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518A -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518A
KR20170129518A KR1020160060333A KR20160060333A KR20170129518A KR 20170129518 A KR20170129518 A KR 20170129518A KR 1020160060333 A KR1020160060333 A KR 1020160060333A KR 20160060333 A KR20160060333 A KR 20160060333A KR 20170129518 A KR20170129518 A KR 20170129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member
protection
fixing
unmanned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론프로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론프로세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론프로세이프
Priority to KR102016006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9518A/ko
Publication of KR2017012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3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for safety, e.g. with frangib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3Deformation involving a bending action, e.g. strap moving through multiple rollers, folding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f cable support type, i.e. frictionally-engaged loop-forming cables
    • B64D2700/620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0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sports or gaming, e.g. drone r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B64U2101/64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for parcel delivery or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보호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장애물과 충돌되면 상기 무인비행체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는 복수 개의 보호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보호부재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 개의 보호부재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일정한 형상으로 환위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비행 시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되 무인 비행체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무인 비행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무인 비행체와의 결합이 가능하며, 충격에 의해 일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면 손상 또는 파손된 부위만 교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비행체 보호장치{protection device for drones}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비행체의 비행 시 무인비행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무인비행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드론(drone)으로 명칭되는 무인 비행체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전파 신호를 통해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로서, 이착륙 시 공간적 제약이 적고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에 의해 일반인들의 취미생활 도구로 활용되거나 무인 택배부터 영상정보수집은 물론 공기청정분야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인 비행체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동체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무선전파에 의해 자동제어가 이루어지는 특성상 전파송수신이 원활하지 않거나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될 경우 지상으로 추락하게 되고, 추락 시 별도의 동체 보호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동체가 심각하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 추락은 되지 않더라도 저공비행을 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된다.
따라서 외부충격 시 동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에 관련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커버는 중앙의 몸체 보호부와, 몸체 보호부를 중심으로 원반형태로 구현되는데 이는 단순히 무인 비행체의 외형을 덮어 프로펠러를 보호할 뿐이며 무인 비행체의 프로펠러와 동일한 개수의 홀을 가지는 프로펠러 보호부 등의 구성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무인 비행체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커버의 일부만 손상되더라도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가 저공 비행을 수행하거나 장애물과의 충격에 의해 추락하는 경우, 무인 비행체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과 충돌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지만 종래의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는 대인보호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0001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6797호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비행체의 비행 시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되 무인 비행체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무인 비행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무인 비행체와의 결합이 가능하며, 충격에 의해 일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면 손상 또는 파손된 부위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비행체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무인 비행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가 장애물과 충돌되면 상기 무인비행체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는 복수 개의 보호부재; 및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보호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고,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보호부재와 장애물 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는 기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보호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보호부재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일정한 형상으로 환위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삽입되는 공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고정부재; 기설정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공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일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1 관통구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2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는, 상면 및 하면의 정중앙에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의 내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는, 전면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압력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되어 체결이 해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체 및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는 걸림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체와 착탈되는 하체로 마련되어 상기를 포함하여 상기 보호부재가 손상 또는 파손되면 상기 보호부재를 교체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체 및 하체는,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장애물과 충돌되면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는, 상기 외면 또는 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보호부재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호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비행 시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되 무인 비행체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무인 비행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무인 비행체와의 결합이 가능하며, 충격에 의해 일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면 손상 또는 파손된 부위만 교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 무선조종을 통해 비행가능한 무인 비행체가 비행될 때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장애물과 충돌되면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켜 충격이 무인 비행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장치는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무인 비행체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보호부재(100), 고정부재(200) 및 고정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보호부재(100)는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되, 무인 비행체에 영상수집을 위한 카메라와 같은 영상수집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보호부재(100)는 고정부재(20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200)와 결합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외부가 환위되도록 한다.
또한 보호부재(100)는 장애물과 충돌되면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켜 충돌에 의한 충격이 무인 비행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부재(100)는 탄성재질로 마련되어 장애물과 충돌이 발생되고, 충격이 소멸된 후에는 충격에 의해 변형되었던 부분이 복원되어 초기 형상으로 돌아온다.
또한 보호부재(100)는 일단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중 하나의 고정부재(20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고정부재(200)들을 경유하여 하나의 고정부재(200)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일단 및 타단이 결합되거나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부재(100)가 고정부재(200)들과 결합되는 과정이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부재(200)는 복수 개의 보호부재들이 고정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보호부재(100)들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외면이 일정한 형상으로 환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200)는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로 마련되는데, 고정부재(200)는 후술할 도 2 및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프레임(300)은 복수의 고정부재(200)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200)와 결합된 보호부재(100)들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보호부재(100)와 장애물 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받으면 전달된 충격이 분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구(310) 및 결합구(320)를 포함하는데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4 내지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100)와 결합된 고정부재(200)들이 고정프레임(300)의 관통구(310)에 삽입되어 고정프레임(300)에 고정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보호부재(100)가 무인 비행체의 외부를 환위하여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고, 비행 시 장애물과 충돌되면 보호부재(100)에서 충격을 흡수거나 고정부재(200) 및 고정프레임(300)으로 충격을 분산시켜 무인 비행체에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고정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부재(100)와 결합되어 보호부재(100)가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무인비행체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210)는 보호부재(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보호부재(100)가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1 고정부재(210)는 보호부재(100)가 일단으로 삽입되면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구(215)를 포함하는데, 공구(2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210)의 일단 정중앙 및 타단 정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편자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210)의 이러한 형상은 제1 고정부재(2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보호부재(100)가 제1 고정부재(210)의 일정한 곡률에 의해 굴곡되게 됨으로써 무인비행체의 외면을 다양한 각도에서 환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고정부재(210)의 형상은 의해 보호부재(100)가 장애물과 충돌되어 발생된 충격이 단일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고 충격하중이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이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210)는 고정프레임(300)의 외면의 일단 및 타단에 위치되는 제1 관통구(3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300)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지 않고 상부에 위치된 고정프레임(300)과 하부에 위치된 고정프레임(300)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위치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210)들이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면 하부 고정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210)들은 정면 및 배면에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210)들의 위치에 의해 보호부재(100)들과 무인 비행체 간의 거리가 보호부재(100)들마다 다르게 구현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다양한 방향에서 환위되도록 하여 무인 비행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인 비행체가 구형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고정프레임(300)에 고정된 제1 고정부재(210)에 삽입되어 있는 보호부재(100)는 무인비행체의 좌측 및 우측과 이격된 거리보다 무인 비행체의 정면 및 배면과 이격된 거리가 짧게 구현되어 무인 비행체의 좌우 방향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하부 고정프레임(300)에 고정된 제1 고정부재(210)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 보호부재(100)는 무인비행체의 정면 및 배면과 이격된 거리보다 무인 비행체의 좌측 및 우측과 이격된 거리가 길게 구현되어 무인 비행체의 정면 및 배면 방향의 장애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또 다른 보호부재(100)는 상부 고정프레임(300)에 고정된 제1 고정부재(210)에 삽입되어 있는 보호부재(100) 및 하부 고정프레임(300)에 고정된 제1 고정부재(210)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 보호부재(10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대각선 방향의 장애물과의 충돌로부터 무인 비행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고정부재(220)는, 제1 고정부재(210)와 마찬가지로 보호부재(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보호부재(100)가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2 고정부재(220)는 보호부재(100)가 일단으로 삽입되면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구(225)를 포함하는데, 공구(2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재(220)의 일단 정중앙 및 타단 정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210)와는 달리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재(220)의 이러한 형상은 제1 고정부재(210)와는 다른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보호부재(100)가 장애물과 충돌되어 발생된 충격이 단일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고 충격하중이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이다.
또한 제2 고정부재(220)가 제1 고정부재(210)와는 다른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삽입되어 고정되는 보호부재(100)가 무인비행체의 외면을 다양한 각도에서 환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20)는 고정프레임(3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 관통구(31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300)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지 않고 상부에 위치된 고정프레임(300)과 하부에 위치된 고정프레임(300)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위치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제2 고정부재(220)들의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면 하부 고정프레임(300)에 삽입되는 제2 고정부재(220)들의 길이방향은 좌우방향으로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220)들의 위치에 의해 보호부재(100)들과 무인 비행체 간의 거리가 보호부재(100)들 마다 다르게 구현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여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는 제1 관통구(311) 및 제2 관통구(315)에 삽입되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 및 하면의 정중앙에 돌출부(217, 227)를 포함한다.
돌출부(217, 227)는 고정부재(200)가 관통구(310)에 삽입되면 관통구(310)의 홈부(330)에 삽입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고정부재(200)에 외압을 가하기 전에는 임의로 관통구(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는, 보호부재(1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보호부재(100) 또는 고정부재(200) 자체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체(221) 및 하체(223)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고정부재(220)만이 도시되었으나, 제1 고정부재(210)도 제2 고정부재(220)와 마찬가지로 상체(221) 및 하체(220)로 구성되되, 제1 고정부재(210)의 상체(221) 및 하체(223)는 편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체(221) 및 하체(223)는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 모두에게 적용된다.
상체(221)는 하체(223)의 상부에 위치되어 하체(223)와 결합됨으로써 보호부재(100)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며, 걸림부(221a)를 포함한다.
걸림부(221a)는 상체(221)가 하체(2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체(221)의 정면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걸림부(221a)는 상체(221)가 하체(223)와 맞물리면 하체(223)의 걸림수용부(223a)에 삽입됨에 따라 별도의 외압이 가해지기 전에는 걸림수용부(223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하여 상체(221)와 하체(2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221a)는 고정부재(200)가 교체되거나 보호부재(100)가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에 고정부재(200)의 전면에 사용자가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소정의 압력만큼 고정부재(200)의 정면이 함몰됨으로써 걸림수용부(223a)로부터 이탈되어 상체(221)와 하체(223)의 결합이 해제가능하게 되어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하체(223)는 상체(221)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체(221)와 결합됨으로써 보호부재(100)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며, 걸림수용부(223a)를 포함한다.
걸림수용부(223a)는 하체(223)가 상체(2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하체(223)의 정면에서 상기 걸림부(2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수용부(223a)는 걸림부(221a)가 삽입되면 별도의 외압이 가해지기 전에는 걸림부(221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체(221) 및 하체(223)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고정부재(200)는 보호부재(100)가 장애물과 충돌됨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흡수부재(400)는 고정부재(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고정부재(200)의 내부가 채워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흡수부재(400)는 보호부재(100)로부터 전달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충격 및 진동이 다른 부재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흡수부재(400)의 재질은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전달하기 않기 위해서라면 고무, 섬유, 금속 등을 포함하여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고정부재(200)의 개폐를 통해 보호부재(100)들이 고정부재(2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고정부재(200)는 개폐형으로 마련되지 않고 내부가 충진된 상태에서 일단의 중심부터 타단의 중심까지 관통되는 공구(215, 225)만 형성되도록 하여 공구(215, 225)를 통해 보호부재(100)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고정프레임(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0)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호부재(10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무인 비행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이 발생되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300)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300)은 복수 개의 관통구(310) 및 결합구(320)를 포함한다.
관통구(310)는 고정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재(20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제1 관통구(311) 및 제2 관통구(315)로 구성되고 홈부(330)를 포함한다.
제1 관통구(311)는, 고정프레임(300) 외면의 일단 및 타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1 고정부재(210)가 삽입된다.
제2 관통구(315)는 고정프레임(300)의 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의 상면, 좌면 및 우면에 위치되고, 제2 고정부재(220)가 삽입된다.
홈부(330)는 고정부재(2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재(200)의 돌출부(217, 227)와 결합된다.
그리고 홈부(330)는 관통구(310)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서 고정부재(200)의 돌출부(217, 2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330)는, 고정부재(200)가 관통구(310)에 삽입되면 돌출부(217, 227)와 결합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고정부재(200)에 외압을 가하기 전에는 임의로 관통구(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구(320)는 무인 비행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300)의 외면 중 제1 관통구(311)가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구(320)는, 도면에서는 무인비행체의 하중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통구(310)보다는 크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예시적 사항이며 필요에 의해 관통구(310)와 동일한 크기 또는 관통구(310)보다 작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구(320)는 드론과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통해 드론과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프레임(300)이 팔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육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프레임(300) 자체의 충격흡수율이 향상되도록 하거나 구각형 이상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더 많은 관통구(310)들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다각형이 아닌 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관통구(310)와 결합구(320)가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드론의 형상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관통구(310)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구(320)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이와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통구(310) 및 결합구(320)가 도면에서는 고정프레임(300)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모두 외면에 형성되거나 모두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210)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편자형상이 아닌 제2 고정부재(220)와 같이 직선형태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2 고정부재(210)는 육면체가 아닌 원기둥과 같은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기둥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300)은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의 형상에 따라 제1 관통구(311) 및 제2 관통구(315)의 단면도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00)가 개폐가능한 것으로 마련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310) 역시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고정부재(200)와 관통구(3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흡수부재(400)가 고정부재(2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흡수부재(400)는 고정프레임(300)에 내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 고정부재(200)들을 포함하지 않고, 고정프레임(300)과 보호부재(100)들이 직접 결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보호부재(100)가 고정프레임(300)에 의해 고정되어 무인 비행체의 외면이 환위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200) 없이 보호부재(100)들이 고정프레임(300)과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재(200)없이 보호부재(100)들이 고정프레임(30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고정프레임(300)은 한 쌍의 고정프레임(300)으로 마련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와는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프레임(300)들이 마련되도록 하여 각각의 보호부재(100)들과 직접 결합되게 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100)가 무인 비행체와는 결합되지 않는 것과는 달리, 보호부재(100)가 무인 비행체와 직접 결합되되 고정프레임(300)은 무인비행체와 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300)의 관통구(310) 및 결합구(320)의 크기 및 형상은 일 실시예와는 달리 보호부재(100)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보호부재(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부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는 형상 외에 직선 형상을 가지는 보호부재(100)가 한 쌍 더 마련되고 고정프레임(300)을 통해 외면을 환위하는 보호부재(100)들과 연결된다.
직선 형상을 가지는 보호부재(100) 한 쌍은 외면을 환위하는 보호부재(100)들을 통해 형성되는 원의 중심을 지나도록 마련되되, 한 쌍의 보호부재(100)들은 서로 원의 중심을 교차하여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되고, 무인 비행체는 'x'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보호부재(100)와 연결되어 보호장치에 의해 환위되도록 한다.
따라서 'x'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보호부재(100)를 통해 무인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는 보호부재(100)들의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무인비행체가 보호장치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되는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무인 비행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x'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보호부재(100) 한 쌍이 교차만 되어 있고 중심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필요에 의해 'x'자 형상의 보호부재(100) 한 쌍이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프레임(300)이 추가로 더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x'자 형상의 보호부재(100) 한 쌍이 고정프레임(300)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경우 무인비행체는 고정프레임(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보호부재 200 : 고정부재
210 : 제1 고정부재 211 : 상체
213 : 하체 215 : 공구
217 : 돌출부 220 : 제2 고정부재
221 : 상체 221a : 걸림부
223 : 하체 223b : 걸림수용부
225 : 공구 227 : 돌출부
300 : 고정프레임 310 : 관통구
311 : 제1 관통구 315 : 제2 관통구
320 : 결합구 330 : 홈부
400 : 흡수부재

Claims (6)

  1. 무인 비행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가 장애물과 충돌되면 상기 무인비행체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환위하는 복수 개의 보호부재; 및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보호부재가 고정되도록 하고,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보호부재와 장애물 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는 기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호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보호부재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외면을 일정한 형상으로 환위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삽입되는 공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고정부재;
    기설정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공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일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 관통구; 및
    상기 제1 관통구가 마련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2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는,
    상면 및 하면의 정중앙에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의 내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는,
    전면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압력에 대응되는 깊이로 함몰되어 체결이 해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체 및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는 걸림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체와 착탈되는 하체로 마련되어 상기를 포함하여 상기 보호부재가 손상 또는 파손되면 상기 보호부재를 교체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체 및 하체는,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장애물과 충돌되면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외면 또는 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보호부재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보호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KR1020160060333A 2016-05-17 2016-05-17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KR20170129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33A KR20170129518A (ko) 2016-05-17 2016-05-17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33A KR20170129518A (ko) 2016-05-17 2016-05-17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18A true KR20170129518A (ko) 2017-11-27

Family

ID=6081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333A KR20170129518A (ko) 2016-05-17 2016-05-17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9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615A1 (ko) * 2018-04-19 2019-10-24 이성일 드론 스킨
WO2020026468A1 (ja) * 2018-08-03 2020-02-06 楽天株式会社 飛行装置、飛行体及び保護部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615A1 (ko) * 2018-04-19 2019-10-24 이성일 드론 스킨
KR20190122079A (ko) 2018-04-19 2019-10-29 이성일 드론 스킨
WO2020026468A1 (ja) * 2018-08-03 2020-02-06 楽天株式会社 飛行装置、飛行体及び保護部材
JPWO2020026468A1 (ja) * 2018-08-03 2020-08-06 楽天株式会社 飛行装置、飛行体及び保護部材
US11718399B2 (en) 2018-08-03 2023-08-08 Rakuten Group, Inc. Flight equipment, aerial vehicle and protective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9505B2 (en) Unmanned vehicle
KR20170119802A (ko) 무인비행체의 보호모듈
US10143256B2 (en) Protective helmet for lateral and direct impacts
KR101260370B1 (ko) 회전익 비행체 로봇 보호용 복합 구조
US10433609B2 (en) Layered materials and structures for enhanced impact absorption
KR20170129518A (ko) 무인비행체 보호장치
US20180359395A1 (en) Pan-tilt-zoom camer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1975864B2 (en) Multi sensor support structure
JP2010067730A (ja) 緩衝構造
US1140104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net assembly
CN204527656U (zh) 随动防撞机构
CN211336423U (zh) 一种无人机防护罩及带防护罩的无人机
KR102222496B1 (ko) 스포츠 드론
CN109681576B (zh) 一种用于高频与低频减震的无人机偏转装置
CN207191459U (zh) 无人机飞控设备的多自由度减振系统及无人机
CN213200087U (zh) 一种碳纤维无人机壳
CN207712303U (zh) 一种机载悬吊式发动机减震结构
KR102050391B1 (ko) 무인비행장치용 비행 콘트롤러의 진동 및 자기장 저감을 위한 마운트 장치
KR101612184B1 (ko) 무인 비행체의 보호장치
CN210555562U (zh) 一种无人机减震起落架
CN205273840U (zh) 减震机构
CN210690943U (zh) 一种vr头盔用的弹性防撞保护罩
KR102276791B1 (ko) 짐벌드론
KR20200127431A (ko) 충격완화장치가 장착된 드론
CN210406831U (zh) 一种飞机施药静电控制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