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17A -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817A
KR20170128817A KR1020160059325A KR20160059325A KR20170128817A KR 20170128817 A KR20170128817 A KR 20170128817A KR 1020160059325 A KR1020160059325 A KR 1020160059325A KR 20160059325 A KR20160059325 A KR 20160059325A KR 20170128817 A KR20170128817 A KR 2017012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teel pipe
product
mold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017B1 (ko
Inventor
최영숙
Original Assignee
최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숙 filed Critical 최영숙
Priority to KR102016005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0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072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objects with integrated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1Permanent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5Salt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01Removing cores
    • B22D29/002Removing cores by leaching, washing or dissol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제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를 삽입하는 코어 인서트 단계; 중공 제품 성형시의 용탕(4) 압력에 상기 강관(10)이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코어(22)의 외표면과 상기 강관(10)의 내주면 사이에 압력 지지물(20)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와 압력 지지물이 충전된 코어 조립체를 중공 제품(6)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4)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4) 내부의 상기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상기 코어 조립체의 상기 강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몰드 제품(6M)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몰드 제품(6M)의 성형 완료 후에 상기 압력 지지물(20)을 상기 강관(10)의 내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 with inner hole utilzing core}
본 발명은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전지팩 사이에 들어가는 쿨링판의 내부에 냉각수가 지나가는 냉각수 순환용 중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내부에 중공이 있는 다양한 중공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이나 플라스틱 제품의 성형에 적용되는 공법인 각종주조 공법과(중력주조, 저압주조, 고압주조 등) 사출 공법 등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품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은 중공이 형성된 긴 관의 내부에 물에 녹을 수 있는 물질을 채워 넣은 뒤, 그 긴 관을 제품 제작용 금형에 안착시키고, 금형을 닫는다. 이어서, 제품의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 금형 내로 용탕을 공급하여 중공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상기 중공 제품의 예로는 대형 이차전지의 각 전지팩 사이에 들어가는 냉각판을 들 수 있다. 이차전지는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전지팩(단위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단위 전지팩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차전지 모듈의 열 방출 특성은 전지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지내부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이 전동 청소기, 전동 스쿠터나 자동차용(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지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이차 전지의 내부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상당한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는 전지의 고유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 고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차전지, 특히 대형 이차전지는 전기 자동차나 기타 대용량 장치의 전지와 같이 용량이 큰 전지용으로 사용되는데, 각 전지팩에서 열이 발생하고, 열이 발생한 상태로 방치하면 이차전지가 터져버릴 수 있기 때문에, 각 전지팩 사이에 상기 냉각판을 삽입하고, 냉각판 내부의 중공에 냉각액을 순환시켜서 이차전지의 각 전지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게 된다. 이처럼 이차전지용 냉각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공 제품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중공 제품은 이차전지 이외에 기타 필요한 곳에 사용될 용도로 제작된다.
그런데, 기존에는 중공의 제품을 성형한 다음에는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제거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기존에는 특정 공구나 장치 등을 이용하여 중공제품을 만든 다음에는 상기 공구나 장치에 쓰인 중공 형성기구 등을 제거해야 하므로 중공제품을 만들기가 복잡하고 특정 공구나 설비가 요구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왔다.
국내공개특허 특1997-0058879호(1997.08.12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552647호(2006.02.09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102851호(2006.09.2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제품 성형이 완료된 이후, 제품 내에 묻혀있는 강관의 내부에 남아 있는 용해 가능한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품 내부 중공 형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강관과 용해성 물질을 이용한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 성형시의 용탕 압력에 강관이 견딜 수 있도록 상기 강관의 내부에 압력 지지물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상기 압력 지지물가 충전된 강관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부의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투입하여 상기 강관 외주면을 감싸는 몰드 제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성형 완료 후에 상기 압력 지지물를 상기 강관의 내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을 이용한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압력 지지물은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품 성형 이후에 상기 강관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상기 물에 의해 상기 강관 내부의 압력 지지물를 녹여주어 상기 강관을 비우고, 상기 압력 지지물가 비워진 상기 강관이 내부에 매설되어 내부에 중공이 있는 제품을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 지지물은 상기 용탕의 압력에 상기 강관이 버틸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입자상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에 의해 상기 제품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음에 상기 압력 지지물를 상기 강관에서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은 강관의 내부에 코어를 삽입하고, 코어와 강관 사이에 솔트(소금)를 채워넣은 다음, 강관을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하고, 상기 몰드의 캐비티에 용탕(제품 성형을 위한 액상의 원료)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면, 상기 강관이 매설된 예비 몰드 제품을 만들고, 상기 코어를 통해 강관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강관 내부에 채워져 있던 솔트(소금)을 녹이면서 제거하므로, 제품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압력 지지물(압력을 견디는 재료)를 제거하는 작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강관에 코어가 삽입된 코어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코어 지지체를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몰드의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하여 중공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에 의해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서 몰드 제품이 성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몰드 제품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몰드 제품에서 코어와 압력 지지물의 일례인 솔트를 제거한 중공 제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강관에 코어가 삽입된 코어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를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솔리드 샌드 코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솔리드 샌드 코어를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은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를 삽입하는 코어 인서트 단계와, 코어(22)와 강관(10) 사이에 압력 지지물(20)을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와 압력 지지물이 충전된 코어 조립체를 중공 제품(6)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4)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 조립체가 투입되어 있는 몰드(4) 내부의 캐비티에 용탕(4)을 일정 압력으로 주입하여 코어 조립체의 강관(10)이 일체화된 몰드 제품(6M)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 제품(6M)의 성형 완료 후에 압력 지지물(20)을 강관(10)의 내부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10)에서 코어(22)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코어(22)는 유리섬유를 실처럼 직조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가 될 수 있다. 이때,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는 외피 필름(24)이 감싼다, 외피 필름(24)은 유리섬유 직조 코어(22)에서 유리 가루가 떨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며,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를 보호한다. 한편, 외피 필름(24)에는 복수개의 기공(24H)이 구비된다. 기공(24H)은 외피 필름(24)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압력 지지물(20)은 물에 녹을 수 있는 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 제품 성형 이후에 강관(1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면, 물에 의해 강관(10) 내부의 압력 지지물(20)를 녹여주어 강관(10)을 비우고, 상기 압력 지지물(20)가 비워진 강관(10)이 내부에 매설되어 내부에 중공이 있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압력 지지물(20)은 솔트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물이 투입되면 물에 의해 솔트가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강관(10)이 알루미늄이고 용탕(4)도 고온의 알루미늄 용융 원액일 경우, 솔트의 용융 온도가 알루미늄의 용융 온도보다 높아서 강관(10)의 일부가 녹아서 용탕(4)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한편, 솔트는 그 형상 그대로 유지되어, 강관(10)이 용탕(4)의 주입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강관(10)이 용탕(4)의 주입 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코어(22)와 솔트에 의해 의해 강관(10)이 지지된 상태에서 용탕(4)과 강관(10)이 일체화되고 동시에 강관(10)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있는 중공 제품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강관(10)에 코어(22)가 인서트되고, 강관(10)과 코어(22) 사이에는 솔트가 충전되어, 솔트에 의해 강관(10)이 지지된 상태에서 용탕(4)이 주입되어 중공 제품이 성형된 다음에는 강관(10)에 물을 주입하여 솔트를 녹여주면 강관(10) 내부에서 솔트가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에 의해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중공 제품(6)을 성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압력 지지물을 솔트로 채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코어 인서트 단계에서는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강관(10)이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이어진 루프형 강관(10)으로 성형된다. 즉, 강관(10)은 방바닥에 매설되는 보일러의 온수관처럼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평행 관부와, 이 복수개의 평행 관부를 이어주는 곡선 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이어진 루프형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를 투입한다. 이때, 코어(22)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강관(10)의 단부에서 밖으로 더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코어(22)는 유리섬유를 직조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구성된다. 복수 가닥의 유리섬유를 밧줄을 꼬듯이 직조하여 일정 직경의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22)가 복수 가닥의 유리섬유가 꼬이듯이 직조되어 있어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물이 들어와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의 내부에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의 외주면으로 물이 나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을 외피 필름(24)이 감싸도룩 구성되며, 외피 필름(24)은 복수개의 기공(24H)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22)의 외주면으로 나온 물은 외피 필름(24)의 기공(24H)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상기 코어(22)와 강관(10) 사이에 솔트를 충전한다. 코어(22)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필름(24)과 강관(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솔트를 충전한다. 상기 솔트가 코어(22)와 강관(10) 사이에 충전된 것이 코어 조립체이다. 이때, 상기 강관(10)은 알루미늄이다.
다음, 강관(10)과 코어(22) 사이에 솔트가 충전된 코어 조립체를 만든 다음, 몰드(4)의 캐비티에 상기 코어 조립체를 투입한 상태에서 용탕(4)을 몰드(4)의 캐비티에 일정 압력으로 주입한다. 그러면, 용탕(4)이 높은 온도(상기 솔트가 녹는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서, 솔트의 녹는 온도보다는 낮고 알루미늄이 녹는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이므로, 강관(10)과 용탕(4)이 일체화된 예비 중공 제품(6), 다시 말해, 몰드 제품(6M)이 성형된다. 이때, 몰드(4)는 어퍼 몰드(4A)와 로워 몰드(4B)로 구성될 수 있고, 어퍼 몰드(4A)와 로워 몰드(4B)가 결합된 상태에서 몰드(4) 내부에 중공 제품(6) 성형을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며, 이러한 몰드의 캐비티에 코어 조립체가 투입된 상태에서 높은 온도의 용탕(4)을 일정 압력으로 몰드의 캐비티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몰드 제품(6M)을 만들게 된다. 어퍼 몰드와 로워 몰드를 결합할 때에 코어 조립체의 적어도 한쪽 단부측 일부가 어퍼 몰드와 로워 몰드의 결합에 의해 생긴 지지홈에 끼워짐으로써 코어 조립체가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서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솔트(소금)을 채워넣고 솔트에는 상기 코어(22)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코어 조립체를 제품 성형용 몰드(4)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한 다음, 몰드(4)의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제품의 외관을 만드는 것이다.
다음, 코어 조립체의 코어(22)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 상기 코어(22)가 물이 흐르는 통로가 되어서, 이러한 통로를 통해 물이 강관(10)의 내부로 들어왔다가 코어(22)의 외주면으로 빠져나오는데, 상기 코어(22)를 감싸고 있는 외피 필름(24)은 상기 용탕(4)의 높은 온도에 의해 소진되어 없어져 있으므로, 상기 코어(22)의 내부에서부터 코어(22)의 외주면으로 빠져나오는 물이 솔트 쪽으로 공급되어, 솔트가 물에 의해 녹게 되므로, 솔트가 강관(10)의 내부에서 제거된다. 이때, 만일 외피 필름(24)이 제대로 타지 않아서 외피 필름(24)이 남아 있더라도 외피 필름(24)에 형성된 기공(24H)을 통해서 물이 빠져나오므로, 솔트를 녹이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정리하면, 상기 코어(22)는 유리섬유를 직조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은 외피 필름(24)이 감싸고, 상기 외피 필름(24)에는 복수개의 기공(24H)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몰드 제품(6M)을 성형할 때에 외피 필름(24)은 소산되고, 상기 코어(22)에는 내부에서 외표면으로 연결된 물흐름로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물흐름로를 통해서 코어(22)의 외표면으로부터 나와서 강관(10) 내부의 솔트를 녹이도록 구성된다.
다음, 강관(10)의 내부에서 솔트가 녹아서 제거되면 강관(10)이 내부에 들어가 있는 코어(22)를 강관(10)으로부터 빼내준다. 그러면, 내부에 매설된 빈 강관(10)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있는 중공 제품(6)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22)는 유리섬유를 직조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은 복수개의 섬유사 직조 튜브(26)가 감싸고, 상기 직조 튜브(26)에는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물통과홀이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리섬유로 코어(22)를 감싼 코어 조립체를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한다. 마찬가지로, 코어 조립체의 적어도 한쪽 단부측 일부가 어퍼 몰드와 로워 몰드의 결합에 의해 생긴 지지홈에 끼워짐으로써 코어 조립체가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서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몰드 제품(6M)을 성형한다. 몰드 제품(6M)을 성형할 때에 직조 튜브(26)는 용탕(4)의 열에 의해 소산되고 코어(22)에는 내부에서 외표면으로 연결된 물흐름로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물흐름로를 통해서 코어(22)의 외표면으로부터 나와서 강관(10) 내부의 솔트를 녹이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외피 필름(24) 대신에 직조 튜브(26)로 코어(22)의 외표면을 감싸준 코어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코어 조립체의 코어(22)로 물이 들어와서 직조 튜브(26)의 물통과홀을 통해 물이 나와서 강관(10) 내부의 솔드를 녹이게 된다. 만일, 직조 튜브(26)가 제대로 타서 제거되지 않더라도 직조 튜브(26)는 내외주면으로 물이 빠져나올 수 있는 통과홀이 구비되어, 남아 있는 직조 튜브(26)의 통과홀으로 통해 물이 빠져나오므로, 솔트를 녹이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한편, 상기 압력 지지물(20)은 용탕(4)의 주입 압력에 강관(10)이 버틸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입자상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10)에 의해 제품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음에 압력 지지물(20)를 강관(10)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입자상 물질은 세라믹, 샌드, 볼(금속볼, 다시 말해 강구)와 같이 용탕(4)의 고온과 강관(10)의 용융 온도보다 더 용융 온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관(10)이 알루미늄이고 용탕(4)도 고온의 알루미늄 용융 원액일 경우, 세라믹이나 강구 등으로 이루어진 입자상 압력 지지물(20)(입자상 물질)의 용융 온도가 알루미늄의 용융 온도보다 높아서 강관(10)의 일부가 녹아서 용탕(4)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한편, 입자상 압력 지지물(20)은 그 형상 그대로 유지되어, 강관(10)이 용탕(4)의 주입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강관(10)이 용탕(4)의 주입 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입자상 압력 지지물(20)에 의해 강관(10)이 지지된 상태에서 용탕(4)과 강관(10)이 일체화되고 동시에 강관(10)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있는 중공 제품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입자상 압력 지지물(20)에 의해 강관(10)이 지지된 상태에서 용탕(4)이 주입되어 중공 제품이 성형된 다음에는 입자상 압력 지지물(20)를 강관(10)의 내부에서 털어내서 제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강관(10)의 내부에 일정 압력의 압력수를 주입하여, 물의 주입 압력에 의해 입자상 압력 지지물(20)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압력 지지물을 솔트 대신에 기름에 녹는 지용성 압력 지지물이나 화학 약품에 의해 화학적으로 녹는 화학성 압력 지지물로 구성되어, 상기 강관(10) 내부의 코어(22)를 통해 기름을 강관(10) 내부의 지용성 압력 지지물로 공급하여, 지용성 압력 지지물을 강관(10) 내부에서 제거할 수도 있고, 상기 강관(10) 내부의 코어(22)를 통해 액상 화학 약품을 강관(10) 내부의 화학적 압력 지지물로 공급하여, 화학적 압력 지지물을 강관(10) 내부에서 화학적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강관(10)은 용탕(4)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이 중공 제품(6)에 일체형으로 성형된 다음, 상기 강관(10)의 내부에서 압력 지지물(20)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강관(10)과 용탕(4)이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관(10)의 한쪽 단부는 유입구가 되고 다른 쪽 단부는 배출구가 되도록 상기 강관(10)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루프형 관으로 성형하여, 상기 제품의 내부의 중공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단일 경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 제품(6) 내부의 중공은 복수개의 서로 나란한 평행 중공부(10A)와, 서로 나란한 평행 중공부(10A)들을 잇는 복수개의 연결 중공부(10B)(곡선형 연결 중공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10)을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이어진 루프형 강관(10)으로 성형하여, 상기 중공이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이어진 루프형 중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방바닥에 매설되는 보일러의 온수관처럼 상기 강관(10)을 지그재그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면, 중공 제품(6) 내부에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평행 중공부(10A)와, 이러한 평행 중공부(10A)를 이어주는 복수개의 연결 중공부(10B)를 구비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강관(10)은 상기와 같은 지그재그 코일 형상의 강관(10)이지만, 이러한 지그재그 코일형 강관(10) 이외에 일자형 강관(10)과 같이 중공 제품(6)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강관(10)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성형되는 중공 제품(6)은 이차전지의 각 전지팩 사이에 개재되는 쿨링판 등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중공 제품(6) 내부의 중공으로 냉각수가 순환되어 이차전지의 전지팩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중공 제품(6)은 상기 쿨링판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중공 제품(6)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를 삽입하고, 코어(22)와 강관(10) 사이에 솔트(소금)를 채워넣은 코어 조립체를 만든 다음, 코어 조립체를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하고, 상기 몰드의 캐비티에 용탕(4)(제품 성형을 위한 액상의 원료)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면, 상기 강관(10)이 내부에 매설된 예비 몰드 제품(6M)을 만들고, 상기 코어(22)를 통해 강관(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강관(1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솔트(소금)을 녹이면서 제거하므로, 제품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압력 지지물(압력을 견디는 재료)를 제거하는 작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공구나 장치 등을 이용하여 중공 제품을 만들 필요가 없어서 공구나 장치에 쓰인 중공 형성기구 등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중공 제품을 만들기가 간단하고 특정 공구나 설비가 요구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공 제품(6) 내부의 중공 형성대로 예비 샌드 코어(22)를 만들고, 예비 샌드 코어(22)를 구워서 솔리드 샌드 코어(22)를 만들고, 솔리드 샌드 코어(22)를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한 상태에서 몰드의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면, 상기 솔리드 샌드 코어(22)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구비된 중공 제품(6)을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예비 샌드 코어(22)를 만드는 단계에서는 다수량의 모래를 바인더에 의해 1차로 부착(결착)시켜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예비 샌드 코어(22)를 만든다. 예비 샌드 코어(22)의 형상은 중공 제품(6)의 내부 중공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든다.
다음, 상기 예비 샌드 코어(22)를 구워준다. 그러면, 상기 바인더가 경화되면서 샌드가 연결되어 상기 중공의 형상대로 유지되는 솔리드 샌드 코어(22)가 형성된다. 즉, 굳지 않은 예비 샌드 코어(22)가 굳은 상태의 솔리드 샌드 코어(22)로 된다.
다음, 상기 솔리드 샌드 코어(22)를 제품의 외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몰드의 캐비티 내부에 투입한다. 몰드가 어퍼 몰드(4A)와 로워 몰드(4B)로 구성되어, 어퍼 몰드와 로워 몰드를 결합할 때에 솔리드 샌드 코어(22)의 적어도 한쪽 단부측 일부가 어퍼 몰드와 로워 몰드의 결합에 의해 생긴 지지홈에 끼워짐으로써 솔리드 샌드 코어(22)가 몰드 내부의 캐비티에서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몰드(4) 내부의 캐비티에 상기와 같은 높은 온도의 용탕(4)을 일정 압력으로 투입하여 솔리드 샌드 코어(22)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몰드 제품(6M)을 성형한다.
상기 몰드 제품(6M)의 성형 중에 솔리드 샌드 코어(22)의 바인더가 소진되어 솔리드 샌드 코어(22)의 샌드 사이의 결착력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강관(10)의 내부에서 샌드를 제거하여 내부에 중공이 구비된 중공 제품(6)을 형성한다. 몰드 제품(6M) 내부의 중공에서 샌드를 털어내서 제거하거나 몰드 제품(6M) 내부의 중공에 일정 압력으로 세척수를 주입하여 세척수에 의해 샌드를 씻어낼 수 있다. 몰드 제품(6M) 내부의 중공에서 샌드가 제거되면, 내부에 중공이 있는 중공 제품(6)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4. 몰드 8. 중공 제품
10. 강관 20. 압력 지지물
22. 코어

Claims (9)

  1.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를 삽입하는 코어 인서트 단계;
    중공 제품 성형시의 용탕(4) 압력에 상기 강관(10)이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코어(22)의 외표면과 상기 강관(10)의 내주면 사이에 압력 지지물(20)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코어(22)와 압력 지지물이 충전된 코어 조립체를 중공 제품(6)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4) 내부의 캐비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4) 내부의 상기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상기 코어 조립체의 상기 강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몰드 제품(6M)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몰드 제품(6M)의 성형 완료 후에 상기 압력 지지물(20)을 상기 강관(10)의 내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지지물(20)은 물에 녹는 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몰드 제품(6M) 성형 이후에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상기 물에 의해 상기 강관(10) 내부의 압력 지지물(20)을 녹여주어 상기 강관(10)을 비우고, 상기 압력 지지물(20)이 비워진 상기 강관(10)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22)를 인출하여, 상기 강관(10)이 내부에 매설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 제품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지지물(20)은 솔트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22)를 통하여 상기 강관(10)의 내부에 물이 투입되면 상기 물에 의해 상기 압력 지지물(20)이 녹아서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2)는 유리섬유를 직조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은 외피 필름(24)이 감싸고, 상기 외피 필름(24)에는 복수개의 기공(24H)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 내부의 상기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몰드 제품(6M)을 성형할 때에 상기 외피 필름(24)은 소산되고, 상기 코어(22)에는 내부에서 외표면으로 연결된 물흐름로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물흐름로를 통해서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강관(10) 내부의 솔트를 녹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2)는 유리섬유를 직조한 유리섬유 직조 코어(22)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은 복수개의 섬유사 직조 튜브(26)가 감싸고, 상기 직조 튜브(26)에는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물통과홀이 구비되며, 상기 몰드 내부의 상기 캐비티에 용탕(4)을 주입하여 몰드 제품(6M)을 성형할 때에 상기 직조 튜브(26)는 소산되고 상기 코어(22)에는 내부에서 외표면으로 연결된 물흐름로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물흐름로를 통해서 상기 코어(22)의 외표면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강관(10) 내부의 솔트를 녹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은 상기 용탕(4)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이 상기 중공 제품(6)에 일체형으로 성형된 다음, 상기 강관(10)의 내부에서 상기 압력 지지물(20)과 상기 코어(22)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과 상기 용탕(4)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의 한쪽 단부는 유입구가 되고 다른 쪽 단부는 배출구가 되도록 상기 강관(10)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루프형 관으로 성형하여, 상기 제품의 내부의 상기 중공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단일 경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9. 모래를 바인더에 의해 결착시켜서 중공 제품(6) 내부의 중공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예비 샌드 코어(22)를 만드는 단계;
    상기 예비 샌드 코어(22)를 구워서 상기 바인더의 경화에 의해 샌드가 연결되어 상기 중공의 형상대로 유지되는 솔리드 샌드 코어(2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솔리드 샌드 코어(22)를 제품의 외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몰드의 캐비티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4) 내부의 상기 캐비티에 용탕(4)을 투입하여 상기 솔리드 샌드 코어(22)에 의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몰드 제품(6M)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몰드 제품(6M)의 성형 중에 상기 솔리드 샌드 코어(22)의 상기 바인더가 소진되어 상기 솔리드 샌드 코어(22)의 샌드 사이의 결착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제품(6M)의 내부 중공에서 샌드를 제거하여 중공 제품(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를 이용한 중공 제품 제조방법.
KR1020160059325A 2016-05-16 2016-05-16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KR10182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25A KR101826017B1 (ko) 2016-05-16 2016-05-16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25A KR101826017B1 (ko) 2016-05-16 2016-05-16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17A true KR20170128817A (ko) 2017-11-24
KR101826017B1 KR101826017B1 (ko) 2018-02-06

Family

ID=6081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325A KR101826017B1 (ko) 2016-05-16 2016-05-16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01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708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자동차연구원 관로형 구조물 제조 방법
KR20200028606A (ko) * 2018-09-07 2020-03-1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중력주조에 적용되는 중공성형을 위한 바이메탈 중공관 및 중공성형방법
CN111515369A (zh) * 2020-06-03 2020-08-11 吴璇 一种汽车油路管件接头制造工艺
KR102174238B1 (ko) * 2019-11-19 2020-11-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다중코어 및 다중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KR102181414B1 (ko) * 2019-11-19 2020-11-24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멀티레이어 충전재를 포함하는 중공제품 제조용 코어 및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KR102236758B1 (ko) * 2019-11-19 2021-04-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냉각장치 제조방법
KR102300955B1 (ko) * 2020-03-26 2021-09-09 최성환 형상적응형 냉각채널이 적용된 주조 금형
KR102300954B1 (ko) * 2020-03-26 2021-09-09 최성환 주조 금형 내부의 냉각채널 형성방법
WO2022145528A1 (ko) * 2020-12-29 2022-07-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중공관용 충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관 충전 방법
WO2022145529A1 (ko) * 2020-12-29 2022-07-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단면적이 변하는 중공관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WO2024004771A1 (ja) * 2022-06-28 2024-01-04 恭子 廣川 パイプ充填用可溶性化学塩を用いた放熱部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放熱部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485A (ko) 2018-12-04 2020-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로부가 형성된 주조품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주조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3453B2 (ja) 2010-05-19 2014-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軽合金高圧鋳造方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708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자동차연구원 관로형 구조물 제조 방법
KR20200028606A (ko) * 2018-09-07 2020-03-1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중력주조에 적용되는 중공성형을 위한 바이메탈 중공관 및 중공성형방법
CN112893808A (zh) * 2019-11-19 2021-06-04 Mh技术开发有限公司 使用热管制造冷却装置的方法
US11247264B2 (en) 2019-11-19 2022-02-15 Mh Technologies Inc. Multi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product using multicore
KR102181414B1 (ko) * 2019-11-19 2020-11-24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멀티레이어 충전재를 포함하는 중공제품 제조용 코어 및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KR102236758B1 (ko) * 2019-11-19 2021-04-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냉각장치 제조방법
EP3825036A1 (en) * 2019-11-19 2021-05-26 MH Technologies Inc. Core for hollow product manufacture including multilayer fill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product using the core
JP2021079449A (ja) * 2019-11-19 2021-05-27 エムエイチ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レイヤ充填材を含む中空製品製造用コアおよびコアを用いた中空製品の製造方法
JP2021079450A (ja) * 2019-11-19 2021-05-27 エムエイチ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重コアおよび多重コアを用いた中空製品の製造方法
CN112893781A (zh) * 2019-11-19 2021-06-04 Mh技术开发有限公司 包括多层填充材料的用于制造空心产品的型芯及方法
US11628492B2 (en) 2019-11-19 2023-04-18 Mh Technologies Inc. Core for hollow product manufacture including multilayer fill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product using the core
KR102174238B1 (ko) * 2019-11-19 2020-11-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다중코어 및 다중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US11629919B2 (en) 2019-11-19 2023-04-18 Mh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ooling device using heat pipe
US11607722B2 (en) 2019-11-19 2023-03-21 Mh Technologies Inc. Multi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product using multicore
KR102300955B1 (ko) * 2020-03-26 2021-09-09 최성환 형상적응형 냉각채널이 적용된 주조 금형
KR102300954B1 (ko) * 2020-03-26 2021-09-09 최성환 주조 금형 내부의 냉각채널 형성방법
CN111515369B (zh) * 2020-06-03 2021-10-15 湖南省纽世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油路管件接头制造工艺
CN111515369A (zh) * 2020-06-03 2020-08-11 吴璇 一种汽车油路管件接头制造工艺
WO2022145528A1 (ko) * 2020-12-29 2022-07-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중공관용 충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관 충전 방법
WO2022145529A1 (ko) * 2020-12-29 2022-07-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단면적이 변하는 중공관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WO2024004771A1 (ja) * 2022-06-28 2024-01-04 恭子 廣川 パイプ充填用可溶性化学塩を用いた放熱部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放熱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017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017B1 (ko)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JP2020532434A (ja) 冷却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ハウジング冷却装置
KR101831212B1 (ko) 중공제품 제조방법
KR101761678B1 (ko) 배터리용 냉각장치의 제조방법
JP2021039945A (ja) 電池パックを収容するハウジング及びこの種のハウジングを製造する方法
ES2687103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piezas de fundición de metal ferroso
EP2914376B1 (en) Capsule comprising phase change material, assembly of capsules and method of forming the capsule
US396101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exchangers
US10923287B1 (en) Vascular cooled capacitor assembly and method
KR20170080516A (ko) 전기 차량을 위한 배터리 패키징 및 인서트 몰딩
EP3825032B1 (en) Multi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product using multicore
CA2979963C (en) High pressure gas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pressure gas container
KR102181414B1 (ko) 멀티레이어 충전재를 포함하는 중공제품 제조용 코어 및 코어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방법
KR102174237B1 (ko) 중력주조에 적용되는 중공성형을 위한 바이메탈 중공관 및 중공성형방법
CN113067081A (zh) 电池包
CA3061040C (en) Multifunctional battery packaging and insulation
EP157707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ongate reinforced plastic construction part
ITBO20130443A1 (it) Utensile per lavorazioni meccaniche, procedimento ed attrezz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un utensile per lavorazioni meccaniche.
JP2017139172A (ja)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211265564U (zh) 电池包
KR101961155B1 (ko) 비누출 유체 채널이 매립된 모터 하우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9961B1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N106688124B (zh) 形成整体歧管的方法
FR3032029A1 (fr) Batterie thermique a materiau a changement de phase encapsul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KR102288545B1 (ko) 배터리 팩 로우 하우징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