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183A -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183A
KR20170127183A KR1020160057492A KR20160057492A KR20170127183A KR 20170127183 A KR20170127183 A KR 20170127183A KR 1020160057492 A KR1020160057492 A KR 1020160057492A KR 20160057492 A KR20160057492 A KR 20160057492A KR 20170127183 A KR20170127183 A KR 20170127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cement
image
image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현
서호철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183A/ko
Publication of KR2017012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영상표시부로 상기 영상신호의 영상소스를 공급하는 영상소스공급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에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픽셀단위로 매핑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에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될 때, 떨림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위치가 이동되는지를 감지하는 떨림감지부와; 상기 떨림감지부에서 상기 영상표시부의 떨림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표시부의 초기위치와 떨림에 의해 이동된 이동위치 사이의 이동변위를 산출하는 떨림보정부와; 상기 떨림보정부에서 산출된 이동변위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이동변위에 대응되는 보정변위만큼 쉬프트시켜 상기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에 표시하여 떨림이 보정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떨림감지부와 상기 떨림보정부는 픽셀단위로 상기 영상표시부의 이동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픽셀단위로 산출된 보정변위만큼 상기 영상신호를 쉬프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TO COMPENSATE VIBRA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영상을 표시할 때 발생되는 떨림을 보정하여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안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는 차량의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영상에 떨림이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손에 들고 영상표시장치를 시청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손떨림이 발생된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의 영상표시장치(10)에 영상신호(B)가 표시되어야 하나, 떨림이 발생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부터 불규칙한 이동변위(a)만큼 이동되어 변위된 영상신호(B')가 표시된다.
이렇게 변위된 영상신호(B')가 이동된 영상표시부(A')의 떨림에 의해 초기위치로부터 이동되어 표시되면,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때 실제 눈에 보이는 영상신호(B') 이외에도 떨림 전의 영상신호(B)가 잔상으로 남아 화면이 흐리게 보이게 된다. 이렇게 영상신호가 겹치거나 흐리게 보이면 영상표시장치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이 피곤하며 집중도가 떨어지고, 더 나아가 불쾌감과 어지러움을 느끼게 될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127049호 "흔들림 영상 안정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처리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떨림이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떨림이 발생되지 않은 위치로 보정하여 표시하여 선명한 영상을 안정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떨림에 의해 기준범위 이상으로 변위가 발생된 영상신호에 대해서만 떨림을 보정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영상표시부로 상기 영상신호의 영상소스를 공급하는 영상소스공급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에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픽셀단위로 매핑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에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될 때, 떨림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위치가 이동되는지를 감지하는 떨림감지부와; 상기 떨림감지부에서 상기 영상표시부의 떨림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표시부의 초기위치와 떨림에 의해 이동된 이동위치 사이의 이동변위를 산출하는 떨림보정부와; 상기 떨림보정부에서 산출된 이동변위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이동변위에 대응되는 보정변위만큼 쉬프트시켜 상기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에 표시하여 떨림이 보정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떨림감지부와 상기 떨림보정부는 픽셀단위로 상기 영상표시부의 이동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픽셀단위로 산출된 보정변위만큼 상기 영상신호를 쉬프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떨림보정부에서 산출한 이동변위가 미리 설정한 기준개수의 픽셀범위 보다 작은 경우, 떨림에 의해 변위된 영상신호가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떨림보정부는, 상기 초기위치의 영상표시부와 상기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이동변위를 픽셀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보정변위는 상기 산출된 이동변위값이 소수점 단위인 경우, 산출된 이동변위값에 가장 가까운 정수값 또는 산출된 이동변위값 보다 작은 최대 정수, 또는 기설정된 특정 정수값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떨림감지부는 상기 영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된 변위센서를 이용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변위를 측정하거나, 상기 영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된 가속도센서를 이용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가속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가속도값을 이용해 떨림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떨림이 발생되는 경우 영상신호를 픽셀단위로 떨림에 의해 발생된 이동변위와 반대방향으로 쉬프트시켜 떨림보정한다.
이 경우, 떨림보정된 영상신호는 초기 영상신호와 거의 위치가 동일해지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떨림정도를 감지할 수 없어 안정적이고 선명한 영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민감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 떨림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만 떨림보정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영상표시장치에 떨림이 발생된 경우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떨림보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떨림보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떨림보정 과정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영상표시장치(100)의 떨림보정과정을 개략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일례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게임기일 수 있고, 또한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DMB, 블랙박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B)가 초기 위치의 영상표시부(A)를 통해 표시되는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어 영상표시부(A)와 이에 표시되는 영상신호(B)가 초기위치로부터 불규칙한 거리(a)로 이동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된 영상신호(B')를 이동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정변위(a')만큼 쉬프트시켜 떨림을 보정한다. 이렇게 떨림 보정된 영상신호(B")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부(130)의 초기위치에서 표시되던 영상신호(B)와 거의 위치가 유사해진다. 이 때, 영상표시부(A')의 위치는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나,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만 초기위치와 유사하게 쉬프트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가 떨림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더라도 영상신호는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동일한 위치에 있게 디므로 눈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영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신호(B)가 표시되는 영상표시부(130)와, 영상신호(B)에 대응되는 영상소스를 영상표시부(130)로 공급하는 영상소스공급부(110)와, 영상소스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이 영상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표시부(130)의 떨림을 감지하는 떨림감지부(140)와, 떨림에 의해 변위된 영상신호가 보정되기 위한 이동변위를 산출하는 떨림보정부(150)와, 떨림보정부(150)에서 산출된 이동변위만큼 변위된 영상신호를 보정하여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영상표시부(130)는 영상신호(B)를 표시한다. 영상표시부(130)는 영상신호를 각 프레임으로 나누어 연속하여 표시하고, 각 프레임은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된다.
영상소스공급부(110)는 영상소스를 영상처리부(120)로 공급한다. 영상소스공급부(11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미도시)이거나, 영상표시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넷망에서 공급되는 영상콘텐츠일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소스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영상소스가 영상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도록 영상을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소스의 해상도를 영상표시부(130)의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프레임단위의 영상신호를 영상표시부(130)의 픽셀별로 매핑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0)는 떨림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변위된 영상신호(B')가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로 표시되도록 변위된 영상신호(B')를 보정변위만큼 쉬프트시킨다.
여기서, 도면에 표시된 부호 A는 떨림이 발생되기 전 초기위치에서의 영상표시부(130)의 위치를 나타낸다. 부호 B는 떨림이 발생되기 전 초기위치에서 영상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신호(B)를 나타낸다.
부호 A'는 떨림이 발생된 후 이동된 이동위치에서의 영상표시부(130)의 위치를 나타낸다. 부호 B'는 떨림에 의해 변위된 영상신호(B')를 나타낸다. 부호 B"는 떨림보정부(15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를 나타낸다.
부호 a는 초기위치의 영상표시부(A)가 떨림에 의해 이동위치로 이동된 이동변위를 나타내고, 부호 a'는 이동위치의 영상신호(B)를 떨림 보정하기 위한 보정변위를 나타낸다.
떨림감지부(140)는 영상표시부(130)가 떨림에 의해 위치변화가 발생되는지를 감지한다. 떨림보정부(150)는 떨림이 발생된 경우,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A')와 초기위치의 영상표시부(A) 사이의 이동변위(a)를 산출한다.
떨림감지부(140)가 영상표시부(130)의 떨림을 감지하고, 떨림보정부(150)가 이동변위(a)를 산출하는 방식은 영상표시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변위센서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떨림에 의해 영상표시부(130)의 위치변화가 발생되면, 변위센서가 위치변화에 의한 변위를 측정하여 이동변위(a)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센서는 영상표시부(130)의 위치변화시 발생되는 가속도를 측정한 후, 가속도값을 이용해 속도와 거리를 산출하여 이동변위(a)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떨림감지부(140)와 떨림보정부(150)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해 이동변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떨림감지부(140)에서 산출된 이동변위(a)에 따른 보정변위(a')를 산출하고, 보정변위(a') 만큼 변위된 영상신호(B')를 쉬프트시켜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가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A')에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변위(a)를 영상표시부(130)의 단위픽셀의 개수로 나타낸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부(130)의 단위픽셀의 크기가 b인 경우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림이 발생되면, X축 방향의 이동변위(ℓ1)는 1.2픽셀, Y축 방향의 이동변위(h1)는 1.2픽셀로 산출될 수 있다.
떨림보정부(150)에서 이동변위(a)가 픽셀단위로 산출될 때, 떨림보정을 위한 보정변위(a')도 픽셀단위로 산출된다. 이동변위(a)와 보정변위(a')는 값이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도 5의 (a)에서와 같이 이동변위(a)가 소수점을 갖는 수로 산출될 경우, 보정변위(a')도 동일하게 소수점을 갖는 수로 산출하거나 정수로 산출하는 경우에 따라 상이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어부(160)에서 보정변위(a')는 정수로 산출한다. 그리고, 보정변위(a')는 이동변위(a)와 가장 가까운 정수값으로 산출되거나, 이동변위(a) 보다 작은 최대 정수, 또는 기설정된 특정 정수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례로, 보정변위(a')를 이동변위(a)와 가장 가까운 정수값으로 산출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변위(a)가 X축, Y축 방향으로 1.2픽셀인 경우, 보정변위(a')는 1픽셀로 산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변위(a)가 3.7픽셀인 경우에는 4픽셀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보정변위(a')를 이동변위(a) 보다 작은 최대 정수값으로 산출하는경우, 이동변위(a)가 1.2픽셀인 경우 보정변위(a')는 1픽셀로 산출되고, 이동변위(a)가 3.7픽셀인 경우 보정변위는 3픽셀로 산출된다.
한편, 보정변위(a')를 기설정된 특정 정수값으로 산출하는 경우는, 제작당시 또는 사용자가 보정변위를 미리 특정한다. 일례로, 보정값을 2픽셀로 설정하면, 이동변위(a)값에 상관없이 보정변위(a')는 2픽셀로 고정된다.
보정변위(a')를 결정하는 방식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종류와 사용목적, 사용자의 민감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변위(a)가 미리 설정한 기준개수의 픽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영상처리부(120)에서 떨림보정을 하게 된다. 이는 떨림이 발생되는 모든 경우마다 떨림보정을 하게 되는 경우, 변위센서와 가속도센서 및 제어부(160)들의 운영에 따른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떨림보정을 하기 위한 이동변위(a)의 기준개수의 픽셀범위를 미리 설정한다. 일례로, 기준개수의 이동변위(a)의 픽셀범위는 2픽셀 또는 3픽셀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개수의 픽셀범위가 3픽셀인 경우, 이동변위(a)가 2.5픽셀인 경우 떨림보정을 하지 않고, 이동변위(a)가 3.1픽셀인 경우 떨림보정을 하게 된다.
기준개수의 픽셀범위는 사용자의 민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민한 경우 5픽셀 이내, 사용자가 보통 민감한 경우 10픽셀 이내, 사용자가 둔감한 경우 20픽셀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떨림보정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켜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영상소스의 재생신호를 인가하면, 영상소스공급부(110)에서 영상소스를 영상처리부(120)로 공급하고, 영상처리부(120)는 영상표시부(130)로 해상도에 맞게 매핑된 영상신호(B)를 표시한다.
영상표시부(130)에 영상신호(B)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영상신호(B)를 주시하게 된다. 이 때, 영상신호는 각 프레임단위로 표시된다(S110). 영상신호(B)가 표시되는 중에는 떨림감지부(140)에서 떨림이 발생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120).
변위센서와 가속도센서가 영상표시부(130)의 위치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위치변화가 없는 경우 영상신호(B)를 계속하여 표시한다. 반면, 위치변화가 있는 경우, 떨림에 의한 영상신호 이동변위(a)를 픽셀단위로 산출한다(S130).
일례로, 도 5를 참조하여 떨림 보정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B)가 표시되던 중, 떨림이 발생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B')가 이동되면, 떨림보정부(150)에서는 이동변위(a)를 산출한다. 산출결과 X축 이동변위(ℓ1)는 1.2픽셀, Y축 이동변위(h1)는 1.2 픽셀이다.
여기서, 이동변위가 사용자가 설정한 떨림보정을 위한 기준개수의 픽셀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S140). 일례로, 기준개수의 픽셀범위가 2픽셀인 것으로 가정하면, 도 5의 (b)에 표시된 떨림의 이동변위인 1.2픽셀은 떨림보정 기준개수에 미달된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A')에 변위된 영상신호(B')가 떨림 보정 없이 계속 표시된다(S150).
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된 영상신호(B')의 X축방향 이동변위(ℓ2)가 2.4픽셀이고, Y축방향 이동변위(h2)가 2.4픽셀인 경우에는 떨림보정을 위한 기준개수의 픽셀범위를 초과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보정변위를 산출한다. 보정변위가 이동변위값에 가장 가까운 정수값으로 설정된 경우, 보정변위는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2픽셀이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20)에 이동변위와 반대방향으로 X축방향 2픽셀(ℓ3), Y축방향 2픽셀(h3)만큼 쉬프트되게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60).
이 경우, 이동변위(a)와 보정변위(a') 사이에 X축방향으로 0.4픽셀(ℓ4), Y축방향으로 0.4픽셀(h4)만큼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1픽셀 보다 작은 범위의 차이는 육안으로 크게 느끼지 못할 범위이므로 떨림에 의해 영상신호가 이동되었는지 인지하지 못하며, 사용자에게 눈의 피로감을 주지 않는다.
여기서, 떨림보정된 영상신호(B")는 각 프레임별로 나눠져 처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가 영상표시부(130)에 계속하여 표시되는 동안 떨림이 발생되면, 동일한 방식으로 영상신호를 떨림 보정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떨림이 발생되는 경우 영상신호를 픽셀단위로 떨림에 의해 발생된 이동변위와 반대방향으로 쉬프트시켜 떨림보정한다.
이 경우, 떨림보정된 영상신호는 초기 영상신호와 거의 위치가 동일해지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떨림정도를 감지할 수 없어 안정적이고 선명한 영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민감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 떨림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만 떨림보정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영상표시장치 110 : 영상소스 공급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영상표시부
140 : 떨림감지부 150 : 떨림보정부
160 : 제어부
A : 초기위치 영상표시부
A' : 이동위치 영상표시부
B : 영상신호
B' : 변위된 영상신호
B" : 떨림보정된 영상신호

Claims (4)

  1.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영상표시부로 상기 영상신호의 영상소스를 공급하는 영상소스공급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에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픽셀단위로 매핑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표시부에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될 때, 떨림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위치가 이동되는지를 감지하는 떨림감지부와;
    상기 떨림감지부에서 상기 영상표시부의 떨림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표시부의 초기위치와 떨림에 의해 이동된 이동위치 사이의 이동변위를 산출하는 떨림보정부와;
    상기 떨림보정부에서 산출된 이동변위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이동변위에 대응되는 보정변위만큼 쉬프트시켜 상기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에 표시하여 떨림이 보정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떨림감지부와 상기 떨림보정부는 픽셀단위로 상기 영상표시부의 이동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픽셀단위로 산출된 보정변위만큼 상기 영상신호를 쉬프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떨림보정부에서 산출한 이동변위가 미리 설정한 기준개수의 픽셀범위 보다 작은 경우, 떨림에 의해 변위된 영상신호가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떨림보정부는,
    상기 초기위치의 영상표시부와 상기 이동위치의 영상표시부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이동변위를 픽셀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보정변위는 상기 산출된 이동변위값이 소수점 단위인 경우, 산출된 이동변위값에 가장 가까운 정수값 또는 산출된 이동변위값 보다 작은 최대 정수, 또는 기설정된 특정 정수값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감지부는 상기 영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된 변위센서를 이용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변위를 측정하거나, 상기 영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된 가속도센서를 이용해 상기 영상표시부의 가속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가속도값을 이용해 떨림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20160057492A 2016-05-11 2016-05-11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20170127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492A KR20170127183A (ko) 2016-05-11 2016-05-11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492A KR20170127183A (ko) 2016-05-11 2016-05-11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183A true KR20170127183A (ko) 2017-11-21

Family

ID=6080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492A KR20170127183A (ko) 2016-05-11 2016-05-11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1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93A (ko)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선분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차전지
CN114910733A (zh) * 2022-07-15 2022-08-16 深圳益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显示器故障智能诊断分析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93A (ko)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선분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차전지
CN114910733A (zh) * 2022-07-15 2022-08-16 深圳益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显示器故障智能诊断分析系统
CN114910733B (zh) * 2022-07-15 2022-09-30 深圳益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显示器故障智能诊断分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1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tabilization in display device
CN101933082B (zh) 基于用户图像数据的显示器观看者运动补偿方法和系统
JP6837805B2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における前庭動眼反射の修正の設計および方法
CN103885593B (zh) 一种手持终端及其屏幕防抖方法和装置
US10235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and curv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90243131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98278B2 (en) Graphical display system with adaptive keyston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20106662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1344A (ko) 디스플레이의 영상 안정화 장치 및 방법
US9478045B1 (en) Vibration sensing and canceling for displays
US20120002060A1 (en) Optical apparatus, image sen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70127183A (ko) 떨림보정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JP2004128712A (ja) 携帯端末装置
EP2706408B1 (en) Image stabilization system for handheld devices equipped with pico-projector
CN104679483A (zh) 一种界面调整方法及移动设备
CN111801239A (zh) 显示系统
CN110767144B (zh) 移动终端屏幕显示防抖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12032050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4580966A (zh) 投影装置以及其投影图像处理方法
KR100680220B1 (ko) 화면 흔들림을 보상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H07261720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制御方法
US9053564B1 (en) Vibration sensing and canceling electronics
US117694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image generating method, and font data structure
KR20170061491A (ko) 진동 환경에서 스마트기기의 화면이 보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H1120225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体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