고르게 분포하기 위해서 제조시 믹싱), 필름이 함유된 최종 치약에 대해서 온도별(60℃, 50℃, 40℃, 상온)로 1개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안정성 양호: O 안정성 불량 : x 믹서에 의한 부서짐 : -
샘플번호 믹싱후 필름안정성 1개월안정성
(60℃)
1개월안정성 (50℃) 1개월안정성 (40℃) 1개월안정성
(상온)
실시예 1 0 0 0 0 0
실시예 2 0 0 0 0 0
실시예 3 0 0 0 0 0
실시예 4 0 0 0 0 0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 - - - -
비교예 3 - - - - -
비교예 4 - - - - -
비교예 5 0 0 0 0 0
비교예 6 0 0 0 0 0
비교예 7 0 X X X X
비교예 8 0 X X X X
비교예 9 0 X X X X
비교예 10 0 X X X X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경우 필름은 형성되었으나, 제조시에 믹서의 마찰에 의해서 부서져서 치약 내 필름이 믹싱 후부터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5와 비교예 6은 필름이 치약 내에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10은 제조시에는 양호하였으나, 1개월 후에는 온도별로 안정하게 유지되지 않았다.
실험예 2. 양치시 필름 안정성 평가
1개월 경시된 제품을 가지고 일정한 압력으로 30초 이상 양치한 후 뱉어냈을 경우 뱉어낸 부분에서 필름의 제형내 안정성을 평가 확인 평가하였다.
양치시 필름이 분해되어 보이지 않음 : O
양치시 필름이 분해되지 않음 : X
평가 불가 제품(제조후 혹은 1개월 경시 후 필름이 분해됨) : -
샘플번호 양치후 필름존재유무
실시예 1 0
실시예 2 0
실시예 3 0
실시예 4 0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X
비교예 6 X
비교예 7 -
비교예 8 -
비교예 9 -
비교예 10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 1개월 경시된 제품에서 양치시 필름이 분해되어 뱉어낸 부분에서 필름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6의 경우, 1개월 경시된 제품에서 필름이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었다. 또한, 비교예 7내지 비교예 10에서는 필름이 양치질을 위한 토출 시부터 발견되지 않았다.

Claims (12)

  1.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함유되는 필름 조성물로서,
    1종 이상의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 및 1종 이상의 비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필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폴리머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유도체, 분산체, 가교결합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티이트)(PV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알킬 셀룰로오스,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중화되지 않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셀락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디메틸실리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검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은 콜로이드실리카, 덴탈타입실리카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실리카류,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티탄, 제2인산칼슘(Dicalcium phosphate dehydrate) 및 무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폴리머는 필름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0 - 6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무기 염류 혹은 무기산화물은 총 중량 대비 10 - 4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조성물은 색소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캐스터 오일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구강용 퍼스널 케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름 조성물로 제조되고, 500g/cm2이하의 압력에서 분해되는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1. 제9항의 필름을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치약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 제품; 샴푸; 화학적 및 비-화학적 헤어 컬링(hair curling) 및 헤어 스트레이트닝(hair straightening) 제품; 헤어 스타일 유지 및 헤어 컨디셔닝 제품; 네일, 손, 발, 얼굴, 두피 또는 체모 염색을 위한 로션 및 크림; 페이스 및 바디 메이크업; 네일 케어 제품; 수렴제; 데오드란트; 발한 억제제; 제모제; 피부 보호용 크림 및 로션; 스킨 및 바디 클렌저; 스킨 컨디셔너(skin conditioner); 스킨 토너(skin toner); 스킨 퍼밍(skin firming) 조성물; 액체 비누; 바 비누(bar soap); 바쓰 제품; 및 면도 제품치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20160065041A 2016-05-26 2016-05-26 필름 조성물 KR10256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41A KR102562217B1 (ko) 2016-05-26 2016-05-26 필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41A KR102562217B1 (ko) 2016-05-26 2016-05-26 필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98A true KR20170133798A (ko) 2017-12-06
KR102562217B1 KR102562217B1 (ko) 2023-07-31

Family

ID=6092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041A KR102562217B1 (ko) 2016-05-26 2016-05-26 필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2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090A (ja) * 1999-09-30 2001-04-10 Kao Corp フィルムの製法
US20030007944A1 (en) * 2001-04-04 2003-01-09 Lavipharm Laboratories Inc. Film forming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and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JP2006069983A (ja) * 2004-09-03 2006-03-16 Kao Corp 歯磨用組成物
KR20080081977A (ko) * 2005-12-22 2008-09-10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필름 함유 조성물
JP2009521500A (ja) * 2005-12-21 2009-06-04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清浄及び/又は光沢組成物とその使用の方法
JP2009543900A (ja) * 2006-07-14 2009-12-10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フィルムを含む組成物を作製する方法
KR20110109250A (ko) * 2010-03-31 2011-10-06 주식회사 제네웰 수성/비수성 약물전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성 혼합용액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500313A (ja) * 2010-12-23 2014-01-09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WO2016075498A1 (en) * 2015-02-27 2016-05-19 Revolymer (U.K.) Limited Polymers of itaconic acid and uses thereof as a film forming agent in a cosmetic or personal care produc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090A (ja) * 1999-09-30 2001-04-10 Kao Corp フィルムの製法
US20030007944A1 (en) * 2001-04-04 2003-01-09 Lavipharm Laboratories Inc. Film forming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and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JP2006069983A (ja) * 2004-09-03 2006-03-16 Kao Corp 歯磨用組成物
JP2009521500A (ja) * 2005-12-21 2009-06-04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清浄及び/又は光沢組成物とその使用の方法
KR20080081977A (ko) * 2005-12-22 2008-09-10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필름 함유 조성물
JP2009543900A (ja) * 2006-07-14 2009-12-10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フィルムを含む組成物を作製する方法
KR20110109250A (ko) * 2010-03-31 2011-10-06 주식회사 제네웰 수성/비수성 약물전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성 혼합용액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500313A (ja) * 2010-12-23 2014-01-09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WO2016075498A1 (en) * 2015-02-27 2016-05-19 Revolymer (U.K.) Limited Polymers of itaconic acid and uses thereof as a film forming agent in a cosmetic or personal care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217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431B2 (en) Oral care composition
CA2760227C (en) Dentifrice composition
CN105411869A (zh) 洁齿剂组合物
KR20150094676A (ko) 아연 함유 조성물용 계면활성제 시스템
EP2585027B1 (en) Encapsulation of ingredients in lactose matrix to form active encapsulates
JP2013530222A (ja) フレーバーの送達のための多層フィルム
US3342687A (en) Oral preparation
CN102958495A (zh) 香料在刷牙期间从多层膜释放
TW201545767A (zh) 含膜組成物
CA2787395C (en) Oral care product for sensitive enamel care
RU2447881C2 (ru)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содержащая гранулы с силиконовым маслом
JPH10251131A (ja) 口腔用組成物
US6306372B1 (en) Oral hygiene compositions which mask the burn sensation and the astringency of eucalyptol and zinc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N104066417B (zh) 包含异丁基厚朴酚的口腔护理组合物
EP3223913B1 (en) Zinc phosphate complex
KR102562217B1 (ko) 필름 조성물
CN103957870A (zh) 包含正丁基厚朴酚和异丁基厚朴酚的口腔护理组合物
JP3511727B2 (ja) 口腔用組成物
US1116688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H-sensitive microcapsules
CN113271921A (zh) 包含植物性药材的口腔护理组合物及其使用方法
AU2016421846A1 (en) Stable whitening dentifrice composition with colorant-containing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