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010B1 -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 Google Patents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10B1
KR101405010B1 KR1020120132262A KR20120132262A KR101405010B1 KR 101405010 B1 KR101405010 B1 KR 101405010B1 KR 1020120132262 A KR1020120132262 A KR 1020120132262A KR 20120132262 A KR20120132262 A KR 20120132262A KR 101405010 B1 KR101405010 B1 KR 101405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beam
main cable
pulley assembly
lower transverse
ga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5124A (en
Inventor
문종훈
최현석
윤자걸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10B1/en
Publication of KR2014006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1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교의 주케이블 상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필요한 위치에서 현수교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거더 등의 보강형을 인상하게 되는 리프팅 갠트리(Lifting Gantry)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교의 보강형 가설시, 보강형의 인상에 따른 하중 즉,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구조와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함에 따라 횡방향의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갠트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갠트리는,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와, 이동장치(4)를 포함하며; 상기 행어부재(3)는, 상,하부 횡빔(31, 33)과 연직빔(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주케이블(100)에 결합되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구비되어 있고;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케이블 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합되면서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gantry that travels along a top surface of a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and pulls up a reinforcing type such as a girder forming an upper structure of a suspension bridge at a necessary posi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he apparatus and to reduce the weight by transferr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lifting load of the main cable directly to the main cable and even when the width of the lateral direction changes as the main cable advances in the throttling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try which can be easily applied and used.
The gant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ulley assembly (1), a hanger member (3) and a moving device (4); The hanger member 3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transverse beams 31, 33 and a vertical beam 32; The pulley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cable coupling member (12)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The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ile the pulley assembly 1 hangs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en the reinforcing die 200 is not lifted,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so that the pulley assembly 1 is not directly hung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so that a lifting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transm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

Description

현수교의 보강형 인상을 위한 갠트리{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본 발명은 현수교(懸垂橋)의 주케이블 상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필요한 위치에서 현수교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거더 등의 보강형을 인상하게 되는 리프팅 갠트리(Lifting Gantry)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수교의 보강형 가설시, 보강형의 인상에 따른 하중 즉,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구조와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함에 따라 횡방향의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갠트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gantry traveling along a top surface of a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and lifting a reinforcing type such as a girder forming an upper structure of a suspension bridge at a required position, In the reinforced-type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he apparatus and to reduce the weight by transferr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pulling of the reinforcing type, that is, the lifting load directly to the main cab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try that can be easily applied and used even when the width of the gantry is changed.

현수교는 교량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보강형은, 현수선 형태로 배치되는 주케이블을 따라 주행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인양로프에 의해 중량물을 인양하는 갠트리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양되어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조립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보강형을 인양하여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조립 연결함으로써 현수교를 시공하는 예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2-13730호(공고번호 제1995-14588호)에 개시되어 있다. In the suspension bridges,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nstitut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s is continuously lifted by the gantry that travels along the main cable arranged in the shape of a hanging line and lifts the heavy objects by the lifting rope, .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suspension bridge by lifting a reinforcing type and assembling and connecting it seque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2-13730 (Publication No. 1995-14588).

도 1에는 종래의 갠트리(10)를 이용하여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갠트리(100)는, 인양작업이 가능하도록 보강형(200)에 연결된 인양로프가 중앙에 연결되는 횡빔으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101)과, 각각의 주케이블(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강형(200)으로부터의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로 전달하는 상부 프레임(102)과, 주케이블(100) 사이에서 횡방향(교축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주케이블(100)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 프레임(10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1)을 이루는 횡빔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인양로프가 연결되고, 상기 인양로프는 상향으로 이어져서 상기 상부 프레임(102)과 연결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00은, 주케이블(100)의 아래에 배치되어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에 해당하는 캣워크 부재(500)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einforcing die 200 is lifted by using a conventional gantry 10. 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gantry 100 includes a lower frame 101 formed of a transverse beam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rop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mold 200 so as to allow a lifting operation, An upper frame 102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02 for transmitting a lifting load from the reinforcing die 200 to the main cable 100 and an upper frame 102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connection frame 103 connecting between a pair of upper frames 102 provided on the frame 100. Lifting ropes are connected to both lateral sides of the transverse beams constituting the lower frame 101, and the lifting rop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2 in an upward direc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 catwalk member 500 disposed under the main cable 100 and corresponding to a footrest to which workers can mov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갠트리(10)에서,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 발생하는 인양하중은, 보강형(200)에 연결된 인양로프를 통해 하부 프레임(101)으로 전달되고, 다시 하부 프레임(101)과 상부 프레임(102) 사이의 인양로프를 통해, 상부 프레임(102)으로 전달된 후, 상부 프레임(102)의 지지점을 통해 주케이블(100)로 전달된다. In the conventional gantry 10 having the above construction, the lifting load generated when lifting the reinforcing die 200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rame 101 through the lifting rop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die 20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frame 102 through the lifting rope between the frame 101 and the upper frame 102 and then to the main cable 100 through the supporting point of the upper frame 102. [

일반적으로 보강형의 인양하중은 수 백톤에 달하기 때문에 종래의 갠트리에서는 인양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규모와 중량이 매우 크며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다. 또한 인양로프의 인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차례 도르래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각 도르래를 인양로프가 통과할 때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양로프의 장력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주케이블(100)의 상면에 위치한 고중량의 상부 프레임은 작은 편심에도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과 장비 구동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리고 인양하중의 전달을 위하여, 주케이블(100)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상부 프레임(102)을 서로 연결하게 되는 연결 프레임(103)이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했다. Generally, since the lifting load of the reinforced type reaches several hundred tons, the size and weight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for supporting the lifting rope in the conventional gantry are very large and the structure is also very complic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lifting efficiency of the lifting rope, a plurality of pulleys are passed. Therefore,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when the lifting rope passes through each pulley, which causes a variation in the tension of the lifting rope. As a result, since the upper fram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able 100 can lose balance even with a small eccentricity,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stability in driving the equipment, The connection frame 103, which is arranged laterally between the upper frame 100 and the upper frame 102, must be provided.

즉, 종래에는 한 쌍의 갠트리(10)가 평행한 두 개의 주케이블(100) 위에 각각 놓여 있고 한 쌍의 갠트리(10)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03)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03)이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conventionally, a pair of gantries 10 are placed on two parallel main cables 100,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frame 103 fo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pair of gantry 10 is provided, The frame 103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transferring the lifting load to the main cable 100.

그런데 이와 같은 연결 프레임(103)의 필수적인 구비는 결국 갠트리 전체의 중량이 더욱 커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이는 장비의 운영상의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주케이블의 손상도 야기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However, the necessary provision of the connection frame 103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weight of the entire gantry to become larger, which causes not only difficulty in operation of the equipment, but also causes damage to the main cable.

또한 주케이블이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 위와 같이 연결 프레임(103)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하는 종래의 갠트리는 적용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연결 프레임(103)의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과 장비가 더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Also, in the case where the width of the main cable between the main cables is changed while the main cable is moving in the throttling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ntional gantry in which the connecting frame 103 is necessari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not be applied Or a separate structure and equipment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ame 103 are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1995-14588호(특허출원 제1992-13730호)(1995. 12. 09. 공고) 참조.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95-14588 (Patent Application No. 1992-13730) (published on Dec. 09, 1995).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주케이블 위에 설치된 한 쌍의 갠트리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이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현수교의 주케이블을 따라 움직이는 갠트리의 규모와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한 갠트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caused by the fact that the connecting frame, which connects the pair of gantries installed on the main c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to each other,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transmitting the lifting load to the main cabl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a gantry moving along a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and to provide a gantry that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width of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main cables changes as the main cable advances in the throttling direction .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현수교의 주케이블에 설치되어 주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현수교의 보강형을 인양하는 갠트리로서, 인양로프를 감거나 풀어주어서 보강형을 인양하는 풀리 조립체와, 보강형을 인양할 위치까지 이동할 동안 풀리 조립체를 매달아 놓게 되는 행어부재와, 상기 행어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케이블에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주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행어부재는,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상부 횡빔과,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 횡빔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횡빔과, 상기 상,하부 횡빔 사이를 연결하는 연직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풀리 조립체에는 주케이블에 결합되어, 인양로프를 통해서 가해지는 인양하중을 주케이블에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 횡빔에는 풀리 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보강형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가 하부 횡빔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을 인양할 때에는 상기 케이블 결속부재가 주케이블에 결합되면서 풀리 조립체는 하부 횡빔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ntry installed on a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for lifting a reinforcing type of a suspension bridge while moving along a main cable, comprising: a pulley assembly for lifting a reinforcing type by winding or loosening a lifting rope; A hanger member to suspend the pulley assembly while being moved to a position to lift the reinforcing die; and a moving device coupled to the hanger member and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main c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hanger member comprises an upper transverse beam coupled to the moving device and a lower transverse beam spaced apart from the upper transverse beam and a vertical beam connecting the upper transverse beam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The pulley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abl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cable and directly transmitting the lifting load applied through the lifting rope to the main cable; When the reinforcing die is not lifted up, the pulley assembly hangs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so that the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However, when lifting the reinforcing die, The cabl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cable so that the pulley assembly is not directly hung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so that the lifting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갠트리에 있어서, 상기 풀리 조립체에는 고리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재에는 상기 하부 횡빔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하부 횡빔의 단면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상기 하부 횡빔이 삽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하부 횡빔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gantr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ulley assembly is provided with a ring member; The loop member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transverse beam can be inserted, and the through hole may have a larger size than a cross section of the lower transverse beam. In this case, the loop member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wer transverse bea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lower transverse beam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갠트리에서, 상기 이동장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가 주케이블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의 주위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결합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파이프에 상부 횡빔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파이프 내에서 상부 횡빔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urther, in the gant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evice may include a frame member, a moving member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and adapted to move in contact with the main cable, and a moving member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And a guide member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main cable so as to prevent it from being detach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fram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ipe, and the upper transverse beam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and the upper transverse beam may be coupled in a rotatable manner in the coupling pipe.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에서는, 보강형을 인양할 때 연직하게 작용하는 인양하중이 직접 주케이블로 전달되므로, 보강형을 인양하는 동안에는, 주케이블 위에 설치되는 이동장치에 인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장치의 구성을 종래기술보다 현저하게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규모도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fting load acting vertically when lifting the reinforcing typ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cable, the lifting load does not act on the moving device installed on the main cable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remarkably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the scale of the mobile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란한 주케이블에 설치되는 갠트리가 각각의 주케이블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면 충분하며, 한 쌍의 갠트리를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래의 연결프레임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그만큼 갠트리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장비의 운영이 종래 기술보다 더 용이하게 되며, 주케이블의 손상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gantry installed on the main cable arranged side by side independently of each main cable. Since the conventional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gantries in the lateral direction is not required at all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whole cable,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becomes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and the damage of the main cable can be reduced.

특히, 본 발명의 갠트리에서는, 연결프레임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교축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gantry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connection frame, it can be applied easily even when the width of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main cables changes while the main cable advances in the throttle direc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의 경우, 보강형을 인양하여 설치한 후에, 주케이블을 따라 갠트리가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 현수 행어로프가 존재하더라도,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현수 행어로프를 피하여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a hanging hanger rope in front of the moving direction when the gantry moves along the main cable after lifting the reinforcing type, the hanging hanger rope can be avo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forward.

도 1은 종래의 갠트리를 이용하여 현수교의 보강형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가 현수교의 주케이블 위에 각각 설치되어 보강형을 인양할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갠트리가 보강형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갠트리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의 이동방향 전방에 현수 행어로프가 존재할 때 이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type of a suspension bridge is lifted using a conventional gantry.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and moved to a position for lifting the reinforcing typ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nt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ing the reinforcing die;
4 to 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only the gant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ure 8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of Figure 4;
Figure 9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DD of Figure 6;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spension hanger rope exists in front of a moving direction of a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ger hanger rope is present.
1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line EE of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5 for a gant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가 한 쌍을 이루어서, 나란하게 배치된 현수교의 주케이블(100) 위에 각각 설치되고, 보강형(200)을 인양할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주케이블(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캣워크 부재(500)는 주케이블(100)을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지만, 도 2와 도 3에서는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ntr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ired and installed on a main cable 100 of a suspension bridge arranged in parallel and moved to a position for lifting the reinforcing die 200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ntr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ifts the reinforcing type 200. As shown in Fig. The catwalk member 500 located under the main cable 100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ain cable 100, but only a portion is shown in Figs. 2 and 3.

한편, 도 4 내지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의 갠트리(10)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와 도 5는 각각 갠트리(10)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 사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2의 원 A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확대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상황에서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 사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도록 도 3의 원 B부분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확대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캣워크 부재(500)의 도시를 생략하고 갠트리(10)만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4 to 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only the gantr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S. 4 and 5 show a state in which the gantry 10 moves, 6 and 7 are enlarged views of the circle A of FIG. 2,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 3 and the gantry 10, 3 is enlarged so as to show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ulley assembly 1 and the hanger member 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B portion of FIG. 4 to 7, the illustration of the catwalk member 500 is omitted and only the gantry 10 is shown in detail.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는, 두 개의 주케이블(100)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인양로프(110)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 조립체(1)와, 보강형을 인양할 위치까지 이동할 동안 풀리 조립체(1)를 매달아 놓게 되는 행어부재(3)와, 상기 행어부재(3)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케이블(100)에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gantr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two main cables 100, and specifically comprises a pulley assembly 1 for winding up or unwinding the lifting rope 110, A hanger member 3 hung on the pulley assembly 1 while the hanger member 3 is moved to a position to lift the reinforcing die and a hanger member 3 which is coupled to the hanger member 3 and is provided on the main cable 100, And a mobile device (4) which moves along the mobile terminal (100).

우선 이동장치(4)부터 상세히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장치(4)는 주케이블(100)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부재(41)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100)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42)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100)의 주위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41)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부재(41)의 하부에 이동부재(4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부재(42)는 바퀴로 이루어져서 주케이블(100)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이동장치(4)는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동부재(42)는 바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43)는 후술하는 것처럼 보강형을 인양할 때 주케이블(100)과 체결되어 이동장치(4)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케이블(100)과 체결되는 부재인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43)는 주케이블(100)의 양측면을 밀착하고 있는 부재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3) 역시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클램프 장치로도 구성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4 is installed on the main cable 100 and specifically includes a frame member 41 and a frame member 41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41, A movable member 42 which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main cable 100 and a movable member 42 which is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41 and which prevents the movable device 4 from rotating around the main cable 100 And a guide member (43) which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main cable (100).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frame member 41 is formed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oving member 42 is provided below the frame member 41, Thereby rolling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main cable 100 so that the moving device 4 can move along the main cable 100. [ However, the movable member 42 is not limited to the wheel,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movable member 42 is movable along the main cable 100. The guiding member 43 is engaged with the main cable 100 when the reinforcing die is lifted as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oving device 4 is prevented from moving and the moving device 4 is moved from the main cable 100 The guide member 43 is a member fastened to the main cable 100 so as to prevent the main cable 100 from being detach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guide member 43 is shown as a member closely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main cable 100. The guide member 43 is not limited to the one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constructed by various known clamping devices.

상기 이동장치(4)에는 행어부재(3)가 결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행어부재(3)는 2개의 횡빔(31, 33)과, 상기 2개의 횡빔(31, 33) 사이를 연결하는 연직빔(32)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개의 횡빔 즉,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은 간격을 두고 있고, 상기 연직빔(32)은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연직하게 배치되어 상부 횡빔(31) 및 하부 횡빔(33)과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ㄷ자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부 횡빔(31)은 상기 이동장치(4)의 프레임부재(41)와 결합되어 있다.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때, 주케이블(100)은 경사진 상태가 될 수도 있는데, 비록 주케이블(100)은 경사지더라도 행어부재(3)는 연직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횡빔(31)이 프레임부재(41)에 결합됨에 있어서, 프레임부재(41)에 횡방향으로 결합파이프(45)를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결합파이프(45)에 상부 횡빔(31)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파이프(45) 내에서 상부 횡빔(31)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케이블(100)이 경사진 상태에 있더라도 상부 횡빔(31)이 결합파이프(45)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행어부재(3)는 항상 연직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hanger member 3 comprises two transverse beams 31, 33 and two transverse beams 31, 33, And a vertical beam 32 connecting the two beams. Specifically, the two transverse beams, that is,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vertical beam 32 is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one end of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And are connected to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respectively, to form a U-shape.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engaged with the frame member 41 of the moving device 4. [ When the moving device 4 moves along the main cable 100, the main cable 100 may be in a tilted state even though the main cable 100 is inclined, the hanger member 3 is vertically positioned desirable. To this en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coupled to the frame member 41, the coupling pipe 45 is transversely disposed laterally on the frame member 41,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45 so that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rotatabl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when the main cable 100 is in the inclined state,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can rotate in the coupling pipe 45, so that the hanger member 3 can always be positioned vertically.

위와 같은 구성의 행어부재(3)는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 즉 풀리 조립체(1)를 보강형 인양 위치로 이동할 때, 풀리 조립체(1)가 임시로 매달리게 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하부 횡빔(33)에는 풀리 조립체(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The hanger member 3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a member in which the pulley assembly 1 is temporarily suspended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00 is not lifted, that is, when the pulley assembly 1 is moved to the reinforcing lifting position. In other words, the pulley assembly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en the pulley assembly 1 is not lifted, the pulley assembly 1 may be suspended from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he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but the pulley assembly 1 is not directly hung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en the reinforcing die 200 is lifted,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구체적으로 풀리 조립체(1)에는 풀리(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풀리(11)에는 보강형(100)을 인양하는 인양로프(110)가 감겨있다. 풀리 조립체(1)에서 상기 풀리(1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풀리 조립체(1)에는 고리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재(13)는 상기 하부 횡빔(33)에 결합되기 위한 부재인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고리부재(13)에는 상기 하부 횡빔(33)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pulley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pulley 11, on which a lifting rope 110 is lifted to lift the reinforcing die 100. In the pulley assembly 1, a plurality of the pulleys 11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pulley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ring member (13). The loop member 13 is a member to be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loop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30 into which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특히,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을 하부 횡빔(33)의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있다. Particularly, as mentioned above, when the reinforcing die 200 is not lifted, the pulley assembly 1 is hung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so that the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n order to prevent the pulley assembly 1 from directly hanging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so that the lifting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en lifting the reinforcing die 200, The through hole 130 formed in the annular member 1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

한편,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주케이블(100)에 결합되어, 인양로프(110)를 통해서 가해지는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에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케이블결속부재(12)는 고리부재(13)에 구비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U자형 체결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블결속부재(12)는 필요할 때 즉,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주케이블(100)에 결속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결속부재(12)가 U자형 체결띠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U자형 체결띠를 주케이블(100)에 견고하게 감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4)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될 때, 주케이블(10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100)의 표면에 끼워지는 가설밴드(14)이다. 즉, 주케이블(100)에 보호커버(14)가 씌워지고, 케이블결속부재(12)가 상기 가설밴드(14) 위에 놓이게 됨으로써, 주케이블(10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도면부호 400은 갠트리(1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윈치 로프(400)이다. 즉, 상기 갠트리(10)의 이동은 구동 윈치 로프(400)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pulley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cable coupling member 12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and directly transmitting a lifting load applied through the lifting rope 110 to the main cable 100 .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provided in the ring member 13, and as a concrete example, it is formed of a U-shaped fastening band.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when necessary,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00 is lifted. When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formed as a U-shaped fastening b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shaped fastening band is tightly wound around the main cable 100. [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 structure for fixing the main cable 100 to the main cable 100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main cable 100 when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engaged with the main cable 100. [ Band. That is, the main cable 100 is covered with the protective cover 14, and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placed on the panty bands 14, thereby preventing the surface of the main cable 100 from being damaged.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400 denotes a driving winch rope 400 for moving the gantr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movement of the gantry 10 can be achieved by pulling the driving winch rope 400.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gantr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10)는 주케이블(100) 위에 설치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동장치(4)의 이동부재(41)가 주케이블(100)의 상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은 채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풀리 조립체(1)는 단순히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풀리 조립체(1)의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에 하부 횡빔(33)이 끼워져 있되, 고리부재(13)가 하부 횡빔(33)에 의해 매달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케이블결속부재(12)는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아직 케이블결속부재(12)를 고리부재(13)에 장착하지 아니한 상태일 수도 있다. 2, the gantr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ain cable 100 and mov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ing member 41 of the moving device 4 is connected to the main cable 100, So that the mobile device 4 moves along the main cable 1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ntry 10 moves along the main cable 100 without lifting the reinforcing die 200, the pulley assembly 1 is simply suspended from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so that the pulley assembly 1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As shown in Fig. 4 and 5,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130 formed in the annular member 13 of the pulley assembly 1, and the annular member 13 is fix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 ≪ / RTI > At this time,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not engaged with the main cable 100. The cable connecting member 12 may not yet be mounted on the ring member 13, if necessary.

이와 같이, 케이블결속부재(12)는 아직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고, 하부 횡빔(33)이 관통공(130)에 끼워져서 고리부재(33)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린 상태에서는, 풀리 조립체(1)의 자중 등의 하중은 상기 고리부재(13)를 통해서만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풀리 조립체(1)만이 행어부재(3)에 매달린 채로,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보강형의 인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Thus, the cable connecting member 12 is not yet engaged with the main cable 100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30 so that the loop member 33 is suspended from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he load such as the self weight of the pulley assembly 1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only through the loop member 13. [ Thus, while only the pulley assembly 1 is suspended from the hanger member 3, the moving device 4 moves to the lifting position along the main cable 100.

일반적으로 주케이블(100)의 아래에는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에 해당하는 캣워크(catwalk) 부재(500)가 위치하고 있다. 도 8은 도 4의 선 C-C에 따른 종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캣워크 부재(500)를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주케이블(100)의 아래에는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에 해당하는 캣워크 부재(500)가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행어부재(3)가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부 횡빔(33)은 캣워크 부재(500)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결속부재(12)가 아직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갠트리(10)를 인양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하부 횡빔(33)과, 이에 매달린 풀리 조립체(1)는 캣워크 부재(500)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In general, a catwalk member 500 corresponding to a footrest to which workers can move is located under the main cable 100.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In FIG. 8, the catwalk member 500 is shown. 8, a catwalk member 500 corresponding to a footrest on which a worker can move is located under the main cable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member 3 has a U-shape, When the gantry 10 is moved to the lifting position, since the cable connecting member 33 is not yet secured to the main cable 100, The transverse beam 33 and the pulley assembly 1 suspended therefrom can be easily moved regardless of the catwalk member 500. [

갠트리(10)의 이동이 완료되어 갠트리(10)가 보강형(200)의 인양 위치에 있게 되면, 풀리 조립체(1)에 구비된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된다. 비록 캣워크 부재(500)가 존재하지만, 상기 캣워크 부재(500)에는 현수 행어로프(600)와 케이블결속부재(12)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When the movement of the gantry 10 is completed and the gantry 10 is in the lifted position of the reinforcing die 200,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provided in the pulley assembly 1 is engaged with the main cable 100. Although there is a catwalk member 500, a hole through which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and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can pass is formed in the catwalk member 500.

도 9에는 도 8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6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결속부재(12)가 캣워크 부재(500)를 통과하여 주케이블(100)에 결속되면, 풀리 조립체(1)는 주케이블(100)에 직접 매달린 상태가 되며, 고리부재(13)는 더 이상 하부 횡빔(33)에 매달려 있지 않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이 하부 횡빔(33)의 단면보다 더 크므로, 위와 같이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어 풀리 조립체(1)가 주케이블(100)에 직접 매달린 상태로 되면, 하부 횡빔(33)은 단순히 관통공(130) 내부에 위치할 뿐이다. 따라서 관통공(130)의 내부면이 하부 횡빔(33)을 가압하여 고리부재(13)로부터의 하중을 하부 횡빔(33)으로 전달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고리부재(13)를 통해서는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Fig. 9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through the catwalk member 500, the pulley assembly 1 is directly suspended on the main cable 100, (13) is no longer suspended from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Since the through hole 130 formed in the annular member 13 is larger than the end surface of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cable binding member 12 is bound to the main cable 100, When the assembly 1 is directly suspended from the main cable 100,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s simply located inside the through hole 130.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30 does not press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o transmit the load from the annular member 13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hat is, the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hrough the loop member 13.

이와 같이 케이블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속되어 풀리 조립체(1)가 주케이블(100)에 직접 매달린 상태에서, 풀리 조립체(1)의 풀리가 회전하여 인양로프(110)를 당겨서 보강형(200)이 인양될 때, 보강형(200) 및 인양로프(110)를 통해서 풀리 조립체(1)에 작용하는 인양하중은 풀리 조립체(1)에 구비된 케이블결속부재(12)에 의해 직접 주케이블(100)에 작용하게 된다. 반면에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하부 횡빔(33)에는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행어부재(3)가 매달려 있는 이동장치(4)에도 인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그만큼 이동장치(4)의 규모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and the pulley assembly 1 is directly suspended from the main cable 100, the pulley of the pulley assembly 1 is rotated to rotate the lifting rope 110 The lifting load exerted on the pulley assembly 1 through the reinforcing type 200 and the lifting rope 110 when the reinforcing type 200 is pulled is applied to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provided on the pulley assembly 1 So that it acts on the main cable 100 directly.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does not transmit a lifting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 Therefore, a lifting load is not applied to the moving device 4 in which the hanger member 3 is suspended, and the size of the moving device 4 can be reduced accordingly.

상기한 방법을 통해서 보강형(200)이 인양되면, 현수 행어로프(600)의 하부에 보강형(200)을 매달고,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보강형끼리 연속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형(200)의 연속화가 마무리되면, 갠트리(10)는 또다른 인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보강형(200)이 하단에 설치된 현수 행어로프(600)가 갠트리(10)의 이동 방향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봉착하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갠트리(10)가 전방의 현수 행어로프(600)로 인하여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갠트리(10)의 이동방향 전방에 현수 행어로프(600)가 존재할 때, 이를 피해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점선은 고리부재(13)를 움직이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실선은 고리부재(13)를 횡방향으로 움직인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현수 행어로프(600)가 갠트리(10)의 이동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고리부재(13)에 형성된 관통공(130)에 하부 횡빔(33)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고리부재(13)를 횡방향으로 움직여서 고리부재(13)가 연직빔(32)과 더 가까워지게 하거나 또는 연직빔(32)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고리부재(13)의 위치가 현수 행어로프(600)와 어긋난 위치에 있게 되며, 따라서 갠트리(10)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현수 행어로프(600)가 고리부재(1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reinforcing member 200 is lif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reinforcing member 200 is suspen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and the reinforcing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uccessively connected. When the continuous form of the reinforcing die 200 is completed in this manner, the gantry 10 is moved to another salvage position. At this time,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die 200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antry 10. The gantry 10 can be easily moved forwar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ront suspending hanger rope 600 by the following method. Fig. 10 is a schematic view corresponding to Fig. 4, showin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spension hanger rope 600 exists in front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antry 10,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line EE of FIG. In Figs. 10 and 11, the dotted line shows the state before moving the loop member 13, and the solid line shows the state after moving the loop member 13 in the lateral direction. 10 and 11, when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antry 10,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130 formed in the annular member 13 The ring member 13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ring member 13 is closer to or further away from the vertical beam 32. [ The position of the loop member 13 is displaced from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even if the gantry 10 moves along the main cable 100, 600 do not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the loop member 13.

현수 행어로프(600)가 고리부재(1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방법 즉, 고리부재(13)를 하부 횡빔(33)을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방법 이외에도, 상부 횡빔(31)이 결합파이프(45)에 삽입되어 있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즉, 이동장치(4)에 결합파이프(45)가 구비되고 상부 횡빔(31)이 상기 결합파이프(45)에 끼워져 있는 경우, 상부 횡빔(31)을 결합파이프(45)로부터 뽑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행어부재(3) 전체가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종방향으로 바라볼 때 고리부재(13)의 위치가 현수 행어로프(600)와 어긋난 위치에 있게 되고, 갠트리(10)가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현수 행어로프(600)가 고리부재(1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hanging hanger rope 600 from interfering with the progress of the loop member 13,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that is, the method of moving the loop member 13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here is also a method of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connecting pipe 31 into the coupling pipe 45. That is, when the joining pipe 45 is provided in the moving device 4 and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fitted in the joining pipe 45, when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moved in a direction to be pulled out of the joining pipe 45 The entire hanger member 3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op member 13 is displaced from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anging hanger rope 600 can be in a state in which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the loop member 13,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에서는, 보강형을 인양할 때 연직하게 작용하는 인양하중은, 주케이블(100) 위에 위치한 이동장치(4)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풀리 조립체(1)의 케이블결속부재(12)에 의해 직접 주케이블(100)로 전달된다. 따라서 보강형을 인양하는 동안에는, 주케이블(100) 위에 설치되는 이동장치(4)에 인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장치(4)의 구성을 종래기술보다 현저하게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규모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load acting normally when lifting the reinforcing type is not transmitted to the moving device 4 located on the main cable 100, And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main cable 100 by the binding member 12. Therefore, during the lifting of the reinforcing die, the lifting load does not act on the moving device 4 provided on the main cable 100,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device 4 can be remarkably simplifi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But it can also reduce the sca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란한 주케이블(100)에 설치되는 갠트리(10)가 각각의 주케이블(100)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면 충분하며, 한 쌍의 갠트리(10)를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래의 연결프레임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그만큼 갠트리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장비의 운영이 종래 기술보다 더 용이하게 되며, 주케이블의 손상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gantry 10 provided on the main cable 100 arranged side by side is independently provided on each main cable 100, and the conventional connecting frame 20 connecting the pair of gantry 10 in the lateral direction Is not necessary at all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frame is not required in this way, the weight of the entire gantry can be reduced accordingly,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becomes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and the damage of the main cable can be reduced.

특히, 연결프레임이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주케이블이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주케이블 사이의 횡방향 폭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갠트리(10)는 각각의 주케이블(100)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강형(200)을 인양하게 된다. 따라서 주케이블이 진행하면서 2개의 주케이블(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이 변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현수교의 경우에도 주케이블에 본 발명의 갠트리(10)를 설치하여 보강형(200)을 인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connecting frame is not required, it is very easy to apply even when the width of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main cables changes as the main cable advances in the throttling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he gantr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vidually provided on each main cable 100 to independently lift the reinforcing member 200 while moving along the main cable 100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a suspension bridg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verse spacing between two main cables 100 is changed while the main cable proceeds, the gantr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main cable to lift the reinforcement 2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의 경우, 보강형(200)을 인양하여 설치한 후에, 주케이블(100)을 따라 갠트리(10)가 이동할 때,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 현수 행어로프(600)가 존재하더라도,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즉, 하부 횡빔(33)에 끼워진 상태의 고리부재(13)를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풀리 조립체(1)가 현수 행어로프(600)를 피할 수 있도록 만들게 되어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ga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antry 10 moves along the main cable 100 after the reinforcing type 200 is lifted, the suspension hanger rope 600 is moved forward in the moving direction The pulley assembly 1 is made to be able to avoid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by simply moving the loop member 13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 simple method,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한 것처럼 케이블결속부재(12)를 주케이블(100)에 결속하거나 또는 풀어주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도 5에 대응되는 갠트리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행어부재(3)와 유사하게 ㄷ자 형태의 빔부재로 이루어진 작업대 걸이부재(9)를 이동장치(4)의 프레임부재(41)에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 걸이부재(9)의 하부 수평바(91)에 작업대(9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대 걸이부재(9)를 이용한 작업대(92)는 이동장치(4)의 횡방향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장치(4)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connecting member 12 should be connected to or unfastened from the main cable 100. For this purpose, a separate work table may be provided. Fig. 12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antry corresponding to Fig. 5, in which a worktable retaining member 9 made of a U-shaped beam member similar to the hanger member 3 is mounted on a moving device 4 And the workbench 92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horizontal bar 91 of the workbench hooking member 9. [ The workbenches 92 using the workbench retaining members 9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4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4. [

이와 같이 작업대 걸이부재(9)를 이용한 작업대(92)를 설치하는 경우, 캣워크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현수 행어로프(600)가 존재하는 곳에서는 캣워크 부재(500)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When the workbench 92 using the workbench hook member 9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catwalk member 500 may not be installed where the suspending hanger rope 600 exists because the catwalk member is unnecessary.

1: 풀리 조립체
3: 행어부재
4: 이동장치
100: 주케이블
1: pulley assembly
3: Hanger member
4: Mobile device
100: Main cable

Claims (4)

현수교에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현수교의 보강형(200)을 인양하는 갠트리(10)로서,
보강형(200)의 인양을 위한 인양로프(110)를 감거나 풀어주는 풀리 조립체(1)와, 행어부재(3)와, 상기 행어부재(3)가 결합되어 있으며 주케이블(100)에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주케이블(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이동장치(4)를 포함하며;
상기 행어부재(3)는,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 그리고 상기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서 연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횡빔(31)과 하부 횡빔(33) 사이를 연결하는 연직빔(32)으로 구성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주케이블(100)에 결합되어, 보강형의 인양하중을 주케이블(100)에 직접 전달하는 케이블결속부재(12)가 구비되어 있고;
보강형(200)을 인양하지 않을 때에는 풀리 조립체(1)가 하부 횡빔(33)에 매달리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횡빔(33)에 가해지게 되지만, 보강형(200)을 인양할 때에는 케이블 결속부재(12)가 주케이블(100)에 결합되면서 풀리 조립체(1)는 하부 횡빔(33)에 직접 매달리지 않게 되어 풀리 조립체(1)로부터의 인양하중이 하부 횡빔(33)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A gantry (10) for lifting a suspension (200) of a suspension bridge while moving along a main cable (100) in a suspension bridge,
A pulley assembly 1 that winds or unwinds the lifting rope 110 for lifting the reinforcing die 200, a hanger member 3, and the hanger member 3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main cable 100 And a moving device (4) which is moved along the main cabl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anger member 3 is vertically disposed at one transverse side end of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and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And a vertical beam 32 connecting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and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to form a U-shape;
The pulley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cable coupling member (12)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for directly transmitting a lifting load of a reinforcing type to the main cable (100);
The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ile the pulley assembly 1 hangs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en the reinforcing die 200 is not lifted, The cable coupling member 12 is coupled to the main cable 100 so that the pulley assembly 1 is not directly hung on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so that a lifting load from the pulley assembly 1 is transmitted to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Wherein the gantry has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allow the gantry to m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조립체(1)에는 고리부재(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재(13)에는 상기 하부 횡빔(33)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관통공(130)은 상기 하부 횡빔(33)의 단면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ey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ring member (13);
The through hole 130 is formed in the ring member 13 so that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0. The through hole 130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13)는 상기 관통공(130)에 상기 하부 횡빔(33)이 삽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하부 횡빔(33)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op member (13) is movable along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the lower transverse beam (33)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4)는 프레임부재(41)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100)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42)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4)가 주케이블(100)에서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케이블(100)의 주위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재(41)에는 결합파이프(45)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파이프(45)에 상부 횡빔(31)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파이프(45) 내에서 상부 횡빔(31)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moving device 4 includes a frame member 41, a moving member 42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41 and adapted to move in contact with the main cable 100, And a guide member (43) for supporting the moving device (4)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main cable (100) in order to prevent the moving device (4) from being detached laterally from the main cable (100);
The frame member 4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pe 45 and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45 so that the upper transverse beam 31 can be rotated in the coupling pipe 45 Wherein the gantry is coupled to the gantry.
KR1020120132262A 2012-11-21 2012-11-21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KR101405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62A KR101405010B1 (en) 2012-11-21 2012-11-21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62A KR101405010B1 (en) 2012-11-21 2012-11-21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24A KR20140065124A (en) 2014-05-29
KR101405010B1 true KR101405010B1 (en) 2014-06-10

Family

ID=5089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62A KR101405010B1 (en) 2012-11-21 2012-11-21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0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10A (en) 2016-11-22 2018-05-30 현대건설주식회사 Suspension bridge stiffening girder construc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009B1 (en) * 2014-09-30 2016-11-14 현대건설 주식회사 Construct method of the suspension bridge girder and construction equipment of the suspension bridge girder
CN104790300B (en) * 2015-05-19 2017-07-21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Set a roof beam in place by a kind of flexible pier platfor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04961B1 (en) * 2018-04-10 2019-10-01 대림산업 주식회사 Lifting Gantry
CN112323648A (en) * 2020-11-09 2021-02-05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Segment erection lifting appliance based on bridge construction and use method thereof
CN113582010B (en) * 2021-07-24 2022-06-17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Gantry crane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6301A2 (en) * 1996-08-30 1998-03-04 Cito Roderick Calder-Pott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antries
JPH10237821A (en) * 1997-02-26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evice for carrying and installing suspension bridge cable band
KR100352178B1 (en) 2000-10-14 2002-09-12 국열 남 Portable winch
KR100560841B1 (en) 2003-01-13 2006-03-14 조배호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6301A2 (en) * 1996-08-30 1998-03-04 Cito Roderick Calder-Pott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antries
JPH10237821A (en) * 1997-02-26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evice for carrying and installing suspension bridge cable band
KR100352178B1 (en) 2000-10-14 2002-09-12 국열 남 Portable winch
KR100560841B1 (en) 2003-01-13 2006-03-14 조배호 Apparatus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10A (en) 2016-11-22 2018-05-30 현대건설주식회사 Suspension bridge stiffening girder construction apparatus
KR101881489B1 (en) * 2016-11-22 2018-07-24 현대건설 주식회사 Suspension bridge stiffening girder constru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24A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10B1 (en)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JP5572668B2 (en) Replacement method of oblique cable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oblique cable
CN102444086A (en) Cable hanging system for inclined stay cable of bridge and cable hanging method for inclined stay cable of bridge
JP2006233486A (en) Traversing work device and work method thereby
JP2007099515A (en) Method for mounting support means of lift cage to lift cage and lift shaft
CN104695752B (en) Rapid rush-repair Tower System and its erection method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JP2009287312A (en)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CN105113803A (en) High-altitude sliding hoisting device of corridor truss of mountain and implementing method of high-altitude sliding hoisting device
CN213923778U (en) Remove hoist equipment
CN110498321A (en) Compensate harness storage device, duplex elevator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6098453B2 (en) Jib hanger
JP2007261720A (en) Removing device for steel tower elevator rail and rail removing method by use of it
WO201515223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ane and system for mounting superstructure of crane
CN109137758A (en) A kind of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cable construction technology
JP6969281B2 (en) Crane and crane disassembly method
KR101349298B1 (en) Crane apparatus for suspension bridge, and method for elevating bridge block for suspension bridge
CN111252683A (en) Bridge deck cran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applied to bridge dismantling
JP2003180009A (en) Method of transferring power line
CN110241736A (en) Suspension cable Fast 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JP2006182461A (en) Temporary elevator
JP6393954B2 (en) Crane overhead structure system and crane manufacturing method
CN215887954U (en) Slide rail type auxiliary supporting device for front supporting leg of bridge girder erection machine
CN211081059U (en) Hoisting device for unit plate of curtain wall with curved outer vertical surface
JP5458385B2 (en)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