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467A -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467A
KR20170124467A KR1020170055411A KR20170055411A KR20170124467A KR 20170124467 A KR20170124467 A KR 20170124467A KR 1020170055411 A KR1020170055411 A KR 1020170055411A KR 20170055411 A KR20170055411 A KR 20170055411A KR 20170124467 A KR20170124467 A KR 2017012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onditions
cultured
normal oxygen
peripheral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184B1 (ko
Inventor
이경미
박현성
문윤원
임선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12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6Natural killers cells [NK], NK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3Natural-killer cells [NK or NK-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2Atmosphere, e.g. low oxygen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02Interleukin-2 (IL-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1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blood or immune system cells
    • C12N2506/115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blood or immune system cells from monocytes, from macroph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말초혈액 단핵구와 영양세포를 사이토카인 하에서 정상산소 조건에서 공배양하여 유도된 NK 세포를 저산소 조건으로 옮겨 증식 배양할 경우 정상산소 조건에서만 연속 배양된 NK 세포에 비해 세포 증식이 높고, 세포사가 완화되며, 암세포 살상능이 증가하며, 노화가 감소되어 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우수한 입양 면역 세포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Method of expansion of immune cell under hypoxic culture condition}
본 발명은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 NK 세포를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 후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여 암세포 살상능을 향상시키고, 체내에서 오래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양 면역 세포치료제는 세포를 체외에서 활성화시켜 환자에게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지상 세포, T 세포, NK 세포가 임상적용을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NK 세포는 선천 면역세포 중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를 살상가능하고 항원 유무에 관계없이 암세포를 인식하기 때문에 항암치료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나, 실제 임상 시험에서 뚜렷한 완치 효과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특히 말기암 환자의 경우 커다란 종양 조직에서 발생하는 면역회피 기전으로 인해 주입해준 면역세포가 활성저하를 일으키며, 암세포 공격능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러한 면역회피 기전에 대한 커다란 원인은 종양의 내부가 저산소 환경이고 이러한 환경이 NK 세포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살상할 수 없는 여건을 제공함으로 고형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체내는 조직에 따라 3% (말초조직)에서 14% (폐)의 산소 분압을 나타내며 이보다 낮은 산소 농도 상태를 저산소 상태로 칭하며 흔히 0.5%에서 3%를 가리킨다. 저산소 조건에서 종양세포는 성장 유지 및 촉진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정상세포와 면역세포는 저산소 상태에서 잘 성장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의 경우에 주로 저산소 조건이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K 세포에서는 1% O2에서 배양 시 주요 활성화 수용체인 NKp30, NKp44, NKp46, NKG2D가 하향조절(downregulation) 되며 정상세포 조건에서 키운 NK 세포에 비해 암세포 살상능이 저하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NK 세포를 체외 확장 시 여러 농도의 저산소 조건에 미리 노출시켜 저산소 환경에서 적응시킨 후, 상기 NK 세포를 환자의 몸 속에 주입하였을 때 암 조직 내의 저산소 조건에서도 항암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배양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35102호 (2014.03.2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0927호 (2002.07.19)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 후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을 통해 유도되고, 암세포 살상능이 개선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암세포 살상능이 개선된 NK 세포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적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 하에서 말초혈액 단핵구 및 영양세포(feeder cell)를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3일 내지13일 동안 배양한 다음, 산소 분압이 1% 내지 5%인 저산소 조건에서 5일 내지 30일 동안 추가 배양하여 자연살해세포(NK 세포)를 유도 및 증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에 비해 암세포 살상능이 향상된 NK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암세포 살상능이 향상된 NK 세포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에 비해 CD107a, NKp44, 퍼포린(perforin), 그랜자임 B(Granzyme B)의 발현이 증가되고, IFN-gamma의 분비가 증가되며, p16의 발현이 감소된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NK 세포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암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말초혈액 단핵구에서 NK 세포를 유도 및 증식 배양함에 있어 먼저 정상산소 조건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배양 후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여 유도 및 증식된 NK 세포의 경우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 및 증식된 NK 세포에 비해 세포 증식이 촉진되고, 세포사가 감소되며, 노화가 억제되고, 암세포 살상능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NK 세포는 생체 내에서 생존기간이 길고 암세포 살상능이 우수하여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입양 면역 세포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말초혈액 단핵구로부터 NK 세포를 유도 및 증식함에 있어 산소 조건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말초혈액 단핵구를 정상산소 조건(20%) 또는 저산소 조건(0.5%, 1.5%)에서 3주간 배양하거나, 정상산소 조건에서 9일간 배양한 후 저산소 조건(1.5%)에서 추가 배양하면서 측정된 세포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 후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여 유도된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의 증식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의 세포사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2C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의 다양한 산소 조건에서의 흑색종 세포주인 A375 세포에 대한 살상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의 활성화수용체와 억제 수용체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에서 노화 마커인 p1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이종이식 혈액암 모델에서 정상산소 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와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 하에서 말초혈액 단핵구 및 영양세포(feeder cell)를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3일 내지 13일 동안 배양한 다음, 산소 분압이 1% 내지 5%인 저산소 조건에서 5일 내지 30일 동안 추가 배양하여 자연살해세포(NK 세포)를 유도 및 증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상산소 조건은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세포 배양 조건을 의미하고, 저산소 조건은 산소 분압이 1% 내지 5%, 또는 1.5% 내지 3%인 세포 배양 조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은 정상산소 조건에서 말초혈액 단핵구를 일정 기간 배양하고,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여 NK 세포를 유도 및 증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토카인 하에서 말초혈액 단핵구를 영양세포와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3일 내지 13일 동안 배양하고, 산소 분압이 1% 내지 5%인 저산소 조건에서 5일 내지 30일 동안 추가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말초혈액 단핵구는 정상 또는 암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양세포는 방사선 조사된 Jurkat 세포 및 방사선 조사된 EBV-LCL 세포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영양세포는 방사선 조사된 Jurkat 세포 및 방사선 조사된 EBV-LCL 세포를 약 1:1의 세포수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말초혈액 단핵구와 영양세포는 약 1:1의 세포수의 비율로 혼합하여 공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인터루킨-2(IL-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도된 NK 세포는 CD3-CD56+ 표현형을 갖는 세포일 수 있다.
상기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에 사용하는 배지는 혈청이 첨가된 공지의 세포배양배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혈청은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공지의 혈청의 종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에 따른 NK 세포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 대비 세포수가 많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정상산소 조건에서 동안 배양한 다음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한 경우의 세포수를 확인한 결과, 배양 3일 미만일 때 저산소 조건(1.5% 또는 0.5%)로 옮긴 경우 NK 세포는 거의 증식하지 않았으나, 정상산소 조건에서 9일 배양 후 저산소 조건으로 옮겨 준 경우 NK 세포의 증식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수득율이 현저히 높았다. 세포 증식을 비교한 결과, 증식율이 약 60% 정도 증가되어 있으며, 세포사 확인 실험에서는 약 50% 정도 감소되어 있으며, 암세포 살상능 조사에서는 20% 내지 40% 정도 암세포 살상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NK 세포를 저산소 조건에서 암세포 살상능을 실험한 결과, 정상산소 조건에서 연속 배양한 NK 세포 대비 고형암에 대한 암세포 살상능이 뛰어났고, 이 NK 세포는 CD107a(살상능 척도)의 발현이 높을 뿐만 아니라 IFN-γ의 분비가 증가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NK 세포의 활성화수용체 및 억제수용체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활성화수용체인 NKp44와 암세포 살상능에 관계된 분자인 퍼포린(perforin), 그랜자임 B(Granzyme B)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다.
또한, 노화 마커인 p16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어 정상산소 조건에서 연속 배양된 NK 세포 대비 노화가 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종이식 혈액암 모델에서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 후 저산소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여 유도된 NK 세포는 정상조건에서 유도된 NK 세포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암세포 살상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NK 세포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에 비해 암세포 살상능이 향상된 NK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암세포 살상능이 향상된 NK 세포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에 비해 CD107a, NKp44, 퍼포린(perforin), 그랜자임 B(Granzyme B)의 발현이 증가되고, IFN-gamma의 분비가 증가되며, p16의 발현이 감소된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NK 세포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암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 비트로, 인 비보 또는 엑스 비보에서 진단적 또는 치료적 용도에 적합한 조성물을 이루는 활성성분 및 활성 또는 무활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은 고형암, 혈액암 등을 포함하며, 이에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치료" 란 질환과 관련된 임상적 상황을 억제하거나 완화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증가된 생존을 의미할 수 있다. 치료는 치료적 수단 이외에 예방적 수단을 동시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체"는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생쥐, 인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또는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조직 또는 장기에 주입하기에 적합한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등장성 멸균 용액, 또는 경우에 따라 멸균수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주사 가능한 용액이 될 수 있는 건조 제제(특히 동결 건조제제)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진제,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및 활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되어야 할 특정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하거나 전적으로 중지시키는 데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K 세포의 배양
사람의 혈액을 채혈한 후, Ficoll(Ficoll-paqueTM PLUS, GE healthcare)을 이용하여 2,5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연막층(buffy coat)에서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그 후 100 Gy로 방사선 조사한 Jurkat 세포주와 방사선 조사한 EBV-LCL 세포주를 사용하여 IL-2 500 U/ml 존재 하에 1:0.5:0.5의 비율로 RPMI1640 배지에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넣은 hRPMI 배지에 공배양하여 2-3일 마다 한 번씩 IL-2가 500 U/ml로 첨가된 hRPMI 배지로 교환을 해 주면서 배양을 하였다.
상기 배양은 9일간 정상산소 조건에서 수행한 후 1.5% O2 조건으로 이동하여 약 3주간 더 수행하였다. 이때 한번씩 IL-2가 500 U/ml로 첨가된 hRPMI 배지로 교환해 주면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세포수 측정
저산소 조건이 NK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방식대로 정상산소 조건(20%) 및 저산소 조건(0.5% 및 1.5%)에서 말초혈액 단핵구를 3주간 배양하거나, 정상산소 조건(20%)에서 9일간 배양한 후 저산소 조건(1.5%)으로 이동하여 3주간 배양하면서 헤마토사이토미터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한번씩 IL-2가 500 U/ml로 첨가된 hRPMI 배지로 교환해 주면서 배양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산소 조건에서는 세포수가 증가하나, 저산소 조건에서는 세포가 증식하지 않거나 미비한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상산소 조건에서 9일간 배양한 후 저산소 조건으로 옮긴 경우(20%→1.5%)에는 정상산소 조건보다 월등히 높은 정도로 지속적인 세포 증식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2> NK 세포의 증식, 세포사 및 암세포 살상능 측정
정상산소 조건(20% O2)에서 연속 배양된 NK 세포(Normoxia)와,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 5일 후 저산소 조건(1.5% O2)(Hypoxia)으로 옮겨 배양한 NK 세포의 Ki67 발현을 비교하여 세포 증식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배양한 세포를 각각 3×105 세포를 취한 후 Percp-labeled CD3 mAb, APC-labeled CD56mAb로 염색한 후 CD3-CD56+인 세포의 세포 증식을 확인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Annexin V, 7AAD를 염색하여 세포사를 확인하였다.
또한, 타겟 세포로 K562, A375 세포를 준비한 후 Chromium으로 1시간 동안 표지(labeling)한 후 NK 세포와 1:1의 비율로 공동 배양한 다음 4시간 후 상층액을 취해서 감마 카운터(gamma counter)로 동위원소 값을 확인하였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NK 세포의 증식율이 약 60% 정도 증가되었고,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세포사가 약 50% 정도 감소되었다.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암세포 살상능이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세포보다 20-40% 증가되었다.
<실험예 3> 산소 농도별로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 측정 실험
산소 농도별, 0.5%, 1.5% 및 20%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을 측정하였다.
타겟 세포로 A375 세포를 준비한 후 NK 세포와 타겟 세포를 1:1 비율로 섞어 1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고 FITC labeled anti CD107a mAb를 2.5㎕ 넣고 Golgi stop(BD pharmingen)을 넣은 후 5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Percp-labeled CD3 mAb, APC-labeled CD56mAb를 넣고 4℃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Intracellular FACS를 위해 세포를 FACS 버퍼로 세척하고, 고정시킨 후 BD cytoperm/cytofix kit(BD Pharmingen, San Diego, CA)로 투과시켜 PE-labeled IFN-g mAb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3은 산소 농도별로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을 확인한 결과로,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NK 세포 대비 고형암에 대한 암세포 살상능이 더 뛰어났다.
또한,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NK 세포가 CD107a(살상능 척도)의 발현이 높고, IFN-γ의 분비가 증가되어 있었다.
<실험예 4> NK 세포의 활성화수용체 및 억제수용체 변화 측정 실험
정상산소 조건(20% O2)에서 배양된 NK 세포와 배양 5일째에 저산소 조건(1.5% O2)으로 옮겨 배양된 NK 세포의 활성화수용체 및 억제수용체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NK 세포의 활성화수용체인 NKp44와 암세포 살상능에 관계된 분자인 퍼포린(perforin), 그랜자임 B(Granzyme B)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실험예 5> NK 세포의 노화 마커 발현 측정 실험
정상산소 조건(20% O2)에서 연속 배양된 NK 세포와 배양 5일째에 저산소 조건(1.5% O2)으로 옮겨 배양된 NK 세포의 노화 마커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23일째에 p16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나,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경우 상대적으로 발현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저산소 조건으로 옮겨 배양한 NK 세포가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NK 세포에 비해 노화가 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이종이식 혈액암 동물 모델에서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 측정 실험
이종이식 혈액암 동물 모델에서 정상산소 조건과 배양된 NK 세포와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 9일째에 저산소 조건(1.5% O2)으로 옮겨 배양된 NK 세포의 체내 암세포 살상능을 확인하기 위해, 7~8주령 NSG 마우스에서 PKH로 표지한 인간 T 세포 림프 아세포(T lymphoblastoid cell line) CEM을 마우스 복강내에 5×106 주입하고 NK 세포를 1×107 씩 주입하여 48시간 후에 복강내에 남아 있는 암세포를 수거하여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산소 조건으로 옮겨 배양한 NK 세포가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NK 세포 대비 혈액암에 대한 암세포 살상능이 더 뛰어났다.

Claims (5)

  1. 사이토카인 하에서 말초혈액 단핵구 및 영양세포(feeder cell)를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3일 내지 13일 동안 배양한 다음, 산소 분압이 1% 내지 5%인 저산소 조건에서 5일 내지 30일 동안 추가 배양하여 자연살해세포(NK 세포)를 유도 및 증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말초혈액 단핵구는 정상 또는 암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유래된 것인,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영양세포는 방사선 조사된 Jurkat 세포 및 방사선 조사된 EBV-LCL 세포를 포함하는,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이토카인은 인터루킨-2(IL-2)를 포함하는, NK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배양 방법.
  5. 산소 분압이 20% 내지 22%인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에 비해 암세포 살상능이 향상된 NK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암세포 살상능이 향상된 NK 세포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의 NK 세포에 비해 CD107a, NKp44, 퍼포린(perforin), 그랜자임 B(Granzyme B)의 발현이 증가되고, IFN-gamma의 분비가 증가되며, p16의 발현이 감소된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0055411A 2016-04-29 2017-04-28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 KR101968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18 2016-04-29
KR20160053418 201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467A true KR20170124467A (ko) 2017-11-10
KR101968184B1 KR101968184B1 (ko) 2019-04-15

Family

ID=6016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11A KR101968184B1 (ko) 2016-04-29 2017-04-28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8184B1 (ko)
WO (1) WO20171887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39A1 (ko) 2018-05-31 2019-1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Igfbp2를 이용한 사람 유래 자연살해세포의 확장배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5265A1 (en) * 2017-03-08 2018-09-13 Nantcell, Inc. Hypoxic nk cells and methods therefor
MY197176A (en) 2018-02-01 2023-05-30 Nkmax Co Ltd Method of producing natural killer cell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KR20230060099A (ko) 2021-10-27 2023-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Il-23을 이용하여 종양미세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자연살해세포 증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927A (ko) 2000-01-12 2002-07-19 이종원 저산소조건에서 동물세포 배양시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방법
KR20140035102A (ko) 2012-09-13 2014-03-21 (주)케이셀바이오 100㎖ 이하 말초혈액으로부터 nk세포의 대량 증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534B1 (ko) * 2012-05-07 2015-05-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말초혈액단핵구 유래 자연 살해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927A (ko) 2000-01-12 2002-07-19 이종원 저산소조건에서 동물세포 배양시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방법
KR20140035102A (ko) 2012-09-13 2014-03-21 (주)케이셀바이오 100㎖ 이하 말초혈액으로부터 nk세포의 대량 증식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BC. April 2016, M116.721753. *
JBC. April 2016, M116.72175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39A1 (ko) 2018-05-31 2019-1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Igfbp2를 이용한 사람 유래 자연살해세포의 확장배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790A1 (ko) 2017-11-02
KR101968184B1 (ko) 201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nardo et al. Mesenchymal stromal cells: sensors and switchers of inflammation
CN105008521B (zh) 调节干细胞的免疫调节作用的方法
KR101851270B1 (ko) 자연 살해세포의 대량증식 방법 및 배양용 조성물
KR101968184B1 (ko)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증식 배양 방법
Geller et al. Intraperitoneal delivery of human natural killer cells for treatment of ovarian cancer in a mouse xenograft model
Van den Bergh et al.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with silenced PD-1 ligands and transpresenting interleukin-15 stimulate strong tumor-reactive T-cell expansion
TWI572718B (zh) 免疫抑制細胞及其製造方法和組成物
Zhan et al. IFN-γ differentially regulates subsets of Gr-1+ CD11b+ myeloid cells in chronic inflammation
KR101400900B1 (ko) 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연살해세포 분화 또는 활성 증진용 조성물
US11981924B2 (en) Composition for culturing NK cells and method for culturing NK cells using same
JP2013006793A (ja) Nk細胞を増幅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Foley et al. Th2 cell therapy of established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requires IL-4 and IL-10 and is abrogated by IL-2 or host-type antigen-presenting cells
US1109696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gulatory T cell-mediated diseases
KR101145391B1 (ko) 말초혈액으로부터 자연 살해세포의 증식 방법
EP3967753A2 (en) Method for culturing allogeneic immune cell, immune cell culture obtained thereby, and immune cell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same
KR101432881B1 (ko) 레티날 또는 레티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의 독성 억제를 위한 세포보호용 조성물
KR20200118449A (ko)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내성 자연 살해 세포
US20210277358A1 (en) METHOD FOR PRODUCING MEMORY-LIKE NK CELLS WITH ABILITY TO EXPRESS HIGHER LEVELS OF NCRS, CYTOTOXICITY, AND IFN-y THAN NK CELLS IN HUMAN PERIPHERAL BLOOD
KR101932840B1 (ko) 용해성 pd-l1이 처리된 면역조절능을 갖는 골수유래억제세포 및 이의 용도
KR20200144060A (ko) 건강한 사람의 면역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nk 세포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Bernink The biology of human innate lymphoid cells
Kuhn Using natural adjuvants to stimulate anti-tumour immune responses
Khan Repolarisation of the Immune-suppressive Millieu of the Ovarian Tumour using Targeted
Mikhailova Characterization of a Novel Dendritic Cell Population
Cha MARRYING IMMUNOTHERAPY AND CHEMOTHERAPY: A CANCER THERAPY BASED ON T LYMPHOCYTE EXPANSION AUGMENTED BY ALTERNATE GAMMA CHAIN CYTOKINES AND GEMCITABINE-MEDIATED INHIBITION OF MYELOID DERIVED SUPPRESSO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