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004A -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004A
KR20170120004A KR1020160048435A KR20160048435A KR20170120004A KR 20170120004 A KR20170120004 A KR 20170120004A KR 1020160048435 A KR1020160048435 A KR 1020160048435A KR 20160048435 A KR20160048435 A KR 20160048435A KR 20170120004 A KR20170120004 A KR 2017012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joint shaft
stabilizer
presen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호
장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4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004A/ko
Publication of KR2017012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1Traction, slip, skid or slid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액티브 롤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차량의 좌우 차륜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스태빌라이저 바와 연결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이동시켜 스태빌라이 바의 강성 값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측은 스태빌라이저 바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태빌라이저 링크와 연결되어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ACTIVE ROLL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샤시 스프링과, 샤시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감쇠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스태빌라이저 바는 직선부 양측이 차체에 고정되고, 양단은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통하여 로워 암 또는 스트럿 바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는 좌, 우측 휠이 서로 동시에 상하 운동하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고, 좌, 우측 휠이 서로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경우에는 비틀리면서 비틀림 탄성력으로 차체의 롤을 억제하는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선회 주행 시에 차체의 선회 외측이 원심력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주행 중에 범프 또는 리바운드로 인해 좌, 우측 휠이 상대적으로 위상차를 가질 때에 비틀리면서 그 비틀림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체의 자세를 안정화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스태빌라이저 바는 강성 값이 일정하여 자체 비틀림 탄성력만으로는 여러 조건에서 선회 안정성을 확보해 주기에는 미흡함으로, 최근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선단에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를 연결하여 능동적인 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액티브 롤 컨트롤 유닛(Active Roll Control Unit)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레버비를 조절할 때 레버비가 커지는 정 방향 또는 레버비가 작아지는 역방향으로도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용량이 커야 하고, 이는 곧 모터의 용량이 커야 한다.
이때 모터의 용량이 크다는 의미는 곧 모터의 크기가 커야 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서 원가가 증가하고, 모터의 장착성이 떨어질 수 있어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연결위치를 조정하여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레버비를 가변함으로써, 차량의 롤 강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좌우 차륜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와 연결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이동시켜 상기 스태빌라이 바의 강성 값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측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태빌라이저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는 일측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조인트 샤프트 및 일측은 상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되어 제2 방향으로 상기 조인트 샤프트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 샤프트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조인트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인트 샤프트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리드스크류가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어서 상기 체결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상기 조인트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리드스크류 및 모터를 포함하여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레버비가 커지는 정 방향 또는 레버비가 작아지는 역방향으로도 제어할 때 모터의 용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가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도 역전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운전 시 외부의 힘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슬라이딩부 길이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부 이동 시 이동이 부드럽게 될 수 있어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슬라이딩부 및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조인트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슬라이딩부 및 스태빌라이저 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슬라이딩부 및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볼 때 x방향을 제1 방향으로 규정하고, y방향을 제2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도 2에서 볼 때 너트에서 볼트 쪽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볼트에서 너트 쪽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1)는 스태빌라이저 바(10), 슬라이딩부(30) 및 구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1)는 차륜에 연결된 스태빌라이저 바(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스태빌라이저 링크(미도시)의 레버비(lever ratio)를 가변시킴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의 강성 값을 조절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차량의 전륜 및 후륜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차량 운행시 액추에이터(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롤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폭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차량의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양 단부에는 후술할 조인트 샤프트(32)와 결합되기 위해서 결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12)는 조인트 샤프트(32)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양단부에 슬라이딩부(3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1)는 슬라이딩부(30)를 통해서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링크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레버비(lever ratio)가 가변되고, 이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의 강성 값을 조절하여 차량의 롤 거동을 능동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30)는 조인트 샤프트(32) 및 체결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 샤프트(32)는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2)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 샤프트(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양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2)를 통해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 단부에 조인트 샤프트(3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12)의 단부에는 조인트 샤프트(32)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결합부의 관통공에 조인트 샤프트(32)가 삽입된 후 너트(36)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조인트 샤프트(32)를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양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12)는 조인트 샤프트(32)의 체결 강성을 일정수준 이상 확보하기 위해서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직경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 샤프트(32)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 샤프트(32)는 스태빌라이저 링크가 결합된 체결부재(3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체결부재(34)의 슬라이딩 이동 시 체결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조인트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조인트 샤프트(3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조인트 샤프트(32)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32a)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가이드홈 각각은 조인트 샤프트(3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32a)은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34)는 가이드홈(32a)을 따라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체결부재가 원주방향으로 헛돌지 않고 정해진 경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슬라이딩부 및 스태빌라이저 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체결부재(34)는 내부에 조인트 샤프트(32)가 삽입되어 조인트 샤프트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4)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4)는 내부에 조인트 샤프트(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34)는 삽입홀에 삽입된 조인트 샤프트(3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가이드홈(32a)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4)는 일측면에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일단부와 연결되기 위해서 연결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1)는 연결부(46)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링크와 연결됨으로써 체결부재(34)가 조인트 샤프트(32) 외주면을 슬라이딩 이동 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레버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1)는 스태빌라이저 바(10)의 강성 값을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타단부는 볼조인트(미도시)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4)는 내부에 부시부재(4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부시부재(48)는 체결부재(34)가 조인트 샤프트(32)의 가이드홈(32a)의 내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딩 이동 시 원할 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부시부재(4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시부재(48)의 내주면에는 조인트 샤프트(32)의 가이드홈(32a)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볼부재(52)가 형성됨으로써 체결부재(34)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4)의 내측면과 부시부재(48)의 외측면 사이에는 이동부재(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재(33)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재(33)는 일단부인 전방부는 체결부재(34)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타단부인 후방부는 체결부재(34)의 내부에 압입되어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33)의 내부에는 부시부재(48)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4)의 외부로 노출된 조인트 샤프트(32)의 전단부에는 노출된 외면을 감싸도록 덮개부재(3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재(38)는 체결부재(34)의 외부로 노출된 조인트 샤프트(32)의 단부 측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재(38), 이동부재(33), 부시부재(48) 및 체결부재(34)는 일체로 형성되어 체결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시 함께 연동하여 조인트 샤프트(32)의 가이드홈(3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70)는 슬라이딩부(30)와 케이블(14)을 통해 연결되어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구동부(70)는 케이블(14), 모터(72), 리드스크류(74) 및 탄성부재(7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체결부재(34)의 일측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의 후단부 측면에는 케이블(14)과 연결되는 케이블 홀더(44)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14)은 외부 케이블(14) 및 외부 케이블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케이블(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와 연결된 케이블(14)은 스태빌라이저 바(10)의 결합부(12)에 외부 케이블이 고정되고 내부 케이블은 결합부(12)를 관통하여 케이블 홀더(44)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72)는 차체(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72)는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서보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72)는 리드스크류(74)를 회전축으로 가지고, 리드스크류(74)는 케이블(14)과 연결되어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이동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6)는 단면이 원형으로서, 일단부는 결합부(12)의 일면과 접하고, 타단부는 체결부재(34)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34)는 탄성적으로 이동한 다음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76)는 결합부 및 체결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체결부재(34)를 지지하고, 체결부재(34)가 이동한 다음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63)는 원형상으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한편, 도 2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1)는 모터(72)를 통해 리드스크류(74)를 회전시켜 케이블(14)의 내부 케이블(미도시)이 당겨지게 될 경우 조인트 샤프트(32)와 함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케이블 홀더(44)를 중심으로 체결부재(34)가 (H)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LR)를 축소시킴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10)의 강성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모터(72)의 리드스크류(74)를 통해 케이블(14)을 당겨짐으로써 체결부재(34)를 당기는 힘이 탄성부재(76)의 탄성력 보다 크게 되어 체결부재가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케이블(14)의 내부 케이블이 풀어지게 될 경우에는 체결부재(34)가 (L)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LR)를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10)의 강성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모터(72)의 리드스크류(74)를 통해 케이블(14)을 풀어짐으로써 체결부재(34)는 탄성부재(76)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부재가 이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리드스크류 및 모터를 포함하여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레버비가 커지는 정 방향 또는 레버비가 작아지는 역방향으로도 제어할 때 모터의 용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가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도 역전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운전 시 외부의 힘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슬라이딩부 길이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부 이동 시 이동이 부드럽게 될 수 있어 차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액티브 롤 제어장치 3 : 차체
10 : 스태빌라이저 바 12 : 결합부
14 : 케이블 30 : 슬라이딩부
32 : 조인트 샤프트 32a : 가이드홈
33 : 이동부재 34 : 체결부재
36 : 너트 38 : 덮개부재
42 : 볼트 44 : 케이블 홀더
46 : 연결부 48 : 부시부재
52 : 볼부재 70 : 구동부
72 : 모터 74 : 리드스크류
76 : 탄성부재

Claims (6)

  1. 차량의 좌우 차륜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와 연결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이동시켜 상기 스태빌라이 바의 강성 값을 조절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로서,
    일측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태빌라이저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일측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조인트 샤프트; 및
    일측은 상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되어 제2 방향으로 상기 조인트 샤프트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샤프트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조인트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인트 샤프트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액티브 롤 제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리드스크류가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어서 상기 체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상기 조인트 샤프트가 삽입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1020160048435A 2016-04-20 2016-04-20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170120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35A KR20170120004A (ko) 2016-04-20 2016-04-20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35A KR20170120004A (ko) 2016-04-20 2016-04-20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004A true KR20170120004A (ko) 2017-10-30

Family

ID=6030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435A KR20170120004A (ko) 2016-04-20 2016-04-20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0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US10336153B2 (en) Active roll control apparatus
JP6091790B2 (ja) 能動制御懸架装置
US10960725B2 (en) Active roll control apparatus
KR10151888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0461602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KR20170120004A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0872627B1 (ko) 차량의 가변 스테빌라이저
KR100580515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20130056642A (ko)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의 가변조절장치
KR101918347B1 (ko) 차량의 롤강성 가변 장치
KR101788942B1 (ko) 차량용 능동 롤 제어장치
KR10137148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용 액추에이터
KR10052776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127299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의 마운팅 어셈블리
KR100765647B1 (ko) 자동차용 언더스티어 유도장치
KR20170119350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텝링크
KR100397936B1 (ko) 자동차용 리어 현가장치의 래터럴로드 부시구조
KR20180106110A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220006393A (ko)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KR100862267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KR101646106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0180364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20070020631A (ko)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KR19980056798A (ko) 자동차용 후방현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