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522A -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522A
KR20170131522A KR1020177030191A KR20177030191A KR20170131522A KR 20170131522 A KR20170131522 A KR 20170131522A KR 1020177030191 A KR1020177030191 A KR 1020177030191A KR 20177030191 A KR20177030191 A KR 20177030191A KR 20170131522 A KR20170131522 A KR 2017013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ain casing
longitudinal
partial
exhaus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445B1 (ko
Inventor
뱅상 뷔르필로
다비드 가프레리
뤽 마르탱
Original Assignee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filed Critical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Publication of KR2017013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9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ducing exhaust flow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8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rigidity, e.g. by wings,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08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separated by apertured wall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배기 구성요소(1)는, 메인 케이싱(main casing; 3), 그리고 이 메인 케이싱(3)에 대해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케이싱(7)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 케이싱(7)은 전개 상태에서 길이방향 라인(L)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나타내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부 에지(37)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라인(L)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부분 케이싱(7)은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를 갖는다.
부분 케이싱(7)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세그먼트(38, 47) 상에서 메인 케이싱(8)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길이방향 세그먼트(들)(38)는 일 측부 에지(37)로부터 다른 측부 에지로 연장되며, 전체로서,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적어도 20%인 길이방향 누적 전개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Description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대체로 차량 배기 라인에서의 음향 확산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측으로 배기 가스 순환 체적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타이트(tight)한 메인 케이싱(main casing); 이 메인 케이싱에 대해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로서, 상기 부분 케이싱은 전개 상태에서 길이방향 라인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나타내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부 에지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라인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부분 케이싱은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를 갖는 것인 차량 배기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배기 라인의 음향 확산, 특히 배기 라인 머플러에서의 음향 확산을 제한하는 것은 차량 승객의 편안함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주위 환경에 있는 사람의 편안함에 있어서 중요한 양태이다. 이러한 음향 확산은 주로 2개의 원인 요인, 즉 가스 여기로 인한 확산 및 구조적 여기로 인한 확산으로부터 유래한다.
단층(single-layer)의 메인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에 있어서, 음향 확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단들 중 하나는, 구조적 여기를 감쇄시키기 위해 메인 케이싱의 강도(rigidity)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메인 케이싱 내에 리브(rib) 또는 보스(boss)를 형성함으로써 보강(stiffening)이 이루어진다. 다른 가능성은, 메인 케이싱 상에 시트(sheet)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국지적인 과대 두께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 케이싱의 이러한 두께로 인해, 가스 여기로 인한 음향 확산은 크게 감쇄된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장비 제조자는 항상 차량에 탑재된 구성요소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관심이 있다. 결과적으로, 메인 케이싱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향 확산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실제로, 이에 따라, 얇은 시트 상에서 강력한 공명이 유발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공명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를 향해 오프셋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두께의 감소로 인해, 가스 여기로 인한 확산은 더 커지며, 이러한 확산은 메인 케이싱을 통해 덜 감쇄된다. 오직 메인 케이싱만을 보강하는 것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심지어 메인 케이싱이 얇은 시트(sheet)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음향 확산이 크게 제한되는 배기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유형의 배기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배기 구성요소는 부분 케이싱이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세그먼트(segment) 상에서 메인 케이싱에 고정되지 않고, 길이방향 세그먼트(들)는 일 측부 에지로부터 타 측부 에지로 연장되며, 전체로서,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적어도 20%, 이상적으로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적어도 80%인 길이방향 누적 전개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분 케이싱의 길이방향 세그먼트(들)는 메인 케이싱에 대해 자유롭다. 이에 따라, 배기 구성요소의 구조적 여기의 효과 하에서, 길이방향 세그먼트(들)와 메인 케이싱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은 배기 구성요소의 메인 케이싱에서의 진동을 감쇠시키며, 이에 따라 구조적 여기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킨다. 또한, 배기 구성요소는 부분 케이싱에서 큰 총 두께를 갖는 벽을 가지며, 이는 가스 여기로 인한 음향 확산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2가지 양태는, 배기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음향 확산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20%보다 큰 길이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50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mm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 mm 초과의 길이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에 대해 완전하게 자유로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큰 표면적을 덮는다. 각각의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모든 방향으로, 즉 길이방향으로, 횡방향으로, 또는 상기 길이방향 및 횡방향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메인 케이싱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배기 구성요소는 또한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출 수 있다.
- 메인 케이싱은 0.2 내지 1 mm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 mm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시트이다.
- 각각의 부분 케이싱은 0.1 내지 0.8 mm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mm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시트이다.
- 메인 케이싱은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각각의 부분 케이싱은, 길이방향 라인이 상기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 메인 케이싱은 둘레방향으로,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곡률 반경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면(face), 그리고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면을 포함하며, 각각의 부분 케이싱은, 제1 횡방향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세그먼트 및 제1 횡방향 폭보다 작은 제2 횡방향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메인 케이싱의 제1 면들 중 하나에 대해 가압되며, 각각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메인 케이싱의 제2 면들 중 하나에 대해 가압된다.
-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메인 케이싱에 대해 패스너를 갖지 않는다.
- 메인 케이싱은,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축방향 에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축방향 에지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강성 패스너(fastener)를 구비하고, 각각의 부분 케이싱은 상기 강성 패스너에 의해 메인 케이싱에 대해 고정되는 2개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를 갖는다.
- 각각의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을 에워싸는 스트랩(strap)이다.
- 스트랩은 서로 상하로 중첩된 여러 번의 턴(turn)을 포함한다.
- 스트랩은 500 N 내지 3500 N 사이로 이루어지는 조임 장력(tightening tension)으로 조여진다.
- 부분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가 메인 케이싱 상에 용접되며, 예컨대 부분 케이싱의 2개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가 메인 케이싱 상에 용접된다.
- 메인 케이싱은 주어진 총 표면적을 가지며, 부분 케이싱(들)은 상기 주어진 총 표면적의 3% 내지 80%로 이루어지는, 보다 작은 총 표면적을 갖는다.
- 적어도 하나의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과 부분 케이싱 사이에서 절첩 및/또는 절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flap)을 갖는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배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배기 라인에 관한 것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메인 케이싱에 대해 각각의 부분 케이싱을 배치하는 단계.
- 부분 케이싱(들)과 메인 케이싱을 함께 권취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의 2개의 축방향 에지 및 각각의 부분 케이싱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메인 케이싱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 주위에서, 1회전 또는 여러 번의 회전에 걸쳐, 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랩(들)을 권취하는 단계.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메인 케이싱에 대해 부분 케이싱을 배치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에 대해 부분 케이싱의 길이방향 일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 부분 케이싱(들)과 메인 케이싱을 함께 권취하는 단계.
- 제1 길이방향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 케이싱의 제2 길이방향 단부를 메인 케이싱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메인 케이싱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에 대해 부분 케이싱의 제1 길이방향 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 메인 케이싱 주위에서 부분 케이싱(들)을 권취하는 단계.
- 제1 길이방향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 케이싱의 제2 길이방향 단부를 메인 케이싱에 대해 또는 부분 케이싱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비한정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기 구성요소의 상면도로서,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반적으로 분산되는 소음 레벨(구조적 소음 레벨 및 가스 소음 레벨)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인 도면이다.
도 3은 전개 상태에서, 도 1의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단순화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성요소의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배기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배기 구성요소인 것인 도면이다.
도 9는 축방향으로 배향되는 부분 케이싱을 갖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성요소에 대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기 구성요소(1)는, 차량의 차량 배기 라인에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소음기(silencer)이다.
이러한 차량은 통상적으로 자동차, 예컨대 승용차 또는 트럭이다.
대안으로, 상기 배기 구성요소는 소음기가 아니고, 배기 가스 순환 파이프 또는 배기 라인의 임의의 다른 부재이다.
도 1에 도시된 배기 구성요소(1)는, 내측으로 배기 가스를 위한 순환 체적(5)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타이트(tight)한 메인 케이싱(3) 및 타이트한 메인 케이싱(3)에 대해 가압되는 부분 케이싱(7)을 포함한다.
배기 구성요소(1)는, 영역(5)과 유체 연통되는, 배기 가스 흡입구(9) 및 배기 가스 배출구(11)를 포함한다. 배기 가스 흡입구(9)는 배기 라인의 상류 부분에 유체 연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엔진의 연소실을 빠져나오는 가스를 수집하는 배기 수집장치에 유체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터보압축기 및 정화 장비와 같은 다른 장비가 배기 구성요소(1)와 배기 수집장치 사이에 삽입된다. 배기 가스 배출구(11)는 배기 라인의 하류 부분에 유체 연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캐뉼러(cannular)에 유체 연결되는데, 상기 캐뉼러에 의해, 정화된 배기 가스가 대기로 방출된다. 통상적으로,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흡입구(9)를 통해 배기 구성요소(1)의 내부로 침투하며, 배기 구성요소(1)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챔버에서 순환하고, 배기 가스 배출구(11)를 통해 빠져나간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구성요소는 권취형(wound type)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케이싱(3)이 중심 축선(C) 주위에 권취되어 있다. 메인 케이싱(3)은 이때 2개의 축방향 에지(13)를 갖는데, 이 에지는 중심 축선(C)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서로를 따라 연장된다. 배기 구성요소(1)는, 2개의 축방향 에지(13)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강성 패스너(15)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패스너(15)는 크림핑(crimping)형, 용접형,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패스너이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수직인 단면에서 볼 때, 내측으로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대안으로, 메인 케이싱은 도 6에서와 같은 원형 단면, 또는 도 8에서와 같은 난형 또는 실질적 다각형,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단면을 갖는다.
메인 케이싱(3)은 관형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그 대향하는 2개의 축방향 단부에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는, 예컨대 크림핑에 의해 메인 케이싱(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단부 컵(end cup; 17, 18)에 의해 폐쇄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순환 영역(5)은 내측 컵(25, 26)에 의해 여러 개의 챔버(19, 21, 23)로 분할된다. 이들 내측 컵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며, 메인 케이싱의 내부 단면과 켤레를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단부 컵(17)과 내측 컵(25) 사이에 챔버(19)가 형성되며, 2개의 컵(25, 26) 사이에 챔버(21)가 형성되고, 내측 컵(26)과 단부 컵(18) 사이에 챔버(23)가 형성된다.
배기 가스 흡입구(9) 및 배기 가스 배출구(11)가 단부 컵(17)에 배치된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흡입구 튜브(29)가 흡입구(9) 내에 결합된다. 흡입구 튜브는 중심 축선(C)에 대해 평행하다. 흡입구 튜브는 챔버(19)를 완전하게 횡단하며, 챔버(21)에서 드러난다.
출구 튜브(31)가 배출구(11)에 결합된다. 출구 튜브는 챔버(19 및 21)를 완전하게 횡단하며, 챔버(23)에서 드러난다. 또한, 내측 컵(25, 26)은 다수의 오리피스를 구비하여, 유체 연통식으로 챔버(19, 21, 23)를 배치시킨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제1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 면(33), 그리고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 면(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2개의 제2 면(35)은 2개의 제1 면(33)을 서로에 대해 연결시킨다.
제1 면(33)은 제2 면(35)보다 훨씬 큰 표면적을 갖는다. 제1 면(33)의 곡률 반경 및 제2 면(35)의 곡률 반경은 일정하거나, 또는 반대로 약간 변동 가능하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제1 면(33)의 곡률 반경은 여전히 제2 면(35)의 곡률 반경보다 훨씬 크게 유지된다.
메인 케이싱(3)은 0.2 내지 1 mm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 mm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시트이다. 예를 들면, 메인 케이싱은 1.4509 강으로 제조된다. 메인 케이싱은, 상하로 적층되는 여러 개의 시트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일 시트로 제조된다.
부분 케이싱(7)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 도 3에 구체적으로 제시된 길이방향 라인(L)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다. 길이방향 라인(L)은 직선형이다. 이는, 부분 케이싱(7)이 최대 치수를 갖는 방향을 한정한다. 부분 케이싱(7)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부 에지(37)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라인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부분 케이싱(7)은 주어진 길이방향 길이(l)를 갖는다. 이러한 길이는, 길이방향 라인(L)을 따라, 즉 길이 방향을 따라 고려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측부 에지(37)는 사인곡선형 형상을 갖는다. 대안으로, 측부 에지(17)는 직선형이면서, 도 6에서와 같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를 갖는다.
부분 케이싱(7)은 0.1 내지 0.8 mm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mm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시트이다.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과 동일한 재료, 예컨대 1.4509 강으로 제조된다. 대안으로,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 예컨대 1.4510 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케이싱(7)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세그먼트(38) 상에서 메인 케이싱(8)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길이방향 세그먼트(들)(38)는 일 측부 에지(37)로부터 다른 측부 에지로 연장되며 전체로서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적어도 3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적어도 50%인 길이방향 누적 전개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각각의 길이방향 세그먼트(38)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20% 초과의,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25% 또는 심지어 30% 초과의 길이방향 전개 길이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7)은, 길이방향 라인(L)이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길이방향 라인(L)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케이싱(7)은 제1 횡방향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 그리고 제1 횡방향 폭보다 작은 제2 횡방향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7)은 2개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 및 3개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를 포함한다.
부분 케이싱(7)은,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가 메인 케이싱의 제1 면(33)에 대해 가압되도록 그리고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가,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면(35)에 대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a, b, 및 c로 나타낸 3개의 곡선을 도시한 것이며, 이들 곡선은 가스 여기 영역의 감소를 나타낸다. 곡선 a에 의해 형성되며 가스 여기가 최대인 영역이 챔버(21)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중심 축선(C)을 따라 챔버(21)에 배치되어, 가스 여기가 최대인 위치에서 스크린(screen)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3) 및 부분 케이싱(7)은 함께 권취된다. 부분 케이싱(7)의 대향하는 2개의 길이방향 단부(43)는 패스너(15)에 의해 메인 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7)을 배치하는 단계.
- 부분 케이싱(7)과 메인 케이싱(3)을 함께 권취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의 2개의 축방향 에지(13) 및 부분 케이싱의 대향하는 2개의 길이방향 단부(43)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
통상적으로, 부분 케이싱(7)은 그 길이방향 길이의 나머지에 걸쳐 메인 케이싱에 대해 자유롭게 남게 된다. 부분 케이싱은 오직 패스너(15)에 의해서만 메인 케이싱(3)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완전하게 자유롭고 메인 케이싱에 대한 패스너를 갖는 않는 길이방향 세그먼트(38)는, 2개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 2개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 그리고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와 단부(4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의 최대 부분을 포함한다.
세그먼트(38)는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약 90%에 걸쳐 연장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7)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는, 패스너(15) 이외에도, 예컨대 도 3에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용접 스팟(welding spot; 45)에 의해, 메인 케이싱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3의 예에서는, 오직 패스너(15)에 둘레방향으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세그먼트(41)만이 메인 케이싱(3)에 고정된다. 용접 스팟(45)이 메인 케이싱의 제2 면(35)들 중 하나에 배치된다. 라인(L)을 따라, 상기 용접 스팟은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의 실질적으로 가운데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들을 서로에 대해 연결시킨다.
대안으로, 용접 스팟(45)은 메인 케이싱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다른 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에 대한 패스너가 없는 2개의 길이방향 세그먼트(47)를 포함한다. 각각의 세그먼트(47)는 용접 스팟(45)으로부터 2개의 길이방향 단부(43) 중 하나로 연장된다. 각각의 세그먼트(47)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약 40%에 걸쳐 연장된다. 전체로서, 2개의 길이방향 세그먼트(47)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약 80%에 걸쳐 연장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 케이싱(7)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43)는, 축방향 에지(13)들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패스너(15)에 의해 메인 케이싱에 고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길이방향 단부(43)는 이 단부에 특정되는 패스너에 의해, 예컨대 용접 스팟 또는 용접 라인에 의해 메인 케이싱에 고정된다. 부분 케이싱은, 이러한 2개의 길이방항 단부(43)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중간 스팟에 의해 메인 케이싱에 더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배기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7)을 배치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의 길이방향 일 단부(43)를 고정시키는 단계.
- 부분 케이싱(3)과 메인 케이싱(7)을 함께 권취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에 대해 부분 케이싱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43)를 고정시키는 단계.
부분 케이싱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의 고정은, 패스너(15) 생성 이전에 또는 패스너 생성 이후에 이루어진다.
배기 구성요소는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 예컨대 권취에 위해 메인 케이싱(3)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7)의 길이방향 일 단부(43)를 고정시키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을 중심으로 부분 케이싱(7)을 권취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7)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43)를 고정시키는 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대안을 도시한 것이다. 단지 이러한 대안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개괄적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변형례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수직하게,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4개의 제1 면(33)으로서,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4개의 제2 면(35)에 의해 서로에 대해 연결되는 4개의 제1 면을 갖도록 권취된다. 제1 면(33)들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쌍을 이루어 대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면(35)들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쌍을 이루어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수직하게, 둥글게 된 코너를 갖춘 대략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7)은 바람직하게는 제1 횡방향 폭을 갖는 4개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 그리고 제1 횡방향 폭보다 작은 제2 횡방향 폭을 갖는 5개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를 갖는다.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메인 케이싱의 제1 면(33)들 중 하나에 대해 가압된다.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가 메인 케이싱의 제2 면(35)에 대해 가압된다.
대체적으로, 부분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3)이 갖추고 있는,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면(33)의 개수만큼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제2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3)이 갖추고 있는 제1 면(33)보다 적은 수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를 포함한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역시 메인 케이싱(3)에 대한 패스너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표면적을 갖는 부분 케이싱(7)의 부분은 자유롭게 남아있어 메인 케이싱(3)에 대해 이동하게 되며, 이는 2개의 케이싱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통, 부분 케이싱(7)은 오직 그 길이방향 단부(43)에 의해서만 메인 케이싱에 고정된다. 대안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가 예컨대 용접 스팟에 의해 메인 케이싱(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8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 구성요소(1) 내부에서의 배기 가스 순환 구성(exhaust gas circulation scheme)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되는 구성과 상이하다.
단부 컵(17)은 단지 배기 가스 흡입구(9)만을 지탱한다. 배기 가스 배출구(11)는 단부 컵(18)에 배치된다. 흡입구 파이프(29)는 챔버(19)를 횡단하며, 챔버(21)에서 드러난다. 출구 파이프(31)는 배출구(11)로부터 챔버(23 및 21)를 통해 연장되며, 챔버(19)에서 드러난다. 여기서 가스 여기가 가장 강력한 순환 영역(5)의 체적은 또한 챔버(2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39)는 중심 축선(C)을 따라 챔버(21)에 위치하게 된다.
대안으로, 배기 구성요소(1) 내에서의 배기 가스의 위치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기 구성요소는, 원하는 배기 가스 순환 구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개수의 내측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여기가 최대인 영역은, 도 1, 도 2, 및 도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순환 영역(5)의 임의의 지점에, 단부 컵들 중 하나에 근접하게, 또는 반대로 중심을 향해 오프셋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오직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만을 아래에서 개괄할 것이다. 양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지시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3)을 에워싸는 스트랩(strap)이다. 보통, 배기 구성요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싱(3)을 에워싸는 여러 개의 스트랩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트랩들은, 보통 규칙적으로,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예를 들면, 스트랩의 개수 및 각각의 스트랩의 위치는, 가능한 최대의 음향 감쇄를 달성하기 위해 시험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스트랩은 서로 중첩된 여러 번의 턴(turn; 5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스트랩은 메인 케이싱(3) 주위에서 여러 번의 회전에 걸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데, 각각의 회전은 하나의 턴에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스트랩은 적어도 2개의 턴(53)을 포함하지만, 3개의 턴, 4개의 턴, 또는 4개가 넘는 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대안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하나의 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한 가지 중요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트랩은 500 뉴튼 내지 3500 뉴튼 사이로 이루어지는 조임 장력으로 조여진다. 실제로, 지나치게 많이 조이면, 스트랩과 메인 케이싱 사이에서의 마찰 또는 턴들 사이에서의 마찰이 제한된다. 이는, 진동 에너지 소산의 실질적인 감소를 초래한다. 대신 조임 장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메인 케이싱 상에서의 스트랩의 유지가 양호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메인 케이싱과 스트랩 사이의 금속 접촉 소음(metal contact noise)을 초래한다.
보통, 각각의 스트랩은, 중심 축선(C)을 따라, 10 내지 60 mm의 폭, 보통 20 내지 50 mm 사이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폭은 각각의 스트랩에 대해 30 mm이다.
이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를 위한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예컨대 권취에 위해 메인 케이싱(3)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 주위에서, 1회전 또는 여러 번의 회전에 걸쳐, 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랩(들)을 권취하는 단계.
메인 케이싱(3) 주위에 스트랩을 권취하는 것은, 통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스트랩의 제1 길이방향 단부에는 클립(55)이 마련되며, 스트랩의 제2 길이방향 단부는 클립(55) 내에 결합되고 이 클립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스트랩의 조임은, 클립(55)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제2 길이방향 단부의 특정 지점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메인 케이싱에 대한 패스너를 갖지 않는, 스트랩의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스트랩의 전체 전개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배기 구성요소(1)는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 예컨대 권취에 위해 메인 케이싱(3)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스트랩의 제1 길이방향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 메인 케이싱(3) 주위에서 스트랩을 권취하는 단계.
- 스트랩을 조이고, 스트랩의 제2 길이방향 단부를 스트랩 자체의 다른 지점에 대해 또는 메인 케이싱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스트랩의 길이방향 단부는 예컨대 용접 스팟 또는 용접 라인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개된 메인 케이싱에 대해 고정되지 않는, 스트랩의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스트랩의 전체 전개 길이의 적어도 90%에 걸쳐 연장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구조적 여기의 감쇄는, 메인 케이싱에 대한 각각의 스트랩의 마찰에 의해 그리고 또한 각각의 스트랩의 다양한 턴들의 서로에 대한 마찰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이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오직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만을 아래에서 개괄할 것이다. 동일한 요소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지시될 것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이 권취되며, 메인 케이싱의 축방향 에지(13)는 패스너(15)에 의해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이는 도 6에서는 볼 수 없다.
배기 구성요소(1)는 메인 케이싱(3) 주위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케이싱(7)을 포함한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배기 구성요소(1)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부분 케이싱(7)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커넥터(57)에 의해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43)를 갖는다. 커넥터(57)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이다. 예를 들면, 커넥터(57)는 크림핑(crimping), 용접 등에 의한 커넥터이다.
부분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 주위에서 오직 1회전만을 행한다. 커넥터(57)는, 보통 30도 내지 330도로 이루어지는 각도만큼, 메인 케이싱을 폐쇄시키는 패스너(15)에 대해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57)는 중심 축선(C)을 기준으로 패스너에 정반대로 대향한다.
부분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에 대한 임의의 강성 패스너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인 케이싱에 대한 패스너를 갖지 않는 길이방향 세그먼트는 부분 케이싱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도 6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수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 대안으로, 메인 케이싱은, 난형 단면, 타원형 단면, 평행사변형 단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단면을 갖는다.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예컨대 다음을 포함한다.
-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메인 케이싱(3)을 권취하고, 패스너(15)를 이용하여 메인 케이싱(3)의 2개의 축방향 에지(13)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
- 메인 케이싱(3) 주위에 부분 케이싱(7)을 권취하고, 커넥터(57)를 통해 부분 케이싱(7)의 2개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43)를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커넥터(57)는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패스너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단계.
도 7에 도시된 변형례에 따르면,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3)과 부분 케이싱(7) 사이에서 하방으로 절첩된 적어도 하나의 플랩(flap; 59)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부분 케이싱(7)에는 H 형상의 컷아웃(cutout)이 제조되며, 이에 따라 2개의 플랩(59)이 생성되고 부분 케이싱(7)과 메인 케이싱(3) 사이에서 하방으로 절첩된다. 플랩(59)을 절첩한 이후, 이에 따라 부분 케이싱(7)에 윈도우(window; 61)가 배치된다.
대안으로, 상기 컷아웃은 C 형상이며, 이에 따라 부분 케이싱(7)의 각각의 컷아웃은 단지 하나의 플랩(59)만을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대안에 따르면, 2개의 평행한 절개부가 부분 케이싱(7)의 측부 에지(37) 상에 제조되어, 부분 케이싱(7)과 메인 케이싱(3) 사이에 하방으로 절첩될 수 있는, 절개부 사이의 플랩(59)을 형성한다.
다른 대안에 따르면, 부분 케이싱(7)의 측부 에지(37)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며, 이러한 돌출 영역은 메인 케이싱(3)과 부분 케이싱(7) 사이에서 하방으로 절첩 및 만곡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분 케이싱(7) 내에 컷아웃 또는 절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는 특히 도 3의 부분 케이싱에 대해 그러하며, 세그먼트(39)의 에지는 부분 케이싱(7)과 메인 케이싱(3) 사이에서 하방으로 절첩될 수 있다.
플랩(59)과 부분 케이싱을 연결하는 절첩 라인은 임의의 유형의 배향을 가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 라인은 둘레방향일 수도 있고, 중심 축선(C)에 대해 평행할 수도 있으며, 임의의 다른 배향을 나타낼 수도 있다.
부분 케이싱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컷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케이싱(3)과 부분 케이싱(7) 사이에서 하방으로 절첩되는 플랩(59)을 갖추면, 마찰 표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메인 케이싱의 두께 및 강성(stiffness)은, 또한 플랩(59)에서 국지적으로 증가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플랩(59)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권취형인 배기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탬핑된 2개의 하프 쉘(half-shell)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에 또한 적용된다.
보통, 메인 케이싱(3)은 주어진 총 표면적을 가지며, 부분 케이싱(7)은 이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고, 부분 케이싱의 표면적은 메인 케이싱의 주어진 총 표면적의 1 내지 80%로 이루어지며, 보통 상기 주어진 총 표면적의 3 내지 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의 표면적은 모든 턴(53)의 누적 표면적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분 케이싱이 스트랩일 때, 부분 케이싱의 표면적은 상기 주어진 총 표면적의 3 내지 40%로 이루어진다. 부분 케이싱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이라면, 부분 케이싱의 표면적은 상기 주어진 총 표면적의 1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어진 총 표면적의 20 내지 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분 케이싱(7)은 단지 메인 케이싱(3)의 일부만을 커버(cover)한다.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이 세그먼트가 압박되는 제1 면(33)의 총 표면적의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를 커버한다. 각각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는, 이 세그먼트가 압박되는 제2 면(35)의 총 표면적의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를 커버한다. 다시 말하면, 부분 케이싱은 주로, 적어도 강성이며 큰 곡률 반경을 갖는 메인 케이싱의 면을 커버한다. 더 강성이면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면은, 덜 방사성(emissive)이며, 이에 따라 제1 면만큼 보강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분 케이싱의 질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기 구성요소의 질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분 케이싱(7)은 보통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배기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다. 대안으로,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배기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해 배치된다. 부분 케이싱은 배기 가스와 접촉한다. 이러한 대안은, 메인 케이싱(3)과 부분 케이싱(7)이 함께 권취될 때 특히 적절하다.
본 발명은, 보다 얇은 두께, 예컨대 1 mm 미만인 두께를 갖는 메인 케이싱을 이용한 용례에 대해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케이싱(3)이 더 두꺼운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 구성요소는 단지 하나의 부분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구성요소는, 또한, 도 4 혹은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부분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 케이싱은 메인 케이싱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배치된다. 대안으로,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길이방향 라인(L)이 중심 축선(C)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9에 제시되어 있는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대안을 나타낸 것이다. 단지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실시예와 이러한 대안이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아래에 개괄되어 있다. 동일한 요소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지시될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배기 구성요소(1)는 제1 면(33)에 대해 가압되는 2개의 부분 케이싱(7)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2개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에 의해 연장되는, 하나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를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가스 여기 레벨이 최대인 챔버(21)에서, 중심 축선(C)을 따라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배기 구성요소(1)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부분 케이싱은 단지 그 길이방향 단부(43)에 의해서만 메인 케이싱(3)에 고정된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길이방향 단부(43)는, 단부 컵(17, 18)을 메인 케이싱(3)에 대해 고정시키는 패스너에 의해 메인 케이싱(3)에 고정된다. 대안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단부(43)는 전용 패스너에 의해, 예컨대 용접 스팟에 의해 메인 케이싱(3)에 고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제1 면(33)의 전체 폭에 걸쳐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반대로,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는 단지 제1 면(33)의 둘레방향 폭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메인 케이싱 및/또는 부분 케이싱은 보통 완만하다. 대안으로, 상기 케이싱은 리브(rib) 형성되고 텍스쳐(texture) 형성되어 있다.

Claims (18)

  1. 내측으로 배기 가스 순환 체적(5)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타이트(tight)한 메인 케이싱(main casing; 3), 그리고 이 메인 케이싱(3)에 대해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케이싱(7)을 포함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1)로서, 상기 부분 케이싱(7)은 전개 상태에서 길이방향 라인(L)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나타내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부 에지(37)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라인(L)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부분 케이싱(7)은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를 가지며,
    부분 케이싱(7)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세그먼트(38, 47) 상에서 메인 케이싱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길이방향 세그먼트(들)(38)는 일 측부 에지(37)로부터 다른 측부 에지로 연장되며, 전체로서, 상기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적어도 20%, 이상적으로는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l)의 적어도 80%인 길이방향 누적 전개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길이방향 세그먼트(38, 47)는 상기 주어진 길이방향 전개 길이의 20%보다 큰 길이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3)은 0.2 내지 1 mm로 이루어지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 mm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시트(she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0.1 내지 0.8 mm로 이루어지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mm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길이방향 라인(L)이 상기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3)은 둘레방향으로,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곡률 반경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면(face; 33), 그리고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면(35)을 포함하며,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제1 횡방향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세그먼트(39) 및 제1 횡방향 폭보다 작은 제2 횡방향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9)는 메인 케이싱(3)의 제1 면(33)들 중 하나에 대해 가압되며, 각각의 제2 길이방향 세그먼트(41)는 메인 케이싱(3)의 제2 면(25)들 중 하나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세그먼트(38)는 메인 케이싱(3)에 대한 패스너(fastener)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3)은, 중심 축선(C)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축방향 에지(13)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축방향 에지(13)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강성 패스너(fastener; 15)를 구비하고,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상기 강성 패스너(15)에 의해 메인 케이싱(3)에 대해 고정되는 2개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3)을 에워싸는 스트랩(str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7)은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여러 개의 턴(turn; 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500 N 내지 3500 N 사이로 이루어지는 조임 장력(tightening tension)을 이용하여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케이싱(7)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43)가 메인 케이싱(3) 상에 용접되며, 예컨대 부분 케이싱(7)의 2개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43)가 메인 케이싱(3)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싱(3)은 주어진 총 표면적을 가지며, 부분 케이싱(들)(7)은 상기 주어진 총 표면적의 3% 내지 80%로 이루어지는, 보다 작은 총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케이싱(7)은, 메인 케이싱(3)과 부분 케이싱(7) 사이에서 절첩 및/또는 절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flap; 5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기 구성요소.
  15. 제8항에 따른 차량 배기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을 배치하는 단계;
    - 부분 케이싱(들)(7)과 메인 케이싱(3)을 함께 권취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의 2개의 축방향 에지(13) 및 각각의 부분 케이싱(7)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43)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차량 배기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 메인 케이싱(3)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 주위에서, 1회전 또는 여러 번의 회전에 걸쳐, 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랩(들)을 권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차량 배기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메인 케이싱(3)을 권취하고, 패스너(15)를 이용하여 메인 케이싱(3)의 2개의 축방향 에지(13)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단계;
    - 메인 케이싱(3) 주위에 부분 케이싱(7)을 권취하고, 커넥터(57)를 통해 부분 케이싱(7)의 2개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43)를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커넥터(57)는 중심 축선(C)을 중심으로 패스너(15)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차량 배기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 메인 케이싱(3)을 형성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7)의 길이방향 일 단부(43)를 고정시키는 단계;
    - 메인 케이싱(3) 주위에서 부분 케이싱(7)을 권취하는 단계;
    - 메인 케이싱(3)에 대해 부분 케이싱(7)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43)를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77030191A 2015-04-20 2016-04-14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KR101986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305593.4 2015-04-20
EP15305593.4A EP3085908A1 (fr) 2015-04-20 2015-04-20 Volume d'échappement avec une enveloppe principale et une enveloppe partiell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volume
PCT/EP2016/058224 WO2016169834A1 (fr) 2015-04-20 2016-04-14 Volume d'échappement avec une enveloppe principale et une enveloppe partiell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volu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522A true KR20170131522A (ko) 2017-11-29
KR101986445B1 KR101986445B1 (ko) 2019-06-05

Family

ID=5300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191A KR101986445B1 (ko) 2015-04-20 2016-04-14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53243B2 (ko)
EP (2) EP3085908A1 (ko)
KR (1) KR101986445B1 (ko)
CN (1) CN107532499B (ko)
WO (1) WO2016169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120A1 (ja) * 2016-08-18 2018-0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ブランク材、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品
EP3527298A1 (fr) * 2018-02-19 2019-08-21 Faurecia Systèmes d'Echappement Ensembl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métallique, utilisation d'un tel ensemble
FR3078001B1 (fr) * 2018-02-19 2020-10-16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metallique agrafee
FR3078000B1 (fr) 2018-02-19 2020-03-13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Ensemble de fabrication d'une piece metallique et utilisation d'un tel ensemble
JP6626530B2 (ja) * 2018-05-22 2019-12-25 マレリ株式会社 エンジン用マフラ
US11208934B2 (en) 2019-02-25 2021-12-28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 and reductant
US11391195B2 (en) * 2019-06-19 2022-07-1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system and muffler
CN110814659A (zh) * 2019-11-18 2020-02-21 四川鑫元瑞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消声器的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5352A1 (en) * 2002-04-12 2005-09-22 Laurent Colin Exhaust chamber comprising an envelope defining a gas circulation passage
US20060065480A1 (en) * 2004-09-28 2006-03-30 Leehaug David J Muffler and heat shiel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323A (en) * 1975-04-04 1976-10-13 Nissan Motor Co Ltd Heat shading device of exhaust system
US5281778A (en) * 1993-06-28 1994-01-25 Midas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ular muffler with heat shield
JP4582836B2 (ja) * 1999-09-03 2010-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遮熱板の取付構造
JP2001123829A (ja) * 1999-10-25 2001-05-08 Honda Motor Co Ltd カバー部材取付構造
DE10243225A1 (de) * 2002-09-17 2004-03-25 Volkswagen Ag Schalldämpfer und Verfahren zu seiner Auslegung
JP2006070705A (ja) * 2004-08-31 2006-03-1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排気装置
US20080169038A1 (en) * 2007-01-11 2008-07-17 Timothy David Sellis Thermal shield an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DE102007032267B4 (de) * 2007-07-11 2018-01-18 Emcon Technologies Germany (Augsburg) Gmbh Abgasanlagen-Rohr mit maßgeschneiderter Wandstärke
CN201330636Y (zh) * 2008-12-19 2009-10-21 中国第一汽车集团公司 集成scr消声器
BR102015019177B1 (pt) * 2014-08-14 2022-10-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junto de montagem para um silenciador de um veículo fora de estrada e seu método de montag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5352A1 (en) * 2002-04-12 2005-09-22 Laurent Colin Exhaust chamber comprising an envelope defining a gas circulation passage
US20060065480A1 (en) * 2004-09-28 2006-03-30 Leehaug David J Muffler and heat shiel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445B1 (ko) 2019-06-05
WO2016169834A1 (fr) 2016-10-27
EP3118430B1 (fr) 2017-12-20
CN107532499A (zh) 2018-01-02
CN107532499B (zh) 2019-12-13
US10753243B2 (en) 2020-08-25
US20180156088A1 (en) 2018-06-07
EP3118430A1 (fr) 2017-01-18
EP3085908A1 (fr)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445B1 (ko) 메인 케이싱 및 부분 케이싱을 갖춘 배기 구성요소, 그리고 이러한 배기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JP6857264B2 (ja) 消音器
US8684131B1 (en) Dual muffler
US8844579B2 (en) Flexible vibration absorbing tube
US7810609B2 (en) Muffler
US9593607B2 (en) Muffler for an exhaus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49508B2 (en) Muffler
US6938727B2 (en) Integrated engine compartment component and air intake system
KR20020017039A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EP2481897B1 (en) Exhaust pipe part and exhaus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4141778A1 (ja) 排気管
US20030160472A1 (en) Integrated splash shield and air intake system
US3338331A (en) Exhaust system with plural silencing units
US20160325218A1 (en) Air cleaner
US11808186B2 (en) Surface component for vehicle exhaust system
JP3930252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8985271B1 (en) Exhaust muffler for vehicle
US8997922B1 (en) Exhaust muffler for vehicle
CN110735703B (zh) 具有阀的减小长度的排气系统
JPH08145259A (ja) 冷媒輸送用制振チューブおよびその接続方法
US20190368396A1 (en) Muffler for an exhaus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344968B2 (ja) 自動車の排気管装置
EP1541856B1 (en) Sound adsorber suitable for air-flow conduits
US20170167332A1 (en) Compact muffler having multiple reactive cavities providing multi-spectrum attenuation for enhanced noise suppression
JP5216257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