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920A - 색-음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색-음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920A
KR20170127920A KR1020160058796A KR20160058796A KR20170127920A KR 20170127920 A KR20170127920 A KR 20170127920A KR 1020160058796 A KR1020160058796 A KR 1020160058796A KR 20160058796 A KR20160058796 A KR 20160058796A KR 20170127920 A KR20170127920 A KR 20170127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ound
unit
colors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795B1 (ko
Inventor
민차미
Original Assignee
민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차미 filed Critical 민차미
Priority to KR102016005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9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920A/ko
Priority to KR1020220103150A priority patent/KR2022011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11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 G10H2210/115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using a random process to generate a musical note, phrase, sequence or structu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11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 G10H2210/115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using a random process to generate a musical note, phrase, sequence or structure
    • G10H2210/121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using a random process to generate a musical note, phrase, sequence or structure using a knowledge b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161Note sequence effects, i.e. sensing, altering, controlling, processing or synthesising a note trigger selection or sequence, e.g. by altering trigger timing, triggered note values, adding improvisation or ornaments, also rapid repetition of the same note onset, e.g. on a piano, guitar, e.g. rasgueado, drum roll
    • G10H2210/171Ad-lib effects, i.e. adding a musical phrase or improvisation automatically or on player's request, e.g. one-finger triggering of a note seque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41Rhythm pattern selection, synthesis or composition
    • G10H2210/366Random process affecting a selection among a set of pre-established patter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는 복수의 컬러 센서들을 포함하고, 물체에 표시된 색들을 인식하여 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색들을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키는 색-음향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음을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나 보드 등에 복수의 색들이 포함된 그림을 그린 뒤 상기 색들을 복수의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킴으로써 음악을 작곡하여 재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상기 색들 각각에 대응하여 원하는 음을 매칭시키고, 원하는 악기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음향 변환 장치{DEVICE FOR CONVERTING COLOR TO SOUND}
본 발명은 색-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에 표시된 색들을 인식하고 상기 색들을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키는 색-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곡을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음악적 지식이 필요하다. 즉, 작곡을 하기 위해서는 음계에 대한 이해 및 악보를 읽는 능력뿐만 아니라, 특정 소리를 구현하기 위해서 어떠한 음을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
다만, 최근 들어, 음악을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작곡하고 연주하고자 하는 대중들의 욕구가 확대됨에 따라, 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대중들도 쉽고 친숙하게 작곡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에 표시된 색들을 다양한 음을 가지는 청각적 표현으로 변환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는 복수의 컬러 센서들을 포함하고, 물체에 표시된 색들을 인식하여 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색들을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키는 색-음향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음을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물체에 표시된 제1 색을 인식하고, 상기 색-음향 변환부는 상기 제1 색을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키며, 상기 음향 재생부는 상기 제1 색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를 갖는 제1 음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색-음향 변환부는 상기 제1 색을 인식한 컬러 센서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악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음향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재생부는 상기 음을 상기 선택된 악기의 소리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색들을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매칭시킬 수 있는 색-음향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음향 변환부는 상기 색들을 상기 매칭된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색-음향 매칭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컬러 센서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매칭시키는 색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색-음향 매칭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컬러 표시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매칭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센서들은 상기 센싱부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물체가 상기 제1 면을 지날 때 상기 색들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에 따르면, 종이나 보드 등에 복수의 색들이 포함된 그림을 그린 뒤 상기 색들을 복수의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킴으로써 음악을 작곡하여 재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상기 색들 각각에 대응하여 원하는 음을 매칭시키고, 원하는 악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색-음향 변환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음향 재생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색-음향 매칭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음향 선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복수의 색들이 표시된 물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색들이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c는 도 8a의 각 영역에서 각 색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구성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색-음향 변환 장치는 센싱부(100) 및 색-음향 변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100)는 물체에 표시된 색들(C)을 인식한다. 상기 센싱부(100)는 복수의 컬러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컬러 센서들을 통해 상기 색들(C)을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색들(C)을 기초로 색 데이터(CD)를 생성한다. 상기 색 데이터(CD)는 상기 색들(C)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색 데이터(CD)를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체에 제1 색 및 제2 색이 표시되어 있으면,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을 각각 인식하여 상기 색 데이터(C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복수의 가청 주파수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색들(C)을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킨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색 데이터(CD)를 기초로 상기 센싱부(100)가 인식한 색들(C) 각각을 상기 가청 주파수들 중 하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색들(C) 및 상기 가청 주파수들의 대응 관계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 내에 고정된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1 색을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 색을 제2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는 음향 재생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음(S)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를 갖는 제1 음을 재생하고,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가청 주파수를 갖는 제2 음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에 대해서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는 색-음향 매칭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색을 원하는 가청 주파수에 매칭(UM)시켜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상기 제1 색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상기 제2 색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상기 제2 색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상기 제1 색을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매칭된 색에 관한 정보를 매칭 신호(M)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매칭 신호(M)를 기초로 상기 색들(C)을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의 상기 색들(C)과 상기 가청 주파수들의 대응 관계는 사용자의 매칭(UM)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는 음향 선택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악기들 중 하나를 선택(UI)하여 상기 음향 선택부(5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에 관한 정보를 악기 선택 신호(I)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를 기초로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UI)의 소리로 상기 음(S)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의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1 방향(D1)에서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의 제2 방향(D2)에서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는 본체(600) 및 상기 센싱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600)의 하단 양쪽에는 지지부가 위치하여 상기 본체(600)와 바닥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본체(600)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본체(600)에 하단에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와 상기 바닥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의 작동 시, 상기 물체는 상기 센싱부(100)와 상기 바닥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물체가 상기 센싱부(100)와 상기 바닥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물체에 표시된 상기 색들(C)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복수의 컬러 센서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센서들(110)은 도 3c와 같이 상기 센싱부(100)의 하단 부분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물체가 상기 센싱부(100)와 상기 바닥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컬러 센서들(110)은 상기 물체에 표시된 색들(C)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본체(6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색-음향 변환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3a 내지 3c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음향 변환부(200)는 본체(60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별도의 정보 처리 장치(201)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201)는 상기 센싱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201)에 상기 색 데이터(C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음향 재생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2, 3a 내지 3c 및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부(300a)는 상기 본체(6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a)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2, 3a 내지 3c 및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부(300b)는 상기 본체(6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재생부(300b)는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b)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색-음향 매칭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2, 3a 내지 3c 및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는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본체(6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본체(6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표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컬러 표시부(420)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또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음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 및 6c의 매칭 컬러 표시부(420)에는 15 가지의 가청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음계들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매칭 컬러 표시부(420)에는 제1 옥타브의 솔(G2) 및 라(A2), 제2 옥타브의 도(C3), 레(D3), 미(E3), 솔(G3) 및 라(A3), 제3 옥타브의 도(C4), 레(D4), 미(E4), 솔(G4) 및 라(A4), 및 제4 옥타브의 도(C5), 레(D5) 및 미(E5)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매칭 컬러 표시부(420)는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가청 주파수들 또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음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칭 컬러 표시부(420)는 액정 표시 장치(LCD)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청 주파수에 제1 색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표시부는 상기 제1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색들 각각에 대해 어떤 가청 주파수가 대응되는지를 시각적,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에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또는 상기 음계들 각각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컬러 센서(410)는 사용자가 매칭시키는 색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색을 띄는 물체를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에 접근시켜, 상기 제1 색을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색을 띄는 물체는 상기 제1 색의 필기구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색(CL1)을 띄는 물체(701)를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에 접근시키고,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는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색(CL2)을 띄는 물체(702)를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에 접근시키고,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는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색과 가청 주파수 사이의 매칭을 위해, 별도의 입력 장치 없이, 그림을 그리던 필기구를 원하는 가청 주파수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에 접근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이 필요하다.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표시부는 상기 제1 색(CL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표시부는 상기 제2 색(CL2)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제1 색(CL1)이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하는 제1 가청 주파수에 매칭되고 상기 제2 색(CL2)이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에 대응하는 제2 가청 주파수에 매칭된 결과를 상기 매칭 신호(M)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센싱부(100),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 및 상기 음향 재생부(300)의 동작은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에 포함되는 음향 선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2, 3a 내지 3c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는 음향 선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음향 선택부(500)를 통해 원하는 악기를 선택(UI)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복수의 악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UI)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를 기초로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UI)의 소리로 상기 음(S)을 재생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 및 복수의 색들이 표시된 물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색들이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c는 도 8a의 각 영역에서 각 색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 2, 3a 내지 3c, 6c 및 8a 내지 8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물체(800)의 제1 영역(A1)에 상기 제1 색(CL1)의 제1 필기구(701)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색(CL1)을 칠하고, 상기 물체(800)의 제2 영역(A2)에 상기 제2 색(CL2)의 제2 필기구(702)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색(CL2)을 칠할 수 있다. 상기 물체(800)는 상기 제1 및 제2 필기구들(701, 702)로 상기 제1 및 제2 색들(CL1, CL2)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체(800)는 종이 및 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색들(CL1, CL2)과 상기 가청 주파수들 사이의 각각의 대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1 색(CL1)이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색(CL2)이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대응되는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색들(CL1, CL2)을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직접 매칭(UM)시켜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 색(CL1)을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매칭시키고 상기 제2 색(CL2)을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매칭시켜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는 상기 매칭 정보(UM)를 상기 매칭 신호(M)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하고,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매칭 신호(M)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체(800)를 상기 센싱부(100) 하단의 공간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체(800)의 상기 제1 및 제2 색들(CL1, CL2)이 칠해진 면이 상기 센싱부(100)와 마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체(800)가 상기 센싱부(100)의 하단의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컬러 센서들(110)을 통해 상기 물체(800) 표시된 색들을 인식한다.
상기 물체(800)의 제1 수평 라인(P1)이 상기 센싱부(10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한다.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서 상기 제1 색(CL1)이 칠해진 영역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제1 길이(L1)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서 상기 컬러 센서들(110) 중 6 개가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 대응하여 색 데이터(CD)를 생성하여,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서 상기 색 데이터(CD)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을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는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 내의 고정된 값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대응 관계는 사용자가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서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한 상기 컬러 센서들(110)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 대응하여 이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라인(P1)에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의 음량은 6일 수 있다.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의 소리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물체(800)의 제2 수평 라인(P2)이 상기 센싱부(10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한다.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서 상기 제1 색(CL1)이 칠해진 영역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L1)는 상기 제1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서 상기 컬러 센서들(110) 중 5 개가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이를 기초로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 대응하여 색 데이터(CD)를 생성하여,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서 상기 색 데이터(CD)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을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는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 내의 고정된 값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대응 관계는 사용자가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서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한 상기 컬러 센서들(110)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 대응하여 이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라인(P2)에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의 음량은 5일 수 있다.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의 소리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물체(800)의 제3 수평 라인(P3)이 상기 센싱부(10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제1 색(CL1) 및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한다.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서 상기 제1 색(CL1)이 칠해진 영역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제3 길이(L3)이고, 상기 제2 색(CL2)이 칠해진 영역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제4 길이(L4)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서 상기 컬러 센서들(110) 중 3 개가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하고, 상기 컬러 센서들(110) 중 2 개가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이를 기초로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 대응하여 색 데이터(CD)를 생성하여,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서 상기 색 데이터(CD)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을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 색(CL2)을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는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가청 주파수는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 내의 고정된 값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대응 관계는 사용자가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서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한 상기 컬러 센서들(110)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정하고,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한 상기 컬러 센서들(110)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2 색(CL2)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 대응하여 이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 및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 음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평 라인(P3)에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의 음량은 3이고,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 음의 음량은 2일 수 있다.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 및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 음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의 소리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물체(800)의 제4 수평 라인(P4)이 상기 센싱부(10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제1 색(CL1) 및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한다.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서 상기 제1 색(CL1)이 칠해진 영역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제5 길이(L5)이고, 상기 제2 색(CL2)이 칠해진 영역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제6 길이(L6)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서 상기 컬러 센서들(110) 중 2 개가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하고, 상기 컬러 센서들(110) 중 4 개가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00)는 이를 기초로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 대응하여 색 데이터(CD)를 생성하여,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한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서 상기 색 데이터(CD)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을 상기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 색(CL2)을 상기 제2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는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가청 주파수는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대응 관계는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 내의 고정된 값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대응 관계는 사용자가 상기 색-음향 매칭부(400)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선택부(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악기 선택 신호(I)로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서 상기 제1 색(CL1)을 인식한 상기 컬러 센서들(110)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색(CL1)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정하고, 상기 제2 색(CL2)을 인식한 상기 컬러 센서들(110)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2 색(CL2)에 대응하는 음의 음량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색-음향 변환부(200)는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 대응하여 이를 기초로 음향 데이터(S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300)는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SD)를 기초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 및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 음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4 수평 라인(P4)에서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의 음량은 2이고,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 음의 음량은 4일 수 있다. 상기 제2 옥타브의 도(C3) 음 및 상기 제3 옥타브의 레(D4) 음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악기(UI)의 소리로 재생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색-음향 변환 장치의 구성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b 및 9c는 도 9a의 제3 방향(D3)에서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 및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600)의 측면에 수납 용기(90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용기(900)에는 다양한 색의 필기구들이 수납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물체(801)는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의 장축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센싱부(100)의 하단을 통과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색-음향 변환 장치는 제2 물체(8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체(802)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수납 용기(900)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물체(802)의 중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물체(802)가 회전하며 상기 센싱부(100)의 하단을 통과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센싱부 200: 색-음향 변환부
300: 음향 재생부 400: 색-음향 매칭부
500: 음향 선택부

Claims (9)

  1. 복수의 컬러 센서들을 포함하고, 물체에 표시된 색들을 인식하여 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색들을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키는 색-음향 변환부를 포함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음을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물체에 표시된 제1 색을 인식하고,
    상기 색-음향 변환부는 상기 제1 색을 제1 가청 주파수에 대응시키며,
    상기 음향 재생부는 상기 제1 색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청 주파수를 갖는 제1 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음향 변환부는 상기 제1 색을 인식한 컬러 센서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음의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악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음향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재생부는 상기 음을 상기 선택된 악기의 소리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색들을 상기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매칭시킬 수 있는 색-음향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음향 변환부는 상기 색들을 상기 매칭된 가청 주파수들에 각각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색-음향 매칭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컬러 센서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매칭시키는 색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색-음향 매칭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매칭 컬러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컬러 표시부는 상기 가청 주파수들 각각에 매칭된 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센서들은 상기 센싱부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물체가 상기 제1 면을 지날 때 상기 색들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음향 변환 장치.
KR1020160058796A 2016-05-13 2016-05-13 색-음향 변환 장치 KR10248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96A KR102483795B1 (ko) 2016-05-13 2016-05-13 색-음향 변환 장치
KR1020220103150A KR20220119343A (ko) 2016-05-13 2022-08-18 색-음향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96A KR102483795B1 (ko) 2016-05-13 2016-05-13 색-음향 변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150A Division KR20220119343A (ko) 2016-05-13 2022-08-18 색-음향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920A true KR20170127920A (ko) 2017-11-22
KR102483795B1 KR102483795B1 (ko) 2023-01-02

Family

ID=60810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796A KR102483795B1 (ko) 2016-05-13 2016-05-13 색-음향 변환 장치
KR1020220103150A KR20220119343A (ko) 2016-05-13 2022-08-18 색-음향 변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150A KR20220119343A (ko) 2016-05-13 2022-08-18 색-음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37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07A (ko) * 2006-03-16 2007-09-20 주식회사 하모니칼라시스템 영상을 소리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07A (ko) * 2006-03-16 2007-09-20 주식회사 하모니칼라시스템 영상을 소리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343A (ko) 2022-08-29
KR102483795B1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Eck Between air and electricity: microphones and loudspeakers as musical instruments
ES2718505T3 (es) Guitarra eléctrica inalámbrica
CN102119410B (zh) 基于手动输入来产生音符信号的设备和方法
US8796529B2 (en) Ergonom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seudo-strings
US20160163298A1 (en) Ergonom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seudo-strings
CN102129798A (zh) 微电脑控制的数码弦乐器
US20190385577A1 (en) Minimalist Interval-Based Musical Instrument
Elsea The art and technique of electroacoustic music
JP5771394B2 (ja) 音楽制御装置
KR102483795B1 (ko) 색-음향 변환 장치
JP2797648B2 (ja) カラオケ装置
CN201984803U (zh) 微电脑控制的数码弦乐器
KR20150003518A (ko) 녹음 및 재생장치 일체형 멜로디언
TWI838509B (zh) 用於現場演奏之觸控式伴奏混音系統
JP3706386B2 (ja) キー変更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JP2009008934A (ja) 楽音再生装置
Harrison II FINDING THE “TECH” IN TECHNIQUE: A PEDAGOGICAL APPROACH TO ELECTROACOUSTIC CONCERT PERCUSSION PERFORMANCE PRACTICE
Rudman The Study of Bassoon Performance in the Recorded Medium
KR100601245B1 (ko)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EP3594935A1 (en) Optical pickup and string music translation system
Dine Recording the Classical Tuba
Mizrahi The Nature of Timbre
KR101415333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기타 및 그 연주방법
KR100652902B1 (ko) 전자 음악장치
KR20230173973A (ko) 하늘 두드림-장단 리듬 전자 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