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925A -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925A
KR20170122925A KR1020160051902A KR20160051902A KR20170122925A KR 20170122925 A KR20170122925 A KR 20170122925A KR 1020160051902 A KR1020160051902 A KR 1020160051902A KR 20160051902 A KR20160051902 A KR 20160051902A KR 20170122925 A KR20170122925 A KR 2017012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filter unit
opening
contact panel
flow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161B1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 세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츠 filed Critical (주) 세츠
Priority to KR102016005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16Other waste gases from CVD treatment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58Other waste gases from painting equipments or paint drying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성이 있는 복수의 흡착셀을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이루는 개별 흡착셀 별로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접촉패널;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필터유닛의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이루는 개별 흡착셀 별로 제2개구가 형성된 제2접촉패널; 상기 제1접촉패널의 일 위치에서 상기 제1접촉패널에 밀착하며,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헤드부; 상기 제1헤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촉패널에 밀착하며,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여 나오는 농축 유기가스가 모여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헤드부; 및 상기 제1개구를 통과하는 가스 및 상기 제2개구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유동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APPARATUS FOR CONCENTR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GAS}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LCD나 반도체의 제조, 도장, 석유화학 제품의 제조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유기 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VOC가 생성된다. VOC는 악취와 독성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광화학산화물의 전구물질로서 지구온난화와 오존층 파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각국과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정책적, 기술적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악취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는 가스의 종류, 농도 또는 가스의 양에 의존되며, 열에 의한 소각, 흡착, 흡수, 응축, 생물여과, 촉매산화, 광촉매 산화 등의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흡착에 의한 방법은 설비비가 고가이나, 공정의 융통성이 있고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며, 저농도 오염물질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실제 현장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다. 흡착식의 경우, 필터에 흡착된 유기화합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축적되어 필터의 정화효율을 떨어뜨리므로, 유기화합물을 필터로부터 분리하여 농축시키고 필터를 재생시키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재생 방식에 따라, 회전되는 원반형의 필터의 일부 구간에 가열된 가스를 공급하여 흡착된 유기화합물을 분리하는 로터형이 가장 흔하며, 최근에는 회전되는 실린더 형태로 필터를 구성하고, 실린더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스가 통과하는 동안 처리되고, 일부 회전 구간에서는 필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온 가스를 공급하여 필터를 재생시키는 방식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필터가 회전되는 경우, 필터가 원형 또는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고, 이는 필연적으로 필터가 장착되지 않는 불용공간을 만들게 되어 전체적으로 여과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며, 장치의 구성도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VOC가 함유된 가스의 정화 효율이 우수하고 운전을 위한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필터의 전후에 설치되는 재생장치의 리크를 줄이면서도 필터의 특정 영역에 유동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성이 있는 복수의 흡착셀을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이루는 개별 흡착셀 별로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접촉패널;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필터유닛의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이루는 개별 흡착셀 별로 제2개구가 형성된 제2접촉패널; 상기 제1접촉패널의 일 위치에서 상기 제1접촉패널에 밀착하며,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헤드부; 상기 제1헤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촉패널에 밀착하며,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여 나오는 농축 유기가스가 모여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헤드부; 및 상기 제1개구를 통과하는 가스 및 상기 제2개구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유동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는, 상기 제1접촉패널과 상기 제1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구성하는 개별 흡착셀 별로 구획될 수 있게 형성된 제1버퍼부; 및 상기 제2접촉패널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구성하는 개별 흡착셀 별로 구획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제1버퍼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1유동가이드; 및 상기 제2버퍼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2유동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유동가이드 및 상기 제2유동가이드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버퍼부 및 상기 제2버퍼부의 폭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유동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면부; 및 상기 제1경사면부에 대하여 상기 유동중심축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된 제2경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경사면부 및 상기 제2경사면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는, 상기 제1경사면부의 단부 및 상기 제2경사면부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고정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흡착셀은 적층 배열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직벽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는, 상기 제1헤드부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헤드부 주변의 가스가 상기 제1헤드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리크 차단부; 및 상기 제2헤드부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2헤드부 주변의 가스가 상기 제2헤드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리크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에 의하면, 재생을 위한 헤드부가 필터의 전후에 마련된 접촉패널을 통하여 접촉하는 것으로서, 헤드부의 주변의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유기화합물의 농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개구 주위에 유동가이드를 포함됨으로써 접촉패널의 개구를 중심으로 유동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접촉패널과 필터유닛 사이에 버퍼부가 포함됨으로써 필터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 분포의 균질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흡착셀이 적층된 정지형 필터유닛과 필터의 재생을 위한 이동형의 제1헤드부 및 제2헤드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재생을 위하여 필터를 회전시키는 타입인 로터형이나 실린더형에 비해, 필터가 배치될 수 없는 영역을 최소화시키며 공기정화 효율이 우수하고, 송풍을 위한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100)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100)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필터유닛(150)의 전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필터유닛(150)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필터유닛(150)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필터유닛(150)의 재생시 제1헤드부(161)를 이송시키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헤드부(161)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동가이드(191, 195)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부분단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유동가이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1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100)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된 처리대상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유닛(150) 및, 필터유닛(150)을 재생하기 위한 여러 요소들(161,165,167,171,175)을 구비한다.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처리대상 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인렛(120)이 구비된다. 인렛(120)은 풍량을 조절하거나 차단이 가능한 루버(louver) 댐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인렛(120)의 내측에는 운전을 위해 요구되는 풍압을 형성하기 위한 송풍팬(140)이 구비된다. 필터유닛(150)의 하류 쪽에는 정화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아웃렛(13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웃렛(130)의 내부 또는 필터유닛(150)과 아웃렛(130)의 사이에는 필터유닛(150)을 통해 일차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걸러진 가스에 포함된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필터유닛(15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필터유닛(150)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필터유닛(150)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필터유닛(150)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성이 있는 복수의 흡착셀이 포함된다. 이러한 복수의 흡착셀은 상호 적층 배열된 것으로, 외관상 필터유닛(150)은 하우징(110) 내에서 수직벽 형태로 형성되어 유로의 하류를 향하는 제1면과 유로의 상류를 향하는 제2면을 갖게 된다. 이 점에서 필터유닛(150)은 스택타입이라 할 수 있으며, 필터가 회전되는 로터 타입이나 실린더 타입과 차이가 있다. 다만, 본 발명과 관련된 유동특성의 개선 구조는 로터 타입이나 실린더 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각 흡착셀은 규격화된 허니콤(honeycomb) 구조체에 제올라이트(zeolite)가 담지된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흡착셀은 한 개씩 수용할 수 있게 칸막이 형태로 구획이 되어 있는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어 흡착셀 조립체(151)를 구성할 수 있다. 가스가 흡착셀 조립체(151)를 통과하는 동안 가스 내에 포함된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흡착셀에 흡착되고 정화된 가스만이 흡착셀의 제2면을 통해 배출된다.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흡착셀에 흡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리하고 농축시키기 위한 재생장치가 구비된다. 재생장치는, 필터유닛(150)의 제2면과 평행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며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헤드부(161)와, 제1면과 평행한 상태로 제1헤드부(161)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되어 필터유닛(150)을 통과하여 나오는 농축 유기가스가 모여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헤드부(171), 제1헤드부(161)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모듈(165) 및, 제2헤드부(171)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모듈(17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헤드부(161)에는 히터(167)가 부착되어 제1헤드부(161)와 히터(167)가 함께 이송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헤드부(171)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 농축가스 배출부(180)와 주름관이나 벨로우즈 타입 배관에 의해 연결된다.
제1이송모듈(165)은 수직가이드(165a)와, 제1헤드부(161)를 수직가이드(165a)를 따라 제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수직이송모터부(165b)와, 수직가이드(165a) 및 수직이송모터부(165b)의 조립체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평가이드(165c), 및 수직가이드(165a) 및 수직이송모터부(165b)의 조립체를 제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수평이송모터부(165d)를 구비하는 형태를 갖는다. 제2이송모듈(175)도, 제1이송모듈(165)과 같이 제2헤드부(171)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직가이드(175a)와, 수직이송모터부(175b)와, 수평가이드(175c) 및 수평이송모터부(175d)를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가이드(165a, 175a)는 볼스크류와 같은 가이드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수평가이드(165c, 175c)는 리니어 가이드와 같은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수직이송모터부(165b)와 수직이송모터부(175b), 수평이송모터부(165d)와 수평이송모터부(175d)는 제1헤드부(161) 및 제2헤드부(171)가 동일한 양만큼 이송될 수 있게 제어된다.
제1헤드부(161)의 단부에는 제1리크 차단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리크 차단부(162)는 제1헤드부(161)의 단부를 둘러싸는 플랜지 형태일 수 있으며, 제1헤드부(161) 주변의 가스가 제1헤드부(16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제2헤드부(171)의 단부에도 제2리크 차단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리크 차단부(172)도 제1리크 차단부(162)와 같이 제2헤드부(171)의 단부를 둘러싸는 플랜지 형태로서, 제2헤드부(171) 주변의 가스가 제2헤드부(17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리크 차단부(162) 및 제2리크 차단부(172)는 각각 제1접촉패널(155) 및 제2접촉패널(157)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다. 제1접촉패널(155)은 필터유닛(150)의 제1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접촉패널(157)은 필터유닛(150)의 제2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된다. 재생시 온도의 편차를 줄이고 가스 흐름의 분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제1접촉패널(155)과 제1면 사이에는 제1버퍼부(156)가 형성되고, 제2접촉패널(157)과 제2면 사이에는 제2버퍼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버퍼부(156)는 복수의 흡착셀을 구성하는 개별 흡착셀 별로 구획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버퍼부(158)도 제1버퍼부(156)와 같이 개별 흡착셀 별로 구획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리크 차단부(162) 및 제2리크 차단부(172)는 각각 제1접촉패널(155) 및 제2접촉패널(157)과 접촉하며, 제1접촉패널(155)에 각 흡착셀마다 마련된 개구(155a) 및 제2접촉패널(157)에 각 흡착셀마다 마련된 개구(155a, 157a)에 흡착셀의 재생을 위한 가스를 공급하고 농축된 유기가스를 농축가스 배출부(180)로 배출시킨다.
도 6은 도 3의 필터유닛(150)의 재생시 제1헤드부(161)를 이송시키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헤드부(161) 및 제2헤드부(171)는 제1리크 차단부(162) 및 제2리크 차단부(172)가 각각 제1접촉패널(155) 및 제2접촉패널(157)에 접촉한 상태로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흡착셀마다 대응되는 개구(155a, 157a)에 제1헤드부(161) 및 제2헤드부(171)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필터유닛(150)에는 구간의 확인을 위한 센서나 시종 위치를 안내하는 리미트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헤드부(161) 및 제2헤드부(171)는 복수 개의 흡착셀마다 연속적인 재생이 가능한 최단의 이송거리를 만들기 위한 이송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155a)에 대하여 개구(155a)가 있는 위치에 도착하면 재생모드가 종료될 때가지 정지되어 있다가 재생모드가 마치면 다음에 있는 개구를 향하여 이송된다. 만약, 도 6과 같이 4행 6열의 흡착셀 배열이 있을 때, 제1헤드부(161) 및 제2헤드부(171)는 시작위치의 개구에서 나머지 모두의 개구들을 모두 거친 후 다시 시작위치의 개구에 자연적으로 도달될 수 있게 '
Figure pat00001
' 형태의 이동경로를 거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헤드부(161)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제1헤드부(161) 및 제1리크 차단부(162)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경우, 접촉패널(155)의 개구(155a)와 인접된 개구 사이에 헤드부(161)가 위치되어 있을 때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개구를 통해 가스가 헤드부(16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리크 차단부(162)는 제1헤드부(161)의 주위에 제1헤드부(161)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차폐벽(163)과, 제1차폐벽(163)에 대하여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1차폐벽(163)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차폐벽(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폐벽(163)의 단부 및 제2차폐벽(164)의 단부에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실링부(163a, 164a)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제2헤드부(171) 및 제2리크 차단부(172)도 제1헤드부(161) 및 제1리크 차단부(162)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유동가이드(191, 195)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유동가이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8과 같이, 제1접촉패널(155) 및 제2접촉패널(157)은 흡착셀(151)에 대하여 이격된 형태로서, 그 사이에 제1버퍼부(156) 및 제2버퍼부(158)가 구비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헤드부(161) 및 제2헤드부(171)의 작동시 리크를 줄일 수 있도록 제1리크 차단부(162) 및 제2리크 차단부(172)가 넓어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제1접촉패널(155)의 개구(155a)과 제2접촉패널(157)의 개구(157a)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어, 가스가 개구(155a, 157a)를 통과한 후 버퍼부(156, 158) 내에서 유동 특성의 개선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155a, 157a)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유동 가이드(191, 19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퍼부(156, 158)의 폭을 개구(155a, 157a)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개구(155a, 157a)를 통과한 유동이 흡착부(151)에 도달하는 동안 속도 편차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
유동 가이드(191, 195)는 헤드부(161, 171)의 내부 또는 버퍼부(156, 158)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이중 후자인 버퍼부(156, 158)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보인 것으로, 유동 가이드가 제1버퍼부(156)의 내부에 설치된 제1유동 가이드(191) 및 제2유동 가이드(195)를 포함하고 있다. 제1유동 가이드(191) 및 제2유동 가이드(195)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유동 가이드는 제1버퍼부(156) 또는 제2버퍼부(158)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동 가이드(191, 195)는 유동을 분산시키기 위한 복수의 블레이드 또는 루버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에 의하면, 유동 가이드(191, 195)는 유동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면부(191A, 195A)와 제1경사면부(191A, 195A)에 대하여 유동중심축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된 제2경사면부(191B, 195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면부(191A, 195A)와 제2경사면부(191B, 195B)는 일차적으로 유동을 상하방향으로 나누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제1경사면부(191A, 195A) 및 제2경사면부(191B, 195B)의 배치를 90도 회전시켜 유동을 좌우방향으로 나누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경사면부(191A, 195A) 및 제2경사면부(191B, 195B)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경사면부(191A, 195A) 및 제2경사면부(191B, 195B)는 도 8과 같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호 연결된 형태이거나, 이와 달리 유동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도 9 참조). 제1경사면부(191A, 195A) 및 제2경사면부(191B, 195B)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10 참조). 형상 면에서, 유동 가이드(191, 195)는 도 8과 같이 평판형이거나, 이와 달리 포물선 단면이나 타원 단면을 갖는 곡면형일 수도 있다.
유동 가이드(191, 195)에 의해 나뉘어진 유동이 버퍼부(156, 158) 내에서 균등하게 될 수 있도록, 제1경사면부(191A, 195A) 및 제2경사면부(191B, 195B)에는 복수의 관통공(192, 196)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92, 196)은 나뉘어져 흐르는 가스가 다시 중심 방향을 유입되기 용이한 크기와 배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 면에서, 유동 가이드(191, 195)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판에 관통공(192, 196)을 형성한 후 절곡과정을 거쳐 형상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버퍼부(156, 158) 내에 유동 가이드(191, 195)가 위치되기 위하여 제1경사면부(191A, 195A)의 단부 및 제2경사면부(191B, 195B)의 단부는 고정로드(193, 197)에 의하여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고정로드(193, 197)는 접촉패널(155, 157)에 용접되거나 체결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110: 하우징 120: 인렛
130: 아웃렛 140: 송풍팬
150: 필터유닛 151: 흡착셀 조립체
155: 제1접촉패널 155a: 개구
156: 제1버퍼 157: 제2접촉패널
157a: 개구 158: 제2버퍼
161: 제1헤드부 162: 제1리크 차단부
163: 제1차폐벽 163a, 164a: 실링부
164: 제2차폐벽 165: 제1이송모듈
165a: 수직가이드 165b: 수직이송모터부
165c: 수평가이드 165d: 수평이송모터부
167: 히터 171: 제2헤드부
172: 제2리크 차단부 175: 제2이송모듈
175a: 수직가이드 175b: 수직이송모터부
175c: 수평가이드 175d: 수평이송모터부
180: 농축가스 배출부 191: 제1유동 가이드
195: 제2유동 가이드

Claims (10)

  1.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성이 있는 복수의 흡착셀을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이루는 개별 흡착셀 별로 제1개구가 형성된 제1접촉패널;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필터유닛의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이루는 개별 흡착셀 별로 제2개구가 형성된 제2접촉패널;
    상기 제1접촉패널의 일 위치에서 상기 제1접촉패널에 밀착하며,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헤드부;
    상기 제1헤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접촉패널에 밀착하며,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여 나오는 농축 유기가스가 모여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헤드부; 및
    상기 제1개구를 통과하는 가스 및 상기 제2개구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유동가이드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패널과 상기 제1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구성하는 개별 흡착셀 별로 구획될 수 있게 형성된 제1버퍼부; 및
    상기 제2접촉패널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셀을 구성하는 개별 흡착셀 별로 구획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제1버퍼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1유동가이드; 및
    상기 제2버퍼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2유동가이드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가이드 및 상기 제2유동가이드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퍼부 및 상기 제2버퍼부의 폭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유동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면부; 및
    상기 제1경사면부에 대하여 상기 유동중심축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된 제2경사면부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부 및 상기 제2경사면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부의 단부 및 상기 제2경사면부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고정로드를 더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착셀은 적층 배열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수직벽 형태로 배치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부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헤드부 주변의 가스가 상기 제1헤드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리크 차단부; 및
    상기 제2헤드부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2헤드부 주변의 가스가 상기 제2헤드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리크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KR1020160051902A 2016-04-28 2016-04-28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KR10183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902A KR101838161B1 (ko) 2016-04-28 2016-04-28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902A KR101838161B1 (ko) 2016-04-28 2016-04-28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925A true KR20170122925A (ko) 2017-11-07
KR101838161B1 KR101838161B1 (ko) 2018-03-13

Family

ID=6038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902A KR101838161B1 (ko) 2016-04-28 2016-04-28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9857A (zh) * 2019-07-04 2020-06-09 广东澄宇实业有限公司 一种voc废气处理净化装置及具有其的烤漆房
EP3991825A4 (en) * 2019-06-28 2023-07-26 Shanghai Shencheng Environmental Protection Equipment & Engineering Co., Ltd. PARALLEL PIPE TYPE GAS CONCENTRATION AND ADSORP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3293A (ja) * 2011-04-18 2012-11-15 Kanken Techno Co Ltd Voc除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1825A4 (en) * 2019-06-28 2023-07-26 Shanghai Shencheng Environmental Protection Equipment & Engineering Co., Ltd. PARALLEL PIPE TYPE GAS CONCENTRATION AND ADSORPTION APPARATUS
CN111249857A (zh) * 2019-07-04 2020-06-09 广东澄宇实业有限公司 一种voc废气处理净化装置及具有其的烤漆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161B1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9897A (zh) 空气净化系统
KR101838161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EP2959232B1 (en) Device for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US11524257B2 (en) Angled adsorbent filter media design in tangential flow applications
KR101794749B1 (ko) 스택타입 필터를 갖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CN109772097B (zh) 活性炭法烟气净化装置及烟气净化方法
CN110523215A (zh) 一种活性炭烟气净化再生一体化装置
KR100777639B1 (ko) 공기 정화용 필터 조립체
RU259565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US5746914A (en) Honey comb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9293864A (ja) クリーンルーム
JP2018089106A (ja) 空気清浄装置
JP3415730B2 (ja) ガス状不純物処理システム及び粒子除去フィルタ
JP3552141B2 (ja) ケミカル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濾過方法
KR101414990B1 (ko) 악취 정화장치
JP5853264B2 (ja) 長寿命となるケミカルフィルタユニット
JP2022071233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洗浄構造
KR20220002395A (ko) 흡착 처리 장치
KR20090033518A (ko) 극 초청정용 나권형 흡착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6233A (ko) 공기 청정기
JP4888651B2 (ja) 浄化気体供給装置
JP4197779B2 (ja) 湿式排ガス処理装置
CN216011154U (zh) 电场处理装置
CN217431347U (zh) 一种挥发性有机物浓缩热氧化一体机
KR20240065889A (ko) 순환 공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