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132A -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132A
KR20170122132A KR1020170052683A KR20170052683A KR20170122132A KR 20170122132 A KR20170122132 A KR 20170122132A KR 1020170052683 A KR1020170052683 A KR 1020170052683A KR 20170052683 A KR20170052683 A KR 20170052683A KR 20170122132 A KR20170122132 A KR 20170122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lkali
soda lime
free
un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948B1 (ko
Inventor
오준학
윤재혁
이창희
최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12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9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a composition deviating from the basic composition of soda-lime glass, e.g. boro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라임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되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LAMINATION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ION GLASS}
본 명세서는 2016년 4월 26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6-0050973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창으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유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안전유리로는, 유리 사이에 공중합체 필름을 삽입하여 접합하는 접합 유리와 유리를 고온으로 승온한 뒤 급랭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강화유리(tempered glass) 등이 사용되고 있고, 보통 자동차용 접합 유리는 소다라임 유리 2장 사이에 접합 필름을 샌드위치 형태로 접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업계에서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부각됨에 따라 자동차의 연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화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자동차 유리는 그 중량이 차량 건조중량의 약 3% 정도이기 때문에 무게의 일부를 감량하고자 하는 업계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고,친환경, 고성능 자동차의 경량화 이슈로 인하여 자동차용 유리의 경량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경량 박형 유리 제작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전면에 이용되는 접합 유리에 이온강화유리를 이용하여 경량화와 내마모성의 향상을 시도한 것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88704호). 또한, 고분자의 일종인 PET 필름을 유리대신 이용한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125537호)도 제안되어 있다.
이온강화유리의 경우 이온강화를 통한 표면 압축응력을 형성하여 우수한 표면경도 및 파괴강도를 확보할 수 있지만, 내부에 존재하는 인장응력으로 인하여 차량 전면유리 외측에 적용시 국소부위 충격에 의하여 발생된 파손이 유리 전면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내측에 적용시 파손이 발생할 경우 소형 파편의 비산으로 인한 탑승자 상해 가능성이 있다. 또한, 파손시 파편의 크기가 작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접합 유리의 경량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접합 유리의 충격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887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125537호
본 발명은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라임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되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라임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높은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접합 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유리를 간단한 공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 비에 따른 강성 확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와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의 낙구충격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의 고속이동물체 충격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라임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되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높은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접합 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대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보다 두께가 얇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접합 유리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가진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대비 높은 탄성계수를 보유하고 있어, 상기 소다라임 유리 보다 경량, 박형인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접합 유리는 강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 비는 1:0.2 내지 1:0.5일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 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접합 유리의 강성 하락에 따른 파손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4 내지 1:1.17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8 내지 1:1.15일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대비 상기 범위의 탄성계수를 보유하고 있어, 상기 소다라임 유리 보다 경량, 박형인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접합 유리는 강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70 GPa 이상 90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75 GPa 이상 85 G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65 GPa 이상 75 G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는 3점굽힘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보다 높은 비커스 경도 및 파괴인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15 내지 1:1.27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2 내지 1:1.25일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보다 높은 경도를 보유하여,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비커스 경도는 5.5 GPa 이상 7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5.8 GPa 이상 6.9 GPa 이하, 6.0 GPa 이상 6.7 GPa 이하, 6.2 GPa 이상 6.5 GPa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5.2 GPa 이상 5.8 GPa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파괴인성 비는 1:1.37 내지 1:1.4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파괴인성 비는 1:1.39 내지 1:1.45일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대비 상기 범위의 파괴인성을 보유하고 있어, 접합 유리의 외부충격에 대한 파괴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합 유리의 파손강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파괴인성은 1.0 MPa·m1/2 이상 1.3 MPa·m1/2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indentation fracture toughness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1.15 MPa·m1/2 이상 1.25 MPa·m1/2 이하, 1.18 MPa·m1/2 이상 1.21 MPa·m1/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0.7 MPa·m1/2 이상 0.85 MPa·m1/2 이하의 파괴인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indentation fracture toughness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비커스 경도는 비커스 압입자를 이용하여 유리를 누른 후 자국의 크기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전술한 파괴인성, 탄성계수, 비커스 경도 등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당 분야에서 운송수단의 창유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및 함량으로 구성된 유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조성은 조성물 100 wt%당 Si02 46 wt% 이상 57 wt% 이하, Al2O3 21 wt% 이상 29 wt% 이하, MgO 3 wt% 이상 14 wt% 이하, CaO 11 wt% 이상 16 wt% 이하, 및 SrO 1 wt% 이상 5 wt% 이하를 포함하고,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유리 조성이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리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도 다른 성분에 비해 그 함유량이 극히 미미하여 유리의 조성 성분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을 포함한 경우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이란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내화물이나 유리 원료 중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불가피하게 유리 중에 혼입되는 미량의 알칼리 금속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산화물 환산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1% 미만의 알칼리 금속(Li, Na, K 등)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기계적 성질, 내후성, 표면 평활성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로 무알칼리 붕규산 유리 또는 무알칼리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를 사용할 수 있고, 플로트 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 다운드로우 방식이나 퓨전 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유리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알칼리 성분이 없거나 극히 적기 때문에 일반 유리에 비하여 작은 두께에서도 표면의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높아, 접합 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알칼리 유리는 비강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화학적으로 강화되지 않은 비강화 유리, 열로 강화되지 않은 비강화 유리, 화학 및 열을 이용하여 강화되지 않은 비강화 유리일 수 있다.
일반적인 강화 유리는 유리의 강도를 높이고 내충격성, 내탄력성 등을 부여한 것으로,물리적 열을 이용한 열 강화 유리와 화학적 이온교환을 이용한 화학 강화 유리가 있다. 상기의 강화 유리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강화 유리를 가공 및 성형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아 접합 유리의 불량률이 높으며,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온 강화 유리의 경우,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이온 강화 과정을 거친 후 세정 과정이 요구됨에 따라, 접합 유리의 제조 시간 증가 및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적 강화 및 열 강화 등의 공정을 거치지 않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며 강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강화 유리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제조 단가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알칼리 유리는 강화 처리를 하지 않아, 윈드쉴드 (windshield) 적용 시, 파손이 발생하여도 시야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상기 전술한 파괴인성, 탄성계수, 비커스 경도 등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당 분야에서 운송수단의 창유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및 함량으로 구성된 유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 예를 들면, 조성물 100 wt%당 Si02 65 wt% 이상 75 wt% 이하, Al2O3 0 wt% 이상 10 wt% 이하, NaO2 10 wt% 이상 15 wt% 이하, K2O 0 wt% 이상 5 wt% 이하, CaO 1 wt% 이상 12 wt% 이하 및 MgO 0 wt% 이상 8 wt% 이하를 포함하는 조성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원하는 기계적 성질, 내후성, 표면 평활성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 플로트 배스(float bath)를 이용하는 플로트(float) 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 다운드로우(down draw) 방식이나 퓨전 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0.3 mm 이상 0.7 mm 이하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 0.4 mm 이상 0.5 mm 이하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가 0.3 mm 미만이면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가 1 mm를 초과하면 접합 유리의 경량화 효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께를 가지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높은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접합 유리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국부적 충격에 강하며, 파손이 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시야 방해나 비산 유리에 의한 2차 피해도 강화 유리에 비하여 매우 적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2 mm 이상 3 mm 이하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가 2 mm 미만이면 제조되는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가 3 mm를 초과하면 접합 유리의 경량화 효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2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 두께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은 외력, 기계적인 충격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께를 가지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는, 기존의 약 2.1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 2개를 접합한 기존 접합 유리 대비, 50 % 이상 80 %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50 % 이상 80 % 이하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접합 유리 대비 경량화, 박형화된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다라임 유리(10)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 사이에 접합 필름(20)이 개재되어, 상기 소다라임 유리(10)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가 접합된 접합 유리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필름은 단층 혹은 다층일 수 있다. 또한, 접합 필름을 2층 이상으로 할 경우, 각 층의 조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각 층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접합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과 폴리비닐부티랄(PVB) 공중합체 필름 등, 당 분야에서 접합 유리에 접합층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공)중합체 필름을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PE),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메타크릴 수지(PM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A),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DAP), 요소 수지(UP), 멜라민 수지(MF),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P),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비닐포르말(PVF), 폴리비닐알코올(PVAL), 아세트산 비닐수지(PVAc), 이오노머(IO), 폴리메틸펜텐(TPX), 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술폰(PSF),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메타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MS),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알릴술폰(PASF), 폴리부타디엔(BR), 폴리에테르술폰(PESF), 또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합 필름으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를 원하는 강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력을 가지며,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 성능과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 필름의 두께는 0.5 mm 이상 1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 필름의 두께는 0.6 mm 이상 0.9 mm 이하일 수 있다. 접합 필름의 두께가 0.5 mm 미만인 경우에는 접합 필름의 충격 흡수성이 저하되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를 고정하는 힘이 약해지면서 계면 박리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접합 필름의 두께가 1.0 mm를 초과하면 접합 유리의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유리의 강성을 유지하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접합 필름의 두께는 0.5 mm 이상 1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LOCA(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 또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에 0.5 mm 이상 1.5 mm 이하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상기 소다라임 유리가 정합된 상태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곡면 접합 유리일 수 있다.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과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은 서로 정밀하게 밀착되어 정합됨으로써, 곡면 접합 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라임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되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크며,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정합된 상태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곡면 접합 유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소다라임 유리가 정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는 동일한 위치에서 함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상기 소다라임 유리가 정합됨에 따라, 곡면 접합 유리에서 유리 상호간에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곡면 접합 유리의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곡면 접합 유리에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가 정합된 상태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져 있으며,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볼록한 일면 또는 오목한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가 정합된 상태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져 있는 곡면 접합 유리는 가운데 부분보다 양 옆이 더욱 휘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곡면 접합 유리를 자동차용 유리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 유리 중 전면 윈도우, 측면 윈도우, 후면 윈도우 및 선루프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용 유리 중 전면 윈도우에 적용하는 경우, 유선형의 곡면형상으로 자동차의 주행 중 부딪히는 주행풍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가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10)의 볼록한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의 일면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10)의 볼록한 일면에 접합된 곡면 접합 유리(41)를 자동차용 유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가 자동차용 유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차용 유리는 높은 내크래치성 및 높은 유리 표면 경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외측에서 날아오는 모래 등의 외부 이물 충격에 대한 데미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높은 파괴인성을 보유하고 있어, 외부충격에 의한 파괴저항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가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10)의 오목한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의 일면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10)의 오목한 타면에 접합된 곡면 접합 유리(42)를 자동차용 유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가 자동차용 유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곡면 접합 유리(42)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30)가 비산되지 않으므로,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으로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곡면으로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3,000 mm 이상 10,00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된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곡률 반경은 4,000 mm 이상 8,000 mm 이하, 5,000 mm 이상 7,000 m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곡률반경은 적용되는 유리의 용도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 비에 따른 강성 확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x축은 총 유리 두께를 나타내고 y축은 유리 처짐량, 즉 휘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접합 유리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앙부에 일정한 하중을 인가하여 중앙부의 처짐량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소다라임 유리의 두께]인 AR(Asymmetry ratio)은 0.1 내지 0.5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AR이 작아질수록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는 얇아지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두꺼워짐을 의미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를 조절하여, 곡면 접합 유리의 휘어진 정도를 낮추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200) 및 소다라임 유리(100)의 두께를 조절하여, 곡면 접합 유리의 강성 증대 효과 및 경량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1종 이상의 착색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및 소다라임 유리에 착색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접합 유리에 열차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착색 성분으로, Fe203, CoO, S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착색 성분은 유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착색 성분 함량이 0.0001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0.0005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착생 성분의 함량은 접합 유리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를 자동차용 유리 중 전면 윈도우 또는 측후면 윈도우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착색 성분의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접합 유리의 가시광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를 자동차용 유리 중 썬루프 윈도우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합 유리의 가시광 투과율을 약 5%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다라임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유리를 간단한 공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유리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상기 소다라임 유리, 접합 필름 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상기 소다라임 유리, 접합 필름 등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 대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화 및 박형화된 접합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목적하는 크기로 재단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측면을 베벨링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소다라임 유리에 접합할 수 있다.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를 접합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과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사이에 접합 필름을 위치시킨 후, 가압, 가열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과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사이에 접합 필름을 위치시킨 후, 가압, 가열하는 공정 중에, 상기 접합 필름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 필름이 변형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접합 필름을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을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에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80℃ 이상 14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80℃ 이상 14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를 접합함으로써,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가 변성되어 접착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고온, 고압 처리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의 접합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 또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 또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연화점 근방까지 가열하여 곡면 가공할 수 있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연화점 근방까지 가열하여 곡면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 및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곡면 가공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틀에 상기 소다라임 유리 또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올려 놓은 상태로 고온에 노출시켜 자중 방식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상/하 볼드(mold) 사이에 상기 소다라임 유리 또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삽입한 후에 고온에서 압력을 인가하는 프레스(press) 방식으로 성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하고,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변형시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고온 롤러 또는 진공 링 (ring)/진공 백(bag) 공정을 이용한 압착공정을 통하여, 대략 20℃ 이상 35℃ 이하의 상온에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하고,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변형시켜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변형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상기 소다라임 유리 각각을 곡면으로 가공하고, 접합하여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500 ℃ 이상 700 ℃ 이하의 온도에서 곡면으로 가공될 수 있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700 ℃ 이상 900 ℃ 이하의 온도에서 곡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 및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전술한 범위의 온도에서 곡면으로 가공함으로써, 원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곡면으로 가공한다는 것은, 곡면으로 가공된 소다라임 유리와 곡면으로 가공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경우, 곡면으로 가공된 소다라임 유리와 곡면으로 가공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곡률 반경이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곡면으로 가공된 소다라임 유리와 곡면으로 가공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가 접합된 후에는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곡면 가공된 소다라임 유리에 접합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상기 곡면 가공된 소다라임 유리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정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되는 곡면 접합 유리의 투과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곡면 접합 유리를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명확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곡면 가공된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곡면 가공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3,000 mm 이상 10,000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된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곡률 반경은 4,000 mm 이상 8,000 mm 이하, 5,000 mm 이상 7,000 m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소다라임 유리와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곡률반경은 적용되는 유리의 용도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으로 가공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과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볼록한 일면 또는 오목한 타면 사이에 접합 필름을 위치시킨 후, 가압, 가압함으로써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으로 가공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일면을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와 같이,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볼록한 일면에 접합하여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소다라임 유리의 볼록한 일면에 접합되기 때문에, 곡면으로 가공되기 전의 판상의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곡면으로 가공되기 전의 판상의 상기 소다라임 유리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동일한 위치에서 함께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정합되도록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b에서와 같이,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오목한 타면에 접합하여 곡면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소다라임 유리의 오목한 타면에 접합되기 때문에, 곡면으로 가공되기 전의 판상의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곡면으로 가공되기 전의 판상의 상기 소다라임 유리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동일한 위치에서 함께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정합되도록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로 조성물 100 wt%당 Si02 61 wt%, Al2O3 16 wt%, MgO 3 wt%, CaO 8 wt% 이하, 및 SrO 0.05 wt%를 포함하며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무알칼리 유리를 준비하였고, 소다라임 유리로 조성물 100 wt%당 Si02 73 wt%, Al2O3 0.15 wt%, Na2O 14 wt%, K2O 0.03 wt%, 및 CaO 9 wt% 및 MgO 4 wt%를 포함하며 2.0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를 준비하였다. 또한, 접합 필름으로 0.76 m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비닐부티랄(PVB)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78 GPa, 비커스 경도는 6.3 GPa, 파괴 인성은 1.20 MPa·m1/2이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는 72 GPa, 비커스 경도는 5.6 GPa, 파괴 인성은 0.85 MPa·m1/2이다.
먼저, 소다라임 유리와 무알칼리 유리 사이에 접합 필름을 놓고 80 ℃, 300 torr의 압력 조건에서 가압 압착하였다. 압착된 상기 무알칼리 유리와 소다라임 유리를 오토클레이브에서 130 ℃, 11.76 bar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2.1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를 준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조성물 100 wt%당 Si02 73 wt%, Al2O3 0.15 wt%, Na2O 14 wt%, K2O 0.03 wt%, 및 CaO 9 wt% 및 MgO 4 wt%를 포함하며 2.0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 2장 및 0.34mm 두께의 PVB 필름을 접합 필름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는 72 GPa, 비커스 경도는 5.6 GPa, 파괴 인성은 0.85 MPa·m1/2이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 2 장 사이에 접합 필름을 놓고 80 ℃, 300 torr의 압력 조건에서 가압 압착하였다. 압착된 상기 소다라임 유리를 오토클레이브에서 130 ℃, 11.76 bar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2.1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 2장을 준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낙구 충격시험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에 대한 낙구 충격시험을 하기와 같이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를 가로 300 mm, 세로 300 mm로 재단하여,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의 샘플을 50개씩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샘플들을 소다라임 유리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샘플로부터 2.8 m의 높이에서 227g의 무게를 가지는 볼을 낙하시켜 상기 샘플에 충격을 가하는 방법으로 낙구 충격시험을 진행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와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의 낙구충격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는,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각각의 접합 유리의 샘플 50개에 대한 낙구 충격 파손율을 나타내었다. 낙구 충격 파손율은 낙구 충격시험을 수행한 샘플 50개 중에서 육안으로 확인 시 파손이 발생된 샘플의 비율을 의미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에 포함된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에 포함된 소다라임 유리보다 두께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는 소다라임 유리 2장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보다 낙구 충격에 대한 파손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고속이동물체 충격시험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에 대한 고속이동물체 충격시험을 하기와 같이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를 가로 300 mm, 세로 300 mm로 재단하여,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의 샘플을 50개씩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샘플들을 지상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우고, 상기 샘플의 소다라임 유리 측을 향하여 1g의 볼을 130 km/h의 속도, 150 km/h의 속도로 발사하는 방법으로 고속이동물체 충격시험을 진행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접합 유리의 고속이동물체 충격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는,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각각의 접합 유리의 샘플 50개에 대한 고속이동물체 충격 파손율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고속이동물체 충격 파손율은 고속이동물체 충격시험을 수행한 샘플 50개 중에서 육안으로 확인 시 파손이 발생된 샘플의 비율을 의미한다.
도 5를 참고하면, 130 km/h의 속도로 발사된 볼, 150 km/h의 속도로 발사된 볼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접합유리가 비교예 2의 접합 유리보다 파손율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10: 소다라임 유리
20: 접합 필름
30: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
40: 접합 유리
41, 42: 곡면 접합 유리

Claims (14)

  1. 소다라임 유리;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되는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인 것인 접합 유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인 접합 유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4 내지 1:1.17인 것인 접합 유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70 GPa 이상 90 GPa 이하인 것인 접합 유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와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15 내지 1:1.27인 것인 접합 유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접합되는 것인 접합 유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와 상기 소다라임 유리가 정합된 상태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곡면 접합 유리인 것인 접합 유리.
  9. 소다라임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일면 상에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두께는 상기 비알칼리 유리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소다라임 유리에 접합하는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 또는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500 ℃ 이상 700 ℃ 이하의 온도에서 곡면으로 가공되는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비강화 무알칼리 유리는 700 ℃ 이상 900 ℃ 이하의 온도에서 곡면으로 가공되는 것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170052683A 2016-04-26 2017-04-25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122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0973 2016-04-26
KR1020160050973 2016-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32A true KR20170122132A (ko) 2017-11-03
KR102122948B1 KR102122948B1 (ko) 2020-06-16

Family

ID=6016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83A KR102122948B1 (ko) 2016-04-26 2017-04-25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19270B2 (ko)
EP (1) EP3450161B1 (ko)
JP (1) JP6583844B2 (ko)
KR (1) KR102122948B1 (ko)
CN (1) CN109070548B (ko)
WO (1) WO20171886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24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KR20190086223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20190089398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9231B1 (en) 2016-09-22 2022-08-16 Apple Inc. Forming glass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800141B2 (en) 2016-09-23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glass component with crack hindering internal stress regions
US11535551B2 (en) * 2016-09-23 2022-12-27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65506B2 (en) 2016-09-23 2023-01-31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027525B2 (en) 2016-10-07 2021-06-08 Lg Chem, Ltd. Curved laminat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rved laminated glass
EP3936482A1 (en) 2017-02-20 2022-01-1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shaped glass laminate
KR101911621B1 (ko) 2017-02-27 2018-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US11554982B2 (en) 2017-05-17 2023-01-17 Corning Incorporated Process for forming curved glass laminate article formed using separation material
WO2019079315A1 (en) 2017-10-18 2019-04-25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REGULATING SEPARATION BETWEEN GLASSES DURING CO-COATING TO REDUCE FINAL ALIGNMENT DEFECT BETWEEN THESE
CO2018006232A1 (es) * 2017-12-31 2018-08-31 Agp America Sa Laminado con alta resistencia a la abrasión y a la intemperie
US11897804B2 (en) 2018-04-13 2024-02-13 Corning Incorporated Uniformly pair sagged glass articles and hybrid laminates
US11420900B2 (en) 2018-09-26 2022-08-23 Apple Inc. Localized control of bulk material properties
US11680010B2 (en) 2019-07-09 2023-06-20 Apple Inc. Evaluation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11460892B2 (en) 2020-03-28 2022-10-04 Apple Inc. Glass cover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CN115955798A (zh) 2020-03-28 2023-04-11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壳体的玻璃覆盖构件
US11666273B2 (en) 2020-05-20 2023-06-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glass ceramic region
CN116783152A (zh) 2020-12-23 2023-09-19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透明部件的基于激光的切割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537A (ko) 2008-06-02 2009-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량화를 위한 자동차용 윈드실드글래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80368A1 (en) * 2011-05-06 2012-11-08 Sean Matthew Garner Laminated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KR20140088704A (ko) 2013-01-03 2014-07-11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접합유리
KR20150002657A (ko) * 2012-04-10 2015-01-0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KR101742108B1 (ko) * 2011-07-11 2017-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전 시트,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이 도전 시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01712T2 (de) 1997-06-10 2002-07-04 Nippon Sheet Glass Co Ltd Verbundglasscheibe für Fahrzeuge
WO1999021707A1 (en) * 1997-10-24 1999-05-06 Agfa-Gevaert Naamloze Vennootschap A laminate comprising a thin borosilicate glass substrate as a constituting layer
US8053079B2 (en) * 2006-09-14 2011-11-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Sheet glass laminate structure and mulitiple glass laminate structure
JP5435394B2 (ja) * 2007-06-08 2014-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28952A1 (en) 2010-06-02 2012-05-24 Yoshiharu Miwa Glass film laminate
US9616641B2 (en) * 2011-06-24 2017-04-11 Corning Incorporated Light-weight hybrid glass laminates
JP5808494B2 (ja) * 2011-09-02 2015-11-1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無アルカリ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6675B2 (ja) * 2012-07-05 2017-08-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
JP2014060245A (ja) * 2012-09-18 2014-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2015093401A (ja) * 2013-11-11 2015-05-18 Dic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5158464A1 (de) 2014-04-15 2015-10-22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glas mit dünner innenscheib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537A (ko) 2008-06-02 2009-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량화를 위한 자동차용 윈드실드글래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80368A1 (en) * 2011-05-06 2012-11-08 Sean Matthew Garner Laminated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JP2014522325A (ja) * 2011-05-06 2014-09-0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半導体デバイス用積層構造
KR101742108B1 (ko) * 2011-07-11 2017-06-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전 시트,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이 도전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50002657A (ko) * 2012-04-10 2015-01-0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KR20140088704A (ko) 2013-01-03 2014-07-11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접합유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24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US11376821B2 (en) 2018-01-10 2022-07-05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laminated glass and curved laminated glass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190086223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20190089398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7976A (ja) 2019-06-27
EP3450161B1 (en) 2020-04-22
US20190134953A1 (en) 2019-05-09
EP3450161A1 (en) 2019-03-06
US10919270B2 (en) 2021-02-16
JP6583844B2 (ja) 2019-10-02
KR102122948B1 (ko) 2020-06-16
CN109070548B (zh) 2021-05-07
WO2017188686A1 (ko) 2017-11-02
EP3450161A4 (en) 2019-04-17
CN109070548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132A (ko)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88678B1 (ko)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US11691390B2 (en) Light-weight hybrid glass laminates
US20180200996A1 (en) Laminated glazing
JP6328619B2 (ja) 高分子中間層に対するガラスの高い接着力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構造
KR102048463B1 (ko) 경-량 하이브리드 유리 적층체
WO2015006201A1 (en) Light-weight hybrid glass laminates
KR102114850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KR20140088704A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접합유리
KR101911621B1 (ko)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US11485113B2 (en) Glass-resin composite
US11401199B2 (en) Glass plate
WO2019151000A1 (ja) ガラス樹脂複合体
JP2019131430A (ja) ガラス板
JP6959566B2 (ja) ガラス板
JP2018165223A (ja) ガラス樹脂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