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357A -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357A
KR20170126357A KR1020160056684A KR20160056684A KR20170126357A KR 20170126357 A KR20170126357 A KR 20170126357A KR 1020160056684 A KR1020160056684 A KR 1020160056684A KR 20160056684 A KR20160056684 A KR 20160056684A KR 20170126357 A KR20170126357 A KR 2017012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emergency
ligh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진
Original Assignee
고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진 filed Critical 고명진
Priority to KR102016005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357A/ko
Publication of KR2017012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 B60Q1/4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the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브레이크등;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점멸되는 발광을 수행하는 비상등; 및 상기 누름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브레이크등을 발광하며, 아울러, 상기 누름 압력의 시간당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reak}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로서, 차량의 브레이크등 및 비상등을 제어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샤시(Chassis)와 바디(body)로 구성되는데, 상기 보디는 객실과 적재함 등으로 이루어져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부분으로 차량의 외장에 상당하며, 샤시는 차량에서 바디를 제외한 부분이며, 차량의 골격에 해당하는 샤시는 프레임에 엔진 등, 주행하는데 필요한 장치 일체를 장치한 것이다.
따라서 샤시는 동력발생장치(Power Unit),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 조향장치(Steering System), 제동장치(Brake System; 이하, 브레이크라 칭함), 현가장치(Suspension), 주행장치(Running System) 및, 기타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차량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거나, 비탈길 등에서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면, 이때 발생되는 브레이크 페달의 압력이 소정의 조작력으로 변환되고, 이 조작력이 차륜의 내측에 장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 등에 마찰재를 밀어 붙임으로써 차륜에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되는데, 브레이크 조작이 있을 때 차량 후면에 마련된 브레이크등이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는 앞차의 브레이크등의 점등을 보고 앞차의 브레이크 조작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런데 앞차의 브레이크 조작이 있을 경우, 앞차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살짝 밟아 서서히 정지하는 것인지, 아니면 급정지를 위해 브레이크를 깊게 밟은 것인지 후방 차량의 운전자는 알 수가 없다. 브레이크를 살짝 밟든, 급정지를 위해 브레이크를 깊게 밟든 브레이크등이 동일한 세기로서 점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 입장에서는 앞차의 브레이크등의 점등 상태만으로는 앞차의 주행 정지 또는 급정지의 여부 등을 알 수 없어 연쇄 추돌의 위험성이 있는는 문제가 있다.
한편, 차량 주행중에 앞에 있는 차량들의 급정지가 발생할 때, 어쩔수 없이 급정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연쇄 추돌이 많이 일어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하여 비상 깜빡이를 켜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비상 깜빡이를 조작하기 위해 서두르다 보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비상 깜빡이를 조작한다 하더라도, 후방 차량 입장에서는 이것이 급정지를 하겠다는 의사 표시인지, 양보 운전 표시인지 헷갈릴 수 있다.
따라서 급정지 등의 정확한 상황을 후방 차량에 손쉽게 알려줄 수 있는 새로운 차량 운전자의 의사를 전달해줄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1-0082575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브레이크 조작 상태에 따라서 차량의 브레이크등과 비상등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브레이크등;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점멸되는 발광을 수행하는 비상등; 및 상기 누름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브레이크등을 발광하며, 아울러, 상기 누름 압력의 시간당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누름 압력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등의 발광 강도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브레이크등을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누름 압력이 높아지거나, 속도가 급격하게 저하될수록 상기 브레이크등의 발광 강도를 높여가며 브레이크등을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어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비상등의 점멸 주기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된 후 차량이 정차된 경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등의 점등과 비상등의 점멸을 유지하며, 비상등 버튼에 대한 운전자의 누름이 감지될 때에 브레이크등의 점등과 비상등의 점멸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 속도 파악부; 측정되는 차량 속도를 모니터링하여 차량 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차량 가속도 산출부; 및 차량 운행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었음에도 상기 차량 가속도가 증가하는 상태인 급발진 상태가 발생된 경우, 상기 급발진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의 값과, 차량 속도와, 차량 가속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발진 상태에서의 상기 브레이크등의 발광 강도와 상기 비상등의 점멸 주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는, 차량 후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후면의 밖으로 돌출되어 차량 후방을 비출 수 있는 거울;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발진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거울을 차량 후면에서 외부로 돌출시켜 상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상기 거울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를 누르는 압력이 커질수록 브레이크등의 밝기를 밝게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앞차의 브레이크 조작 및 정차 사실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앞차가 급정차시에 비상등을 점멸시킴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효율적으로 급정차에 대처하여 차량의 연쇄 추돌을 예방하며, 많은 사람의 생명과 재ㅏㄴ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면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연동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가 브레이크 페달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의 누름 압력에 따른 브레이크등과 비상등의 동작이 할당된 테이블 도표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등이 단계별로 밝게 점등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등 및 비상등의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울이 돌출되어 차량 후면을 비추고 이를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면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연동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가 브레이크 페달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의 누름 압력에 따른 브레이크등과 비상등의 동작이 할당된 테이블 도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등이 단계별로 밝게 점등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차량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후면에 브레이크 조작을 알리는 브레이크등(300),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비상등(40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등(300)이 동일한 강도로서 점등되며, 또한 차량 운전석에 마련된 비상 버튼을 누르면 동일한 점멸 주기로서 비상등(400)이 점멸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동일한 강도의 브레이크등(300) 점등과 동일한 주기의 비상등(400) 점멸이 아니라,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을 천천히 밝으면서 차량이 정지될 경우, 후방의 브레이크등(300)이 점차 밝게 한다. 나아가 브레이크 페달을 급하게(일정압력 이상) 밝으면 후방의 비상등(400)이 자동적으로 점멸되도록 하며, 이때 급하게 브레이크를 밟아 자동차의 속력이 줄어들면 비상등(400)의 점멸 횟수가 많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브레이크 연동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100), 브레이크등(300), 비상등(400), 전자제어유닛(200)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100)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운전자가 브레이킹 조작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 페달에 눌러지는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100)의 구현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방식 예는, 브레이크 페달면에 압력 센서를 마련하여 운전자의 신발 발바닥이 브레이크 페달면에 닿아, 브레이크 페달이 끝까지 밟혀진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방식은 브레이크 페달의 눌리어짐을 감지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3에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하였는데, 브레이크 페달면(11)을 가지는 브레이크 페달(10)은 차실내와 엔진룸 사이를 구분짓는 대쉬판넬(12)과 카울판넬(14) 사이에 각각 전방측과 상단측이 고정된 마운팅브라켓트(16)에 페달아암(18)의 상단부가 힌지점(18a)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페달아암(18)상에 대쉬 판넬(12)을 관통하는 브레이크 부스터(20)와 연결되는 작동로드(22)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브레이크 부스터(20)는 대쉬판넬(12)과 마운팅브라켓트(16)의 전방 선단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페달아암(18)의 측부에는 조향축(23)을 수용하는 조향컬럼(24)이 설치되고, 이 조향컬럼(24)은 차체의 조향컬럼지지부재(26)에 브라켓트(28)를 매개로 지지된다. 페달아암(18)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팅브라켓트(16)의 상단부는 카울판넬(14)의 저면에 부착된 브라켓트(15)로부터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이는 마운팅브라켓트(16)가 충돌시 차실내쪽을 향하여 밀리게 되는 변형시 이 마운팅브라켓트(16)상에 힌지 결합된 페달아암(18)이 운전자의 하체부위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100)는 브레이크 부스터(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작동로드(22)의 눌리어짐을 감지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0)의 누름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도 3에서는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100)(100)가 브레이크 부스터(20)에 마련된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위치에 압력 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브레이크등(300)은,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램프등이다. 이러한 브레이크등(300)은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압력에 따라서 브레이크등(300)의 밝기 강도가 단계별로 달라질 수 있다.
비상등(400)은,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점멸되는 발광을 수행하는 램프등이다. 여기서 점멸이라 함은, 비상등(400)이 켜지는 온(ON)과 꺼지는 오프(OFF)가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전자제어유닛(200)(ECU;Electronic Controller Unit)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하여 차량에 설치된 각각의 전자 구동 모듈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전자제어유닛(200)(ECU;Electronic Controller Unit)은,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면 브레이크등(300)을 발광한다. 아울러, 누름 압력의 시간당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는 경우 비상등(400)을 도 4와 같이 점멸시킨다. 도 4(a)의 비상등 점등->도 4(b)의 비상등 소등 -> 도 4(c)의 비상등 점등->도 4(d)의 비상등 소등 ->....이 반복되는 점멸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0.1초당 10[Pa]의 누름 압력의 변화량을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이라 할 때, 도 5(a)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감지되는 누름 압력이 0.1초당 10[Pa] 이내의 크기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브레이크 누름 동작이라 판단하고 비상등(400)을 점멸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반면에 누름 압력이 0.1초당 10[Pa]를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비상등(400)을 점멸시키는 것이다.
결국, 전자제어유닛(2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등(300)과 비상등(400)을 모두 동작시키지 않고, 누름 압력의 시간당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 이내인 경우에는 브레이크등(300)만 점등시키고 비상등(400)은 동작시키지 않으며, 누름 압력의 시간당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브레이크등(300)의 점등과 아울러 비상등(400)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200)은,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어 비상등(400)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낮아질수록 비상등(400)의 점멸 주기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된 상태에서 차량이 완전히 정차하게 되면, 가장 빠른 점멸 주기로서 비상등(400)이 점멸되도록 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200)은, 누름 압력에 따라서 브레이크등(300)의 발광 강도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브레이크등(300)을 발광시킬수 있다. 누름 압력이 높아질수록 브레이크등(300)의 발광 강도를 높여가며 브레이크등(300)을 발광시킨다. 예를 들어, 가장 약한 압력 1단계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1단계의 발광 강도로서 발광시키며, 압력 1단계보다 높은 압력 2단계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1단계보다 높은 강도의 발광 2단계의 발광 강도로서 발광시키며, 압력 2단계보다 높은 압력 3단계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2단계보다 높은 강도의 발광 3단계의 발광 강도로서 발광시킨다.
상기와 같이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된 후 차량이 정차된 경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등(300)의 점등과 비상등(400)의 점멸을 유지하여 비상 상황임을 후방 차량에 알린다. 다만, 비상등(400) 버튼에 대한 별도의 조작이 있게 되면 브레이크등(300)의 점등과 비상등(400)의 점멸을 해제한다. 즉, 비상등(400) 버튼에 대한 운전자의 누름이 감지될 때에 브레이크등(300)의 점등과 비상등(400)의 점멸을 해제함으로써, 후방 차량에 비상 상황이 해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최근에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사고에 대해서, 차량 외부의 요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것으로는 전자제어유닛(200)(ECU)의 이상이나 전파장애로 인한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 등이 지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급발진 원인으로 완전히 규명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더구나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운전자의 운전 과실이나 운전 미숙을 주장할 뿐이지 차량 결함으로 인한 급발진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급발진이 운전자 과실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 자료의 확보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의 브레이크등(300)의 점등 여부와 비상등(400)의 점멸 여부에 대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등 및 비상등의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울이 돌출되어 차량 후면을 비추고 이를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를 도시한 그림이다.
급발진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과 같이 브레이크 페달의 누름 압력에 따른 브레이크등(300)의 단계별 밝기와, 차량 속도에 따른 비상등(400)의 점멸 주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는,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100), 브레이크등(300), 비상등(400), 및 전자제어유닛(200) 이외에 차량 속도 파악부(500), 차량 가속도 산출부(600), 및 메모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속도 파악부(500)는, 차량 속도를 산출한다. 전자제어유닛(200)에서 출력되는 차량 속도를 이용할 수 있지만, 급발진 발생시에는 전자제어유닛(200)(200) 역시 오류가 났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경과 시간(T)에 따른 차량 위치 변화량(S)을 감지하여 차량 속도(V = S/T)를 산출한다. 참고로 GPS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가속도 산출부(600)는, 측정되는 차량 속도를 모니터링하여 차량 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즉, 경과 시간(T)과 차량 위치 변화량(S)을 가속도 산출식에 대입하여 차량 가속도(A = S/T2)를 산출할 수 있다.
메모리(700)는, 차량 운행 기록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700)는,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700)(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700)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자제어유닛(200)은,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었음에도 차량 가속도가 증가하는 상태인 급발진 상태가 발생된 경우, 급발진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의 값과, 차량 속도와, 차량 가속도를 메모리(700)에 저장한다. 나아가, 급발진 상태에서의 브레이크등(300)의 발광 강도와 비상등(400)의 점멸 주기를 메모리(700)에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급발진 상태에서 누름 압력의 값과, 차량 속도와, 차량 가속도, 브레이크등(300)의 발광 강도, 및 비상등(400)의 점멸 주기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700)에 저장되므로, 추후에 운전자가 급발진에 대처하여 브레이크를 힘껏 밟았다는 입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급브레이크에 대한 운전자의 처리 대응에 대한 입증 자료로서 후방 카메라가 활용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는, 차량 후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 후면의 밖으로 돌출되어 차량 후방을 비출 수 있는 거울(900)과,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800)를 마련한다. 전자제어유닛(200)은, 평소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900)이 차량 후면에 수납시켜 돌출되지 않으며, 반면에, 급발진 상태가 발생되면 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900)을 차량 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거울(900)의 면이 차량 후면의 비상등(400) 및 브레이크등(300)을 비추도록 한다. 따라서 후방 카메라(800)를 통해 거울(900)의 면을 촬영함으로써, 비상등(400) 및 브레이크등(300)의 동작 영상이 녹화될 수 있어, 추후에 급발진 사고의 입증시에 녹화된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거울(900)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체의 구성은 슬라이딩체 등의 공지된 다양한 구동체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은 차량 속도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서 상기 비상등(400) 및 브레이크등(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
200:전자제어유닛
300:브레이크등 400:비상등
500:차량 속도 파악부 600:차량 가속도 산출부
700:메모리

Claims (8)

  1.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압력 감지 센서;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브레이크등;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점멸되는 발광을 수행하는 비상등; 및
    상기 누름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브레이크등을 발광하며, 아울러, 상기 누름 압력의 시간당 압력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전자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어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비상등의 점멸 주기를 빠르게 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누름 압력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등의 발광 강도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브레이크등을 발광시키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누름 압력이 높아질수록 상기 브레이크등의 발광 강도를 높여가며 브레이크등을 발광시키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된 후 차량이 정차된 경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등의 점등과 비상등의 점멸을 유지하며, 비상등 버튼에 대한 운전자의 누름이 감지될 때에 브레이크등의 점등과 비상등의 점멸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 속도 파악부;
    측정되는 차량 속도를 모니터링하여 차량 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차량 가속도 산출부; 및
    차량 운행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브레이크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급브레이크가 발생되었음에도 상기 차량 가속도가 증가하는 상태인 급발진 상태가 발생된 경우, 상기 급발진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는 운전자의 누름 압력의 값과, 차량 속도와, 차량 가속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발진 상태에서의 상기 브레이크등의 발광 강도와 상기 비상등의 점멸 주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는,
    차량 후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후면의 밖으로 돌출되어 차량 후방을 비출 수 있는 거울;
    차량 후면에 마련되어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급발진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거울을 차량 후면에서 외부로 돌출시켜 상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상기 거울을 촬영하는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KR1020160056684A 2016-05-09 2016-05-09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KR20170126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684A KR20170126357A (ko) 2016-05-09 2016-05-09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684A KR20170126357A (ko) 2016-05-09 2016-05-09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357A true KR20170126357A (ko) 2017-11-17

Family

ID=6080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684A KR20170126357A (ko) 2016-05-09 2016-05-09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3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994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등
EP0957000B1 (en) Progressive brake light system
US5736926A (en) Brake light warning system
KR20170126357A (ko) 차량 브레이크 연동 장치
KR101743144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101594562B1 (ko) 차량용 제어장치
US6456196B1 (en) Signalling means for a vehicle
US7242287B1 (en) Vehi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JPH05509276A (ja) 濳在的な危険の表示信号を自動的に発信する装置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WO200105313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brake-light arrangement
KR0138075Y1 (ko) 차량의 후방조명장치
KR0121583Y1 (ko) 자동차 보조 제동등 동작 감지장치
KR200404553Y1 (ko) 자동차 비상등 자동 점멸, 해제 기능을 가지는 안전 장치
KR101483441B1 (ko) 속도계 전류값 변위를 이용한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장치 및 방법
CN116353473A (zh) 一种机动车制动警示的方法及装置
KR19980060152U (ko) 자동차용 급제동 표시 장치
KR19980030282A (ko) 자동차 제동등의 위험경고 시스템
KR20070104739A (ko) 풋브레이크 연동 자동 비상등 구동 장치 및 방법
KR19980014502A (ko) 자동 경보등 점멸장치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20080075666A (ko) 자동차 기울기 및 빛 감지 센서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램프가 점멸되는 시스템
KR19990021348U (ko) 차량의 브레이크램프 점등장치
KR19980022343U (ko) 주차브레이크 제동상태 경고장치
JPH04325331A (ja) 自動車の急減速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