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40A -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 Google Patents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840A
KR20170123840A KR1020160052979A KR20160052979A KR20170123840A KR 20170123840 A KR20170123840 A KR 20170123840A KR 1020160052979 A KR1020160052979 A KR 1020160052979A KR 20160052979 A KR20160052979 A KR 20160052979A KR 20170123840 A KR20170123840 A KR 2017012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mputer
seating plate
horizontal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인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인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인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5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840A/ko
Publication of KR2017012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컴퓨터가 설치되는 게임방에 설치되어 컴퓨터를 용이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게임방의 바닥에서 천정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 기둥부,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 사이에 체결되어 모니터가 장착되는 수평 가림판부 및 상기 수평 가림판의 상부에 체결되어 컴퓨터 본체를 상부에 안착시키는 컴퓨터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성의 파티션으로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고, 게임방 관리자는 컴퓨터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Partition for game room}
본 발명은 다수의 컴퓨터가 설치되는 게임방에 설치되어 컴퓨터를 용이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게임방의 바닥에서 천정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 기둥부,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 사이에 체결되어 모니터가 장착되는 수평 가림판부 및 상기 수평 가림판의 상부에 체결되어 컴퓨터 본체를 상부에 안착시키는 컴퓨터 안착판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구성의 파티션으로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고, 게임방 관리자는 컴퓨터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이란 다수개의 판넬과 상기 판넬들을 연결시키고 가장자리를 마무리하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제한된 실내공간을 분할하여 공간의 효율의 극대화로 업무의 능률 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아울러 창의적인 업무 환경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또한 파티션은 이동이나 재배치가 간단하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줌으로써 일반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서는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은 설비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파티션은 단순히 실내의 공간을 분할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었을 뿐, 게임방과 같은 다수의 컴퓨터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게임방의 특성에 다소 부족한 기능성을 가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일반적으로 게임방에 설치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책상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는 컴퓨터 책상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구성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게임방에 설치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책상의 위 또는 아래에 컴퓨터 본체가 위치되기 때문에 컴퓨터 책상의 사용가능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컴퓨터 본체가 컴퓨터 책상의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게임방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컴퓨터 본체를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다음은 게임방에 설치될 수 있는 파티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482호는 컴퓨터 내장형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컴퓨터 책상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각종의 부품소자를 탑재한 보드판이 삽입되어 컴퓨터 책상 상부의 파티션에 형성된 전원스위치와 각종 포트 및 램프, 스피커 등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파티션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파티션은 컴퓨터 책상 위의 사용가능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컴퓨터 본체에 구비되는 각종의 부품이 파티션 자체에 내장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부품의 유지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482호(2004.03.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5937호(2001.11.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5224호(2005.04.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8989호(2011.04.15.)
본 발명은 게임방용 파티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게임방용 파티션은 단순히 사용자의 시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일정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목적으로 게임방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컴퓨터 관리를 위한 편리성은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게임방용 파티션과 컴퓨터 책상이 결합된 구조의 파티션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게임방 내부공간에 모듈화하여 각각의 게임방에 일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아울러 일반적으로 복수의 컴퓨터가 설치되는 게임방의 특성상 다수의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이 게임방에 설치되는데, 상기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이 파티션 또는 컴퓨터 책상의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컴퓨터 본체를 파티션 또는 컴퓨터 책상의 일정부분에 내입시켜 관리하는 경우에는, 게임방의 관리자가 컴퓨터 본체를 관리하기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 기둥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 각각에 체결되며,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장착되는 판상의 수평 가림판부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림판부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며, 상부에 하나 이상의 컴퓨터 본체를 안착시키는 판상의 컴퓨터 안착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은 컴퓨터 본체 및 모니터를 일괄적으로 안착 또는 거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관리와 사용자의 편의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직 기둥부, 수평 가림판부 및 컴퓨터 안착판부를 상호 체결시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모듈화 가능하므로, 다양한 구조의 게임방 내부공간에 파티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수직 기둥부 및 수평 가림판부의 내부에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을 내입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고 사용자의 안전이 저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의 상부에 컴퓨터 본체를 안착시켜 사용가능하므로, 게임방의 관리자가 컴퓨터 본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컴퓨터 책상 및 컴퓨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을 나타내는 분리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측단면도.
도 7,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보조 수평바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더 구비된 보조 안착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더 구비된 보조 안착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다수의 컴퓨터가 설치되는 게임방에 설치되어 컴퓨터를 용이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에 체결되며, 하나 이상의 모니터(51)가 장착되는 판상의 수평 가림판부(20)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며, 상부에 하나 이상의 컴퓨터 본체(50)를 안착시키는 판상의 컴퓨터 안착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은 수직 기둥부(10), 수평 가림판부(20) 및 컴퓨터 안착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기둥부(10), 수평 가림판부(20) 및 컴퓨터 안착판부(30) 각각은 게임방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기 이전에 각각의 일정의 크기로 모듈화되어 제작된 이후, 시공되는 게임방의 내부공간에 상호 조립 또는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게임방용 파티션에는 컴퓨터 책상(52)이 인접되어 위치되거나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아울러 이하에서 '컴퓨터'라 칭함은 컴퓨터 본체(50) 및 모니터(51)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컴퓨터를 구성하는 별도의 구성품이 더 요구되는 경우에는 해당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기둥부(1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한 쌍의 구성으로서, 하기 수평 가림판부(20) 및 컴퓨터 안착판부(30)를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은 일정의 수직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직 기둥부(10)의 하부는 게임방 내부공간의 바닥에 고정체결되고, 수직 기둥부(10)의 상부는 게임방 내부공간의 천정에 고정체결되거나 게임방 내부공간의 일정부분에 고정되지 않은 채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는 각각의 수직 기둥부(10)가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하부가 바닥에 고정체결되고,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는 하기 수평 가림판부(20) 및 컴퓨터 안착판부(30)가 내재되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책상(52)이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 기둥부(10)의 내부에는 수직 기둥부(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에는 외부에서 컴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 및 인터넷과 같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이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수직 기둥부(10)에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이하, '메인케이블'이라 칭함.)을 내입시키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케이블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수직 기둥부(10)의 하부 또는 상부 말단에 형성될 수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수직 기둥부(10)로 인입될 수도 있고, 상기 수직 기둥부(1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케이블을 인입시키기 위한 중공과 연통되는 인입구(11)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수직 기둥부(10)의 일정부분에는 중공에 내입된 상기 메인케이블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수평 가림판부(20)와 수직 기둥부(10)가 연결 체결되는 연결부 또는 하기 컴퓨터 안착판부(30)와 수직 기둥부(10)가 연결 체결되는 연결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인출구(12)가 형성되어, 수직 기둥부(10)에서 인출된 메인케이블이 외부 노출없이 하기 수평 가림판부(20) 또는 컴퓨터 안착판부(30)로 인입된 후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게임방용 파티션이 도 7, 8과 같이 복수의 열을 이루며 일정 간격을 게임방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복수 개의 게임방용 파티션 일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수직 기둥부(10)에는 보조 수평바(13)가 더 설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수평바(13)는 복수 개의 게임방용 파티션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 기둥부(10)를 상호 연결시켜, 상기 수직 기둥부(1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어느 하나의 수직 기둥부(10)(어느 하나의 게임방용 파티션에 구비되는 수직 기둥부(10))에 형성되는 인출구(12)를 통하여 인출되는 메인케이블을 다른 하나의 수직 기둥부(10)(다른 하나의 게임방용 파티션에 구비되는 구직 기둥부)의 인입구(11)로 인입시켜 다른 열의 게임방용 파티션에 분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 수평바(13)는 어느 하나 열의 게임방용 파티션과 다른 하나 열의 게임방용 파티션 사이의 이격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전체 열의 게임방용 파티션의 이격간격을 아우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며, 보조 수평바(13)의 내부에는 메인케이블이 내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 가림판부(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에 체결되며, 하나 이상의 모니터(51)가 장착되는 판상의 구성으로서, 컴퓨터에 포함되는 모니터(51)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거치시킴과 동시에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 및 배면에서 서로 마주보며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시선을 차단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수평 가림판부(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길이방향과 수직한 폭은 수평 가림판부(20)의 높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중 일측 수직 기둥부(10)에 체결되고, 타단은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의 중 타측 수직 기둥부(10)에 체결되며, 수직 기둥부(10)에 대한 수평 가림판부(20)의 체결 위치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차단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수평 가림판부(20)에 의하여 형성된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에 형성된 공간과 배면에 형성된 공간 각각에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과 배면 각각에는 모니터(51)가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 및 배면 각각에는 복수 개의 모니터(51)가 수평 가림판부(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 장착되어 복수의 사용자가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 및 배면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모니터(51) 사이에는 수평 가림판부(20)와 체결되거나 미체결된 격벽이 설치되어 옆자리에 앉아 컴퓨터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간의 시선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격벽은 게임방 내부공간의 바닥까지 높이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상의 수평 가림판부(20)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전방의 시선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내부에는 수평 가림판부(2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중공(25) 또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25) 또는 내부공간에는 상기 수직 기둥부(10)의 중공(또는 인출구(12))에서 인출된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로 구성되는 메인케이블이 내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메인케이블이 중공(25) 또는 내부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26)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인입구(26)는 수직 기둥부(10)에 체결되는 수평 가림판부(20)의 어느 한쪽 이상의 말단에 형성되어, 수직 기둥부(10)와 수평 가림판부(20)의 말단이 상호 연결될 때 수평 가림판부(20)의 말단에 형성된 인입구(26)로서 메인케이블을 수직 기둥부(10)에서 직접 인입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평 가림판부(20)의 말단에 인입구(26)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가림판부(20)가 체결되는 수직 기둥부(10)의 연결부에는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인입구(26)와 대응되는 인출구(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부 또는 배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 인출구(27)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 인출구(27)를 통해서는 하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상부에 안착된 컴퓨터 본체(50)와 연결된 키보드 케이블 및 마우스 케이블 등이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가림판부(20)는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부와 배면부에 각각 착석한 사용자들 간의 시선을 차단하고, 모니터(51)가 장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가림판부(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에 체결되는 하부 프레임(21); 정면부 또는 배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모니터(51)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동일한 수평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되, 수직방향으로 모니터(51)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가지는 가림판(22) 및;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가림판(22)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상부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수평 가림판부(20)는 거시적으로 하부 프레임(21), 가림판(22) 및 상부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1)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25)이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21)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는 상기 중공(25)과 연통되는 보조 인출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3)은 상기 구성의 하부 프레임(21)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하기 가림판(22)의 상부가 고정체결되는 구성이다.
즉, 상부 프레임(23)은 가림판(22)의 상부를 고정체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동일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부 프레임(23)은 가림판(22)과 하기 컴퓨터 안착판부(30)를 연결시키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 프레임(21)보다는 구조적인 강도가 크게 요구되지 않고, 그 결과 도 4, 5와 같이 하부 프레임(2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일정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양단 일부를 절곡하여 양단 각각 또는 양단의 내부에 가림판(22)의 상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프레임(23)이 플레이트의 양단 일부가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23)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의 면적을 형성하며 체결되는 컴퓨터 안착판부(30)와의 체결력 및 컴퓨터 안착판부(30)의 하부를 더욱 보강시키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23)의 상부와 컴퓨터 안착판부(30)의 하부 사이에 보강플레이트(28)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플레이트(28)는 컴퓨터 안착판부(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보강플레이트(28)의 하부 중앙에 상기 상부 프레임(23)의 상부가 체결되어 상부 프레임(23)을 중심으로 보강플레이트(28)가 가상으로 양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판(22)은 정면부 또는 배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모니터(51)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동일한 수평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되, 수직방향으로 모니터(51)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일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차단하는 주된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가림판(22)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 형태의 것을 구성되어, 사용자의 답답함을 덜어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판(22)의 하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상부와 길이 방향으로 고정체결되고, 가림판(22)의 정면 및 배면에는 모니터(51)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림판(22)의 높이는 모니터(51)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형성하여, 가림판(22)의 높이와 하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모니터(51)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림판(22)에 장착되는 모니터(51)의 연결관계는 일정의 무게를 가지는 모니터(51)가 가림판(22)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림판(22) 또는 가림판(22)의 내부공간에는 일정 간격으로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 거치프레임(24)에 모니터(51)가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은 판상 또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판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가림판(22) 자체와 일체화되는 형태로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구성될 수 있고, 일정의 부피를 가지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가림판(22)의 내부공간에 상기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가림판(22)의 내부에 위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일정의 부피를 가지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 가림판(22)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은 가림판(22)의 내부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23)에 하부와 상부가 고정체결되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가림판(2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림판(22)의 일부는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림판(22)에 형성될 수 있는 내부공간은 단일의 가림판(22)의 내부에 일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상기 가림판(22)은 이중 가림판(22)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가림판(22)이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부와 배면부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 가림판(22)의 정면부에 해당하는 정면 가림판(22a)은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23)의 정면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부는 하부 프레임(21)의 정면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부 프레임(23)의 정면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중 가림판(22)의 배면부에 해당하는 배면 가림판(22b)은 상기와 반대로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23)의 배면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부는 하부 프레임(21)의 배면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부 프레임(23)의 배면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면 가림판(22a), 배면 가림판(22b), 하부 프레임(21) 및 상부 프레임(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이중 가림판(22) 사이에 내부공간에 해당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가림판(22)이 이중 가림판(22)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중 가림판(22)과 하부 프레임(21) 간의 체결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정면 상부 및 배면 상부에는 돌출리브(21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리브(21a)와 인접된 하부프레임의 상부에는 보강프레임(21b)이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리브(21a)와 보강프레임(21b) 사이에는 상기 이중 가림판(22)의 하부 일정부분이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리브(21a)와 보강프레임(21b) 사이에는 이중 가림판(22)의 하부가 내입될 수 있을 정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리브(21a)는 하부 프레임(21)의 상부 말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프레임(21b) 역시 판상의 플레이트가 각형으로 절곡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중 가림판(22)과 상부 프레임(23) 간의 체결 역시 상기 이중 가림판(22)의 하부와 하부 프레임(21) 간의 체결과 동일한 구성을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아울러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며, 상부에 하나 이상의 컴퓨터 본체(50)를 안착시키는 판상의 구성으로서, 발열이 많고 게임방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컴퓨터 본체(5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본체(5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는 하부가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와 체결되어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을 하는데, 이때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하부 중앙에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가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정면부 절반은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공간쪽으로 돌출되고, 컴퓨터 안착판부(30)의 배면부 절반은 수평 가림판부(20)의 배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공간쪽으로 돌출된다.
더불어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본체(50)가 안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컴퓨터 안착판부(30)에는 컴퓨터 본체(50) 구동을 위한 메인케이블이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홈(3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홈(33)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50)로 인출되는 메인케이블은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중공(25) 또는 내부공간을 통하여 연장된 후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에는 상부에 컴퓨터 본체(50)를 고정 안착시킴과 동시에, 필요시 컴퓨터 본체(50)를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까지 내릴 수 있는 보조 안착판(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컴퓨터 본체(50)를 컴퓨터 책상(52)의 상부가 위치한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까지 안전하고 편리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상부에 안착된 컴퓨터 본체(50)는 앉아 있는 사용자의 눈높이 이상의 높이에 위치되고, 게임방 관리자가 컴퓨터 본체(50)를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 본체(50)를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상부에서 내릴 때에는, 높은 위치에 있는 컴퓨터 본체(50)를 들어서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본체(50)에 내장된 각종의 전자 구성품은 충격에 매우 약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게임방 관리자가 높은 위치에 있는 컴퓨터 본체(50)를 컴퓨터 안착판부(30)의 하부로 내릴 때 충격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컴퓨터 본체(50)의 전자 구성품들이 손상될 수 있는 우려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에 더 구비되는 보조 안착판(32)은 보조 안착판(32)에 고정 안착된 컴퓨터 본체(50)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컴퓨터 책상(52)의 상부가 위치한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까지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일부가 보조 안착판(32)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고, 컴퓨터 안착판부(30)에 별도의 보조 안착판(32)이 더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는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메인 안착판(31)과;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안착판(31)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컴퓨터 본체(50)를 상부에 고정 안착시키는 보조 안착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메인 안착판(31)에서 일측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50)가 고정 안착된 보조 안착판(32)의 하부 일부분이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는 메인 안착판(31)과 보조 안착판(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안착판(31)은 컴퓨터 안착판부(3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보조 안착판(32)을 지지시키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 안착판(31)은 수평 가림판부(2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컴퓨터 안착판부(30)에서 보조 안착판(32)을 제외한 부분이 된다.
더불어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안착판(31)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바람직하게는 힌지 체결)되며, 컴퓨터 본체(50)를 상부에 고정 안착시키는 구성으로서, 게임방 관리자가 컴퓨터 본체(50)를 컴퓨터 안착판부(30)에서 내릴 때, 컴퓨터 본체(50)와 일체화되어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까지 내려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컴퓨터 본체(50)의 하부 또는 측부(컴퓨터 본체(50)가 뉘어있는 상태로 보조 안착판(32)에 고정 안착된 경우.)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보조 안착판(32)의 일측은 상기 메인 안착판(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즉, 도 9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메인 안착판(31)과 동일한 수평 위상으로 상부면을 형성하면서 상부에 컴퓨터 본체(50)를 고정 안착시킨 상태에서 메인 안착판(3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필요시에는 도 10, 11과 같이 보조 안착판(32)의 일측(도면 상에는 측부 양단)이 메인 안착판(31)에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보조 안착판(32)의 상부면이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일측을 중심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보조 안착판(32)의 상부에 고정 안착된 컴퓨터 본체(50)는 보조 안착판(32)과 함께 수직하게 회전된다. 물론 상기 컴퓨터 본체(50)는 보조 안착판(32)에 고정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조 안착판(32)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이후 컴퓨터 본체(50)가 고정 안착된 보조 안착판(32)의 하부 일부분은 보조 안착판(32)의 상부 일부분에서 분리되어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메인 안착판(31)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보조 안착판(32a)과 상기 상부 보조 안착판(32a)의 타측에 연결되어 컴퓨터 본체(50)를 고정 안착시키는 하부 보조 안착판(3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보조 안착판(32a)은 보조 안착판(32)의 일측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메인 안착판(31)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부 보조 안착판(32b)은 보조 안착판(32)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컴퓨터 본체(50)를 고정 안착시켜 필요시 컴퓨터 본체(50)를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까지 내려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 보조 안착판(32a)과 하부 보조 안착판(32b) 사이에는 일정한 수평 위상에 위치고정된 상부 보조 안착판(32a)에서 하부 보조 안착판(32b)이 하방으로 내려오거나 다시 올라 갈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부재(34)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4)는 도 11과 같이 다단식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식 레일의 일측은 상부 보조 안착판(32a)에 체결되고, 다단식 레일의 타측은 하부 보조 안착판(32b)에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보조 안착판(32b)의 내부에는 중공에 형성되어 상기 다단식 레일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하부 보조 안착판(32b)의 중공에 내입되고, 상기 다단식 레일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하부 보조 안착판(32b)의 중공에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 보조 안착판(32a)과 하부 보조 안착판(32b)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공압실린더(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압실린더(35)는 외부에서 강제적인 공압을 공급받지 않고, 공압실린더(35)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실린더의 중공에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도록 하여, 공압실린더(35)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보조 안착판(32b)의 하강속도를 늦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압실린더(35)는 상부 보조 안착판(32a)에서 하부 보조 안착판(32b)이 하방으로 내려올 때 하부 보조 안착판(32b)의 하강 속도를 늦추고, 하부 보조 안착판(32b)이 부드럽게 하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하부 보조 안착판(32b)이 하방 이동할 때 컴퓨터 본체(5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줄여 줄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 안착판(31)과 보조 안착판(32)의 연결부에는 메인 안착판(31)에 대한 보조 안착판(32) 일측의 회전 여부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잠금쇠(4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쇠(40)는 메인 안착판(31)에 대하여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체결되는 보조 안착판(32)의 회전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메인 안착판(31)에 보조 안착판(32)이 비회전된 상태에서는 잠금쇠(40)가 보조 안착판(32)을 메인 안착판(31)에 잠금시키고, 보조 안착판(32)을 메인 안착판(31)에서 회전시킬 때에는 잠금해제되어 보조 안착판(32)이 메인 안착판(31)에서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잠금쇠(40)는 메인 안착판(31)에 대한 보조 안착판(32)의 잠금 및 해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12와 같이 메인 안착판(31)에 구비되는 일측 잠금부(41)와, 상기 일측 잠금부(41)와 일부분이 걸림 또는 걸림해제가능한 타측 잠금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잠금부(41)는 메인 안착판(31)에 고정되는 고정레일(41a)과 상기 고정레일(41a)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이동블럭(41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측 잠금부(42)는 보조 안착판(32)의 일측에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블럭(41b)에 형성된 요홈(41c)에 걸리거나 걸림해제 가능한 걸림바(4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안착판(31)에 보조 안착판(32)이 비회전된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블럭(41b)은 고정레일(41a)에 체결된 상태에서 보조 안착판(32) 쪽으로 위치되어 보조 안착판(32)에 구비된 걸림바(42)와 이동블럭(41b)의 요홈(41c)이 걸림을 형성하여, 걸림바(42)가 구비된 보조 안착판(32)이 메인 안착판(31)과 동일하게 수평한 상태(상부면이 수평한 상태를 가짐.)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반대로 보조 안착판(32)이 하방으로 회전되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이동블럭(41b)은 고정레일(41a) 상에서 보조 안착판(32)의 반대쪽으로 이동(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됨.)하여 이동블럭(41b)의 요홈(41c)과 걸림바(42)의 걸림이 해제되고, 그 결과 보조 안착판(32)의 일측은 메인 안착판(31)에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수직 기둥부 11 : 인입구
12 : 인출구 13 : 보조 수평바
20 : 수평 가림판부 21 : 하부 프레임
21a : 돌출리브 21b : 보강프레임
22 : 가림판 22a : 정면 가림판
22b : 배면 가림판 23 : 상부 프레임
24 : 모니터 거치프레임 25 : 중공
26 : 인입구 27 : 보조 인출구
28 : 보강플레이트 30 : 컴퓨터 안착판부
31 : 메인 안착판 32 : 보조 안착판
32a : 상부 보조 안착판 32b : 하부 보조 안착판
33 : 케이블홈 34 : 슬라이딩부재
35 : 공압실린더 40 : 잠금쇠
41 : 일측 잠금부 41a : 고정레일
41b : 이동블럭 41c : 요홈
42 : 타측 잠금부, 걸림바 50 : 컴퓨터 본체
51 : 모니터 52 : 컴퓨터 책상

Claims (7)

  1.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하부가 바닥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에 체결되며, 하나 이상의 모니터(51)가 장착되는 판상의 수평 가림판부(20)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며, 상부에 하나 이상의 컴퓨터 본체(50)를 안착시키는 판상의 컴퓨터 안착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기둥부(10) 및 수평 가림판부(20)는,
    전원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는 메인케이블이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림판부(2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기둥부(10) 각각에 체결되는 하부 프레임(21);
    정면부 또는 배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모니터(51)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동일한 수평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되, 수직방향으로 모니터(51)의 높이보다 긴 높이를 가지는 가림판(22) 및;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가림판(22)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상부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22)은,
    이중 가림판(22)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가림판(22)이 수평 가림판부(20)의 정면부와 배면부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중 가림판(22)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모니터(51)를 장착시키는 모니터 거치프레임(24)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에는,
    상부에 컴퓨터 본체(50)를 고정 안착시킴과 동시에, 필요시 컴퓨터 본체(50)를 수평 가림판부(20)의 하부까지 내릴 수 있는 보조 안착판(32)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는,
    수평 가림판부(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메인 안착판(31)과;
    상기 컴퓨터 안착판부(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안착판(31)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컴퓨터 본체(50)를 상부에 고정 안착시키는 보조 안착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안착판(32)은 메인 안착판(31)에서 일측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50)가 고정 안착된 보조 안착판(32)의 하부 일부분이 하방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안착판(31)과 보조 안착판(32)의 연결부에는,
    메인 안착판(31)에 대한 보조 안착판(32) 일측의 회전 여부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잠금쇠(40)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KR1020160052979A 2016-04-29 2016-04-29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KR20170123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79A KR20170123840A (ko) 2016-04-29 2016-04-29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79A KR20170123840A (ko) 2016-04-29 2016-04-29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40A true KR20170123840A (ko) 2017-11-09

Family

ID=6038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79A KR20170123840A (ko) 2016-04-29 2016-04-29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8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938A (ko) 2022-01-26 2023-08-02 김창권 파티션용 통신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938A (ko) 2022-01-26 2023-08-02 김창권 파티션용 통신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195B1 (en) Floor system
US11098481B2 (en) Canopy system and group suspension system therefore
US7036438B2 (en) Desk system
EP2859812B1 (en) Console furniture and features thereof
US6076317A (en) Lightweight bridge for office panelling systems
US20020011193A1 (en) Work space management and furniture system
CA2974145C (en) Workstation with cable containment
US6042203A (en) Mounting assembly for work station console
JP2001146803A (ja) 電化壁パネルシステム
US20010034987A1 (en) Floor System
KR20170123840A (ko) 컴퓨터 거치가 가능한 게임방용 파티션
JP2016107168A (ja) 実験用什器の配線構造
CA2863757C (en) Modular walls with seismic-shiftability
EP3008257B1 (en) Modular wall installation
JP7064341B2 (ja) 天板昇降式什器
KR101895598B1 (ko) 책상을 포함하는 파티션
JP2004136008A (ja) デスク配線機構
CN211982336U (zh) 具有抽屉式封闭型台板的通讯机柜
JP2002136347A (ja) 配線装置付テーブル
JP2005102742A (ja) デスクパネル
JP4558921B2 (ja) テーブルの配線構造
JP2000070051A (ja) Oa機器用デスク
JP4722281B2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ポールと什器との連結構造
JPH0446589Y2 (ko)
JP6985105B2 (ja) 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