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023A - 코너 브라켓 - Google Patents

코너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023A
KR20170133023A KR1020160063933A KR20160063933A KR20170133023A KR 20170133023 A KR20170133023 A KR 20170133023A KR 1020160063933 A KR1020160063933 A KR 1020160063933A KR 20160063933 A KR20160063933 A KR 20160063933A KR 20170133023 A KR20170133023 A KR 2017013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support
vertical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회
김홍석
조재만
Original Assignee
김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회 filed Critical 김은회
Priority to KR102016006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023A/ko
Publication of KR2017013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상가, 사무빌딩에는 도어 또는 창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 순환과 동시에 단열등의 효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창호틀 내부에서 작동하는 폴딩 도어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준비하여 코너 브라켓을 이용하여 사각 형태의 도어를 만들어 사용되고 있다. 본원은 도어의 코너에 설치하는 코너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어 코너부의 강도를 개선하고 도어의 뒤틀림이나 휨현상을 방지하고 도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성을 향상시킨 코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너 브라켓{CORNER BRACKET}
본 발명은 코너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 도어를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연결부인 코너에 설치하므로서 코너부의 강도를 개선하고, 폴딩 도어 프레임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코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상가, 사무빌딩에는 도어 또는 창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 순환과 동시에 단열등의 효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창문을 이루는 창호틀 내부에서 작동하는 도어는 통상, 공장에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준비하여 사각 형태의 도어를 만들고, 완성된 프레임 도어에 유리를 끼워 사용되고 있거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절단하여 실리콘으로 접착 후, 직접 피스로 고정하여 도어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어 자체가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이러한 도어는 장기간 사용하면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창호틀에 제대로 맞지 않을 뿐 아니라 도어 자체가 제대로 닫기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또한, 현재는 창호틀 자체의 인테리어 효과와 공간미를 가미하기 위해 단순히 도어를 개폐하는 수준에서 더 발전하여 접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폴딩 도어를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폴딩 도어는 도어가 창호틀 하부면에 닿지 않고 약간 떠서 하부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개폐되기 때문에, 폴딩 도어 자체의 전체 하중이 창호틀에 직접 걸려 창호틀이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변형이나 뒤틀림의 이유는 창호틀 내부에서 도어 자체가 창호틀 하부 면에서 뜬 상태에서 단순히 경첩에 의해 연결된 도어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경첩에 의해서 도어 자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경우는 폴딩 도어 특성상 여러개의 도어를 연속해서 경첩에 의해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폴딩 도어를 지지하는 창호틀 변형을 포함하여 폴딩 도어 자체가 창호틀에 어긋나는 경우도 많았다. 이렇게 경첩에 의해서 폴딩 도어를 연결하는 이유는 폴딩 도어 특성 상 여러개의 도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창호틀에 끼워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창호 제작시 창호틀 내부에서 구동되는 도어를 사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재질의 접합제를 사용하거나, 창호의 프레임 패널을 절단하여 그 절단부를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매가 가능한 연결 피스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은 창호 조립 방식은 경우에 따라서 연결 부위의 결합 부위의 지지력이 약하여 고 하중을 요구하는 폴딩 도어의 특성상 코너 부위에 변형이 생길 수 있다. 게다가 폴딩 도어의 경우에는 접이식으로 구동시 발생되는 하중이 슬라이딩식으로 구성되는 일반 창호의 경우보다 훨씬 많이 가해지므로, 고 하중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시 창호틀 및 도어의 뒤틀림 및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어를 이루는 프레임의 지지력을 강화하고 조립 결합이 가능한 형태의 하드웨어로 결합하기 위해 고안된 연결 기구가 본원의 코너 브라켓이다. 통상, 폴딩 도어는 금형으로 형틀을 제작하여 알루미늄 창호의 외부 도장 마감의 일체감과 강한 지지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재질을 고열로 녹여 금형의 형태로 캐스팅 생산하므로서 자유로운 형태의 디자인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되었다. 그러한 제조 기술을 통하여 생산된 제품은 본원의 코너 브라켓을 사용하여 모든 창호 프로파일에 직접 연결 가능하며 연결 피스를 측면에서 체결이 가능하도록하여 지지력을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폴딩 도어에서 수직으로 작동되는 시스템 락 장치가 패널 연결 구성에 간섭 받지 않도록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코너 브라켓 하부에 형성하여 기능성을 강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은 가로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ㄷ 형태의 가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연결되어 세로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ㄷ 형태의 세로프레임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와 세로 프레임 지지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와, 상기 세로 프레임에서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연결 지지대를 통과하여 설치된 락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의 면에는 피스 구멍을 형성한 돌출 배면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 지지대는 세로 프레임와 나란하게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원형의 락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해 락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지지대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결합 돌기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 및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형성된 피스 구멍을 통해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에 고정하여 도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 장치는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지지대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은 도어 프레임 코너의 비틀림과 휨방지,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프레임의 절단에 의해 도어 크기 수정이 간단하고 도어 자체를 창호틀에 견고하게 고정 및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의 하부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창호 시스템 제작시 창호 틀 내부에서 구동되는 프레임 도어의 도어를 사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레임을 알맞는 크기로 절단하여 가로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에 의해 사각형으로 구성하여 실리콘 재질의 접합제를 사용하여 붙히거나 사각형으로 구성된 창호의 연결 부분을 비스듬히 잘라 연결 피스를 박아 조립하여 사용하였는데, 상기와 같은 방식은 조립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원은 조립성을 높히기 위해 코너 브라켓을 이용하여 도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브라켓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코너 브라켓은 도어를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장치로서, 세로 프레임 지지대(10)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연결 지지대(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 하부에는 원형의 시스템 락 구멍(41)을 형성하여 여러개 연결된 폴딩 도어를 접은 상태에서 창호틀 하부면에 락 장치(4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프레임 조립으로 완성된 폴딩 도어가 창호틀 하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어를 완성하는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삽입하여 코너 브라켓 연결 지지대(30)에 연결되는 부분인 각각의 세로 프레임 지지대(10)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2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 면에는 세로 프레임 지지대(10)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20)의 피스 구멍(11,21)을 형성하여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코너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피스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b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 연결을 위한 돌출부(31)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 브라켓의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우측에 도시된 돌출부(31)는 프레임이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꺾어져 구성되고, 원형의 구멍(41)은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시스템 락 장치(40)가 세로 프레임 지지대(10) 내부를 통과하여 창호 시스템에 간섭 받지 않고 창호틀 하부 레일에 직접 접촉하므로서 락 되도록 구성되었다. 앞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의 접이식 폴딩 도어는 여러개의 도어를 경첩에 의해 연결하고 경첩의 힘으로 연결된 폴딩 도어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뒤틀림이 발생할 수도 있고, 여러개의 도어를 연결한 경우는 한쪽 창호틀 프레임에 도어를 직접 연결하여 전체 하중이 가해져 손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2개 내지 3개의 도어를 연결하여 넓은 공간에 폴딩 도어로 구성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1개의 창호 틀에 전체 도어 하중이 집중되므로 도어 하중에 의해, 도어를 포함한 창호틀이 변형되거나 뒤틀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폴딩 도어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이 상당히 넓은 경우, 설치 공간 자체를 여러개로 구획하여 하나의 구획마다 창호틀을 설치하여 상기 창호틀에 폴딩 도어를 개별로 설치 해야 하므로, 소비자는 설치 비용도 많이 들어가고 동시에 조립성이 떨어지고, 설치 후 구획틀로 인해 외부 전망도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을 이용하는 폴딩 도어는 브라켓 하부에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락 장치 통과 공간을 마련하여 시스템 락 장치(40)를 수직으로 작동하도록 레일에 직접 맞닿게 설치하므로 도어 하중이 분산되어 넓은 공간에도 무리 없이 설치 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도어 및 창호틀의 기능성을 개선한 것이 큰 장점이다. 또한, 코너 브라켓에 형성된 구멍에 피스 자체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지력을 강화 하고 혹시라도 프레임 제작이 잘못되어 도어 크기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도 현장에서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조절하여 창호 시스템을 완공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라켓의 락 구멍(4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와 같이 코너 브라켓 하부에 세로 프레임의 방향으로 원형의 락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으로 세로 프레임에 연결된 원형의 락 장치(40)가 세로 프레임 지지대(10)를 통과하여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폴딩 도어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락 장치(4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멍 하부로 내려와 창호틀에 걸려 접혀 있는 폴딩 도어가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정지하게되고, 다시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락 장치(40)를 위로 올려 폴딩도어가 레일을 따라 창호 틀에 펼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다시 말하면 결국은 본원의 코너 브라켓은 ㄷ자의 형상으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한 형태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 지지대의 배면에는 돌출부를 삽입하고자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에는 요철부(도시하지 않음)를 이루어 코너 브라켓에 각각의 프레임을 끼워 사각 형태로 도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 지지대(10)와 세로 프레임 지지대(20)에 형성된 피스 구멍(11,21)을 통해 피스로 죄면 더욱 견고하게 코너 브라켓에 각각의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코너 브라켓과 프레임만으로 현장에서 직접 도어를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딩도어 제조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가로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ㄷ 형태의 가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연결되어 세로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ㄷ 형태의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와 세로 프레임 지지대를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와,
    상기 세로 프레임에서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연결 지지대를 통과하여 설치된 락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의 면에는 피스 구멍을 형성한 돌출 배면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 지지대는 세로 프레임와 나란하게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원형의 락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해 락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결합 돌기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 및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형성된 피스 구멍을 통해 세로 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에 고정하여 도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브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 장치는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지지대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브라켓.
KR1020160063933A 2016-05-25 2016-05-25 코너 브라켓 KR20170133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33A KR20170133023A (ko) 2016-05-25 2016-05-25 코너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33A KR20170133023A (ko) 2016-05-25 2016-05-25 코너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23A true KR20170133023A (ko) 2017-12-05

Family

ID=6092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33A KR20170133023A (ko) 2016-05-25 2016-05-25 코너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0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16B1 (ko) * 2021-05-04 2021-12-09 김광일 프레임 결합구, 이를 포함하는 방음판 구조물 및 방음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401872B1 (ko) * 2021-10-29 2022-05-25 주식회사 태산 폐고무 흡음재를 활용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이의 부분 유지보수 방법,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KR102401870B1 (ko) * 2021-10-29 2022-05-25 주식회사 비케이오름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KR102423805B1 (ko) * 2022-04-08 2022-07-22 주식회사 엔에스폴딩 다기능 폴딩도어용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힌지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16B1 (ko) * 2021-05-04 2021-12-09 김광일 프레임 결합구, 이를 포함하는 방음판 구조물 및 방음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401872B1 (ko) * 2021-10-29 2022-05-25 주식회사 태산 폐고무 흡음재를 활용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이의 부분 유지보수 방법,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KR102401870B1 (ko) * 2021-10-29 2022-05-25 주식회사 비케이오름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KR102423805B1 (ko) * 2022-04-08 2022-07-22 주식회사 엔에스폴딩 다기능 폴딩도어용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힌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20170133023A (ko) 코너 브라켓
KR1013446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장치
KR20130024758A (ko) 폴딩도어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US11591843B2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JP486329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パネルユニット
KR100667586B1 (ko) 도어의 방음장치
KR200451130Y1 (ko) 창틀 및 문틀 고정용 브래킷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JP6411861B2 (ja) 方立の支持構造と方立
US20200238795A1 (en) Window assembly having flush frame to sash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20110019231A (ko) 문틀 결합구조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JP7097779B2 (ja) 窓用のシャッター装置
KR200485837Y1 (ko) 연동 도어용 문틀프레임
JP2018127861A (ja) 建具及び建具における戸体の吊り込み方法
KR102156611B1 (ko) 슬라이딩 창짝 구조체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JP7403694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KR2004525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0867182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