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473A -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473A
KR20170127473A KR1020177026859A KR20177026859A KR20170127473A KR 20170127473 A KR20170127473 A KR 20170127473A KR 1020177026859 A KR1020177026859 A KR 1020177026859A KR 20177026859 A KR20177026859 A KR 20177026859A KR 20170127473 A KR20170127473 A KR 2017012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onnet
frame
dispose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060B1 (ko
Inventor
요시아키 쿠로카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3374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36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337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7518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엔진룸 내의 열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차량은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5)과, 엔진(5) 공랭용의 냉각팬(59)과, 냉각팬(59)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234)를 보닛(6)으로 덮고 있다. 엔진(5)의 앞면측에 냉각팬(59)을 배치하고, 냉각팬(59)의 구동에 의해서 보닛(6) 전방으로부터 취입된 냉각풍을 팬 슈라우드(234) 후방의 엔진(5)으로 유도시킨다. 주행 기체(2)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측방 유도판(217)을 팬 슈라우드(234)의 일측방에 배치하고, 팬 슈라우드(234)와 엔진(5) 사이를 측방 유도판(217)으로 덮는다.

Description

작업차량
본원 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 작업용의 휠 로더와 같은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요즘, 디젤엔진에 관한 고차의 배기가스 규제가 적용됨에 따라, 디젤엔진이 탑재되는 농작업기, 건설기계, 선박 등에 배기가스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같은 후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트랙터 등의 종래의 작업차량 중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장착할 때, 보닛 아래의 엔진룸 중에 디젤엔진과 함께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3-116692호 공보
그런데, 상술의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를 갖는 디젤엔진을 트랙터와 같은 작업차량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한정된 좁은 탑재 스페이스 내에 디젤엔진 및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터나 배터리,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 관련의 전자 부품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끼워넣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작업차량의 탑재 스페이스 내에서는 구동하는 디젤엔진의 발열로 디젤엔진 자체뿐만 아니라 배기가스 정화 장치도 상당히 고온으로 된다. 그 때문에, 디젤엔진이나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로부터의 발열의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엔진룸 내의 온도 조정이 필요해져서 적절한 배치 구조나 냉각 구조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엔진룸 후방에 배치되는 운전석으로의 가열을 저감시키지 않으면 오퍼레이터의 거주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 현상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작업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차량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냉각용의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와, 상기 엔진, 상기 냉각팬 및 상기 팬 슈라우드를 덮는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앞면측에 상기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보닛의 전방으로부터 취입된 냉각풍을 상기 팬 슈라우드 후방의 상기 엔진에 유도시키는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측방 유도판을 상기 팬 슈라우드의 일측방에 배치하여, 상기 팬 슈라우드와 상기 엔진 사이를 상기 측방 유도판으로 덮는 것이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일측부 상단으로부터 기체 외측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하방 유도판을 상기 팬 슈라우드 후방으로부터 상기 엔진 일측면 앞측까지로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하방 유도판 상면에 상기 측방 유도판을 세워 설치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 일측면에 배치한 배기 매니폴드 하방에 시동기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하방 유도판을 상기 시동기 전방에 배치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를 상기 엔진 상방에 설치하고 있고, 차폐판을 상기 엔진의 일측방에 배치하여 상기 후처리 장치 하측 일부로부터 상기 시동기 상방까지를 상기 차폐판으로 덮음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엔진 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차열 부재를 상기 차폐판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연결하여 상기 시동기 상방을 상기 차열 부재로 덮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엔진 타측방으로부터 일측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작업차량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공랭용의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와, 상기 엔진, 상기 냉각팬 및 상기 팬 슈라우드를 덮는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앞면측에 상기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보닛의 앞면에 형성한 프론트 그릴로부터 냉각풍을 상기 보닛 내에 취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좌우 양측부에 개구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좌우 양측부의 일부를 덮는 좌우 한쌍의 풍량 조정판을 상기 보닛 내부에 설치한 것으로 하고, 보닛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의 개구 구멍의 일부를 덮는 풍량 조정판을 설치함으로써 좌우의 개구 구멍으로부터 흡입되는 냉각 공기의 유량을 조정하고, 정류된 냉각 공기를 팬 슈라우드에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따라서, 팬 슈라우드를 통과한 냉각 공기의 흐름을 좌우에서 안정시킬 수 있어 냉각팬의 회전 방향에 의거한 냉각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 후방에 배치되는 엔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냉각 공기를 공급시켜 보닛 내부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열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엔진의 이상작동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상기 좌우의 개구 구멍을 상기 팬 슈라우드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고, 좌우 한쌍의 상기 풍량 조정판 각각을 좌우의 상기 개구 구멍 각각의 뒷쪽 가장자리측에 설치한 것으로 해서 풍량 조정판을 개구 구멍의 뒤쪽 가장자리측에 형성함으로써, 팬 슈라우드 측방에 냉각풍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팬 슈라우드의 흡입 부분에 냉각풍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은 대응하는 상기 개구 구멍의 뒤쪽 가장자리 전체를 덮는 한편,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은 대응하는 상기 개구 구멍의 뒤쪽 가장자리 하측을 덮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 전방에서 흡입량이 많아지는 한쪽의 풍량 조정판을 개구 구멍의 뒤쪽 가장자리 전체를 따르도록 설치함으로써, 팬 슈라우드 내에 냉각풍을 취입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쪽의 풍량 조정판을 개구 구멍 도중까지 덮도록 설치하여 냉각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을 형성함으로써 좌우의 개구 구멍으로부터 취입되는 공기 유량을 조정하고, 팬 슈라우드에 의한 냉각 공기의 흡입 방향에 맞추어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의 앞쪽 가장자리를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의 앞쪽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에 복수의 개구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풍량 조정판과 다른쪽의 풍량 조정판을 다른 길이의 것으로 한 후에 다른쪽의 풍량 조정판에 복수의 개구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좌우의 개구 구멍으로부터 취입되는 공기 유량을 조정하고, 팬 슈라우드에 의한 냉각 공기의 흡입 방향에 맞추어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한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으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내측벽에는 상기 팬 슈라우드의 좌우 측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 차폐판을 돌출시키고 있고, 상기 보닛을 닫았을 때, 상기 보닛에 설치된 상기 내측 차폐판을 상기 팬 슈라우드의 좌우 양측부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팬 슈라우드는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킨 상방 차폐부와, 좌우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킨 좌우 한쌍의 측방 차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닛을 닫았을 때 상기 상방 차폐부를 상기 보닛 천정부 이면의 시일 부재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측방 차폐부를 상기 보닛의 상기 내측 차폐판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내측벽이며 상기 엔진 양측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단열재를 부착 설치시키는 것으로 하여, 상기 엔진의 배열에 의한 상기 보닛의 가온을 방지함과 아울러 엔진룸 내를 외부 공기로부터 단열하여 상기 후처리 장치를 고온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좌우 후방 하측에 있어서,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를 갖고 있고, 상기 엔진 커버의 상단 위치를 상기 후처리 장치의 하방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하고, 엔진 및 후처리 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한편, 보닛에 의한 후처리 장치의 보온 효과를 높여 고온에서의 재생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팬 슈라우드 하측 후방에 측방 유도판을 배치시킴으로써, 팬 슈라우드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가 팬 슈라우드 직후에 보닛 외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팬 슈라우드 후방의 엔진에 효율적으로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팬 슈라우드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배기 방향에 맞추어 측방 유도판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팬 슈라우드로부터 엔진으로 유도하는 냉각 공기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엔진룸 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 상측으로부터 하방 유도판을 돌출시켜서 주행 기체와 보닛 사이를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팬 슈라우드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가 팬 슈라우드 직후에 주행 기체 하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팬 슈라우드 후방의 엔진에 효율적으로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방 유도판을 시동기 전방까지 연장 설치함으로써 측방 유도판과 함께 전기 기기인 시동기에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기에의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 기기인 시동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판으로 엔진 측방을 덮음으로써 엔진에 대한 차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엔진 측방에 열체류도 방지할 수 있다. 보닛 내부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열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엔진의 이상작동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기기인 시동기 상방에 차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기에의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 기기인 시동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작업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작업차량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작업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작업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동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작업차량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작업차량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를 좌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작업차량에 탑재되는 디젤엔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디젤엔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 작업차량의 주행 기체와 플라이 휠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동 작업차량의 보닛 내부의 전방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작업차량의 보닛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다.
도 18은 동 작업차량의 보닛 내부의 전방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동 작업차량의 보닛 내부의 전방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동 작업차량의 보닛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21은 동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도이다.
도 22는 동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엔진룸 내의 프레임 구성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5는 동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 전방 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동 작업차량에 설치된 콘덴서 및 오일 쿨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동 엔진룸에 보닛 실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차량으로서의 트랙터(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차륜(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쌍의 후차륜(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 레일식의 디젤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한다)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스티어링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둥근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외측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타고 내리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앞범퍼(프레임 연결 부재)(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좌우의 기체 프레임(후방부 프레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전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서 전차륜(3)을 장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절히 변속하여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저면으로부터 봤을 때 직사각형 프레임판 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누어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서 탑재하고 있다. 탱크 프레임(18)은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탱크 프레임(18) 우측의 연장 부분에 배터리(272)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탱크 프레임(18) 우측의 연장 부분에 스텝(10) 중 1개를 고정시키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해서 후차륜(4)을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서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와 같은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23) 및 톱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기구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뒤쪽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엔진 출력축(53)에는 플라이 휠(61)을 직결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양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해서 플라이 휠(61)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돌출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앞면측으로부터 앞쪽 방향으로 돌출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하여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서 적절하게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서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앞면 하부로부터 앞쪽 방향으로 돌출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해서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생략)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돌출된 전차륜 전달축(도시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해서 좌우의 전차륜(3)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는 주변속 입력축(28) 등을 갖는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와, 후차축 케이스(19) 등을 갖는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와,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의 뒤측에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앞측을 연결시키는 중간 케이스(1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측면에 좌우의 상하 기체 연결축체(115, 116)를 통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즉, 2개의 상기체 연결축체(115)와, 2개의 하기체 연결축체(116)에 의해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양측면에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시켜, 기체 프레임(15)과 미션 케이스(17)를 일체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주행 기체(2)의 후방부를 구성한다. 또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또는 동력 전달축(29) 등을 배치하여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등을 보호하도록 주행 기체(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캐빈(7) 앞측을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부 지지대(96)와, 캐빈(7)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좌우의 후방부 지지대(97)을 구비한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기체 외측면 중 전단부에 전방부 지지대(96)를 볼트 체결시키고, 전방부 지지대(96)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8)를 통해서 캐빈(7)의 앞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 설치시키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 중 좌우폭 중간부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볼트 체결시키고, 후방부 지지대(97)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9)를 통해서 캐빈(7)의 뒤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통해서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단면 끝면이 대략 사각 통 형상인 후차축 케이스(19)를 끼우도록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측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배치하고, 후차축 케이스(19)의 하면측에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배치하고, 후방부 지지대(97)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볼트(102) 체결하고 있다. 앞뒤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로어 링크(23)의 중간부와 진동 방지 브래킷(l01)에 신축 조절 가능한 턴 버클 부착 진동 방지 로드체(103)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로어 링크(23)의 좌우 방향의 요동 진동을 방지하고 있다.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앞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뒷지주(302)와, 앞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프론트빔 부재(303)와, 뒷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빔 부재(304)와, 앞뒤로 배열되는 앞지주(301)와 뒷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사이드빔 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박스 프레임 형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 즉 프론트빔 부재(303), 리어빔 부재(304) 및 좌우의 사이드빔 부재(305)로 구성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또한, 앞지주(301)와 뒷지주(302)의 하단측에는 앞뒤로 연장되는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 상면측에 바닥판(40)을 장설시키고, 바닥판(40) 전단측에 대시보드(33)을 세워 설치시키고, 대시보드(33)의 뒷면측에 스티어링 칼럼(32)을 통해서 조종 핸들(9)을 장착하고 있다. 바닥판(40)의 전방부 상면측에 브레이크 페달(35) 등이 배치됨과 아울러 바닥판(40)의 후방부 상면측에 조종 좌석(8)이 장착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장착한 지붕체(306)의 후방부에는 캐빈(7) 내의 공조를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서 구동하는 콤프레서(211), 콘덴서(275) 및 이배퍼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서 캐빈(7) 내의 공조(실내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에 접속되는 냉매용 호스(280)가 캐빈 프레임(301)을 따라서 전방 하측까지 배관되어 있다.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리어 윈드 글래스(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 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리어 윈드 글래스(322), 투명한 유리제의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5)은 엔진 출력축(53)과 피스톤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54) 상에 실린더 헤드(55)를 탑재하고 있고, 실린더 헤드(55)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를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헤드(55)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57)를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을 따르는 양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와 배기 매니폴드(57)를 나누어서 배치한다. 디젤엔진(5)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54) 앞면에 냉각팬(59)을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블록(54) 뒷면에 플라이 휠(61)을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양측면에 플라이 휠(59)과 냉각팬(61)을 나누어서 배치한다.
플라이 휠(61)은 플라이 휠 하우징(6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53)의 후단측에 플라이 휠(61)을 축지지한다. 작업차량의 작동부에 출력축(53)을 통해서 디젤엔진(5)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플라이 휠 하우징(60)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설치하고 있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의 피니언 기어는 플라이 휠(61)의 링 기어에 맞물려 있다. 디젤엔진(5)을 시동시킬 때에는 스타터(69)의 회전력으로 플라이 휠(61)의 링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출력축(53)이 회전 개시한다(소위 크랭킹이 실행된다). 또한, 플라이 휠 하우징(60) 상면에는 기관 다리 장착부(60a)를 설치하고 있다. 기관 다리 장착부(60a)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40)를 볼트 체결 가능하다.
디젤엔진(5)은, 실린더 블록(54)의 하면에는 오일 팬(62)을 배치한다. 오일 팬(62)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필터(63)를 통해서 디젤엔진(5)의 각 윤활부에 공급된다. 또한, 오일 필터(63)는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통해서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54)에 설치된 유로와의 연결구(오일 필터 장착 위치)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일측면(좌측면)을 연결시키고,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타측면(우측면) 상측에 오일 필터(63)를 장착한다.
디젤엔진(5)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64)와, 인젝터에 연료를 압송하는 원통 형상의 커먼 레일(66)과, 연료 탱크(11)로부터의 연료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67)와, 흡기 매니폴드(56)와 연결한 EGR 장치(75)를 그 우측면에 구비한다. 연료 탱크(11)의 연료는 연료 필터(67)를 통해서 연료 공급 펌프(64)에 공급된 후, 연료 공급 펌프(64)로부터 커먼 레일(66)에 압송된다. 따라서, 고압의 연료가 커먼 레일(66)에 축적되기 때문에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66)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로부터 엔진(5)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실린더 헤드(55)의 앞면측(냉각팬(59)측)에는 냉각수 윤활용의 냉각수 펌프(71)가 냉각팬(59)의 팬축과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71)는 엔진 출력축(53)의 회전으로 냉각팬(59)과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차량에 탑재된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상부에 설치된 서모스탯 케이스(70)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에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으로 냉각수가 실린더 헤드(55) 및 실린더 블록(56)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생략)에 공급되어 디젤엔진(5)을 냉각한다. 디젤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235)로 돌아간다. 또한, 위치 관계 상, 냉각수 펌프(71)는 냉각팬(59)에 대치하고 있어서 냉각팬(59)으로부터의 냉각풍이 냉각수 펌프(71)에 닿게 된다.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서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에 공급되어 디젤엔진(5)을 냉각한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우 측면에는 기관 다리 장착부(7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각 기관 다리 장착부(74)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38)를 각각 볼트 체결 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에 실린더 블록(54)을 협지시키도록 실린더 블록(54)측의 기관 다리 장착부(74)를 각 엔진 프레임(14)에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볼트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차량의 양 엔진 프레임(14)이 디젤엔진(5) 앞측을 지지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우측면 입구부에 새로운 공기(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흡기 연락관(76)을 연결시키고 있고,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입구측(상류측)에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상면 입구부에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디젤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공급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흡기 매니폴드(56)는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출구측(하류측) 및 EGR 밸브 부재(79)와의 연결 부분(후방 부분)을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의 본체 케이스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이 EGR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주로 디젤엔진(5)의 우측,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헤드(55)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디젤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와 새로운 공기를 혼합시켜서 흡기 매니폴드(56)에 공급한다.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흡기 매니폴드(56)의 일부로 구성된 EGR 본체 케이스와, 흡기 매니폴드(56)와 연통하는 흡기 연락관(76)과, 흡기 연락관(76)에 설치된 흡기 스로틀 부재(77)와, 배기 매니폴드(57)에 EGR 쿨러(80)를 통해서 접속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과, 재순환 배기가스관(80)에 흡기 매니폴드(56)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79)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5)은 양측면에 나누어서 배치한 EGR 쿨러(80)와 EGR 장치(75)를, 환류 관로로서 엔진(5) 후면(플라이 휠(61)측)을 우회시킨 재순환 배기가스관(78)에 의해 접속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에는 흡기 연락관(76)을 통해서 흡기 스로틀 부재(77)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에는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출구측도 접속하고 있다.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입구측은 EGR 쿨러(80)를 통해서 배기 매니폴드(57)에 접속하고 있다. EGR 밸브 부재(79) 내에 있는 EGR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에의 EGR 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흡기 연락관(76) 및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에 새로운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에 EGR 가스를 공급한다.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공기와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EGR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취입측에서 혼합된다. 디젤엔진(5)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57)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디젤엔진(5)으로 환류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되고, 디젤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 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된다.
엔진(5)은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 과급기(81)를 구비한다. 터보 과급기(81)는 블로어 휠을 내장한 콤프레서 케이스(83)를 구비하고 있고, 콤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취입측을 급기관(222)을 통해서 에어 클리너(221)의 흡기 배출측과 접속하는 한편, 콤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배출측을 상류측 중계관(223)과 접속한다. 터보 과급기(81)는 터빈 휠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82)를 구비하고 있고,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취입측을 배기 매니폴드(57)의 배기가스 출구와 연결하는 한편, 터빈 케이스(82)의 흡기 배출측을 후처리 장치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와 연결한다. 급기관(222)은 블로바이 가스 리턴관(222a)을 통해서 헤드 커버(8) 내의 브리더실(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브리더실(도시생략)에서 윤활유를 분리 제거시킨 블로바이 가스는 블로바이 가스 리턴관(222a)을 통해서 급기관(222)으로 리턴되고, 흡기 매니폴드(56)로 환류되어서 엔진(5)의 각 기통에 재공급된다.
디젤엔진(5)은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가스 배출측과,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있어서, 배기가스 입구관(161)이 하방 좌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는 한편, 배기가스 출구관(162)이 우측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터보 과급기(81)와 연통하고 있는 배기 연락관(84)과 접속하고 있고, 이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을 배기 매니폴드(204)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지지체(DPF 지지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배기 연락관(85)은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배출측에 배기 취입측을 볼트 체결하는 한편, 배기 배출측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161)에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57)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와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엔진(5)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 고정하는 하우징 지지체로서의 출구측 브래킷체(176) 및 입구측 브래킷체(177)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6) 및 입구측 브래킷체(177)는 엔진(5)의 실린더 헤드(5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앞면측 및 뒷면측에 나누어서 세워 설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7)는 엔진(5)의 뒷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배기 연락관(84)과 함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취입측을 지지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6)는 엔진(5)의 앞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배출측을 지지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실린더 헤드(55)의 뒷면측(플라이 휠 하우징(6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고정 브래킷(제 1 브래킷)(178)의 하단측을 실린더 헤드(5)의 후면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178)의 상단측에는 중계 브래킷(179)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중계 브래킷(제 2 브래킷)(179)의 중도부에는 연장 브래킷(제 3 브래킷)(180)의 기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연장 브래킷(180)의 선단측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입구측 덮개체(상류측 덮개체)(169)에 체결되어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앞면측(냉각팬(59)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출구측 제 1 브래킷(제 4 브래킷)(181)과 출구측 제 2 브래킷(제 5 브래킷)(182)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은 실린더 헤드(55) 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킴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좌측으로 굴곡시킨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은 실린더 헤드(55) 좌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킴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시킨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앞면측에서 대략 문형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서모스탯 케이스(70)의 후방 위치에서 실린더 헤드(55) 상방을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디젤엔진(4)의 상방에 있어서, 하우징 지지체인 배기 연락관(84),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를 통해서 엔진(1)의 실린더 헤드(55), 흡기 매니폴드(56) 및 배기 매니폴드(5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배기 취입측)에 있는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배기 연락관(84)을 실린더 헤드(55)와 배기 매니폴드(57)에 나누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배기 배출측)에 있는 출구측 브래킷체(177)(출구측 제 1 브래킷(181) 및 출구측 제 2 브래킷(182))를 실린더 헤드(55)와 흡기 매니폴드(56)로 나눔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4점 지지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의 보닛(6)은 단면 하향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우 모서리부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우 외측의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모따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야, 특히 보닛(6)의 좌우로부터 앞의 시야를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측 내벽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대치시키는 한편, 보닛(6)의 우측 내벽면에 대하여 흡기 연락관(76)을 대치시킨다. 또한, 배기 연락관(84)을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편, 배기 연락관(84)을 우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흡기 매니폴드(56)에 새로운 공기를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가진 흡기 연락관(76)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에 경사진 구조로 하고,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즉, 흡기 연락관(76)은 상단측이 되는 새로운 공기 취입구를 하단측이 되는 새로운 공기 배출구에 대하여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가까이에 오프셋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혀진 형상을 따르게 해서 흡기 연락관(76)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 사이에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흡기 연락관(76)보다 보닛(6)의 중심 위치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쿨러(224)의 새로운 공기 배출측과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짧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좁아지는 보닛(6) 내에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배기 연락관(84)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지게 한 구조로 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관(161)에 연결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하고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와 연결시킨 하단측의 연결 지지부(84a)에 대하여 상단측의 배기가스 배출구를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가까이에 오프셋시키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하측(입구 플랜지체측)을 향해서 엔진(5) 외측(보닛(6) 내벽측) 가까이에 경사지게 하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에 맞추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 사이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중심 위치 가까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좁아지는 보닛(6) 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무게중심에 기대어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탑재에 따른 엔진(5)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상기 엔진(5)에 장착한 것에 따른 보닛(6) 형상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 보닛(6) 형상을 복잡화하지 않아도 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출력축(53) 심선과 교차하는 끝면에 배치시킨 플라이 휠(61)을 덮는 플라이 휠 하우징(60)을 높이 H1보다 폭 W1을 좁힌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60)의 폭을 좁힌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우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플라이 휠 하우징(60)을 간섭시키는 일 없이 엔진(5)을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에 있어서 기체 엔진 프레임(15)이 스페이서(293)를 통해서 엔진 프레임(14)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엔진 프레임(14) 사이의 폭에 대하여 좌우 기체 엔진 프레임(15) 사이의 폭이 넓어진다. 한편, 엔진(5)은 플라이 휠 하우징(61)을 후방에 배치하여 기체 프레임(15)과 연결하는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과 플라이 휠(61)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엔진(5)에 있어서 좌우 폭이 가장 넓은 플라이 휠 하우징(61)을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충분히 배치할 수 있고, 진동계가 다른 주행 기체(2)에 플라이 휠 하우징(61)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엔진(5)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61)은 원의 좌우를 절개함과 동시에 상부에 받침대 형상의 기관 다리 장착부(60a)를 돌출시킨 외형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의 기관 다리 장착부(60a)를 후방부의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주행 기체(2)와 연결시키고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61)을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탑재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주행 기체(2)와 연결 가능한 받침대 형상의 기관 다리 장착부(60a)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강성을 구비하는 플라이 휠 하우징(61)에 의해 주행 기체(2)와 연결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에 의한 강성을 보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을 가교하는 지지용 빔 프레임(236) 상방에 문형의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설치하고, 플라이 휠 하우징(61)과 엔진 지지용 빔 프레임(237)을 앞뒤로 배열하여 배치시킨다. 그리고,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 방진 고무(239)를 통해서 기관 다리체(238)의 후방부를 연결시키는 한편, 기관 다리체(238) 전방의 플라이 휠 하우징(61) 상에 있어서의 기관 다리 장착부(60a) 상면에 연결시킨다.
도 4~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은 각각 엔진(5) 양측면에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고, 엔진(5) 전방의 틀 프레임(226)에 설치되는 인터쿨러(224)에 접속하도록 엔진(5)의 전방 상측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221)를 틀 프레임(226) 앞면 상측에 배치하고, 에어 클리너(221)와 접속하는 급기관(222)이 틀 프레임(226) 상방을 걸치도록 해서 엔진(5) 좌측면 후방에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엔진(5)의 흡기 연락관(76)의 새로운 공기 취입측이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하류측 중계관(225)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엔진(5)의 터빈 과급기(81)는 콤프레서 케이스(83)의 새로운 공기 취입측을 급기관(222)과 연통시키고 있는 한편, 콤프레서 케이스(83) 새로운 공기 배출측을 하류측 중계관(225)과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에어 클리너(221)에 흡입된 새로운 공기(외부 공기)는 에어 클리너(221)에서 제진·정화된 후, 급기관(222)을 통해서 터보 과급기(81)의 콤프레서 케이스(83)에 흡인된다. 터보 과급기(81)의 콤프레서 케이스(83)에서 압축된 가압된 새로운 공기는 중계관(223, 225) 및 인터쿨러(224)를 통해서 EGR 장치(7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EGR 쿨러(80)에서 냉각된 후,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통해서 EGR 장치(8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또한,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 급기관(222) 및 상류측 중계관(223)과 하류측 중계관(225)을 좌우로 나누어서 배치함으로써, 터보 과급기(81)와 흡기 매니폴드(56)를 좌우로 나누어서 배치시키고 있는 엔진(5)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배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용의 각 배관(222, 223, 225)을 엔진(5)보다 외측에 무리없이 배치함으로써,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열에 의거한 가온을 억제하고, 배관 내를 통과하는 공기에의 열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엔진룸 전방에 배치되는 인터쿨러(224)를 새로운 공기 출구측과 새로운 공기 입구측을 좌우로 나누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5)과의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 각각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룸 내 전방에 있어서, 인터쿨러(224)를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3~도 15 등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은 스페이서(297)을 통해서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후단측과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은 스페이서(297)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과 동일 면으로 된다. 이 지지용 빔 프레임(236)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각각과 볼트 체결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을 가설하고 있으며, 그 상면에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지지 프레임(237)은 그 하단면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상면과 볼트 체결함으로써 지지용 빔 프레임(236)과 함께 디젤엔진(5)의 플라이 휠(61)을 둘러싸는 형상이 된다.
디젤엔진(5)은 그 좌우 측면 하측에 설치된 기관 다리 장착부(74)를 방진 고무(239)를 갖는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 중도부에 설치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과 연결하고 있다. 디젤엔진(5)은 뒷면의 플라이 휠 하우징(60) 상부에 설치한 기관 다리 장착부(60a)를 방진 고무(241)를 갖는 기관 다리체(엔진 탑재)(240)를 통해서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과 연결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 외측에 연결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 상부에 방진 고무(239)를 하측으로 해서 기관 다리체(238)를 볼트 체결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기관 다리체(238)에 의해 디젤엔진(5)을 엔진 프레임(14)에 의해 협지하여 디젤엔진(5) 앞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디젤엔진(5)의 후면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 엔진 지지 프레임(237), 및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에 연결하여 기체 프레임(15) 전단에서 디젤엔진(5) 후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좌우의 전방부 방진 고무(239)와 좌우의 후방부 방진 고무(241)에 의해서 디젤엔진(5)이 주행 기체(2)에 지지되게 된다.
도 13~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전방부 하측에 프론트 그릴(231)을 형성하여 엔진룸 전방을 덮는다. 보닛(6)의 좌우 후방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여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즉, 보닛(6) 및 엔진 커버(232)에 의해서 디젤엔진(5)의 전방, 상방 및 좌우를 덮고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커버(232)의 상단 위치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224)의 하방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하고,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224)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한편, 보닛(6)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24)의 보온 효과를 높여 고온에서의 재생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좌우 양측면부(265)의 내측벽이며 엔진(5) 양측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판상의 단열재(287)를 부착 설치시키고 있다. 단열재(237)는 엔진 커버(232)의 상방이 되는 위치이며 보닛(6)의 측면부(265)의 뒤쪽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보닛(6)의 내측벽을 덮고 있다. 이 단열재(287)의 설치에 의해,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224)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룸 내를 외부 공기로부터 단열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224)를 고온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6~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앞면 중앙 위치에 프론트 그릴(231)을 구비하고 있고, 보닛(6) 상측의 천정부(26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그릴(231)은 중심의 프레임체(231a)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방진망(231b)을 구비한다. 보닛(6)은 천정부(264)의 후방 하측의 공간이 넓어져서 보닛(6) 내부의 엔진룸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수용하는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닛(6)은 좌우 측면부(265) 각각의 전방에 개구 구멍(268(268a, 268b))을 갖고 있고,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68)을 통해서 보닛(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냉각풍을 취입한다. 또한, 보닛(6)은 천정부(264) 전방에도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70)을 형성하고 있고,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70)을 통해서 보닛(6)의 앞측 상방으로부터 냉각풍을 취입한다. 개구 구멍(268, 270)은 망 형상의 방진망으로 덮여져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좌우 측면부(265)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차폐 돌기부(내측 차폐판)(266)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고, 차폐 돌기부(266) 선단을 시일 부재(탄성 수지 재료 등)(266a)로 피감(被嵌)하고 있다. 차폐 돌기부(266)는 라디에이터(235)의 좌우 측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폐 돌기부(266)는 보닛(6)의 개구부(268)보다 후방이 되는 위치에서 개구부(268)의 뒷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아래로 연신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보닛(6)을 닫았을 때 차폐 돌기부(266)는 라디에이터(235) 배면에 위치하는 팬 슈라우드(234)의 측방 차폐부(234b)에 접촉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천정부(264)의 이면(내주면) 중 팬 슈라우드(234)의 상방 차폐부(234a)와 대향하는 부분에 시일 부재(우레탄 소재 등)(267)를 부착 설치하고 있다. 보닛(6)을 닫았을 때, 시일 부재(267)는 팬 슈라우드(234)의 상방 차폐부(234a)를 압박하도록 접촉하고, 팬 슈라우드(234)의 상면과 보닛(6)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가급적 메운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차폐 돌기부(266)보다 전방 위치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시일 부재(탄성 수지 재료 등)(269)에 의해 피감하고 있다. 보닛(6)을 닫을 때, 보닛(6) 아래쪽 가장자리의 시일 부재(269)가 프레임 저판(233)의 바깥쪽 가장자리측 상면을 압박하도록 접촉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을 닫으면 천정부(265)의 시일 부재(267)를 팬 슈라우드(234)의 상방 차폐부(234a)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양측면부(269)의 차폐 돌기부(266)를 팬 슈라우드(234)의 측방 차폐부(234b)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보닛(6)을 닫으면, 팬 슈라우드(234)의 앞뒤에서 칸막이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보닛(6)을 닫으면, 보닛(6) 아래쪽 가장자리의 시일 부재(269)를 프레임 저판(233)에 접촉시키기 때문에 팬 슈라우드(234) 전방의 보닛(6)과 프레임 저판(233)의 접촉 부분을 밀폐한다. 따라서, 보닛(6)의 외측의 바깥 공기는 보닛(6)의 개구 구멍(268, 270)과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 구멍(233z)으로부터 도입되게 된다.
도 16~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좌우 양측면부(265)에 개구 구멍(268(268a, 268b))을 형성하고 있고, 좌우 양측면부(265)의 일부를 덮는 좌우 한쌍의 풍량 조정판(285, 286)을 보닛(6)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보닛(6)의 좌우 양측면부(265)에 있어서의 개구 구멍(268)의 일부를 덮는 풍량 조정판(285, 286)을 설치함으로써 좌우의 개구 구멍(266)으로부터 흡인되는 냉각 공기의 유량을 조정하고, 정류된 냉각 공기를 팬 슈라우드(234)에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팬 슈라우드(234) 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35) 등의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냉각 효과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팬 슈라우드(234)를 통과한 냉각 공기의 흐름을 좌우에서 안정시킬 수 있고, 냉각팬(59)의 회전 방향에 의거한 냉각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 후방에 배치되는 엔진(5)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냉각 공기를 공급시키고, 보닛(6) 내부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열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엔진(6)의 이상작동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닛(6)은 좌우의 개구 구멍(268)을 팬 슈라우드(234)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고, 좌우 한쌍의 풍량 조정판(285, 286) 각각을 좌우의 개구 구멍(268) 각각의 뒷쪽 가장자리측에 설치하고 있다. 풍량 조정판(285, 286)을 개구 구멍(268)의 뒷쪽 가장자리측에 설치함으로써 팬 슈라우드(234) 측방에 냉각풍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팬 슈라우드(234)의 흡인 부분에 냉각풍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냉각팬(59)은 상측의 볼레이드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도 18~도 20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즉, 냉각팬(9)은 정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도 16~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은 대응하는 개구 구멍(268)의 뒤쪽 가장자리 전체를 덮는 한편,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은 대응하는 개구 구멍(268)의 뒤쪽 가장자리 하측을 덮는다. 즉, 팬 슈라우드(234) 전방에서 흡인량이 많아지는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을 상하 개구 구멍(268a, 268b) 양쪽의 뒤쪽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설치함으로써 팬 슈라우드(234) 내에 냉각풍을 취입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을 하측 개구 구멍(268b)만을 덮도록 설치하여 냉각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개구 구멍(268)으로부터 취입하는 공기 유량을 조정하고, 팬 슈라우드(234)에 의한 냉각 공기의 흡인 방향에 맞추어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정류할 수 있다.
보닛(6)은 좌우 양측면부(265) 각각에 상하로 인접시킨 개구 구멍(268a, 268b)을 구비하고, 좌우 한쌍이 되는 상하의 개구 구멍(268a, 268b)을 좌우 양측면부(265) 내벽에 긍정한 방진망으로 덮고 있다.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은 우측면부(265)에 있어서의 상하 개구 구멍(268a, 268b)의 뒤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우측면부(265) 내벽에 방진망을 통해서 고정된다.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은 좌측면부(265)에 있어서의 아래쪽 개구 구멍(268b)의 뒤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좌측면부(265) 내벽에 방진망을 통해서 고정된다.
도 16~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의 앞쪽 가장자리를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의 앞쪽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시킨 후에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에 복수의 개구 구멍(286a)을 형성하고 있다.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과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을 다른 길이의 것으로 한 후에,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에 복수의 개구 구멍(286a)을 형성함으로써 좌우의 개구 구멍(268)으로부터 취입하는 공기 유량을 조정하고, 팬 슈라우드(234)에 의한 냉각 공기의 흡인 방향에 맞추어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정류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은 우측면부(265)의 상하 개구부(268a, 268b) 양쪽의 뒤쪽 가장자리측 일부를 덮는 형상을 갖고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은 좌측면부(266)에 있어서 상측의 개구부(268a) 하측에 배치되어서 하측의 개구부(268b)만을 덮는다. 또한,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은 좌측면부(266)에 있어서의 하측의 개구부(268b)의 앞쪽 가장자리측 일부 이외를 덮는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복수의 개구 구멍(286a)을 개구시키고 있다.
도 16~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의 내측벽에는 팬 슈라우드(234)의 좌우 측부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폐 돌기부(내측 차폐판)(266)를 돌출시키고 있고, 보닛(6)을 닫았을 때에는 보닛(6)에 설치된 차폐 돌기부(266)를 상기 팬 슈라우드의 좌우 양측부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풍량 조정판(285, 286)은 각각 그 뒤쪽 가장자리를 차폐 돌기부(266)보다 전방이며 개구부(268)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은 우측면부(266)의 개구부(268)에 있어서의 뒷쪽 가장자리를 덮는 한편,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은 개구 구멍(286a)을 구비함과 아울러 우측면부(266)의 개구부(268)의 대부분을 덮는다. 즉, 좌측의 풍량 조정판(286)이 개구부(268)를 덮는 면적이 우측의 풍량 조정판(285)과 비교해서 커지고, 좌측의 개구부(268)에 의한 외부 공기의 흡입에 대한 저항을 우측의 개구부(268)에 비해서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보닛(6) 각 부의 개구부(231b, 268, 270)로부터의 흡입 풍속을 조정하여 보닛(6) 내부에서 냉각 공기의 유속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개구부(231b, 268, 270) 중 어느 하나에서 흡입량이 치우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먼지 등에 의해 흡입량이 많은 개구부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이 되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은 그 전단측의 내측면을 프레임 연결 부재(12)의 좌우 외측면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연결 부재(12)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 주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의해 가설된 엔진 프레임(14) 상에 디젤엔진(5)을 지지시킨다. 엔진 프레임(14) 전단측 상방을 덮도록 프레임 저판(233)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위쪽 가장자리 및 앞범퍼(12) 상면에서 가설시키고 있다. 프레임 저판(233)의 후단에는 엔진(5)의 하측 전방을 덮는 언더 커버(296)를 배치하고 있다. 언더 커버(296)는 그 전단을 프레임 저판(233)과 연결시키는 한편, 그 후방 좌우측 가장자리 각각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과 연결하고 있다. 언더 커버(296)는 프레임 저판(233)의 후단으로부터 엔진 프레임(14)의 하단을 향해서 연장 설치시킨 앞측 부분과 엔진(5) 하방에서 앞측으로 연장 설치시킨 후측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저판(233)의 하면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앞뒤로 배치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233a, 233b)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을 앞뒤 2분할시킨 전방 저판(233x)과 후방 저판(233y)으로 구성하고 있다. 전방 저판(233x)의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이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일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전방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 저판(233x) 앞측이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후방 저판(233y)은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후방과 연결함과 아울러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33b)의 타단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저판(233)은 그 좌우 중심 영역에 개구 구멍(233z)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 구멍(233z)은 프레임 저판(233)의 전방 저판(233x)에 형성되어 있고, 망 형상의 방진망으로 덮여 있다. 즉, 보닛(6) 및 프레임 저판(233)은 각각 엔진(5)의 냉각팬(59)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개구부(231b, 233a, 268, 270)를 갖고 있으며, 냉각팬(59)의 구동에 의해서 보닛(6) 및 프레임 저판(233) 각각의 개구부(231b, 233z, 268, 270)로부터 냉각풍을 보닛(5) 내의 엔진룸에 취입한다.
보닛(6) 및 프레임 저판(233)을 개구시킴으로써 냉각팬(59) 전방의 한정된 구성에 있어서, 냉각팬(59)을 통과시키는 공기 유량보다 개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팬(59) 내를 통과시키는 냉각 공기의 유속을 억제할 수 있고,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엔진룸 내에서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엔진(5)측에 냉각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를 망 형상으로 함으로써 엔진룸 내에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5) 정지 후에는 먼지를 자중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연결 부재(12) 상방이 되는 위치에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를 배치시킨다.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 하방에 주행 기체(2)의 프레임 연결 부재(12)를 배치하기 때문에 개구부(233z)를 통해서 엔진룸 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의해 먼지나 진흙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을 지지하는 엔진 프레임(14)을 금속 주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도 2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엔진 커버 프레임(257)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왼쪽 엔진 커버 프레임(257)은 후단을 보닛 실드판(244)의 좌측방 실드면(246)의 왼쪽 가장자리에, 전단을 왼쪽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에 각각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259)은 프레임 저판(233)과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엔진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다. 왼쪽 엔진 커버(232)는 왼쪽 엔진 커버 프레임의 앞뒤 단부 및 중도부와 연결함과 아울러, 엔진 지지 프레임(237)의 좌측면과 연결하여 보닛(6) 좌측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오른쪽 엔진 커버 프레임(258)은 전단을 왼쪽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도 24 참조)에 연결시키고 있고, 후방을 향해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한 후에 하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오른쪽 엔진 커버 프레임(258)은 후단을 전단과 동등한 높이 위치로 하고 있고, 오른쪽 엔진 커버 프레임(258)의 양단이 엔진 커버 프레임(258)에 고정된 하측 플레이트(258a)와 연결하고 있다. 또한, 엔진 커버 프레임(259)은 굴곡부에 상측 플레이트(258b)의 일단을 접속하고 있다.
오른쪽 엔진 커버(232)는 왼쪽 엔진 커버 프레임의 앞뒤 단부 및 상측 플레이트(258b)의 타단과 연결하여 보닛(6) 우측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오른쪽 엔진 커버(232)는 아래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절개한 형상을 구비하고, 엔진(5)의 오일 필터(63)를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 엔진 커버(232)의 전후방향 길이는 왼쪽 엔진 커버(233)보다 짧고, 오른쪽 엔진 커버(232) 후방에서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가 접속되어 있다.
도 17 및 도 21~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은 엔진 프레임(14)과의 연결부에 대하여 수직인 면(수평면)이 되는 프레임 외측 커버(216)를 상단에 갖는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외측 커버(216)는 엔진 프레임(14) 상단으로부터 엔진 커버(232) 하단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엔진 커버(232) 하측을 덮는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도 엔진 프레임(14)과의 연결부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 되는 프레임 외측 커버(219)를 가진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 브래킷(259)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 외측 커버(216)가 우측 프레임 외측 커버(216)에 비해서 앞뒤 방향으로 길게 후방의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앞쪽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17 및 도 21~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외측 커버(216)는 팬 슈라우드(234) 후방으로부터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앞쪽 가장자리까지 앞뒤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프레임 외측 커버(216) 상면에 엔진 프레임(14)과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는 측방 유도판(217)을 상방으로 세워 설치시키고 있다. 프레임 외측 커버(216) 상면에 있어서, 측방 유도판(217)을 팬 슈라우드(234)의 측방 차폐부(234a) 후방으로부터 엔진(5) 전방까지 연장 설치함으로써 팬 슈라우드(234) 후방 및 냉각팬(59)의 하측 부분을 측방 유도판(217)으로 덮는다.
즉, 주행 기체(2)(엔진 프레임(14))으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측방 유도판(217)을 팬 슈라우드(234)의 일측방(좌측방)에 배치하여 팬 슈라우드(234)와 엔진(5) 사이의 일부를 측방 유도판(217)으로 덮는다. 팬 슈라우드(234) 하측 후방에 측방 유도판(217)을 배치시킴으로써, 팬 슈라우드(234)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가 팬 슈라우드(234) 직후에 보닛(6) 및 엔진 커버(232) 외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팬 슈라우드(234) 후방의 엔진(5)에 효율적으로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팬 슈라우드(234)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배기 방향에 맞추어 측방 유도판(217)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팬 슈라우드(234)로부터 엔진(5)으로 유도하는 냉각 공기량이 저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엔진룸 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21~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뒤쪽 가장자리에는 판상의 프레임 외측 커버(218)를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향해서 연장 설치하고 있다. 프레임 외측 커버(218)는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상면의 좌우폭과 동등한 좌우폭을 갖고 있으며, 엔진 프레임(14) 상단으로부터 엔진 커버(232) 하단을 향해서 가설되어 있다.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앞뒤로 배치되는 프레임 외측 커버(216) 및 프레임 외측 커버(218)가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상면과 동등한 좌우폭에 의한 수평면을 가짐으로써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커버(232) 사이를 막을 수 있다.
프레임 외측 커버(216),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상면, 및 프레임 외측 커버(218)를 연속해서 앞뒤로 배치함으로써 주행 기체(2)(엔진 프레임(14))의 일측부 상단으로부터 기체 외측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하방 유도판을 구성한다. 그리고, 프레임 외측 커버(216),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상면, 및 프레임 외측 커버(218)에 의한 하방 유도판을 팬 슈라우드(234) 후방으로부터 엔진(5) 일측면 앞측까지가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엔진 커버(232) 하측을 덮는다. 즉, 주행 기체(2)(엔진 프레임(14)) 상측으로부터 하방 유도판(프레임 외측 커버(216),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상면, 및 프레임 외측 커버(218))을 돌출시켜서 주행 기체(2)와 엔진 커버(232) 사이를 덮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공기가 팬 슈라우드(234) 직후에 주행 기체(2) 외부 하측으로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팬 슈라우드(234) 후방의 엔진(5)에 효율적으로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방 유도판(프레임 외측 커버(216),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상면, 및 프레임 외측 커버(218))을 팬 슈라우드(234) 후방으로부터 엔진 시동용 스타터(69) 전방까지 연장 설치함으로써, 측방 유도판과 함께 전기 기기인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에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에 대한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 기기인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좌측면을 덮는 차폐판(205)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매니폴드(57), EGR 쿨러(80),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5)에 있어서의 고열원 부품을 차폐판(205)으로 덮게 된다. 따라서, DPF(52)에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DPF(52)에 있어서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연락관(84)의 배기가스 취입구측에(터보 과급기(81)의 터빈 케이스(82)와의 연결부측) 볼트 체결됨과 아울러,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을 통해서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후방 부품 연결부(182d)에 연결하고,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은 인터쿨러(224)의 새로운 공기 취입구와 터보 과급기(81)의 콤프레서 케이스(83)를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상류측 중계관(223)도 엔진(5)의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7,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는 엔진(5)의 일측방과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를 설치하고, 차열 부재(206) 하방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배치시키고 있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측면에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는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와 EGR 쿨러(80) 사이의 위치에서 엔진 커버(232)를 향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기 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 상방을 차열 부재(206)로 덮음으로써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 등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용 스타터(69)에 대한 열적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 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폐판(205)은 아래쪽 가장자리를 차열 부재(206)의 오른쪽 가장자리와 연결하고, 연결한 차폐판(205) 및 차열 부재(206)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의해 엔진 좌측방에 있어서 앞뒤를 개구시킨 폐쇄 공간을 형성한다. 즉, 배기 매니폴드(57), EGR 쿨러(80),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이 차폐판(205) 및 차열 부재(206)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둘러싸이게 된다. 이와 같이, 차폐판(205) 및 차열 부재(206)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배기 매니폴드(57), EGR 쿨러(80),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을 통과하는 냉각 공기 유량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고온의 배기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그 재생 처리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차폐판(205)의 전방 하측에 절개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차열 부재(206)의 앞측을 상방의 터보 과급기(81)를 향해서 굴곡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차열 부재(206) 앞측의 굴곡 부분으로 EGR 쿨러(80) 전방을 덮음과 아울러, 차폐판(205)의 전방 하측의 절개부와 차열 부재(206) 사이에 상류측 중계관(223)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판(205)과 차열 부재(206)를 연결시켰을 때, 전방 하측에 개구 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EGR 쿨러(80)에 냉각 공기의 일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판(205)과 차열 부재(206)의 형상에 의해 EGR 쿨러(80)에서의 냉각 작용에 최적인 냉각 공기를 흘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205)은 후방 상측이며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관(161)에 대면하는 위치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차폐판(205)과 차열 부재(206)의 내측에서 가온된 냉각 공기를 차폐판(205) 및 차열 부재(206)의 내측에서 체류시키지 않고, 차폐판(205) 후방으로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엔진(5)의 좌측방을 통과함으로써 가온된 냉각 공기를 좌측 엔진 커버(232)의 개구 구멍 등으로부터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비교적 고온이 되는 엔진(5)의 좌측면측에서의 열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
엔진룸 내에 있어서, 차폐판(205)을 엔진(5)의 좌측방에 배치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하측 일부에서부터 시동용 스타터(69) 상방까지를 차폐판(205)으로 덮음과 아울러, 엔진(5)의 실린더 블록(54)으로부터 엔진(5) 좌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차열 부재(206)를 차폐판(205)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연결하여 시동용 스타터(69) 상방을 차열 부재(206)로 덮고 있다. 차폐판(205)으로 엔진(5) 측방을 덮음으로써 엔진(5)에 대한 차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엔진(5) 측방에 있어서의 열체류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룸 내의 열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엔진(5)의 이상작동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 상방에 차열 부재(206)를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 등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용 스타터(69)에 대한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 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도 2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엔진 ECU)(271)는 후술하는 라디에이터(235) 등의 열교환기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ECU(271)는 엔진(5)의 각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받음과 아울러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271)의 길이 방향을 주행 기체(2)의 앞뒤 방향(엔진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프레임 저판(235)에 세워 설치시키고 있다. 즉, 엔진 ECU(271)는 프레임 저판(233)의 전방 저판(233x) 위를 세워 설치하고 있으며, 그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보닛(6) 앞면 이측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을 앞뒤 방향으로 해서 엔진 ECU(271)를 배치함으로써 냉각팬(59)에 의해 엔진룸 내를 앞뒤 방향으로 흐르는 냉각 공기에 대하여, 엔진 ECU(271)의 설치 방향을 맞출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ECU(271)가 냉각 공기의 흐름에 대한 차폐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으로의 냉각 공기 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엔진룸 내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x)은 엔진 ECU(271)의 세워 설치된 위치 근방이며 개구부(233z)보다 후방 위치에, 하네스 도통 구멍(233w)을 갖고 있다. 엔진 ECU(271)에 접속되는 하네스(도시생략)는 하네스 도통 구멍(233w)을 통해서 주행 기체(2)의 바닥측으로 도입되어 후방의 엔진(5)이나 배터리(272) 등과 접속된다. 엔진 ECU(271)를 전방 저판(233x)에 배치함과 아울러, 전방 저판(271)에 하네스 도통 구멍(233x)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저판(233x)에 의해 엔진 ECU(233x)를 1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 ECU(271)를 보닛(6) 앞면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한 방진망(개구부)(231b) 사이가 되는 위치이며 또한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 상방에 배치시키고 있다. 즉, 엔진 ECU(271)는 프론트 그릴(231)의 프레임쌍(231a)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의 좌우 중심을 지나가도록 해서 전방 저판(233x) 상에 기립하고 있다. 엔진 ECU(271)를 보닛(6)의 개구부(231b)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ECU(271)에 의해 냉각 공기 유입용의 개구 면적을 좁히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 상방에 엔진 ECU(271)를 배치함으로써 엔진 ECU(271)의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도 2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장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앞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저판(233)의 후방 저판(233y) 상에 세워 설치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팬(59)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으며, 라디에이터(235)와 냉각팬(59)을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는 기립한 상태에서 프레임 저판(233)에 고정된 직사각 형상의 라디에이터 프레임(260) 내측에서 지지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은 앞면에 방진망(260a)을 설치시키고 있고, 프레임체 형상의 라디에이터 프레임(260) 내에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은 내측의 라디에이터(235)를 둘러싸도록 해서 프레임 저판(233) 상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팬 슈라우드(234)와도 연결되어 있다.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장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앞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저판(233) 상에 세워 설치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팬(206)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라디에이터(235)와 냉각팬(206)을 연통시키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그 상단을 단면 T자 형상으로 한 상방 차폐부(234a)를 가짐과 아울러, 좌우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측방 차폐부(234b)를 갖는다. 상방 차폐부(234a)는 팬 슈라우드(234) 상면 전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보닛(6)을 닫았을 때에 그 상단을 보닛(6)의 천정부(259) 하면과 근접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좌우 한쌍이 되는 측방 차폐부(234b)는 팬 슈라우드(234)의 좌우 측면 전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보닛(6)을 닫았을 때에 그 좌우단을 보닛(6)의 측방부(273) 내측면과 근접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라디에이터(235)의 앞면측에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틀 프레임(226)을 프레임판(233) 상에 세워 설치시키고 있다.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을 가교하는 차축 케이스 연결부(295)의 상방 위치에,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틀 프레임(226), 라디에이터(235) 및 팬 슈라우드(234)를 배치하고 있다. 틀 프레임(226)은 뒷면을 라디에이터(235)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앞면 및 좌우 측면이 메쉬 형상의 판재로 덮여 있다. 그리고, 틀 프레임(226) 내에는 상기 인터쿨러 이외에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 등이 설치된다. 틀 프레임(226)의 앞면의 상방 위치에는 에어 클리너(221)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그릴(231)로부터 흡인된 냉각 공기가 프론트 그릴(231) 후방의 틀 프레임(226)을 향해서 흐르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221)를 냉각함과 아울러 틀 프레임(226) 내의 인터쿨러나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를 냉각한다. 또한, 틀 프레임(226) 후면에 설치하고 있는 라디에이터(235)에 전방으로부터의 냉각 공기가 도달함으로써 디젤엔진(5)에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한 냉각 효과를 높인다.
라디에이터(235)의 앞면측에는 틀 프레임(226)을 프레임 저판(233)의 후방 저판(233y) 상에 세워 설치시키고 있다. 틀 프레임(226)은 에어 클리너(221)를 지지하는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굴곡시킨 막대 형상 프레임이며, 일단을 후방 저판(233y)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타단을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에 연결시키고 있다. 에어 클리너(221)가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방에 고정되어 있으며, 에어 클리너(221) 하방 위치에서는 연료 냉각용의 연료 쿨러(273)가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틀 프레임(226)은 문형으로 굴곡시켜 프레임 저판(233y) 상에 양단을 고정시킨 문형 프레임(262)을 구비한다. 문형 프레임(262)은 좌우 양단(하단)을 프레임 저판(233y)에 연결시키고, 라디에이터 프레임(260)과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 사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문형 프레임(262)의 상틀의 좌우 중심 부분이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하 도중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문형 프레임(262)과의 연결 부분보다 상측에서 에어 클리너(221)를 지지하고, 문형 프레임(262)과의 연결 부분보다 하측에서 연료 쿨러(273)를 지지한다.
문형 프레임(262)은 후방(라디에이터(235)측)에서 윤활유 냉각용의 오일 쿨러(274)를 지지하는 한편, 전방(연료 쿨러(273)측)에서 냉매 냉각용의 콘덴서(275)를 지지한다. 또한,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단측에 고정된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과 문형 프레임(262)의 상틀에 의해서 인터쿨러(224)를 상하로 협지하여 오일 쿨러(274) 상방에 인터쿨러(224)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인터쿨러(224) 전방에는 문형 프레임(262)의 상틀과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에 의해서 방진망(263a)이 협지 지지되어 있다.
콘덴서(275)는 케이스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냉매를 기액 분리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276)를 케이스 측면에 연결 고정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 앞면에 방진망(27a)을 구비하고 있다. 저판 프레임(233)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는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콘덴서(275) 상방에 비스듬히 후방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인터쿨러(224) 상방에서 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221)는 앞뒤 방향에 있어서 콘덴서(275)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서 콘덴서(275)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에어 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8~도 2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앞면에 냉각팬(59)과의 오프셋 부분의 압력 손실이 작아지도록 해서 인터쿨러(224)를 비롯한 복수의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 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평준화시켜서 팬 슈라우드(234) 내에서의 차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235)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라디에이터(235)에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235) 전방 상측에 인터쿨러(224)를 배치하는 한편, 라디에이터(235) 전방 하측에 윤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274)를 배치하고, 오일 쿨러(274) 전방에 콘덴서(275)를 배치했다. 이 배치에 의해, 냉각팬(59)과 라디에이터(235)의 오프셋 영역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함으로써 냉각풍의 취입이 안정적인 구조로 하여 냉각팬(59)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221)가 인터쿨러(224) 전방에서 인터쿨러(224)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221)와 인터쿨러(224)를 이간시킨 배치로 함으로써 라디에이터(235)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풍을 라디에터(235)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으로 평준화할 수 있어 냉각풍의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전방에서 에어 클리너(221)와 콘덴서(275)가 상하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으며, 콘덴서(275)를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문형 프레임(262)의 상틀 앞측에 레일(262a)을 설치하는 한편, 프레임 저판(233)의 레일(262a) 바로 아래가 되는 위치에 레일(262b)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하의 레일(262a, 262b)에 대하여, 콘덴서(275) 배면의 상하 가장자리를 록킹시킴으로써 콘덴서(275)를 문형 프레임(262)과 후방 저판(233y)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협지된다.
또한, 콘덴서(275)는 공조용 콤프레서(211) 및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되는 냉매용 호스(277, 278)를 연결시킨 리시버 드라이어(27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용 호스(277, 278)는 팬 슈라우드(235)나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해서 파지되어 있다. 냉매용 호스(277, 278)의 고정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콘덴서(275)의 인출이 가능해져서 냉매용 호스(277, 278)를 리시버 드라이어(276)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엔진룸 내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221) 하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콘덴서(275)를 인출함으로써 콘덴서(275) 후방 공간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콘덴서(275) 후방의 제진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235) 앞면에 있어서, 인터쿨러(224)와 오일 쿨러(274)를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고 있고, 상단의 인터쿨러(274)를 고정하는 문형 프레임(고정 프레임)(262) 내에 오일 쿨러(274)를 세로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즉, 문형 프레임(262)의 좌우 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 축지지 부재(262c)를 설치하고 있고, 오일 쿨러(274)의 좌우 측면의 한쪽을 세로축 둘레로 축지지하여 오일 쿨러(274)를 문형 프레임(26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275)가 우측면에 설치된 리시버 드라이어(276)와 함께 오른쪽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문형 프레임(262)의 오른쪽 프레임에 오일 쿨러(274)를 축지지하고 있다. 인출 가능한 콘덴서(275) 후방에서 오일 쿨러(274)를 세로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작업자는 냉각풍의 흐름에 의해 먼지가 쌓이기 쉬운 라디에이터(235) 앞면 하방에 액세스하기 쉬워져서 메인터넌스 작업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이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서 기관 다리체(240)를 좌우로부터 끼우도록 세워 설치하고 있다. 보닛(6)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차폐판)(244)이 그 아래쪽 가장자리를 기관 다리체(240) 상면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하고 있다. 빔 프레임(248)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다. 주행 기체(2)에 의해 안정 지지시킨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을 한쌍의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측을 굴곡시킴으로써, 엔진룸의 좌우 후방을 덮는 한편, 캐빈(7) 앞면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기 때문에 엔진룸 내의 엔진(5)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캐빈(7)(조종 좌석(8))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이 평면으로 봤을 때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한 형상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보닛(6) 아래의 엔진룸과 캐빈(7)으로 둘러싸인 공간 중, 좌우의 영역이 넓어진다. 그 때문에,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276) 및 공조용 콤프레서 콤프레서(211)와 접속하고 있는 엔진룸측의 냉매용 호스(277, 279)를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하고 있는 복수의 냉매용 호스(280)와 연결시킬 때 보닛 실드판(244) 후방에서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에 앞면을 고정시켜서 캐빈(7)의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앞면과 대략 평행하게 넓어지는 후방 실드면(제 1 실드면)(245)과, 후방 실드면(245)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앞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측방 실드면(제 2 및 제 3 실드면)(246, 247)으로 구성된다. 또한, 좌우 측방 실드면(246, 247)은 지주 프레임(242, 243)의 중도부와도 연결되어 있어 보다 강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닛 실드판(244)은 지주 프레임(242, 243)에 의해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앞면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의 측방 실드면(246, 247)이 경사져 있음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가장자리를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로부터 더 전방으로 이간시켜 보닛 실드판(244) 후방의 좌우 위치에 있어서 캐빈(7)과의 공간을 넓힐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닛 실드판(244)은 평면으로 봤을 때 굴곡진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중앙 부분보다 앞측에 배치시키기 위해,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보닛(6)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엔진룸 후방의 캐빈(7)(조종 좌석(8))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6) 내측에 있어서, 보닛(6) 배면측에 보닛 실드판(244)을 배치하고,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의 배면을 덮는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으로부터 좌우로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적어도 디젤엔진(5)의 배면을 덮는다. 그리고, 엔진룸 배면측에 있어서, 보닛 실드판(244) 우측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영역에서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가 접속되어 있다. 우측방 실드면(247)의 오른쪽 하측을 절개함으로써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를 접속하기 위한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보닛(6)의 배면을 보닛 실드판(244)으로 덮음으로써, 보닛(6)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되어서 캐빈(7)측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디젤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열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을 캐빈(7) 앞면으로부터 이간시켜 배치함으로써 보닛(6) 후방에 배치되는 캐빈(7)과 보닛 실드판(244)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있다.
도 23, 도 24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을 보닛 실드판(244)의 굴곡 부분에 끼운 중앙 영역(후방 실드면(245))과 연결시키고 있고, 지주 프레임(242, 243)과 팬 슈라우드(235)를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키고 있다. 주행 기체(2)에 의해 안정 지지된 팬 슈라우드(235) 및 지주 프레임(242, 243)을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지주 프레임(242, 243) 상단측에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 지지 브래킷(255)에 보닛(6) 후방 부분에 설치한 힌지 부재(253)와 연결함으로써 지주 프레임(242, 243) 상단측에서 보닛(6) 후방을 회동 지지한다.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지주 프레임(242, 243) 앞측에 고착시키고 있다.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후방을 향해서 굴곡시킨 コ자 형상(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단을 지주 프레임(242, 243)에 접속시킴과 아울러, 그 앞면을 빔 프레임(248)의 후단측에 접속시킨다. 즉, 빔 프레임(248)은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통해서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은 빔 프레임(248)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보닛(6) 중심 위치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앞뒤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빔 프레임(248)과 보닛(6)의 내측 측면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위치시키도록,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빔 프레임(248)을 따라 배치시키고 있다. 빔 프레임(248)과 보닛(6)의 내측 측면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주변 공간이 넓어져서 엔진(6) 상방에 있어서의 부품 장착이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다.
차열판(250)이 보닛(6) 아래에서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로부터 후방을 덮도록 하여 엔진(5)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와 후단 각각에 가로대 프레임(251, 252)을 좌우 양측에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즉, 앞측 가로대 프레임(251)이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 상측에서 고정되고, 빔 프레임(248)의 좌우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후측 가로대 프레임(252)이 빔 프레임(248)의 후단 상측에서 고정되고, 빔 프레임(248)의 좌우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열판(250)의 앞뒤 양쪽 가장자리가 앞뒤 한쌍의 가로대 프레임(251, 252)에 고착되어 있다. 차열판(250)은 엔진(5) 상측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과 보닛(6)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5) 상부에 탑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보닛(6) 후방 내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보닛(6)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상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디젤엔진(5)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과 차열판(25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차열판(250) 하측의 엔진룸 내를 외부 공기로부터 단열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고온 환경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열판(250)에 추가하여, 보닛(6) 배면측에 배치하여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배면으로부터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구비하고 있다. 보닛(6)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차열판(250)과 함께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캐빈(7) 내가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과 차열판(25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에 열기를 채우기 어렵게 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자체나 보닛(6) 등에 대한 열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닛(6) 하방에 있어서의 차열판(250)의 좌우 양측에 신축 가능한 가스 스프링(보닛 댐퍼)(256, 25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은 엔진룸 프레임체에 피봇 부착하고 있고,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타단(전단)은 보닛(6) 상부 내측면에 피봇 부착하고 있다. 연장 프레임(249)은 빔 프레임(248)의 후단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연장 설치시킨 형상을 갖고, 후측 가로대 프레임(252)의 좌우 양단과 연결되어 있다.
즉, 연장 프레임(249)은 빔 프레임(248)의 후단측에서 빔 프레임(248) 및 뒷측 가로대 프레임(252)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249)의 좌우 양단에서 뒷측 가로대 프레임(252)의 좌우 가장자리보다 전방 위치에서 좌우 한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을 피봇 부착하고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256)의 돌출 작용에 의해서 보닛(6)이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닛(6)의 전방부를 들어올림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상단 위치를 축지점으로 해서 보닛(6)을 개방 동작시켜 열면, 가스 스프링(256)에 의해 보닛(6)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젤엔진(5)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트랙터 2: 주행 기체
5: 디젤엔진 6: 보닛
7: 캐빈 10: 스텝
10x: 전방 오른쪽 스텝 10y: 후방 오른쪽 스텝
11: 연료 탱크 14: 엔진 프레임
15: 기체 프레임 18: 탱크 프레임
52: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54: 실린더 블록
55: 실린더 헤드 56: 흡기 매니폴드
57: 배기 매니폴드 59: 냉각팬
60: 플라이 휠 하우징 216: 프레임 외측 커버(하방 유도판)
217: 측방 유도판 218: 프레임 외측 커버(하방 유도판)
219: 프레임 외측 커버(하방 유도판) 232: 측부 엔진 커버
233: 프레임 저판 234: 팬 슈라우드
234a: 상방 차폐부 234b: 측방 차폐부
238: 전방부 기관 다리체 264: 천정부
265: 측면부 266: 차폐 돌기부(차폐판)
266a: 시일 부재(탄성 부재) 267: 시일 부재(탄성 부재)
268: 개구 구멍 268a: 상측 개구 구멍
268b: 하측 개구 구멍 269: 시일 부재
270: 개구 구멍 285: 풍량 조정판(오른쪽)
286: 풍량 조정판(왼쪽) 287: 단열재

Claims (10)

  1.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공랭용의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와, 상기 엔진, 상기 냉각팬 및 상기 팬 슈라우드를 덮는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앞면측에 상기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보닛의 전방으로부터 취입된 냉각풍을 상기 팬 슈라우드 후방의 상기 엔진에 유도시키는 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측방 유도판을 상기 팬 슈라우드의 일측방에 배치하여, 상기 팬 슈라우드와 상기 엔진 사이를 상기 측방 유도판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일측부 상단으로부터 기체 외측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하방 유도판을 상기 팬 슈라우드 후방으로부터 상기 엔진 일측면 앞측까지가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하방 유도판 상면에 상기 측방 유도판을 세워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일측면에 배치한 배기 매니폴드 하방에 시동기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하방 유도판을 상기 시동기 전방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를 상기 엔진 상방에 설치하고 있고,
    차폐판을 상기 엔진의 일측방에 배치하여 상기 후처리 장치 하측 일부로부터 상기 시동기 상방까지를 상기 차폐판으로 덮음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엔진 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차열 부재를 상기 차폐판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연결하여 상기 시동기 상방을 상기 차열 부재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엔진 타측방으로부터 일측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좌우 양측부에 개구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는 좌우 한쌍의 풍량 조정판을 상기 보닛 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좌우 한쌍의 상기 풍량 조정판 각각을 좌우의 상기 개구 구멍 각각의 뒤쪽 가장자리측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은 대응하는 상기 개구 구멍의 뒤쪽 가장자리 전체를 덮는 한편,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은 대응하는 상기 개구 구멍의 뒤쪽 가장자리 하측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9. 제 7 항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의 앞쪽 가장자리를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의 앞쪽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에 복수의 개구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한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으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풍량 조정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KR1020177026859A 2015-03-31 2015-12-22 작업차량 KR101961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3375 2015-03-31
JP2015073374A JP6283621B2 (ja) 2015-03-31 2015-03-31 作業車両
JP2015073375A JP6297518B2 (ja) 2015-03-31 2015-03-31 トラクタ
JPJP-P-2015-073374 2015-03-31
PCT/JP2015/085877 WO2016157651A1 (ja) 2015-03-31 2015-12-22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473A true KR20170127473A (ko) 2017-11-21
KR101961060B1 KR101961060B1 (ko) 2019-03-21

Family

ID=5700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859A KR101961060B1 (ko) 2015-03-31 2015-12-22 작업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1060B1 (ko)
WO (1) WO20161576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643A (ko) * 2018-02-09 2019-08-20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8067A (zh) * 2018-05-22 2019-11-29 株式会社久保田 作业机
JP7100605B2 (ja) * 2019-04-25 2022-07-13 株式会社クボタ 整流板の取付構造及び作業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005A (ja) * 2004-10-19 2006-05-11 Kubota Corp 農用トラクタ
JP2008067635A (ja) * 2006-09-13 2008-03-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9292372A (ja) * 2008-06-06 2009-12-1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トラクタ
JP2013116692A (ja) 2011-12-05 2013-06-13 Ihi Shibaura Machinery Corp エンジン
KR20140026828A (ko) * 2012-08-23 2014-03-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005A (ja) * 2004-10-19 2006-05-11 Kubota Corp 農用トラクタ
JP2008067635A (ja) * 2006-09-13 2008-03-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9292372A (ja) * 2008-06-06 2009-12-1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トラクタ
JP2013116692A (ja) 2011-12-05 2013-06-13 Ihi Shibaura Machinery Corp エンジン
KR20140026828A (ko) * 2012-08-23 2014-03-06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643A (ko) * 2018-02-09 2019-08-20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060B1 (ko) 2019-03-21
WO2016157651A1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719B1 (ko) 작업 차량
KR101913981B1 (ko) 작업 차량
KR101902718B1 (ko) 작업 차량
KR102089931B1 (ko) 작업 차량
KR101961060B1 (ko) 작업차량
JP6297518B2 (ja) トラクタ
JP6283621B2 (ja) 作業車両
JP6401568B2 (ja) トラクタ
JP6378040B2 (ja) 作業車両
JP6297465B2 (ja) トラクタ
JP6305308B2 (ja) 作業車両
JP6309424B2 (ja) 作業車両
JP2015223993A (ja) 作業車両
JP6295143B2 (ja) トラクタ
JP6309347B2 (ja) トラクタ
JP6378035B2 (ja) トラクタ
WO2016060027A1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