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242A -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 Google Patents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242A
KR20170120242A KR1020160048130A KR20160048130A KR20170120242A KR 20170120242 A KR20170120242 A KR 20170120242A KR 1020160048130 A KR1020160048130 A KR 1020160048130A KR 20160048130 A KR20160048130 A KR 20160048130A KR 20170120242 A KR20170120242 A KR 2017012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ain cable
cable
carrier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8417B1 (en
Inventor
김인관
하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4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417B1/en
Publication of KR2017012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삭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공사종점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 상에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공사시점 위치에 메인케이블을 연결 지지하도록 베이스타워를 설치하는 단계, 메인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캐리어를 공사시점 위치의 메인케이블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 캐리어에 추가타워를 설치하기 위한 자재를 싣고, 공사시점 위치의 메인케이블 위치에서 공사종점 위치의 메인케이블 위치로 캐리어를 이동시키면서 추가타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삭도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삭도 시공방법은,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공사종점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 상에 메인케이블을 설치하고, 공사시점 위치에 메인케이블을 연결 지지하도록 베이스타워를 설치한 후, 메인케이블에 캐리어를 설치하는 바, 캐리어에 추가타워의 자재를 실은 후 메인케이블을 통해 공사종점 위치로 이동하면서 추가타워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추가타워의 이송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전체적인 시공 작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환경훼손과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main cable on a construction line from a construction starting point to a construction end point to be laid down, installing a base tower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cable to the construction starting point, A step of connecting a carrier provided with a drive means for moving the carrier to a main cable at a construction time point position, loading a material for installing an additional tower in the carrier, moving the carrier from the main cable position at the construction start point position to the main cable position at the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And installing an additional tower while moving the additional tower.
In such a rope construction method, a main cable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from the construction point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a base tower is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cable to the construction point, and a carrier is installed on the main cable In addition, the additional tower can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by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in the loca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is to be installed by moving the additional tower material to the carrier and then moving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through the main cable. And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Description

삭도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Construction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본 발명은 삭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악과 같은 지형에 삭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way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stalling a ropeway in a mountainous terrain.

일반적으로, 삭도는 산악과 같이 험난한 지형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의 왕래를 용이하게 하는 시설물이다.Generally, a ropeway is a facility that is installed on a rough terrain like a mountain and facilitates the traveling of people or goods.

도 1을 참조하면, 삭도를 시공하고자 할 때는, 먼저, 공사시점 위치 'S'로부터 공사종점 위치 'E'까지 타워(10,20,30)를 순차적으로 모두 설치한 후, 공사시점 위치 'S'에 설치한 타워(10)로부터 공사종점 위치 'E'에 설치된 타워(30) 및 공사시점 위치 'S'로부터 공사종점 위치 'E' 사이에 설치된 타워(20)에 연결되도록 주삭(40)을 설치하고, 상기 주삭(40)에 캐리지(50)를 설치한다. 그리고, 윈치(60)의 작동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예삭(70)을 설치한 후, 상기 예삭(70)을 상기 캐리지(50)에 연결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when a rope is to be constructed, all the towers 10, 20 and 30 are sequentially installed from the construction point S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The tower 30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E' from the tower 10 installed in the building 10 'and the jig 40 to be connected to the tower 20 installed between the construction start position' S 'and the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E ' And a carriage (50) is installed on the abovementioned mandrel (40). The work 70 is then connected to the carriage 50 after the work 70 is wound or un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winch 60.

그러나, 종래의 삭도 시공방법은, 산악과 같은 지형에 타워(10,20,30)를 먼저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공사종점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설치해야 함으로써 작업에 어려움이 있음과 더불어 캐리지(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예삭(70) 및 윈치(60)의 추가적인 설치작업이 필요해짐으로 인해 공사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각각의 타워(10,20,30)를 설치 지점까지 이송시킨 후 설치하기 위한 작업로를 필요로 함으로 인해 환경훼손 면적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pe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towers 10, 20, and 30 must be installed sequentially from the construction point position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in a mountainous terrain,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carriage 50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truction period and a cost are increased due to the necessity of an additional installation work of the excavation work 70 and the winch 60 to move. In addition, bas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of the environment-damaged area becomes large due to the necessity of a work path for transporting the towers 10, 20, and 30 to the installation site.

이러한, 선출원된 종래의 삭도 시공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32338호(2011.03.30)에 제시된다.This prior art description of a prior art rope construc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2338 (Mar.

본 발명은, 산악과 같은 지형에 삭도의 설치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훼손과 더불어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삭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simplifying installation work of a rope to a mountainous terrain and minimizing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as well as environmental damage.

본 발명은, 삭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공사종점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 상에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공사시점 위치에 상기 메인케이블을 연결 지지하도록 베이스타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메인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캐리어를 상기 공사시점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에 추가타워를 설치하기 위한 자재를 싣고, 상기 공사시점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 위치에서 상기 공사종점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 위치로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추가타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삭도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main cable on a construction line from a construction point to a construction end point where a ropeway is to be installed, installing a base tower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cable to the construction point, A step of connecting a carrier provided with driving means for moving along a cable to the main cable at the construction time point position, loading a material for installing an additional tower in the carrier, And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while moving the carrier to the main cable position at a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또한, 상기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상기 공사종점 위치까지 메신저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케이블에 상기 메인케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메신저케이블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main cable may include installing a messenger cable from the construction point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connecting the main cable to the messenger cable, moving the messenger cable, Step < / RTI >

또한, 상기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사종점 위치에는 상기 메신저케이블 및 상기 메인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도르레가 설치하고, 상기 공사시점 위치에는 상기 메신저케이블 및 상기 메인케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이동윈치를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main cable, a guiding drum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essenger cable and the main cable i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end point position, and the messenger cable and the main cable can be moved A cable moving winch can be arranged.

또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자재를 싣도록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수단이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케이블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복수의 운반풀리,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달기기구를 이동되게 하는 양중기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veying pulley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dapted to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and to move along the main cable; And a pair of middle parts that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at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part to move the connecting mechanism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또한, 상기 추가타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시공 선형 상에 설치된 상기 메인케이블과 상기 시공 선형 상 지면 사이의 간격이 정해진 안전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의 자재를 운반하는 단계, 상기 추가타워를 설치할 위치에 기초공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초공사된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를 조립 설치한 후, 상기 추가타워에 상기 메인케이블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may include the steps of: transporting the material of the additional tower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afety height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cable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and the construction linear surfac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afety height; And connecting the main cable to the additional tower after the additional tower is assembled at the foundation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삭도 시공방법은,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공사종점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 상에 메인케이블을 설치하고, 공사시점 위치에 메인케이블을 연결 지지하도록 베이스타워를 설치한 후, 메인케이블에 캐리어를 설치하는 바, 캐리어에 추가타워의 자재를 실은 후 메인케이블을 통해 공사종점 위치로 이동하면서 추가타워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추가타워의 이송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전체적인 시공 작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환경훼손과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In the method of laying a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cable is installed on a construction line from a construction point to a construction end point, a base tower is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a main cable at a construction point, By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in the carri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additional tower by moving the main cable to the end point of the construction work while loading the additional tower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도 1은 종래의 삭도 시공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삭도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S10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S11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의 S12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캐리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S13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oping construc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state diagrams showing the step S100 of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ep S110 of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ep S120 of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rier shown in Fig.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ep S130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삭도 시공방법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o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먼저, 도 3과 같이 삭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L) 상 지면에 메인케이블(100)을 설치한다(S100). 이러한,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설치작업을 상세히 설명하면, 삭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형에는 이후 상기 삭도를 통해 이동하게 되는 설계 상의 시공 선형(L)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삭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형은 산악과 같은 지형일 수 있다.3, a main cable 100 is installed on a construction line L from a construction point S to a construction end point E at step S100.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main cab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opography of the road to which the rope is to be installed may be provided with a design construction line L which is then moved through the rope. Here, the terrain for which the ropeway is installed may be a mountainous terrain.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시공 선형(L) 상에 배치되도록 메신저케이블(110)을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 위치까지 연결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신저케이블(110)의 길이방향 일단은 공사종점(E) 위치를 통과한 후 다시 공사지점(S) 위치로 복귀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메신저케이블(110)은 작업자의 이동을 통한 설치 또는 작업차량이나 헬기 또는 드론과 같은 운송수단을 통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까지의 시공 선형(L) 상에 상기 메신저케이블(11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메신저케이블(110)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메신저케이블(11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메인케이블(100)이 상기 메신저케이블(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신저케이블(110)은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연결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벼운 중량을 가지는 섬유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케이블(100)은 이후 설명될 추가타워(200)를 설치시, 각종 자재를 운반 이동되게 할 수 있도록 강성이 뛰어난 스틸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사종점(E) 위치에는 상기 메신저케이블(110)과 상기 메인케이블(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도르레(120)를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사시점(S) 위치에는 상기 메신저케이블(110)과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케이블이동윈치(130)를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essenger cable 110 may be connected from the construction point S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so as to be disposed on the construction line L. Her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ssenger cable 110 is installed to return to the construction site S after passing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t this time, the messenger cable 110 may be installed through a movement of an operator or through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working vehicle, a helicopter, or a drone. When the messenger cable 110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L from the construction point S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nd the main cable 100 is install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ssenger cable 110, ). The main cable 100 moves along the messenger cable 110 while moving the messenger cable 110 and is installed on a construction line from a construction point S to a construction end point E. Here, the messenger cable 110 is made of a lightweight fiber material so that the messenger cable 110 can be easily moved in a state where the main cable 100 is connected. The main cable 100 is connected to an additional tower 200 And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so that various materials can be transported and mov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 guide pulley 12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essenger cable 110 and the main cable 100 may be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In addition, a cable moving winch 130 for generating a moving force to move the messenger cable 110 and the main cable 100 may be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S (S).

이같이, 상기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L) 상에 메인케이블(100)을 설치한 후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공사시점(S) 위치에 베이스타워(200)를 설치한다(S110). 이러한, 상기 베이스타워(200)는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상기 시공 선형(L) 상에 지면으로부터 일정 상방으로 이격되게 연결 지지하여, 이후 설명될 캐리어(300)가 상기 메인케이블(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사종점(E) 방향으로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타워(200)는 상기 공사시점(S) 위치의 지면 상에 완료된 기초공사 부분에 직립되도록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타워(200)에는 새들(Saddle)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연결 지지하게 된다.After the main cable 100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L from the construction point S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s shown in Fig. 5, (Step S110). The base tower 200 connects the main cable 100 to the main cable 100 in a manner that the main cable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it enables stabl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in the installed state. At this time, the base tower 200 is fixedly installed so as to stand upright on the completed foundation work on the ground at the construction site S (S). The base tower 200 is provided with a saddle so as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cable 100.

여기서, 상기 베이스타워(200)는 'A'자형, 'T'자형, 'I'자형, 'n'자형 중 하나의 철근 프레임구조를 가지도록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캐리어(3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base tower 200 is assembled using a crane so as to have one of a reinforcing frame structure of 'A' shape, 'T shape,' I shape, or 'n' shape.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stabl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300.

상기 베이스타워(200)를 설치한 후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300)를 연결 설치한다(S120). 즉, 상기 캐리어(300)는 이후 설명될 추가타워(210)의 부품이나 작업자들을 실은 후, 상기 공사종점(E) 위치까지 이송되게 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공사시점(S)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100)에 연결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300)는 상기 메인케이블(100) 상에서 추가적인 예삭과 같은 수단이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도면미도시)이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300)는 본체(310), 운반풀리(320), 양중기(330)를 포함한다.After the base tower 200 is installed, the carrier 300 moving along the main cable 10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6 (S120). That is, the carrier 300 is a means for causing parts or workers of the additional tower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load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so that the main cable 100). Here, the carrier 300 is provided with driving means (not shown) so that the carrier 300 can move on its own without the need for any additional sorting or the like on the main cable 100. Referring to FIG. 7, the carrier 300 includes a main body 310, a conveying pulley 320, and a counterweight 330.

상기 본체(310)는 추가타워(210)를 구성하는 부품을 실을 수 있도록 공간부를 제공한다. 즉, 상기 본체(310)는 박스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방으로 개방되거나 박스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일측에 개폐도어를 구비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가타워(210)를 구성하는 부품을 안정적으로 실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310)에는 각종 공구 및 작업자를 추가적으로 실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310)에는 이후 설명될 운반풀리(320) 및 양중기(3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엔진이나 모터일 수 있다.The main body 310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parts constituting the additional tower 210. In other words, the main body 310 may have an open / close door on one side in a state of having a box structure or open upward or having a box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which can be loaded into the apparatu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ain body 31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tools and operators. The main body 310 is provided with driving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operate the conveying pulley 320 and the bilge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driving means may be an engine or a motor.

상기 운반풀리(320)는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310)가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운반풀리(320)는 복수개로 구성된 상태로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케이블(100)에 연결 배치된다.The conveying pulley 320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eans to cause the main body 310 to move along the main cable 100. The conveying pulleys 320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in a state of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veying pulleys 320, and are connected to the main cable 100.

상기 양중기(330)는 추가타워(210)를 구성하는 부품을 상기 본체(310)에 싣거나, 상기 본체(310)를 상기 메인케이블(100) 상에서 설치될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추가타워(210)를 구성하는 부품을 상기 본체(310)에서 지면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양중기(330)는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달기기구(331)를 이동되게 한다.The intermediate unit 330 is connected to an additional tower 210 in a state in which a part constituting the additional tower 210 is loaded on the main body 310 or the main body 310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main body 310 is to be installed on the main cable 100 210 are moved from the main body 310 to the ground. The intermediate unit 33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310 and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connecting mechanism 331 in the up-and-down direction.

이같이, 상기 공사시점(S)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100)에 상기 캐리어(300)를 연결 설치한 후에는, 도 8과 같이 상기 캐리어(300)에 추가타워(210)를 설치하기 위한 자재를 싣고, 상기 공사종점(E)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해당되는 위치의 지면 상에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한다(S130). 즉, 상기 캐리어(300)에 상기 추가타워(210) 설치를 위한 자재를 싣고, 상기 캐리어(300)가 이동할 수 있는 상기 메인케이블(100)의 장력이 유지되면서 지면 사이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안전범위의 높이인 위치까지 이동한 후,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추가타워(210)가 설치된 지점부터 상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상기 메인케이블(100)의 장력 및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증대시켜 상기 캐리어(3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하는 단계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해야 하는 위치로 상기 추가타워(210)의 자재를 운반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타워(210)는 상기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상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L) 상에 설치된 상기 메인케이블(100)과, 상기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L) 상 지면 사이의 간격이 정해진 수치, 즉 상기 캐리어(3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메인케이블(100)의 장력이 유지되지 않거나 지면으로부터의 안전범위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210)의 자재를 운반한다. 이렇게,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210)의 자재를 운반한 후에는,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기초공사를 수행한다.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기초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기초공사가 완료된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210)를 조립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추가타워(210)에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추가타워(210)에는 새들(Saddle)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연결 지지하게 된다.After the carrier 300 is connected to the main cable 100 at the construction site S, as shown in FIG. 8, a material for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210 in the carrier 300 And the additional tower 2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ile moving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S130). That is, a material for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210 is loaded on the carrier 300, and the tension of the main cable 100, on which the carrier 300 can move, is maintained, The tension of the main cable 100 from the posi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210 is installed to the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nd the tension of the main cable 100 from the ground So that the carrier 300 can be stably moved. The step of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the additional tower 210 is transported to a posi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210 is to be installed. The additional tower 210 includes the main cable 100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L from the construction point S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line L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struction linear point L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or the tension of the main cable 100 in which the carrier 300 can stably move is not maintained, Lt; RTI ID = 0.0 > 210 < / RTI > After the material of the additional tower 210 is transported to a loca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210 is to be installed, the foundation is constructed at a loca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210 is to be installed. After completion of the foundation work at the posi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210 is to be installed, the additional tower 210 is assembled and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foundation work is completed. Then, the main cable 100 is connected to the additional tower 210. At this time, the additional tower 210 is provided with a saddle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cable 100.

여기서, 상기 추가타워(210)는 상기 베이스타워(200)와 동일한 'A'자형, 'T'자형, 'I'자형, 'n'자형 중 하나의 철근 프레임구조를 가지도록 상기 캐리어(300)의 양중기(330)를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캐리어(3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dditional tower 210 may have the same reinforcing frame structure as one of the 'A', 'T', 'I', and '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arrier 300 in a stable manner.

이러한,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하는 과정을 상기 공사종점(E) 위치까지 수행할 경우, 상기 베이스타워(200) 및 상기 추가타워(210)들에 의해 상기 공사시점(S) 위치에서 상기 공사종점(E) 위치까지 상기 메인케이블(100)은 상기 캐리어(3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력을 유지함과 더불어 시공 선형(L) 상의 지면으로부터 안전범위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210 is performed up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the base tower 200 and the additional towers 210 may be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S, The main cable 100 maintains the tension to allow the carrier 300 to be stably moved up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nd maintains the height of the safety range from the ground on the construction line L. [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삭도 시공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사시점(S) 위치로부터 공사종점(E)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L) 상에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설치하고, 상기 공사시점(S) 위치에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연결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타워(200)를 설치한 후, 상기 메인케이블(100)에 상기 캐리어(300)를 설치하는 바, 상기 캐리어(300)에 상기 추가타워(210)의 자재를 실은 후 상기 메인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공사종점(E)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추가타워(2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추가타워(210)의 이송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전체적인 시공 작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환경훼손과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The main cable 100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L from the construction point S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and the construction point S The carrier 300 is installed on the main cable 100 after the base tower 200 is installed to support and connect the main cable 100 to the carrier 300, The additional tower 210 is moved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E through the main cable 100 after the material of the additional tower 210 is loaded and the additional tower 2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to install the additional tower 210, As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facilitated, the entire construction work is facilitated and the environmental damag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메인케이블 200: 베이스타워
210: 추가타워 300: 캐리어
100: main cable 200: base tower
210: Additional Tower 300: Carrier

Claims (5)

삭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공사종점 위치까지의 시공 선형 상에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공사시점 위치에 상기 메인케이블을 연결 지지하도록 베이스타워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캐리어를 상기 공사시점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에 추가타워를 설치하기 위한 자재를 싣고, 상기 공사시점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 위치에서 상기 공사종점 위치의 상기 메인케이블 위치로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추가타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삭도 시공방법.
Installing a main cable on a construction line from a construction point to a construction end point to install a rope;
Installing a base tower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cable to the construction point;
Connecting a carrier having driving means for moving along the main cable to the main cable at the construction time point; And
Mounting the additional tower on the carrier while loading the carrier and moving the carrier from the main cable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point to the main cable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end point, W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시점 위치로부터 상기 공사종점 위치까지 메신저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메신저케이블에 상기 메인케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메신저케이블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삭도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nstalling the main cable includes:
Installing a messenger cable from the construction point to the construction end point;
And connecting the main cable to the messenger cable to install the main cable while moving the messenger c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공사종점 위치에는 상기 메신저케이블 및 상기 메인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도르레가 설치하고,
상기 공사시점 위치에는 상기 메신저케이블 및 상기 메인케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이동윈치를 배치하는 삭도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main cable,
A guiding drum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essenger cable and the main cable i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end point,
And a cable moving winch for moving the messenger cable and the main cable is disposed at the construction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자재를 싣도록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수단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케이블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복수의 운반풀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달기기구를 이동되게 하는 양중기를 포함하는 삭도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rrier
A main body having a space for loading the material and provided with the driving means,
A plurality of conveying pulley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dapted to receiv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eans to move along the main cable,
And a pair of middle part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dapted to receive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part to move the connecting mechanism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타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시공 선형 상에 설치된 상기 메인케이블과 상기 시공 선형 상 지면 사이의 간격이 정해진 안전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의 자재를 운반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타워를 설치할 위치에 기초공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공사된 위치에 상기 추가타워를 조립 설치한 후, 상기 추가타워에 상기 메인케이블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삭도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nstalling the additional tower
Conveying the material of the additional tower at a position lower than a predetermined safety h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cable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line and the construction linear surface,
Performing a foundation work at a location where the additional tower is to be installed, and
And assembling the additional tower at the foundation site, and connecting the main cable to the additional tower.









KR1020160048130A 2016-04-20 2016-04-20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KR1018084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130A KR101808417B1 (en) 2016-04-20 2016-04-20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130A KR101808417B1 (en) 2016-04-20 2016-04-20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242A true KR20170120242A (en) 2017-10-31
KR101808417B1 KR101808417B1 (en) 2017-12-13

Family

ID=6030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130A KR101808417B1 (en) 2016-04-20 2016-04-20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4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178A (en) * 2018-09-14 2019-02-05 湖北时瑞达重型工程机械有限公司 A kind of manipulator upright bar flatca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215Y1 (en) * 2001-07-19 2001-11-17 이재흥 Sub Support For Cable Wa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178A (en) * 2018-09-14 2019-02-05 湖北时瑞达重型工程机械有限公司 A kind of manipulator upright bar flatcar
CN109305178B (en) * 2018-09-14 2023-10-27 湖北时瑞达重型工程机械有限公司 Manipulator pole setting flat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417B1 (en)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668B2 (en) Replacement method of oblique cable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oblique cable
KR101676009B1 (en) Construct method of the suspension bridge girder and construction equipment of the suspension bridge girder
US11230032B2 (en) Cable-driv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EP2939971B1 (en) A travelling cable clamp assembly, an elevator arrangement, and a method
KR101405010B1 (en)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CN107499453B (en) Ocean platform device mounting system
CN102425318A (en) Self-moving steel structure workshop
JP2006233486A (en) Traversing work device and work method thereby
JP4264470B2 (en) Bridge girder member erection method and erection device
KR101808417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an aerial cableway
KR101156098B1 (en) Variable construction method of aerial cableway and variable aerial cableway
JP5793062B2 (en) Tunnel construction apparatus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KR10190840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ane and system for mounting superstructure of crane
JP6294516B2 (en) Equipment supply equipment
CN111284648A (en) Rudder blade support frame and rudder blade mounting trolley
KR20210010245A (en) Carrying device for exchanging festoon hanger rail of crane and exchanging method using it
KR101764582B1 (en) Cable tower constructing method for the cableway
CN113371629B (en) Method for replacing mutual-bearing steel wire rope
JP2007009575A (en) Working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mechanical parking facility
JP2003020176A (en) Elevator device
JP2006232489A (en) Inclined passenger conveyor facility, its installation method and its conveying out method
JP2018090372A (en) Workpiece conveyance method using crane
JP2019182609A (en) Heavy object transport method using hoisting machine
JP6234423B2 (en) Equipment supply equipment
KR101459989B1 (en) Prestressing Strand Constructing Apparatus of LNG Tank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