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922A -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922A
KR20170123922A KR1020160053246A KR20160053246A KR20170123922A KR 20170123922 A KR20170123922 A KR 20170123922A KR 1020160053246 A KR1020160053246 A KR 1020160053246A KR 20160053246 A KR20160053246 A KR 20160053246A KR 20170123922 A KR20170123922 A KR 20170123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group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199B1 (ko
Inventor
이광억
허미정
박준구
황준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5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19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8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 측위 방법은, (a)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1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기초로,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1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2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2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신호세기, 상기 제1 배치정보 및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 중 하나를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A method for precise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RSSI and DOP information of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기반한 고정밀 측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한 측위 방법은, 다수 개(보통 3개 이상)의 기지국 신호가 수신 가능한 지역에 놓인 수신 단말(이하 단말)이 RSSI 감쇄모델(Attenuation Log Model)을 이용하여 각 기지국과의 거리를 계산한 후, 순차적으로 신호 세기가 센(물리적으로는 거리가 가까운) 기지국 정보(기지국의 위치정보, 계산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triangulation)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또는, 수신 단말이 측정한 신호세기 정보를 위치결정 기능개체(PDE: Position Determination Entity)로 전송하면, PDE에서 해당 단말에 신호를 보내는 기지국 정보를 이용해 해당 단말의 위치를 삼각 측량으로 결정한 후 단말에 계산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 방법의 측위 정확도는, RSSI 측정치에 감쇄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된 거리정보의 정확도와 비례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실내와 같이 다중경로가 크게 나타나는 전파 환경하에서는 기존 RSSI 감쇄모델은 큰 거리 계산 오차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전파 환경하에서도 수 m 정도의 거리 오차를 나타내므로, 이를 기반하여 삼각 측량된 위치 오차도 수 m 이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복도와 구분구간으로 구성된 실내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위치 구분에 필요한 3m 이내의 위치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고정밀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RSSI를 이용한 삼각측량 방법에 위치결정에 연관된 기지국의 비교 배치정보를 추가로 고려한 고정밀 측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1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기초로,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1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2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2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신호세기, 상기 제1 배치정보 및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 중 하나를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신호세기가 큰 순서에 따라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을 상기 제1그룹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삼각측량(triangulation)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 다음으로 큰 신호세기를 가지는 제4기지국을 상기 제2그룹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제1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에 대한 제1 선정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4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그룹에 대한 제2 선정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선정지표와 상기 제2 선정지표 중 더 작은 값에 대한 그룹을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삼각측량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신호세기를 이용한 측위 방법은 다중경로 환경 등의 열악한 전파 환경하에서 낮은 정확도의 위치 정보를 주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환경하에서도 보다 정밀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정보의 안정성과 활용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RSSI를 이용한 삼각측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기준 기지국이 선정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기준 기지국이 선정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RSSI를 이용한 삼각측량 방법에 위치결정에 연관된 기지국의 비교 배치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고정밀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1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기초로,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이어서,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1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2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2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신호세기, 상기 제1 배치정보 및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 중 하나를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S140)가 진행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S110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신호세기가 큰 순서에 따라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을 상기 제1그룹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S110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삼각측량(triangulation)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 다음으로 큰 신호세기를 가지는 제4기지국을 상기 제2그룹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제1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에 대한 제1 선정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4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그룹에 대한 제2 선정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제1 선정지표와 상기 제2 선정지표 중 더 작은 값에 대한 그룹을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삼각측량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RSSI를 이용한 삼각측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기지국 중 신호세기가 강한(RSSI가 큰,
Figure pat00001
) 순서로 상위 세 개의 네트워크 기지국을 선정한다.
실시 예로서, 신호세기가 큰 순서인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을 제1그룹의 기지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세기가 강한 것으로 선정된 세 개의 네트워크 기지국 정보(
Figure pat00002
)를 이용해 일반적인 삼각측량 방법으로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
Figure pat00003
)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기지국(비교 위치 결정에 연관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비교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 이하 DOP)를 하기의 과정을 통해 계산한다. 이때, 비교 배치정보는 제1 배치정보를 의미한다.
먼저, 수신단말에서 i 번째 기지국으로의 단위벡터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
Figure pat00005
)는 수신단말의 비교위치를 의미하고, (
Figure pat00006
)는 i 번째 기지국 위치를 의미한다.
이어서, i 번째 기지국으로의 단위벡터로 이루어진 시선각 행렬 A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그리고, 상호공분산행렬 Q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산출된 값들을 근거로, 비교 배치정보(DOP)는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그 다음으로, 3번째 크기의 RSSI 정보를 주는 기지국 정보
Figure pat00011
를 4번째 크기의 RSSI를 주는 기지국 정보
Figure pat00012
로 대체하여, 후보 배치정보(DOP1, 2, n)를 재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제3기지국을 제3기지국 다음으로 큰 신호세기를 갖는 제4기지국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4기지국을 제2그룹의 기지국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후보 배치정보(제2 배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후보 배치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시선각 행렬 A1,2,n와 상호공분산행렬 Q1,2,n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그 결과, 후보 배치정보는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16
그 다음으로, 측위에 연관된 기지국별 RSSI 정보와 앞서 산출된 비교 배치정보(제1 배치정보), 후보 배치정보(제2 배치정보)를 기지국 선정 알고리즘의 입력항으로 각각 두어, 비교 선정지표(제1 선정지표)와 후보 선정지표(제2 선정지표)를 도출한다.
이때, 선정지표는 다음의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17
상기 수학식 7에 근거하여, 비교 선정지표와 후보 선정지표는 다음의 수학식 8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이어서, 비교 선정지표와 후보 선정지표를 비교해, 작은 선정지표를 나타내는 기지국 조합을 측위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한다.
기준 기지국은 다음의 수학식 9(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20
도 3은 기준 기지국이 선정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 선정 알고리즘의 입력 값으로 RSSI 및 DOP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SSI 지표화 값과 DOP 지표화 값이 산출되고, 이를 근거로 기지국 선정지표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기지국 선정지표에 따라, 기준 기지국을 선정하게 된다.
실시 예로서,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의 RSSI 값과 DOP 값이 입력되면, 각각의 값에 대한 지표화 값이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8에 의해 비교 선정지표(제1 선정지표) 값이 산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n기지국의 RSSI 값과 DOP 값이 입력되면, 각각의 값에 대한 지표화 값이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8에 의해 후보 선정지표(제2 선정지표 또는 제n 선정지표) 값이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비교 선정지표와 후보 선정지표의 크기를 비교하여, 기준 기지국을 선정하게 된다.
도 4는 기준 기지국이 선정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선정지표(비교 선정지표)가 제2 선정지표(후보 선정지표)보다 작은 경우,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이 기준 기지국(A)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선정지표(비교 선정지표)가 제2 선정지표(후보 선정지표)보다 큰 경우,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4기지국이 기준 기지국(B)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후, 선정된 기준 기지국(측위 기준 기지국)을 이용해 삼각측량을 수행하고 수신 단말의 위치를 확정한다. 이 경우, 계산되는 위치의 정확도는 일정부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신호세기를 이용한 측위 방법은 다중경로 환경 등의 열악한 전파 환경하에서 낮은 정확도의 위치 정보를 주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환경하에서도 보다 정밀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정보의 안정성과 활용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a)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1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기초로,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1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1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제2그룹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와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2 배치정보(DOP: Dilution of Precision)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기지국의 신호세기, 상기 제1 배치정보 및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 중 하나를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신호세기가 큰 순서에 따라 제1기지국,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을 상기 제1그룹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삼각측량(triangulation)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비교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 다음으로 큰 신호세기를 가지는 제4기지국을 상기 제2그룹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3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제1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그룹에 대한 제1 선정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1기지국, 상기 제2기지국 및 상기 제4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제2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그룹에 대한 제2 선정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선정지표와 상기 제2 선정지표 중 더 작은 값에 대한 그룹을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기초로 삼각측량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측위 방법.
KR1020160053246A 2016-04-29 2016-04-29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KR10183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46A KR101831199B1 (ko) 2016-04-29 2016-04-29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46A KR101831199B1 (ko) 2016-04-29 2016-04-29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22A true KR20170123922A (ko) 2017-11-09
KR101831199B1 KR101831199B1 (ko) 2018-02-22

Family

ID=6038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246A KR101831199B1 (ko) 2016-04-29 2016-04-29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998A (ko) * 2018-06-15 2019-12-26 폴스타헬스케어(주) 비콘의 배치 패턴을 이용한 환자 위치 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962B2 (ja) * 1999-05-28 2004-09-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位置検出方法
JP2005142750A (ja) * 2003-11-05 2005-06-02 Motorola Inc 位置特定方法及び位置特定システム
JP5048021B2 (ja) * 2009-06-16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建物影響推定装置及び建物影響推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998A (ko) * 2018-06-15 2019-12-26 폴스타헬스케어(주) 비콘의 배치 패턴을 이용한 환자 위치 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199B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8084B (zh) 一种基于最优相似度的指纹定位方法及装置
US20160007160A1 (en) Mobile device position detection
CN108616854B (zh) 一种室内定位的方法及系统
CN112218306B (zh) 基站覆盖性能的预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0602736B (zh) 场强预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130281118A1 (e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proximity and context-based deduction of global positioning of computing devices
TWI544822B (zh) 訊號強度分佈建立方法及無線定位系統
US8467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ellular tower location
US20170339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US20230345407A1 (en)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measurement reporting device, and positioning server
KR101831199B1 (ko) 무선네트워크의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배치(DOP: 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방법
KR10247255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위치 추정 방법
Chruszczyk et al. Comparison of 2.4 and 5 GHz WLAN network for purpose of indoor and outdoor location
US20230296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requency selection in magnetic tracking systems
US20160223675A1 (en) Mobile terminal, posi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position identification device
KR20140119333A (ko)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US20160174147A1 (en) Access point selection for mobile device positioning
CN104154923A (zh) 用于基于定位信号进行道路匹配的设备和方法
WO201704723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99364B1 (ko) 가중치가 있는 tdoa 방식의 무선측위 방법
CN110207699B (zh) 一种定位方法和装置
US20230375657A1 (en) Anchor location calibration
KR102239506B1 (ko) 이동단말의 안정적인 고정밀 거리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82783B1 (ko) 측위 오차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12202896A (ja) 位置測定システム、位置測定装置および位置測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