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866A -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866A
KR20170120866A KR1020160049298A KR20160049298A KR20170120866A KR 20170120866 A KR20170120866 A KR 20170120866A KR 1020160049298 A KR1020160049298 A KR 1020160049298A KR 20160049298 A KR20160049298 A KR 20160049298A KR 20170120866 A KR20170120866 A KR 2017012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stud bolts
concrete
stud
sid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이
신동규
신상범
이동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866A/ko
Publication of KR2017012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7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permanent forms made of particular materials, e.g. layered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 분리와 채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터드 볼트와 타이바의 배열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콘크리트 주입관을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공간 확보와 콘크리트의 주입 낙하를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강판 콘크리트에 대한 타설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림화 및 경량화는 물론, 동바리 설치 개수를 현저히 줄여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과 운송 및 설치가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시된다.

Description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강판(鋼板)과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층이 형성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 분리와 채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타이바(tie-bar)의 배열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콘크리트 주입관을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공간 확보와 함께 콘크리트의 주입 낙하를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강판 콘크리트에 대한 타설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림화 및 경량화는 물론, 동바리 설치 개수를 현저히 줄여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과 운송 및 설치가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및 철골 구조물,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현장에서 거푸집과 철근이나 철골 등을 함께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고 있다. 그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이 번거롭고 공기가 상당히 길어질 뿐만 아니라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대향 배치된 강판과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하는 구조로 모듈화하여 강성, 내력, 변형 성능, 시공 등의 측면에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기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강판, 상기 강판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 마주하는 강판 간에 연결하는 타이바, 마주하는 강판과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층을 모듈화한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인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살펴보면, 먼저 서로 마주하게 되는 강판의 대응 면에 복수의 스터트 볼트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 고정된 구조로 강판을 시공하고, 이와 같이 시공된 강판은 타이바를 통해 서로 마주하는 강판과 연결 고정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강판을 서로 마주하게 될 때,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는 타측 강판의 대응 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는 일측 강판의 대응 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한 후, 일측 강판과 타측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조로 강판을 마주하게 되면,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와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배치되게 되어 스터드 볼트 간 간격이 매우 좁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가 일측 강판 스터드 볼트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배열 구조를 취하게 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 간에 간격이 매우 좁아지게 되고, 아울러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해 곧은 형태의 진입 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콘크리트 주입관을 강판의 상단에서 하단 까지 진입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문제로 인하여 상단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될 경우, 스터드 볼트와 스터드 볼트 사이에 골재가 걸리거나 스터드 볼트에 의한 장애가 발생하여 골재분리로 인한 콘크리트 타설층의 골재 밀도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채움성 불량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스터드 볼트의 개수를 현저히 줄이고 아울러 스터드 볼트 간에 겹쳐지는 간격을 충분히 넓일 경우, 위와 같은 문제를 다소 해결할 수 있으나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내력, 변형 성능의 저하가 불가피함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와 타측 스터드 볼트 간에 겹쳐지는 구조로 마주하지 않도록 일측 강판과 타측 강판 간에 거리를 충분히 가지게 되면 골재 분리와 채움 불량, 강성, 내력, 변형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는 있다. 하지만, 일측 강판과 타측 강판 간에 마주하는 거리가 더 멀어진 만큼 콘크리트 타설 양은 필요 이상으로 증대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 강판의 측면으로 작용하는 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설 부재 즉, 많은 개수의 동바리 설치가 불가피함으로써 동바리 제작에 따른 많은 비용의 소요와 가설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무게가 무거워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골재 분리와 채움 불량, 강성, 내력, 변형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층의 두께가 얇은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0735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44464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 분리와 채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터드 볼트와 타이바의 배열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콘크리트 주입관을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공간 확보와 콘크리트의 주입 낙하를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강판 콘크리트에 대한 타설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림화 및 경량화는 물론, 동바리 설치 개수를 현저히 줄여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과 운송 및 설치가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측 및 타측 강판에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과 타이바 배열 영역을 각각 구획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일측 및 타측 강판에 스터드 볼트를 복수 배열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타이바 배열 영역 중 선택된 일측 강판의 타이바 배열 영역에 수직 및 수평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는 한 쌍의 타이바를 상단에서 직하의 동일선상을 따라 복수 배열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는 타측 강판의 대응 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는 일측 강판의 대응 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와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가 겹쳐지는 배열로 일측 및 타측 강판 간에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일측 강판에 연결된 타이바를 타측 강판의 대응 면에 연결 고정하는 단계; 수평으로 이웃하는 타이바 사이로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콘크리트 주입관을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주입관의 타설 높이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측 및 타측 강판에 구획 설정되는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에 각각 배열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 상기 일측 및 타측 강판에 각각 구획 설정되는 타이바 배열 영역 중 선택된 일측 강판의 타이바 배열 영역에 수직 및 수평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며 상단에서 직하의 동일선상을 따라 복수 배열되는 구조로 타측 강판과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타이바; 수평으로 이웃하는 상기 타이바 사이로 콘크리트 주입관을 진입시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바 간에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한 배열 간격은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와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가 겹쳐져 배치되었을 때 상기 스터드 볼트와 스터드 볼트 간에 간격을 기준으로 2 ~ 3배로 형성되는 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볼트와 타이바는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주입관을 원활하게 진입시키면서 타설 높이를 제어하는 영역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층 두께가 얇은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의 시공과 함께 강성, 내력이 우수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강판 콘크리트의 슬림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시공시 동바리 설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경제적인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과 함께 운송 및 설치가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수성과 운용하는 시공 장비에 대한 제약 및 시공 장비의 동원이 신속하지 못한 여러 가지 작업 여건을 고려할 때 시공 및 작업의 용이함을 제공받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a ~ 도 2g는 도 1의 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2g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강판(10) 및 타측 강판(20)에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 22)과 타이바 배열 영역(14, 24)을 각각 구획 설정하는 단계(a); 상기 단계(a) 이후, 상기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 22)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에 스터드 볼트(16, 26)를 각각 복수 배열하여 고정하는 단계(b); 상기 단계(b) 이후, 상기 타이바 배열 영역(14, 24) 중 선택된 일측 강판(10)의 타이바 배열 영역(14)에 수평으로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는 한 쌍의 타이바(28)가 상,하단을 잇는 동일선상을 따라 복수 배열되는 구조로 고정하는 단계(c); 상기 단계(c) 이후,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는 타측 강판(20)의 대응 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16)는 일측 강판(10)의 대응 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가 겹쳐지는 배열 구조로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 간에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d); 상기 단계(d) 이후, 상기 일측 강판(10)에 연결된 타이바(28)를 타측 강판(20)의 대응 면에 연결 고정하는 단계(e); 상기 단계(e) 이후, 수평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타이바(28) 사이로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해 콘크리트 주입관(30)을 진입시키는 단계(f); 상기 단계(f) 이후, 상기 콘크리트 주입관(30)의 타설 높이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타설하는 단계(g);를 포함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상기 단계(c)에서는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2)가 겹쳐지는 구조로 배치되었을 때,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2) 간의 간격보다 2배 이상 3배 이하 범위를 타이바(28)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한 배열 간격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32) 이하,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로 칭함) 및 그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a ~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대응 면에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 22)과 타이바 배열 영역(14, 24)이 각각 구획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획 설정되는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 22)에는 복수의 스터트 볼트(16, 26)가 서로 간격을 갖는 구조로 배열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에 배열되는 스터트 볼트(16) 간의 간격과 상기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22)에 배열되는 스터트 볼트(26)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터트 볼트(16, 26)의 배열 구조는 상기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하게 될 때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는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 (2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는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 사이로 배치되는 배열 구조가 제시된다.
이러한 배열 구조에 의해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 간에 간격을 최대로 줄일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층(34)의 두께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에 각각 구획 설정된 타이바 배열 영역(14, 24) 중 선택된 일측 강판(10)의 타이바 배열 영역(14)에는 수평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며 상단에서 직하의 동일선상을 따라 복수 배열 고정된 한 쌍의 타이바(28)가 타측 상판(20)과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타이바(28)의 외경은 스터드 볼트(16, 26)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타이바(28) 간에 수직 및 수평 배열 간격은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가 겹쳐져 배치되었을 때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 간 사이의 간격(스터드 볼트(16) 외면과 스터드 볼트(26) 외면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2 ~ 3배 간격이 수직 및 수평으로 배열된 타이바(28) 간의 배열 간격(타이바(28) 외면 간에 거리)으로 설정된다.
참고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타이바(28) 간에 배열 간격이 2배 미만인 경우, 타이바(28) 간에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콘크리트 주입관(30)을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32)의 하단까지 진입시키기 용이하지 못하고, 아울러 채움성도 좋지 못하여 그에 따른 제반문제들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3배를 초과하는 경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타이바(28) 간에 배열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위와 같은 문제는 해소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타이바(28)의 연결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 간에 벌어지려는 연결 지지력을 견뎌내기 어려운 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에 대한 제작이 완료되면,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배치하게 될 때, 상기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는 타측 강판(20)의 대응 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는 일측 강판(10)의 대응 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로 배치한 후, 상기 일측 강판(10)에 연결된 타이바(28)를 타측 강판(20)의 대응 면에 용접 형태로 고정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일측 강판(10)과 타측 강판(20) 간에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타이바 배열 영역(14, 24)의 상단 공간으로부터 하단 방향을 향해 콘크리트 주입관(30)을 진입시키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으로 이웃하는 타이바(28)의 설치 개수와 배열 구조 및 배열 간격은 연결 지지력, 강성, 내력, 변형 성능 등 안전성을 만족하면서 직하 방향을 향해 곧은 형태의 진입 공간이 확보되는 배열구조 이므로 콘크리트 주입관(30)의 용이한 진입은 물론, 그에 따른 콘크리트 주입관(30)의 타설 높이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타설 높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배경기술과 같이 상단에서 타설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즉, 스터드 볼트와 스터드 볼트 사이에 골재가 걸리거나 장애에 의한 골재의 분리 및 채움성 불량 등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용하게 되면, 일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는 타측 강판의 대응 면에 접촉되고 타측 강판의 스터드 볼트는 일측 강판의 대응 면에 접촉되는 구조와 함께 콘크리트 주입관을 원활하게 진입시키면서 타설 높이를 제어하는 영역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층 두께가 얇은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의 시공과 함께 강성, 내력이 우수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강판 콘크리트의 슬림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시공시 동바리 설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경제적인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과 함께 운송 및 설치가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시공 장비의 동원이 신속하지 못한 여러 가지 작업 여건을 고려될 때에도 시공 및 작업의 용이함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일측 강판
12, 22 :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
14 : 타이바 배열 영역
16, 26 : 스터드 볼트
20 : 타측 강판
24 : 타이바 배열 영역
28 : 타이바
30 : 콘크리트 주입관
32 :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34 : 콘크리트 타설층

Claims (5)

  1.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에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 22)과 타이바 배열 영역(14, 24)을 각각 구획 설정하는 단계(a);
    상기 단계(a) 이후, 상기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4, 24)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에 스터드 볼트(16, 26)를 복수 배열하여 고정하는 단계(b);
    상기 단계(b) 이후, 상기 타이바 배열 영역(14, 24) 중 선택된 일측 강판(10)의 타이바 배열 영역(14)에 수직 및 수평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는 한 쌍의 타이바(28)를 상단에서 직하의 동일선상을 따라 복수 배열하여 고정하는 단계(c);
    상기 단계(c) 이후,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는 타측 강판(20)의 대응 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는 일측 강판(10)의 대응 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가 겹쳐지는 배열로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 간에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d);
    상기 단계(d) 이후, 상기 일측 강판(10)에 연결된 타이바(28)를 타측 강판(20)의 대응 면에 연결 고정하는 단계(e);
    상기 단계 이후(e), 수평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타이바(28) 사이로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콘크리트 주입관(30)을 진입시키는 단계(f);
    상기 단계(f) 이후, 상기 콘크리트 주입관(30)의 타설 높이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며 타설하는 단계(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는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가 겹쳐져 배치되었을 때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 간에 간격보다 2배 이상 3배 이하 범위를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한 타이바(28)의 배열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3.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에 구획 설정되는 스터드 볼트 배열 영역(12, 22)에 각각 배열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16, 26);
    상기 일측 및 타측 강판(10, 20)에 각각 구획 설정되는 타이바 배열 영역(14, 24) 중 선택된 일측 강판(10)의 타이바 배열 영역(14)에 수직 및 수평 간격을 가지고 이웃하며 상단에서 직하의 동일선상을 따라 복수 배열되는 구조로 타측 강판(20)과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타이바(28);
    수평으로 이웃하는 상기 타이바(28) 사이로 콘크리트 주입관(30)을 진입시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층(3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28) 간에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한 배열 간격은 일측 강판(10)의 스터드 볼트(16)와 타측 강판(20)의 스터드 볼트(26)가 겹쳐져 배치되었을 때 상기 스터드 볼트(16)와 스터드 볼트(26) 간에 간격을 기준으로 2 ~ 3배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16, 26)와 타이바(28)는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60049298A 2016-04-22 2016-04-22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KR20170120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98A KR20170120866A (ko) 2016-04-22 2016-04-22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98A KR20170120866A (ko) 2016-04-22 2016-04-22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66A true KR20170120866A (ko) 2017-11-01

Family

ID=6038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298A KR20170120866A (ko) 2016-04-22 2016-04-22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900A (zh) * 2019-05-27 2019-08-02 东岳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加气混凝土砌块用自动拔钎机构
KR20210118639A (ko) 2020-03-23 2021-10-01 한국과학기술원 강판 콘크리트 합성패널 및 최적 설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900A (zh) * 2019-05-27 2019-08-02 东岳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加气混凝土砌块用自动拔钎机构
CN110076900B (zh) * 2019-05-27 2024-01-23 东岳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加气混凝土砌块用自动拔钎机构
KR20210118639A (ko) 2020-03-23 2021-10-01 한국과학기술원 강판 콘크리트 합성패널 및 최적 설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US20130104492A1 (en) Structure of building that is free of formwork removal
KR101776129B1 (ko) 슬래브 및 벽체 겸용 조립형 프리캐스트 이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구조 pc 벽체의 시공 방법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2144400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용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889644B1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CN110409811A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CN110409813A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KR20170120866A (ko) 경량화 강판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량화 콘크리트 구조물
KR20160148416A (ko) 거치식 벽체-강합성 거더 연결구조를 갖는 강합성 라멘교
KR101727745B1 (ko) 수직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428539B1 (ko)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135567A (ko) 일체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 단차 접합부를 갖는 중공슬래브
CN112282069A (zh) 一种钢梁与预制楼板连接结构及施工方法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20160056082A (ko) 2중 격자보 내에 중공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66193A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70093743A (ko)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415699B1 (ko) 기둥용 거푸집
JP4842093B2 (ja) フラットプレート構築方法
CN210049373U (zh) 装配式工字钢叠合楼板安装结构
KR101628255B1 (ko)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KR101391950B1 (ko) 분할판재가 내설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
JP2018150692A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576204B2 (ja) スラブ構造の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