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631A -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631A
KR20070020631A KR1020050074735A KR20050074735A KR20070020631A KR 20070020631 A KR20070020631 A KR 20070020631A KR 1020050074735 A KR1020050074735 A KR 1020050074735A KR 20050074735 A KR20050074735 A KR 20050074735A KR 20070020631 A KR20070020631 A KR 2007002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stabilizer
bar link
li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원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631A/ko
Publication of KR2007002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바에 의해 연결되는 스트럿 고정식의 스티어링 계의 성능 약화를 보상하기 위해 스테빌라이져 바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빌라이져 바에 의해 연결되는 조향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고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일단부를 통해 이동 로드(30)가 삽입되며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타단은 스테빌라이져 바(6) 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본체(20)에 삽입된 이동 로드(30)의 단부는 스트럿 어셈블리(3)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차량, 스테빌라이져, 스테빌라이져 링크, 스트럿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A stabilizer link ba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내부의 바이패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20 : 본체
30 : 이동 로드 40 : 유압판
50 : 바이패스부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져 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바에 의해 연결되는 스트럿 고정식의 스티어링 계의 성능 약화를 보상하기 위해 스테빌라이져 바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스테빌라이져 바는 차량의 앞 또는 뒤의 현가장치에 장 착되어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져 바는 일정한 충격에 비틀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좌,우 바퀴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을 때만 작용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져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프론트(front) 현가장치 중 맥퍼슨 타입(wishbone type)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프론트 현가장치의 구성은 어퍼암 및 로어암(upper arm & lower arm), 프론트 쇼크 압쇼버(front shock absorber)와 스프링(spring), 피봇 링크, 스테빌라이져 바(stabilizer bar, 또는 스테빌라이져 축(Stabilizer Shaft)) 및 스트럿 어셈블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어퍼암과 로우암은 조향 너클(8)과 차체(9)를 연결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5)과 쇽업쇼버(4)는 스트럿 어셈블리(3)에 연결되어 도로주행 조건상 적은 하중의 힘이 휠(wheel)로 전달될 경우에 하중과 진동을 흡수시킨다. 여기서 쇽업쇼버(4)는 유압식 텔레스코픽 쇽업쇼버(Telescopic shock absorber)가 사용된다.
또한 스테빌라이져 바(6)는 피봇링크(7)로 중간 부분이 고정되고 양측 스트럿어셈블리(3)에 링크 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연결된다.
특히, 스테빌라이져 바(6)는 비틀림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좌우바퀴의 움직임 차이가 있을 때만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스테빌라이져 바(6)는 차량이 선회할 때 원심력 때문에 기울어 지거나 옆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바퀴 양축에 설치하여 좌우 어느 한쪽의 바퀴가 상하로 움직였을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반대쪽의 바퀴를 같은 방향으로 유도하여 좌,우 바퀴의 움직임을 같게 하는 작용을 하여 차체의 기울기, 즉 롤각(roll angle)을 최소로 하고 차체의 롤(Roll) 현상을 억제하여 승차감 및 차체를 안정되게 한다.
또한, 좌우 바퀴가 동시에 충격 또는 리바운드 할 때에는 스테빌라이져 바(6)는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트럿 고정 형식의 구조는 스테빌라이져 바의 움직임이 스티어링 링케이지를 통해 전달되어 조향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바에 의해 연결되는 스트럿 고정식의 스티어링 계의 성능 약화를 보상하기 위해 스테빌라이져 바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스테빌라이져 바에 의해 연결되는 조향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고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일단부를 통해 이동 로드(30)가 삽입되며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타단은 스테빌라이져 바(6) 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본체(20)에 삽입된 이동 로드(30)의 단부는 스트럿 어셈블리(3)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위치되는 이동 로드(30)의 단부에는 원형의 플레이트가 복수로 설치되어 형성되는 유압판(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내측면 일단부로는 본체(20)에 충진된 유체가 통과하는 바이패스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바(6)와 스트럿 어셈블리(3)를 본 발명에 의한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10)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스테빌라이져 바(6)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트럿 어셈블리(3)를 통하여 다른 구성 요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우선,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0)의 내부에 오일과 같은 유체가 충진되도록 한다. 유체가 충진된 본체(20)의 내측으로는 단부에 유압판(40)이 설치되어 있는 이동 로드(30)의 유압판(4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동 로드(30)의 타단부는 스트럿 어셈블리(3)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본체(20)의 일단부는 스테빌라이져 바(6) 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10)가 설치되면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이 스테빌라이져 바(6)에서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10)를 통해 스트럿 어셈블리(3)로 전달된다.
이때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10)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0)의 내부에는 이동 로드(3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체(20)의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있는 이동 로드(30)에는 유압판(40)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20)의 내측면 일단부에는 유체가 지날 수 있는 바이패스부(50)가 형성되어 있어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10)는 평상시에는 링크(10)의 A 부분에 위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진동이 전해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가 바이패스부(50)를 지나기 때문에 이동 로드(30)는 상하로 유동되지 않게 되어 스트럿 어셈블리(3)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차량의 주행중 급선회등에 의해 차량이 롤(roll)을 하는 경우 이동 로드(30)의 움직임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 로드(30)에 설치된 유압판(40)은 바이패스부(50)의 상단부(B) 또는 하단부(C)에 위치된다. 바이패스부(50)의 상단부(B)와 하단부(C)의 본체(20)의 내측벽은 유압판(40)의 원주부와 밀착되어 있어 유체가 자유롭게 지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이동 로드(30)의 상하 움직임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롤링(rolling) 제어에 필요한 감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스테빌라이져 바에 스테빌라이져 바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에 연결하여 스트럿 고정식의 스티어링 계의 성능 약화를 보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테빌라이져 바에 의해 연결되는 조향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고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일단부를 통해 이동 로드(30)가 삽입되며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본체(20)의 타단은 스테빌라이져 바(6) 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본체(20)에 삽입된 이동 로드(30)의 단부는 스트럿 어셈블리(3)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위치되는 이동 로드(30)의 단부에는 원형의 플레이트가 복수로 설치되어 형성되는 유압판(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내측면 일단부로는 본체(20)에 충진된 유체가 통과하는 바이패스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4.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판(40)의 원주부는 바이패스부(50)의 상부와 하부의 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KR1020050074735A 2005-08-16 2005-08-16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KR20070020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735A KR20070020631A (ko) 2005-08-16 2005-08-16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735A KR20070020631A (ko) 2005-08-16 2005-08-16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31A true KR20070020631A (ko) 2007-02-22

Family

ID=4365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735A KR20070020631A (ko) 2005-08-16 2005-08-16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6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102478937B1 (ko) 차량용 차륜내 3-암 서스펜션
US6968931B2 (en) Shock absorber with guiding system
KR19990044100A (ko)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
CA3023291C (en) Vehicle suspension
KR1999004112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20180194187A1 (en) Dual bearing strut assemblies and vehicle suspension systems with dual bearing strut assemblies
KR20060060854A (ko) 모터를 이용한 액티브롤콘트롤 시스템
US7784807B2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10090777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MXPA04006583A (es) Suspension de varilla de control con absorbedor de choque exterior.
JP2006306247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75910B1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의 롤 저감구조
KR20070020631A (ko) 스테빌라이져 바 링크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599276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의 구조
KR1004228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JPH08142622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0428169B1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
KR20070104053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130091607A (ko) 서스펜션 트레일링 암 부시 장치
KR20070035874A (ko) 차륜의 캠버 제어용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00969392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KR100391602B1 (ko) 차량의 롤링 방지용 스트럿어셈블리
KR102187462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의 트레일링 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