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398A -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398A
KR20190089398A KR1020180007838A KR20180007838A KR20190089398A KR 20190089398 A KR20190089398 A KR 20190089398A KR 1020180007838 A KR1020180007838 A KR 1020180007838A KR 20180007838 A KR20180007838 A KR 20180007838A KR 20190089398 A KR20190089398 A KR 2019008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urved
plate glass
thin plate
sof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140B1 (ko
Inventor
윤재혁
오준학
강호성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0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1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9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a composition deviating from the basic composition of soda-lime glass, e.g. borosilic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성시트와 연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가 1:0.6 내지 1:20,000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VACUUM BAG FOR MANUFACTURING CURVED LAMINAT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RVED LAMINATED GLA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간 성형을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를 위한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특유의 투명함으로 인해 다양한 생활공간에 적용되어 온 소재이다. 특히, 2 장의 유리가 접합된 접합유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유리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곡면을 이루며 휘어진 형태의 곡면 접합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곡면 접합유리의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판유리와 박판유리를 사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고 있다.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자중성형, 압착성형 및 냉간성형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중성형은 유리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성형 틀을 이용하며,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의 연화점 부근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유리의 자중에 의해 유리가 굽힘(sagging)되는 것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성형된 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다. 또한, 압착성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를 충분히 가열시킨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모양으로 형성된 틀로 압착하여 성형한 후, 성형된 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다. 또한, 냉간성형은 곡면으로 성형된 유리의 오목한 면에 다른 유리를 배치하고, 진공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유리를 탄성변형 시켜 곡면으로 성형한 후, 성형된 유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다.
냉간성형을 이용하여 박판유리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경우, 박판유리는 면적 대비 두께가 얇아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박판유리에 좌굴(bucking)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박판유리의 너비에 대한 두께의 비가 작아질수록, 곡면으로 성형된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보다 더 발생된다.
이에, 박판유리를 냉간성형하는 경우에도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명세서는 박판유리의 냉간 성형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1 연성시트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연성시트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 있어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적어도 일 측은 가공용 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외측면 상에 탄성시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는 1:0.6 내지 1:20,000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a)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준비하는 단계; b) 곡면 후판유리, 접합부재 및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삽하는 단계; 및 c)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밀봉한 후,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 박판유리는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사용하면, 두께가 얇은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곡면으로 성형되는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사용하여, 좌굴 현상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곡면 접합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얇은 판상의 박판의 유리를 탄성변형시키는 경우에도, 곡면으로 성형되는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개폐 가능한 개구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름 파손 방지층을 이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후판유리와 곡면 박판유리의 두께 비에 따른 강성 확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6b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c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6d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e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6f는 비교예 3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wt%"는 부재의 총 중량에 대하여, 부재에 포함되는 성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유리의 “곡률반경”은 곡면으로 성형된 유리 표면의 미소지점에서 모든 방향을 따라 곡면에 가장 근사한 원호의 반경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3D Scanner(Faro/Focus S) 등을 이용하여 곡면으로 성형된 유리 표면을 스캔, 모델링하여 곡률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곡면을 가지는 유리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유리의 곡률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느 부재의 “탄성계수”는 JIS-K6251-1 규격에 따라 준비한 샘플의 양 끝 단을 고정시킨 후, 샘플의 두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인장율(Strain)에 따른 단위 면적당의 응력(Stress)을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말하며, 이 때 측정 기기로는, 인장강도계(Zwick/Roell Z010 UT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탄성시트가 구비된 연성시트를 포함하는 진공백을 이용하여, 두께가 얇은 박판유리에 탄성 변형을 가해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박판유리로부터 성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하기와 같이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1 연성시트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연성시트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 있어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적어도 일 측은 가공용 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외측면 상에 탄성시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는 1:0.6 내지 1:20,000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사용하면, 두께가 얇은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곡면으로 성형되는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진공백은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으로, 상기 진공백에 삽입되는 가공용 유리를 성형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공용 유리인 판상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에서 탄성 변형되어,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에 접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종래의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백 내에 가공용 유리인 판상 박판유리, 접합부재 및 곡면 후판유리를 순차적으로 구비시키고, 진공백을 밀봉한 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진공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진공백은 판상 박판유리를 압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판상 박판유리가 탄성 변형되어, 접합부재를 매개로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에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진공백을 이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판상 박판유리는 너비에 대한 두께의 비가 작아, 진공백 내에서 탄성 변형된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발생되는 좌굴 현상 및 주름이 심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탄성시트가 외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1 연성시트를 포함하는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사용하는 경우, 두께가 얇은 판상 박판유리로부터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공용 유리인 판상 박판유리는, 탄성시트가 구비된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외측면의 반대면에 적층될 수 있다. 즉,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일면에 제1 연성시트와 탄성시트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판상 박판유리에 탄성 변형을 가하는 과정에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판상 후판유리에 탄성 변형을 가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너비에 대한 두께 비를 증가시키것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켜 제조되는 곡면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에 구비된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탄성시트가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지지함으로써,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사용하는 경우, 좌굴 현상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곡면 접합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제1 연성시트(110)의 외측면에 탄성시트(111)가 구비되고, 일측에 개구부(130)가 구비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1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b는 접합용 연성시트(112)를 통해, 제1 연성시트(110)의 외측면에 탄성시트(111)가 구비되고, 일측에 개구부(130)가 구비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1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최외면에 탄성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최외면에 탄성시트를 구비시킴으로써, 탄성 변형되는 곡면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최외면에 탄성시트를 구비시키는 방법으로 당업계에서 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접합필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최외면에 탄성시트를 구비시켜 도 1a와 같은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b와 같이, 접착면을 가지는 접합용 연성시트(11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연성시트(110)의 최외면에 탄성시트(111)를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연성시트는 상기 제1 연성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연성시트와 동일한 탄성계수를 보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는 1:0.6 내지 1:20,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는 1:1 내지 1:15,000, 1:5 내지 1:12,500, 1:10 내지 1:10,000, 1:25 내지 1:8,500, 1:50 내지 1:5,000, 1:100 내지 1:3,500, 1:250 내지 1:2,000, 1:500 내지 1:1,000, 1:1 내지 1:100, 1:150 내지 1:1,000, 1:1,500 내지 1:5,000, 1:7,500 내지 1:10,000, 1:12,000 내지 1:15,000, 1:16,000 내지 1:19,000, 1:150 내지 1:1,300, 1:1,200 내지 1:9,000, 또는 1:4,210 내지 1:20,000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와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판상 박판유리로부터 제조된 곡면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탄성시트가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리 간의 국부적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2 연성시트의 탄성계수는 각각 1 MPa 이상 100 M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2 연성시트의 탄성계수는 각각 10 MPa 이상 85 MPa 이하, 20 MPa 이상 60 MPa 이하, 35 MPa 이상 50 MPa 이하, 1 MPa 이상 15 MPa 이하, 20 MPa 이상 35 MPa 이하, 40 MPa 이상 45 MPa 이하, 55 MPa 이상 70 MPa 이하, 또는 80 MPa 이상 95 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의 탄성계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는 상기 판상 박판유리에 보다 밀착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2 연성시트가 전술한 범위의 탄성계수를 가짐으로써,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파손없이 상기 가공용 유리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의 탄성계수와 상기 제2 연성시트의 탄성계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는 60 MPa 이상 20,000 M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는 100 MPa 이상 18,000 MPa 이하, 200 MPa 이상 15,000 MPa 이하, 500 MPa 이상 10,000 MPa 이하, 1,000 MPa 이상 8,000 MPa 이하, 2,000 MPa 이상 6,000 MPa 이하, 3,000 MPa 이상 5,000 MPa 이하, 200 MPa 이상 1,000 MPa 이하, 2,500 MPa 이상 5,000 MPa 이하, 7,000 MPa 이상 10,000 MPa 이하, 12,000 MPa 이상 15,000 MPa 이하, 또는 16,000 MPa 이상 18,000 MPa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탄성계수를 보유하는 탄성시트는,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 비는 1:0.05 내지 1:2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 비는 1:0.05 내지 1:5, 1:6 내지 1:10, 또는 1:12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과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서 탄성 변형되는 판상 박판유리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성시트의 두께는 0.2 mm 이상 20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성시트의 두께는 0.5 mm 이상 18 mm 이하, 2 mm 이상 15 mm 이하, 5 mm 이상 10 mm 이하, 0.5 mm 이상 2 mm 이하, 5 mm 이상 10 mm 이하, 또는 13 mm 이상 18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연성시트는 탄성 변형되는 판상 박판유리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판상 박판유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연성시트가 파손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연성시트의 두께는 0.2 mm 이상 20 mm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두께는 가지는 상기 제2 연성시트는,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파손없이 상기 가공용 유리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의 두께와 상기 제2 연성시트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는 1 mm 이상 5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는 1.5 mm 이상 4.5 mm 이하, 2 mm 이상 3.5 mm 이하, 2.5 mm 이상 3 mm 이하, 1.5 mm 이상 2.5 mm 이하, 또는 3 mm 이상 4.5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공용 유리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탄성 변형된 박판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이라면 상기 연성시트 및 상기 탄성시트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소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2 연성시트 각각은 고무, 실리콘, 실리콘 고무, 바이톤, 폴리염화비닐 및 네오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리덴불화물(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메타크릴산(polymethy lmethAcrylate, PMM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개폐 가능한 개구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제1 연성시트(110) 말단에 형성된 요철부와 제2 연성시트(120) 말단에 형성된 요철부를 통해,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100)의 일측에 구비된 개구부(130)를 개폐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적어도 일 측은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공용 유리를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닫아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개폐부를 통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공지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서로 맞물려 탈부착이 가능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와 같이 제1 연성시트(110) 및 제2 연성시트(120)의 말단에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지퍼락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타 측은,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제2 연성시트가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제2 연성시트를 접합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초음파 용접, 열 용접, 고주파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제2 연성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2 연성시트의 모든 테두리 상에 상기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성시트 상에 상기 제2 연성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상기 제1 연성시트 또는 상기 제2 연성시트에 구비되며, 진공흡입장치와 연결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구부는 진공흡입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구부를 통해 밀봉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a)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준비하는 단계; b) 곡면 후판유리, 접합부재 및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삽하는 단계; 및 c)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밀봉한 후,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 박판유리는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두께가 얇은 판상의 박판의 유리를 탄성변형시키는 경우에도, 곡면으로 성형되는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사용함으로써, 좌굴 현상이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판상 박판유리(210), 접합필름(230) 및 곡면 후판유리(220)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가공용 유리 적층체의 판상 박판유리(210)를 제1 연성시트(110) 상에 구비시켜, 곡면 접합유리(200)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전술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준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당업계에서 유리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곡면 후판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후판유리를 자중성형 방법 또는 압착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곡면 후판유리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접합부재가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과 상기 판상 박판유리 사이에 구비된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준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b) 단계는 가공용 유리 적층체의 판상 박판유리(210)가 제1 연성시트(110)에 인접하여 구비되도록,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100)에 내삽할 수 있다. 즉, 상기 b) 단계를 통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상기 제1 연성시트 상에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내부에 가공용 유리 적층체가 구비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밀봉한 후,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가 진공분위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압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탄성시트가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지지하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상기 탄성시트가 구비된 상기 제1 연성시트 상에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켜 제조되는 곡면 박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는 좌굴 현상이나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기계적 물성 및/또는 광학적 물성이 우수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공용 유리 적층체는,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상기 접합부재 및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곡면 후판유리(220)의 오목한 면 상에 접합필름(230) 및 판상 박판유리(210)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정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상기 접합부재 및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서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정합되어 접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합되어 접합된다는 것은 상기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의 곡률반경과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고, 상기 곡면 박판유리와 상기 곡면 후판유리가 동일한 위치에서 함께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접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유리와 상기 곡면 후판유리를 정합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곡면 접합유리에서 유리 상호간에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곡면 접합유리의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서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곡면 후판유리에 인접하는 상기 곡면 박판유리 면의 반대면에 압축 응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211)의 오목한 면에, 곡면 박판유리(211)의 말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압축 응력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한 면 상에 압축 응력이 형성된 상기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는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공용 유리 적층체는,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상기 접합부재 및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상기 접합부재 및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서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정합되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와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탄성시트 총 두께의 비는 1:1 내지 1:5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와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탄성시트 총 두께의 비는 1:1 내지 1:1.5, 1:3 내지 1:12, 또는 1:14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와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탄성시트 총 두께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판상 박판유리로부터 탄성 변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이나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탄성시트가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지지하며,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50 ℃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c) 단계는 0℃ 이상 15℃ 이하의 온도, 20℃ 이상 35℃ 이하의 온도, 또는 25℃ 이상 45℃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판상 박판유리에 열을 가하지 않고 곡면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유리를 서냉시키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가 접합된 곡면 접합유리를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서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켜 곡면 후판유리에 접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고, 곡면 접합유리를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서 꺼낸 후, 상기 곡면 접합유리를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곡면 접합유리를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곡면 박판유리와 곡면 후판유리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재가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상기 d) 단계를 2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곡면 접합유리를 약 90 ℃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후, 약 120 ℃의 온도에서 다시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름 파손 방지층을 이용하여,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판상 박판유리(210), 접합필름(230), 곡면 후판유리(220) 및 파손 방지층(221)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가공용 유리 적층체의 판상 박판유리(210)를 제1 연성시트(110) 상에 구비시켜, 곡면 접합유리(200)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파손 방지층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곡률반경과 상기 파손 방지층의 곡률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파손 방지층(221)은 곡면으로 성형된 것이며, 곡면 후판유리(220)의 볼록한 면 상에 파손 방지층(221)의 오목한 면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파손 방지층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연성시트 상에 구비된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상 박판유리, 제1 연성시트 및 탄성시트의 총 두께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판상 박판유리, 제1 연성시트 및 탄성시트의 총 두께가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파손 방지층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파손 방지층의 두께는 1 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손 방지층의 두께는 1 mm 이상 12 mm 이하, 13 mm 이상 19 mm 이하, 또는 20 mm 이상 25 mm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두께 범위를 가지는 파손 방지층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곡면 후판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손 방지층의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파손 방지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파손 방지층은 금속 필름, 세라믹 필름 및 고분자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파손 방지층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는 단곡면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는 1축으로 성형되어 1방향으로만 곡률을 가지는 단곡면 형태의 곡면 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유리는 2축으로 성형되어 다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는 복곡면 형태의 곡면 유리일 수 있다. 일 예로, 복곡면 형태의 곡면 후판유리는 포물면(paraboloid)을 가지는 곡면 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박판유리는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판상 박판유리는 탄성변형되어, 단곡면을 가지는 곡면 유리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곡면 유리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판상 박판유리를 기존의 진공백을 이용하여 탄성 변형시켜 복곡면을 가지는 곡면 유리로 성형하는 경우, 성형된 곡면 유리에 좌굴 현상 및/또는 주름이 발생되는 정도가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탄성 변형된 복곡면 박판유리에 좌굴 및/또는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단곡면 형태 또는 복곡면 형태의 곡면 접합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 및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의 곡률반경은 500 R 이상 8,000 R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판상 박판유리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유리 및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의 곡률반경은 500 R 이상 2,000 R 이하, 2,500 R 이상 6,000 R 이하, 또는 6,500 R 이상 8,000 R 이하일 수 있다. 종래의 진공백을 이용하여 성형된 곡면 박판유리의 최소 곡률반경은 대략 2000 R 수준이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하여, 종래의 진공백을 이용한 경우 대비 곡률반경이 작은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박판유리로부터 성형된 복곡면 박판유리의 곡률반경은 500 R 이상 8,000 R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 비는 1:0.2 내지 1:0.5, 1:0.2 내지 1:0.4, 1:0.25 내지 1:0.3, 또는 1:0.25 내지 1:0.45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곡면 접합유리의 강성 하락에 따라 곡면 접합유리의 파손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 비가 전술한 범위인 경우, 제조되는 곡면 접합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 및 박형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후판유리와 곡면 박판유리의 두께 비에 따른 강성 확보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앙부에 일정한 하중을 인가하여 중앙부의 처짐량을 분석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x축은 총 유리 두께를 나타내고 y축은 유리 처짐량, 즉 휘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박판유리의 두께]/[곡면 후판유리의 두께]인 AR(Asymmetry ratio)은 0.1 내지 0.5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AR이 작아질수록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두께는 얇아지고,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는 두꺼워짐을 의미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곡면 박판유리와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여, 곡면 접합유리의 휘어진 정도를 낮추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곡면 박판유리 및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여, 곡면 접합유리의 강성 증대 효과, 경량화 효과 및 박형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두께는 0.3 mm 이상 0.8 mm 이하, 0.4 mm 이상 0.6 mm 이하, 0.3 mm 이상 0.7 mm 이하, 또는 0.5 mm 이상 0.8 mm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는 내충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박형화, 경량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는 2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는 2.5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곡면 접합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 박형화시킬 수 있고, 곡면 접합유리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접합유리에 포함되는 곡면 박판유리 및 곡면 후판유리 두께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은 곡면 접합유리에 인가되는 외력, 기계적인 충격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것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1 내지 1:1.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비커스 경도 비는 1:1.12 내지 1:1.27, 1:1.15 내지 1:1.25, 또는 1:1.2 내지 1:1.23일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보다 높은 경도를 보유하는 상기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는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비커스 경도는 5.5 GPa 이상 7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유리는 5.8 GPa 이상 6.9 GPa 이하, 6.0 GPa 이상 6.7 GPa 이하, 또는 6.2 GPa 이상 6.5 GPa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비커스 경도 값을 가지는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는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유리는 5.2 GPa 이상 5.8 GPa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비커스 경도는 비커스 압입자를 이용하여 유리를 누른 후 자국의 크기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 ℃의 온도, 35RH%의 습도 조건에서, ASTM C1327-08 규격에 의거하고 압입하중을 200gf, 압입유지 시간을 20초로 설정하여, 상기 곡면 박판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파괴인성 비는 1:1.3 내지 1: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파괴인성 비는 1:1.35 내지 1:1.49, 1:1.37 내지 1:1.45, 또는 1:1.39 내지 1:1.45일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 대비 전술한 범위의 파괴인성을 보유하고 있어, 곡면 접합유리의 외부충격에 대한 파괴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곡면 접합유리의 파손강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1.0 MPa·m1/2 이상 1.3 MPa·m1/2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1.1 MPa·m1/2 이상 1.25 MPa·m1/2 이하, 1.15 MPa·m1/2 이상 1.25 MPa·m1/2 이하, 또는 1.18 MPa·m1/2 이상 1.21 MPa·m1/2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파괴인성 값을 가지는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는 내충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0.7 MPa·m1/2 이상 0.85 MPa·m1/2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0.75 MPa·m1/2 이상 0.83 MPa·m1/2 이하, 또는 0.77 MPa·m1/2 이상 0.8 MPa·m1/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유리 및 곡면 후판유리의 파괴인성 값은 비커스 압입자로 유리에 균열이 생길 때까지 누른 후 균열 길이, 압입자 자국, 하중 등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인 indentation fracture toughness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 ℃의 온도, 35RH%의 습도 조건에서, KS L 1600:2010 규격에 의거하고 압입하중은 2Kgf로 설정하여, 상기 곡면 박판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파괴인성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1 내지 1:1.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탄성계수 비는 1:1.04 내지 1:1.17, 1:1.06 내지 1:1.15, 1:1.08 내지 1:1.12, 또는 1:1.08 내지 1:1.15일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 대비 전술한 범위의 탄성계수를 보유하고 있어, 상기 곡면 접합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 보다 경량, 박형인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강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곡면 박판유리의 탄성계수는 70 GPa 이상 90 G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 박판유리는 73 GPa 이상 87 GPa 이하, 75 GPa 이상 85 GPa 이하, 78 GPa 이상 80 GPa 이하, 75 GPa 이상 80 GPa 이하, 또는 80 GPa 이상 90 G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후판유리는 65 GPa 이상 75 G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박판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탄성계수는 3점굽힘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4 ℃의 온도, 35RH%의 습도 조건에서,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장비를 사용한 3점 굽힘(3point bending) 시험을 통해 상기 곡면 박판유리 및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샘플의 폭(width)은 20mm, 지지 간격(support span)을 50 mm로 설정하고, UTM 장비을 통하여 측정된 변위(displacement)와 하중(load)을 변형량(strain)과 응력(stress)으로 변환하여 S-S(strain-stress) 곡선(curve)를 도출한 후, S-S 곡선을 리니어 피팅(liner fitting)하여 산출한 기울기를 통해 탄성계수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파괴인성, 비커스 경도, 탄성계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상기 박판유리로 운송수단의 창유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박판유리로, 조성물 100 wt%당 Si02 46 wt% 이상 62 wt% 이하, Al2O3 15 wt% 이상 29 wt% 이하, MgO 3 wt% 이상 14 wt% 이하, CaO 5 wt% 이하 8 wt% 이하, 및 SrO 0.01 wt% 이상 5 wt% 이하를 포함하고,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리 중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포함되어 있더라도 다른 성분에 비해 그 함유량이 극히 미미하여 유리의 조성 성분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을 포함한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실질적이란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내화물이나 유리 원료 중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불가피하게 유리 중에 혼입되는 미량의 알칼리 금속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알칼리 유리는 산화물 환산의 질량 백분율 표시로 1% 미만의 알칼리 금속(Li, Na, K 등)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알칼리 유리로, 무알칼리 붕규산 유리 또는 무알칼리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알칼리 유리로, 플로트 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 다운드로우 방식이나 퓨전 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무알칼리 유리는 유리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알칼리 성분이 없거나 극히 적기 때문에, 일반 유리에 비하여 표면의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면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파괴인성, 비커스 경도, 탄성계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상기 후판유리로 운송수단의 창유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를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판유리로 조성물 100 wt%당 Si02 65 wt% 이상 75 wt% 이하, Al2O3 0 wt% 이상 10 wt% 이하, NaO2 10 wt% 이상 15 wt% 이하, K2O 0 wt% 이상 5 wt% 이하, CaO 1 wt% 이상 12 wt% 이하 및 MgO 0 wt% 이상 8 wt% 이하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소다라임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 플로트 배스(float bath)를 이용하는 플로트(float) 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 다운드로우(down draw) 방식이나 퓨전 방식에 의해 제조된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판상 박판유리 상에 접합부재를 구비시키거나, 또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접합부재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는 접합필름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합필름은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층 접합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각 층의 조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 층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접합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비닐부티랄 공중합체 필름 등 당 분야에서 접합유리를 접합할 때 사용되는 재질의 (공)중합체 필름을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상기 접합필름은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메타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산 비닐수지, 이오노머, 폴리메틸펜텐, 염화비닐리덴, 폴리술폰, 폴리불화비닐리덴, 메타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알릴술폰,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합필름의 두께는 0.5 mm 이상 1 mm 이하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접합필름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곡면 박판유리와 상기 곡면 후판유리 사이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상기 곡면 박판유리로부터 상기 곡면 후판유리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형화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LOCA(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또는 상기 판상 박판유리 상에 상기 접착제를 0.5 mm 이상 1.5 mm 이하의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준비
제1 연성시트, 제2 연성시트 및 접합용 연성시트로 3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50 MPa인 실리콘 고무판을 각각 준비하고, 탄성시트로 3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230 MPa인 폴리카보네이트 판을 준비하였다. 이후 제2 연성시트에 구멍을 뚫고, 진공흡인장치의 배관과 연결가능한 캡을 구멍에 구비시켰다.
이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연성시트의 테두리와 제2 연성시트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일 측에만 개구부가 구비된 백(bag)을 제조하였다. 이후, 개구부가 구비된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연성시트의 말단과 제2 연성시트의 말단을 식각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를 각각 형성하였다. 이후, 접합용 연성시트의 일면에 접찹제를 도포하고, 제1 연성시트의 외측면에 탄성시트를 위치시킨 후, 접합용 연성시트의 일면을 제1 연성시트의 외측면에 접합하였다. 이를 통해, 도 1b와 같은 단면을 가지고, 도 2와 같은 개구부가 구비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준비하였다.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
유리 100 wt%당 Si02 61 wt%, Al2O3 16 wt%, MgO 3 wt%, CaO 8 wt% 이하, 및 SrO 0.05 wt%를 포함하며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무알칼리 유리를 박판유리로 준비하였고, 유리 100 wt%당 Si02 72 wt%, Al2O3 0.15 wt%, Na2O 14 wt%, K2O 0.03 wt%, 및 CaO 9 wt% 및 MgO 4 wt%를 포함하며 2.0 mm의 두께를 가지는 소다라임 유리를 후판유리로 준비하였다. 또한, 접합필름으로 0.5 m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비닐부티랄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무알칼리 유리의 탄성계수는 78 GPa, 비커스 경도는 6.3 GPa, 파괴 인성은 1.20 MPa·m1/2이었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의 탄성계수는 72 GPa, 비커스 경도는 5.6 GPa, 파괴 인성은 0.85 MPa·m1/2이었다.
먼저, 후판유리를 약 600 ℃에서 60초간 가열하며 자중을 이용하여, 곡면 후판유리를 제조하였다. 곡면 후판유리의 곡률반경은 약 1200 R이었다. 이후, 판상 박판유리 상에 접합필름을 부착하고, 접합필름 상에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이 위치하도록 구비시켜,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준비하였다.
이후, 가공용 유리 적층체의 판상 박판유리가 제1 연성시트 상에 적층되도록,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준비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 내삽하였다. 이후,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일측의 요철부를 맞물려,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밀봉하였다. 이후, 제2 연성시트에 구비된 캡을 열고 진공흡인장치와 연결한 후, 진공흡인장치를 구동시켜, 밀봉된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조성하였다. 이 때, 진공백 내부를 상온에서 160 torr의 압력으로 약 10 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꺼내고, 곡면 접합유리를 약 90 의 온도, 160 torr의 압력 조건에서 60 분 동안 1차 열처리하고, 약 130 ℃℃의 온도, 9,800 torr의 압력 조건에서 60 분 동안 2차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의 곡률반경은 약 1200 R이었다.
실시예 2
제1 연성시트 및 제2 연성시트로 5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30 MPa인 실리콘 고무판을 각각 준비하고, 탄성시트로 5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3000 MPa인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판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의 곡률반경은 약 1200 R이었다.
실시예 3
30 mm의 두께를 가지고, 곡률반경이 약 1200R인 이산화규소 판을 파손 방지층으로 준비하고, 파손 방지층을 곡률반경이 약 1200R인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구비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의 곡률반경은 약 1200 R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탄성시트 및 접합용 연성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1 연성시트로서 1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50 MPa인 실리콘 고무를 준비하고, 탄성시트로 0.5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230 MPa인 폴리카보네이트 판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였다. 이 때, 판상 박판유리로부터 성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곡면 박판유리의 표면에 좌굴 현상 및 주름이 다수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
제1 연성시트로서 0.5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5 MPa인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를 준비하고, 탄성시트로 0.5 mm 두께를 가지고 탄성계수가 200,000 MPa인 강화스테인리스스틸(SUS304) 판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였다.
도 6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6b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c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6d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e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6f는 비교예 3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곡면 접합유리에 포함된 곡면 박판유리에 좌굴 현상 및 주름이 발생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도 6d 및 도 6e를 참고하면, 탄성시트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탄성시트의 두께가 1 mm 미만인 비교예 2의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한 경우, 판상 박판유리로부터 성형된 곡면 박판유리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파손 형태로 볼 때 곡면 박판유리에 발생된 좌굴 현상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f를 참고하면, 제1 연성시트와 탄성시트의 탄성게수의 비가 1:20,000을 초과하는 비교예 3의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한 경우, 탄성시트의 초과 강성으로 인해 판상 박판유리가 제대로 성형되지 못하고, 박판유리 중앙에 크랙이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이용함으로써, 좌굴 현상 및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 곡면 박판유리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100: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110: 제1 연성시트
111: 탄성시트
112: 접합용 연성시트
120: 제2 연성시트
130: 개구부
200: 곡면 접합유리
210: 판상 박판유리
211: 곡면 박판유리
220: 곡면 후판유리
221: 파손 방지층
230: 접합필름

Claims (17)

  1.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1 연성시트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연성시트를 포함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에 있어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적어도 일 측은 가공용 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시트의 외측면 상에 탄성시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의 비는 1:0.6 내지 1:20,000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시트 및 상기 제2 연성시트의 탄성계수는 각각 1 MPa 이상 100 MPa 이하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의 탄성계수는 60 MPa 이상 20,000 MPa 이하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 비는 1:0.05 내지 1:25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시트의 두께는 0.2 mm 이상 20 mm 이하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의 두께는 1 mm 이상 5 mm 이하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은 상기 제1 연성시트 또는 상기 제2 연성시트에 구비되며, 진공흡입장치와 연결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9. a) 청구항 1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준비하는 단계;
    b) 곡면 후판유리, 접합부재 및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가공용 유리 적층체를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삽하는 단계; 및
    c)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을 밀봉한 후, 상기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여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 박판유리는 상기 제1 연성시트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공용 유리 적층체는,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상기 접합부재 및 상기 판상 박판유리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오목한 면 상에 정합되어 접합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곡면 후판유리의 볼록한 면 상에 파손 방지층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50 ℃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판상 박판유리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가 접합된 곡면 접합유리를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는 단곡면 또는 복곡면을 가지는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 및 탄성 변형된 상기 박판유리의 곡률반경은 500 R 이상 8,000 R 이하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곡면 후판유리와 상기 판상 박판유리의 두께 비는 1:0.1 내지 1:0.5인 것인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80007838A 2018-01-22 2018-01-22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10223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38A KR102235140B1 (ko) 2018-01-22 2018-01-22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38A KR102235140B1 (ko) 2018-01-22 2018-01-22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98A true KR20190089398A (ko) 2019-07-31
KR102235140B1 KR102235140B1 (ko) 2021-04-02

Family

ID=6747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38A KR102235140B1 (ko) 2018-01-22 2018-01-22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1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746A (ja) * 1999-07-26 2001-04-10 Fujikura Rubber Ltd ガラス接合バッグ
JP2006327906A (ja) * 2005-05-30 2006-12-07 Toyo Tire & Rubber Co Ltd 真空バッグ用ゴム引布
JP2007131494A (ja) * 2005-11-11 2007-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真空バッグ用伸縮性素材及び真空バッグ
KR20140008848A (ko) * 2012-07-12 2014-01-22 (주)합동하이텍그라스 포장 밀봉 방식을 이용한 곡면 강화 유리 접합방법
WO2017011270A1 (en) * 2015-07-10 2017-01-19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ed laminates
KR20170122132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746A (ja) * 1999-07-26 2001-04-10 Fujikura Rubber Ltd ガラス接合バッグ
JP2006327906A (ja) * 2005-05-30 2006-12-07 Toyo Tire & Rubber Co Ltd 真空バッグ用ゴム引布
JP2007131494A (ja) * 2005-11-11 2007-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真空バッグ用伸縮性素材及び真空バッグ
KR20140008848A (ko) * 2012-07-12 2014-01-22 (주)합동하이텍그라스 포장 밀봉 방식을 이용한 곡면 강화 유리 접합방법
WO2017011270A1 (en) * 2015-07-10 2017-01-19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ed laminates
KR20170122132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140B1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182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KR102200636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US1113031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urved laminated glass and curved laminated glass
KR102088678B1 (ko)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20170122132A (ko)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JP2023029989A (ja) プロセス
KR102257831B1 (ko) 곡면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114850B1 (ko)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곡면 접합 유리
US11034135B2 (en) Laminated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35140B1 (ko) 곡면 접합유리 제조용 진공백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CN112469675B (zh) 手持式片材边缘条分离装置及分离玻璃片的方法
KR20190133896A (ko) 기능성층이 구비된 곡면 박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층이 구비된 곡면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