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883A -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883A
KR20170131883A KR1020160062617A KR20160062617A KR20170131883A KR 20170131883 A KR20170131883 A KR 20170131883A KR 1020160062617 A KR1020160062617 A KR 1020160062617A KR 20160062617 A KR20160062617 A KR 20160062617A KR 20170131883 A KR20170131883 A KR 2017013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natural
water
purify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섭
Original Assignee
이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섭 filed Critical 이병섭
Priority to KR102016006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1883A/ko
Publication of KR2017013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와,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의 조성관계로 이루어진 천연정화조성물질을 필터하우징에 충진 수용시킨 일종의 파이프 배관구조로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필터하우징을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수도배관라인에 직수 연결형 구조로 연결하여, 정화처리된 생활용수를 수도밸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되게 함으로서, 사용효율 증대효과와 함께, 사용자 건강에 유익하고 안전한 물을 다량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대칭분할 구조로 맞대어져 결합하는 좌,우 한쌍의 필터하우징을 마련하고;
한쌍의 필터하우징 내측면 정화반응실 내에 직수 정화필터를 수용시키며;
직수 정화필터의 정화재 수용부 내에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 그리고,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 혼합 조성관계로 이루어진 천연정화조성물질을 더 충진 수용되게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A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용수가 공급되는 수도배관라인에 수질 정화작용을 행하는 정수필터를 직수 연결형 구조로 장착하여, 정화처리된 생활용수가 수도밸브를 통해 사용자에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천혜의 자원인 물과 공기는 날로 심각한 상태로 훼손 오염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자연자원의 훼손과 오염의 원인으로 인해,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수자원, 다시 말해 상수원의 오염 또한 위험수위를 넘어, 이제는 우리의 신체건강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이러한 상수원의 오염된 물을 음용 가능한 생활용수로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수처리장 설비를 구축하고, 이와 같이 구축된 정수처리장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 함은 물론, 상기 여과처리된 물에 재차 살균 소독제의 일종인 염소를 투입, 정수처리 하여, 이를 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에 공급되게 하는 하나의 상수도 공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상기 정수처리장에서 살균 소독제로 투입되는 염소는 물과 반응하는 강력한 산화력에 의해 우수한 살균 및 소독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물질(염소) 특유의 자극적 냄새로 인해 음용시 불쾌한 느낌을 주는 것이며, 특히 그 성분에는 유기염소계 용제 및 각종 발암성 화합물들이 다량 혼합되어 있고, 아울러 가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 있어, 노후된 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부식생성물의 추가 혼합으로 인해, 사실상 식수로는 거의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상수도 시설의 문제점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 예컨대 좀더 깨끗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의 물을 제공하기 위한 대한민국 선출원기술로서, "슬림형 살균정수기(특허출원 제2011-0124345호)"외 다양한 기능의 정수기들이 널리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선출원기술 내지 종래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정수기 등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살펴보면, 이들은 일정한 용기에 물을 저장한 후, 낙하작용에 의해 정수처리하는 스탠드형 및 외부 전원공급에 의해 물의 성분을 변환되게 하는 전기분해식 기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고, 또한 이들을 사용하고자 함에 있어서는 모두 일정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을 갖는 것이었던 바;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들은 일정한 설치공간을 요해야 하는 과다한 부피구성과 그에 따른 전문 설치기술의 요구로써, 상대적으로 제품의 가격을 상승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들은 대다수 일정한 사용주기마다 필터의 교환 및 청소, 소독 등 정기 점검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정기점검 또한 전문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행해야 하는 등,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사용 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었던바, 이에 제품의 관리 및 취급상에 있어서 또한 예견하지 못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상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가정 내에서의 정수기 이용에 따른 제반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와,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의 조성관계로 이루어진 천연정화조성물질을 필터하우징에 충진 수용시킨 일종의 파이프 배관구조로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필터하우징을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수도배관라인에 직수 연결형 구조로 연결하여, 정화처리된 생활용수를 수도밸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되게 함으로서, 사용효율 증대효과와 함께, 사용자 건강에 유익하고 안전한 물을 다량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구적 구성요소 내지 과다한 설치공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렴하고 단순한 제품 구성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 낭비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비용낭비의 예방으로써, 제품의 경쟁력 또한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대칭분할 구조로 맞대어져 결합하는 좌,우 한쌍의 필터하우징을 마련하고;
한쌍의 필터하우징 내측면 정화반응실 내에 직수 정화필터를 수용시키며;
직수 정화필터의 정화재 수용부 내에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 그리고,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 혼합 조성관계로 이루어진 천연정화조성물질을 더 충진 수용되게 하여 달성한다.
아울러,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천연정화조성물 전처리공정과, 천연정화조성물 혼합공정과, 천연정화조성물 용융공정과, 천연정화조성물 성형공정과, 천연정화조성물 선별공정과, 천연정화조성물 세척공정과, 천연정화조성물 충진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은,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 그리고,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의 조성관계로 이루어진 천연정화조성물질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천연정화조성물질을 필터하우징에 충진시키며, 재차, 천연정화조성물질이 충진된 필터하우징을 생활용수가 공급되는 수도배관라인에 직수 연결형 구조로 연결하여, 정화처리된 생활용수를 수도밸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사용효율 증대효과와 함께, 사용자 건강에 유익하고 안전한 물을 다량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복잡한 기구적 구성요소 내지 과다한 설치공간 등을 요하지 않는 간소화된 제품 구성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 낭비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경쟁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직수 정화물질의 성분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한쌍의 필터하우징(1)(1')과, 한쌍의 직수 정화필터(2)(2'), 그리고, 한쌍의 직수 정화필터(2)(2') 내로 충진 수용되는 천연정화조성물질(3)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한쌍의 필터하우징(1)(1')은, 본 발명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외관몸체로서, 이와 같은, 필터하우징(1)(1')은 동일한 형상과 모양, 그리고, 동일한 요소들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구성, 예컨대, 좌,우 대칭구조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구성이 상호 맞대어져 결합하는 한쌍의 부품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필터하우징(1)(1')은,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직경을 달리하며 소정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직수연결관(11)(11')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원판 구조의 결합플랜지(12)(12')를 형성하며, 재차, 필터하우징(1)(1')의 내측면으로는 관통된 소정의 공간구성으로서, 정화반응실(13)(13')을 더 형성되게 한 일종의 파이프 배관구조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직수 정화필터(2)(2')는, 전술한, 한쌍의 필터하우징(1)(1')으로 형성된 정화반응실(13)(13') 내에,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는 한쌍의 분할구성으로 각각 수용설치되는 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직수 정화필터(2)(2')는 원통형을 취하며 수평관통된 캡슐구조로서 그 내측면에 정화재 수용부(21)(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캡슐구조를 취하는 직수 정화필터(2)(2')의 일측과 타측면에 상호 대칭되는 한쌍의 구성으로,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수유도망(22)(22')을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정화조성물질(3)은, 수도배관라인을 통해 가정 내로 흐름 유입되는 생활용수를 그 배관라인 내에서 직접 탈취, 제독하고, 불순물을 흡착되게 하여, 정화처리되게 하는 수단으로서,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직수 정화물질(3)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31), 그리고,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32)를 혼합 조성하고, 그 혼합된 조성물을 소결 가공시킨 소성볼 구성으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규산(SiO2)은, 천연으로 산출되는 단백석 SiO2, nH2O는 화강암의 공극(空隙)에 생기는 2차적 광물이며, 수목의 섬유와 치환되고(규화목), 온천의 침전물인 규화(硅華)로도 산출된다. 규조류(硅藻類)의 유체(遺體)로 이루어진 규조토도 이것의 일종이다. 수분을 2~10% 포함하는 인공의 규산 겔은 실리카겔이라 하는데, 흡착력이 강한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알루미늄(Al2O3)은 알루미늄의 제조원료로서, 일반적으로 융해하여 석출시킨 결정은 굳기가 단단하고, 굴절률은 1.76∼1.77이며, 인조보석, 연마제(硏磨劑)로서도 사용된다. 아울러, 알루미나겔이라고 도 불리며, 이것은 제산제·흡착제로 사용되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철(Fe2O3)DMS 화학식 FeO, 일산화철 또는 이산화철이라고도 하며, 산화철을 수소로 환원시키거나, 공기를 차단하고 옥살산철을 가열하면 생기지만, 순수한 것은 얻기 어렵다. 공기 속에서 가열하면 산화철이 되고. 저온에서 만든 것은 반응성이 풍부하며, 또 강한 자성(磁性)을 보이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마그네슘(MgO)은 고토(苦土)라고도 하며, 공업적으로는 마그네시아, 의약품으로서는 마그네시아우스터라고도 한다. 아울러, 화학식 MgO, 흰색의 비결정성 가루지만, 붕산염과 융해한 용액에서 등축정계의 결정이 석출된다. 분자량 40.32, 녹는점 2,800℃, 끓는점 3,600℃, 비중 3.2∼3.7이다. 물에는 약간 녹아 알칼리성을 보이지만, 산·암모니아수에는 쉽게 녹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나트륨(Na2O3)은, 백색 분말. 형석형 구조, 격자 상수 a 5.55Å. 400℃ 이상으로 가열하면 과산화나트륨과 나트륨으로 분해하고, d 2.27. 흡습성, 물과 심하게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생성하는 물질 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칼슘(CaO)은, 석회비료, 산성토양 개량제, 수분 포집제(捕集劑)로서의 건조제, 석회 플라스터(석회모르타르), 혼합 시멘트 등 토목건축 재료, 표백제의 원료, 카바이드·석회질소 및 이것에서 유도되는 아세틸렌계·멜라민계 제품의 기본원료, 소다 공업 등에서의 산성 폐가스 포집제, 해수(海水) 마그네시아의 제조, 소독 등에 사용되는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칼륨(K2O)은, 분자량이 94.20이고, 백색 분말이며, 흡습성이 있다. 물과 반응, 수산화칼륨이 되고 칼륨과 질산칼륨을 진공 속에서 가열하거나, 칼륨과 소량의 공기를 반응시키면 생기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메인첨가제(31)로 포함되는 산화인산(P2O3) 무기 산소산의 일종으로, 산 자체와 PO43-이온을 동시에 가리키기도 하며, 대체로 화학에서의 인산은 산으로서 인산을 포함하는 산성 반응물을 가리킨다. 한편 생명체에서 인산은 대체로 PO43-이온을 나타내는데, 이때 인산은 생체내에서 다수의 물질과 결합하여 인산이 포함된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한편, 촉매제(3)로 포함되는 동(Cu)은, 구리족 원소에 속하는 전이금속으로 원소기호는 Cu이고, 이는, 자연계에서 천연 상태로 산출되거나 혹은, 휘동석(輝銅石),황동석(黃銅石) 등과 같은 광물을 제련하여 얻은 불순한 구리를 전기적 분해로 정제시켜 순수 구리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항균 및 멸균기능이 우수한 항미생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촉매제(3)로 포함되는 아연(Zn)은 항균력이 강하고, 흡착력이 좋으며 안정성 및 물질적 특성이 우수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몇 안 되는 금속 중의 하나로서, 이와 같은 아연은, 빗물 또는 정수 등의 정화작용에도 탁월할 효과가 있음이 널리 알려진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먼저,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플랜지(12)(12')에 의해 좌,우 맞대기 식 구조로 대칭 결합하는 한쌍의 필터하우징(1)(1')을 구비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한쌍의 필터하우징(1)(1')의 정화반응실(13)(13') 내에 대칭되는 한쌍의 분할구성으로 직수 정화필터(2)(2')를 더 수용 설치시키되, 그 설치되는 한쌍의 직수 정화필터(2)(2') 내측면, 즉, 정화재 수용부(21)(21')내에, 직수 정화물질(3)(3')을 더 충진 수용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생활용수가 공급되는 수도배관라인 상에,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1)(1')을 설치 연결하고, 이러한, 설치형태로서, 수도배관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생활용수를 그 흐름 과정에 있어, 직접정화처리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비된 일련의 구성요소 및 특징적 물질성분들을 이용하여, 또 다른 차별화된 형태의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제조방법을 구현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조방법의 공정단계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정화물질 전처리공정(S1)과, 천연정화물질 혼합공정(S2)과, 천연정화물질 용융공정(S3)과, 천연정화물질 성형공정(S4)과, 천연정화물질 선별공정(S5)과, 천연정화물질 세척공정(S6)과, 천연정화물질 충진공정(S7)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천연정화물질 전처리공정(S1)은, 천연정화물질(3)에 포함되는 요소들을 각 성분별로 구분하여 준비하고, 그들 준비된 성분물질을 본 발명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토록 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정화재 전처리공정(S1)은, 준비된 성분별 물질, 예컨대,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 그리고, 동과 아연 원료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성분물질들을 각각 개별적인 분리 형태로 산업용 입자분쇄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5~10㎛ 입자크기의 분말 형태로 분쇄,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정화물질 혼합공정(S2)은, 전술한 천연정화물질 전처리공정(S1)을 통해 분쇄가공된 성분물질에 있어,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을 메인 첨가제로하고, 동과 아연을 촉매재로하여, 이들을 산업용 교반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30~60분간의 시간범위로 고르게 혼합 조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정화물질 용융공정(S3)은, 전술한 천연정화물질 혼합공정(S2)을 통해 혼합된 조성물, 예컨대, 천연정화물질(3)을, 산업용 용융로(도시생략)에 투입하여, 1500~1600℃의 온도범위 내에서 5시간 내지 6시간 동안의 시간범위로 가열하고, 이와 같은,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혼합된 성분들을 용융되게 하여, 용융혼합된 형태의 직수 정화물질(3)을 형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정화물질 성형공정(S4)은, 전술한 천연정화물질 용융공정(S3)을 통해 혼합 용융된 천연정화물질(3)을, 산업용 압출성형기(도시생략)에 의한 성형가공에 의해 지름 1mm ~ 2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소성볼 구성으로 성형하고, 이와 같이, 성형된 소성볼 구성의 천연정화물질(3)을 상온 냉각과정을 통해 고형화시키며, 재차, 상기 고형화된 천연정화물질(3)의 외관표면을 산업용 연마기에 의한 마찰 마모 작용에 의해 매끄럽게 마감처리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정화물질 선별공정(S5)은, 전술한 천연정화물질 성형공정(S4)을 통해 성형된 소성볼 형태의 천연정화물질질(3)을, 통상의 입자선별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지름 1mm이하를 벗어나지 않는 크기와, 지름 2mm 이상을 넘는 크기의 천연정화물질(3)을 선별,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정화물질 세척공정(S6)은, 전술한 천연정화물질 선별공정(S5)을 통해 선별된 소성볼을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지시켜, 세척 및 소독작업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화나트륨 용액은 멸균 및 소독작용이 우수한 주지의 성분특성을 갖는 것이며, 이는 렌즈 등의 세정제로 또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끝으로, 상기 천연정화물질 충진공정(S7)은, 전술한 천영정화물질 세척공정(S6)을 통해 세척 및 소독된 소성볼을 발열작용을 행하는 히터 또는 온풍기 등을 이용한 열풍건조에 의해 건조시키고, 그 건조된 소성볼을 직수 정화필터(2)(2')의 정화재 수용부(22)(22')내로 충진 수용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공정단계를 행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제조방법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1,1' : 필터하우징 2,2' : 직수 정화필터
3,3' : 직수 정화물질 11,11 : 직수 연결관
12,12' : 결합플랜지 13,13' : 정화반응실
21,21': 정화재 수용부 22,22' : 직수 유도망

Claims (2)

  1. 대칭분할 구조로 맞대어져 결합하는 좌,우 한쌍의 필터하우징(1)(1')을 형성하되, 상기 필터하우징(1)(1')은, 그 일측면에 직수연결관(11)(11')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결합플랜지(12)(12')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정화반응실(13)(13')을 더 형성한 파이프 배관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대칭분할 구조로 결합하는 필터하우징(1)(1')의 정화반응실(13)(13') 내에 대칭되는 한쌍의 분할구성으로 직수 정화필터(2)(2')를 더 수용 설치시키되, 상기 직수 정화필터(2)(2')는 일측과 타측면에 한쌍의 직수유도망(21)(21')이 대칭 결합되고, 내측면에 정화재 수용부(22)(22')가 마련된 원통형 캡슐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직수 정화필터(2)(2')의 정화재 수용부(22)(22')에 천연정화물질(3)을 더 충진 수용시키되, 상기 직수 정화물질(3)은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으로 이루어진 메인 첨가제, 그리고, 동과 아연으로 이루어진 촉매제의 혼합 조성관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2.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 그리고, 동과 아연에 대한 성분원료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마련하고, 이를 산업용 입자분쇄기에 개별적으로 투입하여, 5~10㎛의 입자크기로 분쇄,가공하는 천연정화물질 전처리공정(S1);
    상기 천연정화물질 전처리공정(S1)을 통해 분쇄된 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철과, 산화마그네슘과, 산화나트륨과, 산화칼슘과, 산화칼륨과, 산화인산, 그리고, 동과 아연을 산업용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가공 작업을 통해 천연정화물질정화물질(3)을 형성하는 천연정화물질 혼합공정(S2);
    상기 천연정화물질 혼합공정(S2)을 통해 형성된 천연정화물질(3)을 용융로에 투입하고, 이를 1500~1600℃의 온도범위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하여 용융 혼합되게 하는 천연정화물질 용융공정(S3);
    상기 천연정화물질 용융공정(S3)을 통해 용융 혼합된 천연정화물질(3)을 압출성형기와 연마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 및 마찰가공하여 지름 1mm ~ 2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소성 볼로 성형하는 천연정화물질 성형공정(S4);
    상기 천연정화물질 성형공정(S4)을 통해 성형된 소성볼을 입자선별기에 투입하여, 지름 1mm이하를 벗어나지 않는 크기와, 지름 2mm 이상을 넘지 않는 입자크기의 소성볼만을 선별 추출하는 천연정화물질 선별공정(S5);
    상기 정화재 선별공정(S5)을 통해 선별 추출된 소정볼을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지시켜, 세척 및 소독작업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화재 세척공정(S6);
    상기 천연정화물질 세척공정(S6)을 통해 세척 및 소독된 소성볼을 직수 정화필터(2)(2')의 정화재 수용부(22)(22')내로 충진 수용시켜 직수 정화필터(2)(2')를 형성하는 천연정화물질 충진공정(S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제조방법.
KR1020160062617A 2016-05-23 2016-05-23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KR20170131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17A KR20170131883A (ko) 2016-05-23 2016-05-23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17A KR20170131883A (ko) 2016-05-23 2016-05-23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83A true KR20170131883A (ko) 2017-12-01

Family

ID=6092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17A KR20170131883A (ko) 2016-05-23 2016-05-23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8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4319A (zh) * 2018-11-23 2019-02-19 图方便(苏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改良型净化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4319A (zh) * 2018-11-23 2019-02-19 图方便(苏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改良型净化槽
CN109354319B (zh) * 2018-11-23 2024-03-12 图方便(苏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改良型净化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3022A1 (en) Contaminant removal from waters using rare earths
CN104496420A (zh) 饮用水净化功能陶瓷球
JP5792664B2 (ja) 使用済活性炭の再生方法、賦活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00696A (ja) 水の浄化方法
KR101450078B1 (ko) 정수기용 세라믹 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 방법
CN111547804A (zh) 工业废水用复合型除氟剂、制备方法及进行工业废水除氟的方法
JP5671437B2 (ja) 吸着材の製造方法
KR20050048557A (ko) 토르마린 천연 페인트
KR20170131883A (ko) 직수 연결형 정수필터 및 그 정수필터 제조방법
KR20060101408A (ko) pH를 상승시키고 미네랄을 용출하는 세라믹 볼
KR19990045947A (ko) 황토를주재로한물정화용볼의제조방법
KR20000009760A (ko) 석회와 주물 모래형틀로부터 생성되는 미분사 또는 황토를이용한 세라믹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3826A (ko) 토르마린 수성 천연 바인더 및 코팅 액
KR100920124B1 (ko) 알카리수 제조방법
KR101102429B1 (ko) 항균성 금속 이온이 교환된 세리사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2920B1 (ko) 에코늄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정수필터 및 그 필터의 제조방법
KR20150033285A (ko) 다용도 캡슐형 정수필터
JP5032755B2 (ja) 土壌処理材及びそれを用いた土壌浄化方法
US20220347649A1 (en) Water purifying material having iron as main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652575B2 (ja) 水質変換装置
KR20090002422A (ko)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게르마늄 소금 및 제조방법
KR20020075156A (ko) 은 클러스터가 함침된 제올라이트, 굴 패각을 이용한다공질 세라믹 정수필터 제조
KR200447339Y1 (ko) 친환경 토경 재배를 위한 농업용수 개선기
KR20110050342A (ko) 석회질 제거 및 미네랄 생성용 여과 장치
CN107055624B (zh) 一种制备高铁酸钾的生产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