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921A -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921A
KR20170130921A KR1020160061862A KR20160061862A KR20170130921A KR 20170130921 A KR20170130921 A KR 20170130921A KR 1020160061862 A KR1020160061862 A KR 1020160061862A KR 20160061862 A KR20160061862 A KR 20160061862A KR 20170130921 A KR20170130921 A KR 2017013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groove
sleepers
rail
bon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박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근 filed Critical 박정근
Priority to KR102016006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921A/ko
Publication of KR2017013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01B1/005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with sleeper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은, 열차의 경로인 레일이 체결되는 궤도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레일이 결합되는 침목, 상기 침목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침목의 하단부가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홈이 구비된 지지부 및 상기 홈의 내측면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침목의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는 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층은 상기 침목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침목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침목이 일정한 높이를 지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RAILWAY TRACK INSTALLATION METHOD AND VIBRATION ISOLATION TRACK SYSTEM}
본 발명은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와 침목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층이 침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며 지지부와 침목이 결합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침목이 일정한 높이를 지니도록 하는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궤도는 노반 위에 콘크리트, 자갈 등으로 부설되는 도상이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이 결합되는 침목이 도상에 결합되어 열차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열차가 레일을 타고 이동할 경우 침목과 도상에 하중이 전달되어 침목과 도상에 균열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철도궤도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상과 침목 사이에 탄성패드를 추가적으로 배치한다.
이러한 탄성패드가 침목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도상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켜 열차가 이동하여 하중이 발생 되어도 침목과 도상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은 연속성을 지니고 길게 형성되고 레일의 하단이 다수 개의 침목들로 지지되므로, 레일 하단에 결합되는 침목들이 일정한 높이를 지니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콘크리트 도상과 같은 일체형 도상에 침목을 고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종래의 침목과 도상의 사이에 탄성패드를 배치하는 구성은 불균일한 평면을 지닌 원지반이나 주변의 여러 변수로 인해 각각의 침목들이 일정한 높이로 시공될 수 없어, 각각의 침목과 결합되는 탄성패드의 압축 정도에 차이가 발생 되었다.
이러한, 탄성패드의 압축 정도의 차이는 각각의 침목이 지니는 완충효과의 차이로 나타나게 되고, 이로인해 탄성패드, 침목등의 구성에 대한 유지 및 보수 주기가 짧아지고 그 비용도 높아진다는 단점들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도상과 침목의 결합부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착되는 현상으로 인해 도상이나 침목의 파손이 초래될 수 있었고, 이물질의 고착화로 탄성패드가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침목에 가해지는 충격 및/또는 진동이 도상으로 완화없이 직접 전달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도상과 침목 사이에 유동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경화되어 접착성과 탄성력을 가지는 결합층을 주입하고 침목의 측면에는 윤활제를 도포하여 침목에 하중이 가해지면 침목의 측면이 결합층과 슬라이딩 되어 침목과 도상의 균열을 방지하는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상과 침목 사이에 결합층을 주입하여 이물질이 도상과 침목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은, 열차의 경로인 레일이 체결되는 철도궤도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레일이 결합되는 침목, 상기 침목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침목의 하단부가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홈이 구비된 지지부 및 상기 홈의 내측면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침목의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는 결합층을 포함하고,상기 결합층은 상기 침목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침목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침목이 일정한 높이를 지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홈에 수용된 상기 침목의 측면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고 상기 결합층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윤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은, 유동성을 지니되, 상온에서 경화되어 접착성과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목은,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고, 상기 홈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은, 상기 침목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홈과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의 내측면과 상기 침목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간격보다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홈에 상기 침목이 결합될 수 있다.
지반에 지지부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홈에 제1 결합층을 주입하는 1차주입단계, 상기 침목의 측면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윤활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홈에 침목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홈과 상기 침목 사이에 제2 결합층을 주입하는 2차주입단계 및 상기 침목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감부를 형성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는, 가이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침목이 상기 홈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단계 및 상기 침목이 기 설정된 높이를 지니도록 조절하는 높이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단계는, 상기 침목이 지그에 체결되어 상기 홈의 연직상부로부터 하강되고, 상기 침목이 기 설정된 높이에서 정지되는 침목 배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마감부의 경화 완료 후 상기 침목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부와 침목 사이에 유동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경화되어 접착성과 탄성력을 가지는 결합층을 주입하고 침목의 측면에는 윤활제를 도포하여 침목에 하중이 가해지면 침목의 측면이 결합층과 슬라이딩 되어 침목과 지지부의 균열을 방지하고 보다 균일하고 정확한 완충효과를 얻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지지부와 침목 사이에 결합층을 주입하여 이물질이 지지부와 침목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지지부의 홈과 침목의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패드를 제작하지 않고 지지부의 홈과 침목의 형상이 변형되어도 결합층을 주입하여 경화시킬 수 있어 설치비용을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을 분해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의 홈의 내측면과 침목간의 이격 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에 이물질이 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의 복수개의 침목이 지지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의 침목이 홈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경로인 레일(10)이 체결되는 방진궤도시스템은 지지부(100), 침목(200), 결합층(300)을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지반에 형성되며 상부에 홈(110)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100)는 콘크리트 도상으로 지반에 타설되어 레일(10)이 체결되는 침목(200)과 결합될 수 있는 홈(110)이 형성되고, 침목(200)이 홈(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0)는 콘크리트 도상이라고 설명하였지만 지지부(100)는 콘크리트 도상이 아닌 침목(20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홈(110)은 침목(2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110)은 침목(200)의 하단부가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침목(200)은 상부에 레일체결부(20)가 형성되고 레일체결부(20)에 레일(10)이 체결된다.
이러한 침목(200)은 돌출부(230)와 윤활층(210)을 포함한다.
돌출부(230)는 침목(200)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홈(110)에 수용되고, 홈(110)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즉, 돌출부(230)는 홈(110)에 수용되는 침목(200)의 하단부보다 상측에서 침목(200)의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윤활층(210)은 홈(110)에 수용된 침목(200)의 측면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고 결합층(300)과의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윤활층(210)은 침목(200)의 하단에서 돌출부(230)까지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구비된다.
또한 윤활층(210)은 결합층(300)과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유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윤활층(2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실리콘유로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윤활층(210)은 결합층(300)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결합층(300)은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에 구비되고, 침목(200)의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한다.
이러한 결합층(300)은 유동성을 지니되, 상온에서 경화되어 접착성과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층(300)은 홈(110)과 침목(200) 사이에 주입되어 침목(200)이 홈(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 결합층(310), 제2 결합층(330), 마감부(350)를 포함한다.
제1 결합층(310)은 홈(110)의 하측면과 침목(200)의 하면 사이에 구비되며 홈(110)과 침목(200)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층(310)은 침목(200)과 접하면 침목(200)의 하중에 의해 침목(200)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부분으로 유동하여 침목(200)의 측면 일부분과 접할 수 있다.
제2 결합층(330)은 제1 결합층(310)보다 낮은 밀도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결합층(310)에 의해 홈(110)과 침목(200)의 하면은 접착되어 있으며,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제2 결합층(330)이 주입된다.
이때 제2 결합층(330)은 제1 결합층(310)보다 낮은 밀도를 가져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의 측면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층(330)은 홈(110)의 내측면과는 접착되고, 침목(200)의 측면에는 윤활층(210)이 구비되어 침목(200)의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할 수 있다.
마감부(350)는 침목(200)의 측면으로부터 홈(110)과인접한 지지부(100)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부(350)는 제2 결합층(330)보다 높은 밀도를 가진다.
때문에 돌출부(230)와 지지부(100)의 상면 사이의 침목(200)의 측면으로부터 지지부(100)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350)는 침목(200)의 측면에 구비된 윤활제에 의해 침목(200)의 측면과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지지부(100)의 상면과는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의 홈의 내측면과 침목간의 이격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에 이물질이 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지지부(100)를 타설한다.
지반에 타설된 지지부(100)의 홈(110)에 제1 결합층(310)을 주입한다.
제1 결합층(310)이 주입된 홈(110)에 침목(2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제1 결합층(310)에 결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이격거리는 레일(10)의 길이방향의 간격(b)보다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a)이 더 크도록 침목(200)을 제1 결합층(310)에 결합한다.
제1 결합층(310)에 침목(200)이 결합되면 제2 결합층(330)이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어 홈(110)을 채울 수 있다.
다음으로 마감부(350)는 돌출부(230)와 지지부(100)의 상면 사이의 침목(200)의 측면으로부터 지지부(100)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결합층(300)은 홈(110)과 지지부(100)의 상면과 접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50)이 홈(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간격(a)에 형성되는 결합층(300)의 두께가 레일(10)의 길이방향의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간격(b)에 형성되는 결합층(3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열차가 좌우로 이동할 경우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침목(20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침목(20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레일(10)의 길이방향의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간격(b)에 형성되는 결합층(300)의 두께와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간격(a)에 형성되는 결합층(300)의 두께를 조절하여 설치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의 작동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로 열차가 지나가면서 레일(1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침목(200)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침목(200)은 제1 결합층(310)과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침목(200)의 측면에는 윤활제가 구비되어 결합층(300)과 접착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할 수 있다.
레일(10)의 하측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침목(200)과 홈(110)의 하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결합층(31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즉, 제1 결합층(310)은 상온에서 경화되어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레일(10)의 하측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기존의 제1 결합층(310)의 높이(L1)가 하중이 가해진 후의 제1 결합층(310)의 높이(L2)로 변하면서 하중에 의해 침목(200)이 균열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1 결합층(310)의 높이(L1)가 하중이 가해진 후의 제1 결합층(310)의 높이(L2)로 변할 때 침목(200)의 측면도 하측으로 이동되어야 침목(20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때문에 침목(200)의 측면에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침목(200)의 측면과 결합층(300)은 접착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다.
그리하여 하중이 가해진 후의 돌출부(230)에서 마감부(350)까지의 거리(S2)는 기존의 돌출부(230)에서 마감부(350)까지의 거리(S1)보다 작아지도록 침목(200)이 하측으로 이동 될 수 있다.
즉, 침목(200)의 측면은 윤활제에 의해 결합층(300)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하여 하중이 발생되면 하측으로 이동되어 침목(20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목(200)은 제1 결합층(310)과 접착되어 레일(10)로 열차가 지나가면서 좌우로 이동할 경우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침목(200)이 홈(110)으로부터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궤도시스템의 복수개의 침목(200)이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에는 홈(110)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때문에 지지부(100)에 형성된 각각의 홈(110)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층(300)이 구비되고 각각의 결합층(300)에 침목(200)이 각각 결합된다.
즉, 지지부(100)에 복수 개의 홈(110)이 형성되고 홈(110)에 결합층(300)이 구비되고 침목(200)이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지지부(100)를 타설하지 않고 하나의 지지부(100)를 타설하여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지금부터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궤도의 설치방법의 침목이 홈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단계는 지반에 지지부(100)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에 침목(2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110)을 포함하는 지지부(100)를 지반에 타설하는 단계이다(S100).
1차 주입단계는 지지부(100)에 형성된 홈(110)에 제1 결합층(310)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성을 가지며 상온에서 경화되어 접착성과 탄성력을 가지는 제1 결합층(310)을 홈(110)의 하면과 접착되도록 홈(110)에 주입하는 단계이다(S200).
도포단계는 침목(200)의 측면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윤활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침목(2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230)로부터 침목(200)의 측면 하단까지 윤활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S300).
결합단계는 홈(110)에 침목(2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결합층(310)이 주입된 홈(110)에 침목(200)을 결합하는 단계로써 간격조절단계와 높이조절단계를 포함한다(S400).
간격조절단계는 가이드수단(30)을 이용하여 침목(200)이 홈(1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결합층(310) 주입된 홈(110)에 침목(200)을 결합할 경우,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이격거리는 레일(10)의 길이방향의 간격(b)보다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b)이 더 크도록 침목(200)을 제1 결합층(310)에 결합한다.
즉, 가이드수단(30)이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의 간격(a)이 기 설정된 간격이 되도록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 사이에 인입되어 제1 결합층(310)을 경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간격은 레일(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침목(20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결합층(300)의 두께이다(S410).
높이조절단계는 침목(200)이 기 설정된 높이를 지니도록 조절하는 단계이며 침목(200)이 지그(미도시)에 체결되어 홈(110)의 연직상부로부터 하강되고, 침목(200)이 기 설정된 높이에서 정지되는 침목 배치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격조절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며 침목(200)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를 지니도록 지그가 침목(200)을 하강시켜 제1 결합층(310)과 접착된 상태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지그는 모든 설치단계가 지나고 결합층(300)이 경화 되면 침목(2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높이는 복수 개의 침목(200)들이 동일한 높이를 가져 레일(10)이 동일한 높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이다(S420).
2차 주입단계는 홈(110)과 침목(200) 사이에 제2 결합층(330)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홈(110)에 침목(200)이 제1 결합층(310)에 의해 기 설정된 간격과 기 설정된 높이로 결합되고 제1 결합층(310)이 경화된 경우 제2 결합층(330)이 홈(110)의 내측면과 침목(200)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어 홈(110)을 채우는 단계이다(S500).
마감단계는 침목(200)의 측면으로부터 지지부(100)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감부(35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부(350)는 돌출부(230)와 지지부(100)의 상면 사이의 침목(200)의 측면으로부터 지지부(100)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단계이다(S600).
경화단계는 제2 결합층(330)과 마감부(350)가 상온에서 결합되는 단계이다(S7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레일 200: 침목
20: 레일체결부 210: 윤활층
30: 가이드수단 230: 돌출부
50: 이물질 300: 결합층
100: 지지부 310: 제1 결합층
110: 홈 330: 제2 결합층
350: 마감부

Claims (10)

  1. 열차의 경로인 레일이 체결되는 궤도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레일이 결합되는 침목;
    상기 침목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침목의 하단부가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홈이 구비된 지지부; 및
    상기 홈의 내측면과 상기 침목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침목의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는 결합층;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층은 상기 침목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침목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침목이 일정한 높이를 지니도록 하는 방진궤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수용된 상기 침목의 측면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고 상기 결합층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윤활층을 포함하는 방진궤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은,
    유동성을 지니되, 상온에서 경화되어 접착성과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된 방진궤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은,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고, 상기 홈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진궤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은,
    상기 침목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홈과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방진궤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측면과 상기 침목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간격보다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이 더 큰 방진궤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홈에 상기 침목이 결합되는 방진궤도시스템.
  8. 지반에 지지부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홈에 제1 결합층을 주입하는 1차주입단계;
    상기 침목의 측면 외측둘레를 둘러 감싸도록 윤활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홈에 침목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홈과 상기 침목 사이에 제2 결합층을 주입하는 2차주입단계; 및
    상기 침목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상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감부를 형성하는 마감단계; 를 포함하는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가이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침목이 상기 홈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단계; 및
    상기 침목이 기 설정된 높이를 지니도록 조절하는 높이조절단계; 를 포함하는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단계는,
    상기 침목이 지그에 체결되어 상기 홈의 연직상부로부터 하강되고, 상기 침목이 기 설정된 높이에서 정지되는 침목 배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마감부의 경화 완료 후 상기 침목으로부터 제거되는 철도궤도의 설치방법.

KR1020160061862A 2016-05-20 2016-05-20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KR20170130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862A KR20170130921A (ko) 2016-05-20 2016-05-20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862A KR20170130921A (ko) 2016-05-20 2016-05-20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921A true KR20170130921A (ko) 2017-11-29

Family

ID=6081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862A KR20170130921A (ko) 2016-05-20 2016-05-20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09A (ko) * 2018-11-09 2020-05-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09A (ko) * 2018-11-09 2020-05-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0631B1 (en) Components for railway lines on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labs without ballast
JP6312153B2 (ja) 移行領域用のレール固定システム
KR0145024B1 (ko) 자갈을 사용하지 않는 영구 철도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영구 철도
KR101293285B1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KR20100126699A (ko) 기판 위에 레일을 고정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 및 레일 고정 장치
CN103352401B (zh) 嵌入式轨道
KR20120102874A (ko) 궤도용 레일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5562B1 (ko)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KR20170130921A (ko) 철도궤도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진궤도시스템
JP2022518969A (ja) 真空チューブ鉄道システム
KR101864817B1 (ko) 레벨조정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일체형 터널 궤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RU262192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ов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160117923A (ko)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SK161792A3 (en) Ballastless superstructure for railways setting
CN105256668A (zh) 一种嵌入式轨道系统
KR100854479B1 (ko)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KR20130007077U (ko) 조립식 매립형 레일구조
CA2851890A1 (en) Vehicle line
KR20150019947A (ko) 철도레일의 절연 이음매부 고정장치
CN112012052A (zh) 轨道固定系统
KR20140023724A (ko) 복합적 방진구조를 갖는 철도궤도
KR100964734B1 (ko) 복합탄성체에 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060011192A (ko)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
KR20170138704A (ko) 결합방식의 매립형 궤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