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870B1 -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1870B1 KR102401870B1 KR1020210146748A KR20210146748A KR102401870B1 KR 102401870 B1 KR102401870 B1 KR 102401870B1 KR 1020210146748 A KR1020210146748 A KR 1020210146748A KR 20210146748 A KR20210146748 A KR 20210146748A KR 102401870 B1 KR102401870 B1 KR 102401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vertical
- plate
- frame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8—Panels, e.g. active sound-absorption panels or noise barrie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4—Traffic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주의 웨브 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폐 수지 흡음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주의 웨브 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폐 수지 흡음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등을 따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 등의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환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문제와 함께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이며, 특히, 주변 지역에 학교나 관공서가 위치한 도로 등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은 바닥에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에 설치되는 방음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음판은 유리와 같음 차음판이나 흡음재를 포함하는데, 상기한 흡음재는 표면이 거칠거나 공극(연속기포)이 많은 것으로 소리에너지가 공기입자와 재질의 마찰에 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크게 흡수된다.
일반적으로 흡음재는 암면, 유리 울, 스폰지 등으로 제조되는데 소리 에너지의 70% 이상을 흡수한다. 나머지는 반사되거나 방음벽을 통과하여 계속 나아간다.
한편, 폐합성수지, 폐고무와 같은 폐 수지는 매립 시 분해가 어렵고, 소각 시 유해 가스가 발생하는 등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특허인 등록특허 제10-1963060호(이하 종래기술)는 구조체, 흡음재, 방음벽 재료, 및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6 mm 내지 50 m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무기 입자, 및 무기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6 질량부 내지 40 질량부의 수지를 함유하고, 벌크 비중이 0.75 이하이며, 상기 수지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경화성 수지인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흡음 특성 및 가벼운 중량을 가지며 단순한 단계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버려지는 폐 수지를 활용하지 못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종래기술과 같이 기존 흡음재를 사용해야 할 경우, 기존 흡음재를 생산하여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차후 새로운 폐기물을 양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방음판을 간편하게 유지보수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폐 수지 활용이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인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이웃하는 지주의 웨브 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폐 수지 흡음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 수지 흡음재 전방에 연결되는 극세사 흡음재; 및 상기 극세사 흡음재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전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후방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후방홈, 상기 폐 수지 흡음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후방홈보다 전장에 배치되는 중간홈, 및 상기 폐 수지 흡음재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중간홈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판과 연결되는 중간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한 쌍의 수직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프레임,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외측단에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맞댐부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끼움부,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직끼움부를 포함하는 코너결합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끼움부 및 상기 수직끼움부 각각은 돌출 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단부가 단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직끼움부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 상기 수직플레이트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끼움부와 연결되는 수직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끼움부는, 상기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연결되는 마감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외측수직파트; 및 상기 외측수직파트의 상단 또는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평파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끼움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수평끼움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끼움돌기의 길이는 상기 수평끼움부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지주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부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프레임부를 일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타 측을 회동시키는 단계(S20); 및 상기 프레임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지주 사이에서 빼내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이웃하는 지주의 웨브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지는 메인프레임부와 폐 수지 흡음재를 포함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폐 수지 활용이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이라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S)은 웨브(P1) 및 웨브(P1)의 전단가 후단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랜지(P2)를 포함하는 H형강과 같은 지주(P)에 설치되어 방음벽을 구성하는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환경 친화적이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S))는 프레임부(1), 후방판(2), 폐 수지 흡음재(3)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지주(P)의 웨브(P1) 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수평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프레임부(1)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 한 쌍의 수직프레임(12)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프레임(13)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12)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는 정면 상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하측(하단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저면측(저면측단)을 의미하고, 상단(상단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평면측(평면측단)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3a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후방판(2)은 메인프레임부(1)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프레임(12)은 상기 후방판(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후방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한 쌍의 수직프레임(12), 하부프레임(13), 상부프레임(14)이 형성하는 공간 측을 말하며, 외측은 상기 내측에서 공간의 외부 방향 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수직프레임(12)의 하단을 하부프레임(13)이 연결하고, 도 1의 [C]를 참조하면, 상기한 후방홈(121)에 후방판(2)이 삽입되어 프레임부(1)에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레임부(1)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판(2)과 연결되는 중간프레임(15)을 포함할 수 있다(도 1의 [B] 참조). 중간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은 수직프레임(12)과 평행하여 수직 방향을 따른다.
중간프레임(15)도 예시적으로 상기한 후방판(2)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중간프레임(15)을 포함함으로써, 수평프레임들(상부프레임(14), 하부프레임(13)) 비틀림을 억제하여 프레임부(1)의 강성을 부가하고, 수평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후방판(2), 후술하는 폐 수지 흡음재(3) 등의 구조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폐 수지 흡음재(3)는 상기 후방판(2)의 전방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전방(전단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A'방향('A'방향 측단)을 의미하고, 후방(후단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A'방향의 역 방향('A'방향의 역 방향 측단)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폐 수지 흡음재(3) 폐고무, 폐타이어, 폐합성수지 등을 재활용한 흡음재로서, 본 장치에 흡음성을 부가하는 것이다. 본 장치는 폐 수지 흡음재(3)를 포함하여 폐 수지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흡음재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필요 없어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폐 수지 흡음재(3)은 예시적으로 후방판(2)의 전방에 배치되어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도 1의 [D] 참조).
또한 상술하였듯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12)은 폐 수지 흡음재(3)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후방홈(121)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중간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 수지 흡음재(3)와 프레임부(1)가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후방판(2)은 폐 수지 흡음재(3)의 후방에 배치되어 폐 수지 흡음재(3)를 후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폐 수지 흡음재(3)를 통과한 소리 음파를 다시금 전방으로 반사시켜 폐 수지 흡음재(3)의 후면을 통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후방판(2)은 예시적으로 강판일 수 있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폐 수지 흡음재(3)의 전방에 연결되는 극세사 흡음재(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극세사 흡음재(4) 또한 상기한 체결수단 등에 의해 폐 수지 흡음재(3)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극세사 흡음재(4)는 예시적으로 폴리에스테르 또는 상기 폐고무 등이 성형된 가느다란 실이 엉키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극세사 흡음재(4)는 그 자체로 소리 음파를 흡수하고, 공간(기공)을 형성하여 공간에 충진 되는 공기에 의해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리 음파의 일부를 상기 공간을 통해 후방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후방에 배치된 폐 수지 흡음재(3)에 흡수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주파 영역대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극세사 흡음재(4)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에 연결되는 전방판(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판(5)은 예시적으로 타공판일 수 있으며 AL강판일 수 있다.
전방판(5)은 상기한 폐 수지 흡음재(3)의 전방에 배치되어 폐 수지 흡음재(3)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판(5)은 타공판으로 전방판(5)의 전방에서 진행되는 소리 음파가 전방판(5)을 통과하여 폐 수지 흡음재(3)에 흡수 될 수 있다. 또한 후방판(2)을 통해 반사되어 전방으로 진행되고 폐 수지 흡음재(3)를 통과한 소리 음파가 전방판(5)의 후면에 다시금 반사되도록 하여 폐 수지 흡음재(3)에 전면에 흡수되도록 하기 때문에 본 장치의 흡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수직프레임(12)은 전방판(5)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중간홈(122)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부(1)와 전방판(5)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프레임부(1)가 이웃하는 지주(P)의 웨브(P1) 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방향 길이를 갖는다고 하였다.
종래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방음판 중 하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를 유지보수 하고자 할 경우 상측에 배치된 방음판들을 상측으로 인상해야 했다. 그러나 본 장치는 메인프레임부(1)의 수평 길이가 이웃하는 지주(P)의 웨브(P1) 간 거리보다 짧으므로 상측에 배치된 방음판들을 지주(P)에 고정한 상태에서, 본 장치를 일 측으로 이동하고 타 측을 일 측을 중심축으로 회동하여 이웃하는 지주(P) 사이에서 본 장치를 빼낼 수 있기 때문에 본 장치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일 측(일단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좌측단 등)을 의미하고, 타 측(타단 등)은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우측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프레임부(1)가 지주(P)의 웨브(P1) 간 거리보다 수평 길이가 짧아 프레임부(1)와 지주(P)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6)은 상부프레임(14)(또는 하부프레임(13))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안내홈(6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6)은 상기 안내홈(61)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부(621)와 상기 수평부(621)의 외측단에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맞댐부(622)를 포함하는 고정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수단(6)은 상부프레임(14)(또는 하부프레임(13))의 후면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후방돌기, 제1후방돌기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향돌기, 후면 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후방돌기, 및 제2후방돌기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상향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홈(61)은 제1후방돌기와 제1하향돌기가 형성하는 제1홈, 및 제2후방돌기와 제2상향돌기가 형성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수평부(621)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이 상기 제1홈 및 제2홈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맞댐부(622)는 수평부(621)의 외측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본 장치가 이웃하는 지주(P)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62)가 안내홈(61)에서 외측으로 이동하여 지주(P)의 웨브(P1)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맞댐부(622)가 웨브(P1)에 인접 배치되어 볼팅 등 통상의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웃하는 지주(P1) 간 거리보다 수평 길이가 짧은 프레임부(1)의 단점을 보완하여 프레임부(1)가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지주(P)에서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장치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구(62)와 지주(P)의 결합을 해제한 후 고정구(62)를 안내홈(61)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도 2의 [B] 참조).
도 3a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는 몸체(111), 몸체(111)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끼움부(112), 상기 몸체(111)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직끼움부(113)를 포함하는 코너결합구(11)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결합구(11)는 수평프레임들(상부프레임(14), 하부프레임(13))과 수직프레임(12)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몸체(111)는 후술하는 수평끼움부(112) 및 수직끼움부(113)가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하우징의 형상일 수 있고, 수평 방향 중 일 측과 하측(또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몸체(111)는 예시적으로 후술하는 수직끼움부(113)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111a), 수직플레이트(111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직플레이트(111a)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플레이트(111b)는 상기 수직플레이트(111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이다.
도 3a에서는 수평플레이트(111b)가 수직플레이트(111a)의 상단에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3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몸체(111)는 수평플레이트(111b) 및 수직플레이트(11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마감플레이트(11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마감플레이트(111c)는 후술하는 수평끼움부(112)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내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직플레이트(111a) 및 수평플레이트(111b)와 연결되어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끼움부(112)는 상기 몸체(111)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시적으로 수평끼움부(112)는 몸체(111)의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정면 상에서 봤을 때 몸체(111)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끼움부(113)는 상기 몸체(111)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시적으로 수직끼움부(113)는 몸체(111)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정면 상에서 봤을 때 케이스(11)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분은 후술하는 프레임들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는 코너결합구(11)를 포함하여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12)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수평끼움부(112) 및 수직끼움부(113) 각각은 돌출 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단부가 단절된다. 즉, 수평끼움부(112)를 수평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단부가 단절되어 있고, 수직끼움부(113)를 수직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단부가 단절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끼움부(112)는 마감플레이트(111c)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외측수직파트(112a), 외측수직파트(112a)와 상단 또는 하단과 연결되고, 수평플레이트(111b)와 연결되는 수평파트(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끼움부(113)는 마감플레이트(111c)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외측수평파트(113a) 및 수직플레이트(111a)와 연결되고 외측단이 상기 외측수평파트(113a)와 연결되는 수직파트(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되는 돌출부의 돌출 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단부가 연결되어 있어,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더욱 많은 재료(예를 들어 용융금속)의 사용이 요구되었으나, 도 3a와 같이, 수평끼움부(112) 및 수직끼움부(113)은 돌출 방향 단면이 단절되어 있어 보다 적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돌출부의 돌출 방향 단면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후방판(2), 전방판(5), 폐 수지 흡음재(3) 등이 파손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장치의 프레임부(1)는 수평끼움부(112) 및 수직끼움부(113) 각각의 돌출 방향 단면이 단절되어 있고, 특히 외측수직파트(112a)외 외측수평파트(113a)가 마감플레이트(111c)에 연결되고, 수평파트(112b) 및 수직파트(113b)가 각각 수평플레이트(111b) 및 수직플레이트(111a)에 연결되어 수평끼움부(112)와 수직끼움부(113)이 몸체(111)의 내부 설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몸체(111)의 내부 설치 공간에 끼워지는 부재들(후방판(2) 등)과 접촉을 억제하여 상기한 부재들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코너결합구(11)는 수직플레이트(111a) 및 수평플레이트(111b)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111d)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111b)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끼움부(112)와 연결되는 수직연결돌기(111b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수평프레임이 수평끼움부(112)에 결합될 때,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연결돌기(111ba)에 지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플레이트(111a)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끼움부(113)와 연결되는 수평연결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코너결합구(11)는 수평끼움부(12)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되되, 상기 수평끼움부(112)의 돌출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끼움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끼움돌기(114)의 수평 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끼움부(112)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몸체(111)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짧음).
수평프레임이 몸체(111) 측으로 이동하여 수평끼움부(112)가 수평프레임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초기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이후에 수평프레임이 몸체(111) 측으로 더욱 이동할 경우 수평끼움돌기(114)에 의해 수평끼움부(112)와 수평프레임이 억지 끼움 되어 수평끼움부(112)와 수평프레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너결합구(11)는 수직끼움부(113)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수직끼움부(113)의 돌출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끼움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끼움돌기(115)의 수직 방향 길이는 상기 수직끼움부(113)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몸체(111)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짧음).
도 3a를 참조하면, 수평끼움부(112)는 수평파트(112b)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수직파트(112c)를 포함할 수 있고, 수직끼움부(113)는 상기 수직파트(113b)의 내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수평파트(11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파트(112b)는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수평끼움부(112)는 이격된 수평파트(112b)를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돌출부(112b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돌출부(112ba)는 단면이 ㄷ 자 형상일 수 있다.
수직파트(113b)는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수직끼움부(113)는 이격된 수직파트(113b)를 연결하되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돌출부(113ba)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돌출부(113ba)는 단면이 ㄷ 자 형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방법은 본 장치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으로 상술한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한 쌍의 지주(P)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부(1)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기 (S10) 단계 이전에, 상기 고정구(62)와 지주(P)의 결합을 해제하고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프레임부(1)를 일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타 측으로 회동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프레임부(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지주(P) 사이에서 빼내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S
코너결합구: 11 몸체: 111
수직플레이트: 111a 수평플레이트: 111b
수직연결돌기: 111ba 마감플레이트: 111c
통공: 111d 수평끼움부: 112
외측수직파트: 112a 수평파트: 112b
내측수직파트: 112c 수직끼움부: 113
외측수평파트: 113a 수직파트: 113b
내측수평파트: 113c 수평끼움돌기: 114
수직끼움돌기: 115 수직프레임: 12
후방홈: 121 중간홈: 122
전방홈: 123 하부프레임: 13
상부프레임: 14 중간프레임: 15
후방판: 2 폐 수지 흡음재: 3
극세사 흡음재: 4 전방판: 5
고정수단: 6 안내홈: 61
고정구: 62 수평부: 621
맞댐부: 622
지주: P 웨브: P1
플랜지: P2
코너결합구: 11 몸체: 111
수직플레이트: 111a 수평플레이트: 111b
수직연결돌기: 111ba 마감플레이트: 111c
통공: 111d 수평끼움부: 112
외측수직파트: 112a 수평파트: 112b
내측수직파트: 112c 수직끼움부: 113
외측수평파트: 113a 수직파트: 113b
내측수평파트: 113c 수평끼움돌기: 114
수직끼움돌기: 115 수직프레임: 12
후방홈: 121 중간홈: 122
전방홈: 123 하부프레임: 13
상부프레임: 14 중간프레임: 15
후방판: 2 폐 수지 흡음재: 3
극세사 흡음재: 4 전방판: 5
고정수단: 6 안내홈: 61
고정구: 62 수평부: 621
맞댐부: 622
지주: P 웨브: P1
플랜지: P2
Claims (10)
- 이웃하는 지주의 웨브 간 거리보다 짧은 수평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후방판; 및
상기 후방판의 전방에 연결되는 폐 수지 흡음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후방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후방홈, 상기 폐 수지 흡음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후방홈보다 전장에 배치되는 중간홈, 및 상기 폐 수지 흡음재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중간홈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판과 연결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프레임은 상기 후방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한 쌍의 수직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프레임,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외측단에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맞댐부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 수지 흡음재 전방에 연결되는 극세사 흡음재; 및
상기 극세사 흡음재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전방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끼움부,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직끼움부를 포함하는 코너결합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끼움부 및 상기 수직끼움부 각각은 돌출 방향 단면을 형성하는 단부가 단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직끼움부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
상기 수직플레이트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끼움부와 연결되는 수직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평끼움부는,
상기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연결되는 마감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외측수직파트; 및
상기 외측수직파트의 상단 또는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평파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끼움부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수평끼움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끼움돌기의 길이는 상기 수평끼움부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 청구항 1에 기재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지주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부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프레임부를 일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타 측을 회동시키는 단계(S20); 및
상기 프레임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지주 사이에서 빼내는 단계(S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6748A KR102401870B1 (ko) | 2021-10-29 | 2021-10-29 |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6748A KR102401870B1 (ko) | 2021-10-29 | 2021-10-29 |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1870B1 true KR102401870B1 (ko) | 2022-05-25 |
Family
ID=8180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6748A KR102401870B1 (ko) | 2021-10-29 | 2021-10-29 |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187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354B1 (ko) * | 2007-05-01 | 2007-12-07 | 태성이엔씨(주) | 선택적 충격흡수성능의 조정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
KR20090004685U (ko) * | 2007-11-13 | 2009-05-18 | 신세계산업(주) | 방음판의 흡음재 |
KR20170133023A (ko) * | 2016-05-25 | 2017-12-05 | 김은회 | 코너 브라켓 |
KR102265139B1 (ko) * | 2020-09-23 | 2021-06-15 | 김행순 | 반사형 방음판에 흡음 성능을 부여하는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
-
2021
- 2021-10-29 KR KR1020210146748A patent/KR102401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354B1 (ko) * | 2007-05-01 | 2007-12-07 | 태성이엔씨(주) | 선택적 충격흡수성능의 조정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
KR20090004685U (ko) * | 2007-11-13 | 2009-05-18 | 신세계산업(주) | 방음판의 흡음재 |
KR20170133023A (ko) * | 2016-05-25 | 2017-12-05 | 김은회 | 코너 브라켓 |
KR102265139B1 (ko) * | 2020-09-23 | 2021-06-15 | 김행순 | 반사형 방음판에 흡음 성능을 부여하는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36201B2 (ja) | 吸音パネル | |
KR102340284B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고무블록 흡음재, 이를 이용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이의 시공 방법 | |
KR200347833Y1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클립형 투명 방음판넬 | |
KR102166809B1 (ko) | 폐타이어 고무 흡음재를 이용한 친환경 방음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878302B1 (ko) | 플라스틱 방음패널 | |
KR102401870B1 (ko) | 폐 수지 흡음재로 조립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 |
KR102428811B1 (ko) | 친환경 태양광 발전 흡음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및 이의 유지보수 방법 | |
KR101167090B1 (ko) | 소음 감쇠기 | |
KR102401872B1 (ko) | 폐고무 흡음재를 활용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이의 부분 유지보수 방법, 및 이의 전체 유지보수 방법 | |
KR102380658B1 (ko) | 전체 및 부분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폐고무를 활용한 흡음부재와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및 이의 유지보수 방법 | |
KR20070093819A (ko) | 도로용 방음벽 | |
JP7175734B2 (ja) | 吸音パネル | |
KR101465960B1 (ko) | 흡음형 방음벽 | |
KR101281759B1 (ko) | 방음패널 | |
KR101332622B1 (ko) | 조립식 확산형 방음판 | |
KR100992996B1 (ko) |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도로 방음벽 | |
KR20020005257A (ko) | 방음벽 | |
CN213708996U (zh) | 一种适用于悬挂式单轨交通的集合减振降噪效果的轨道梁 | |
KR100472529B1 (ko) | 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 |
KR102203666B1 (ko) | 폐플라스틱 소재의 전면패널을 구비한 방음패널 조립체 | |
KR200401091Y1 (ko) | 조립식 방음패널 | |
JP7079449B2 (ja) | 防音壁 | |
KR200220446Y1 (ko) | 조립식 방음벽 | |
KR200208842Y1 (ko) |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 |
KR200188428Y1 (ko) | 방음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