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014A - 차량용 다단 dct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단 d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014A
KR20170119014A KR1020160046145A KR20160046145A KR20170119014A KR 20170119014 A KR20170119014 A KR 20170119014A KR 1020160046145 A KR1020160046145 A KR 1020160046145A KR 20160046145 A KR20160046145 A KR 20160046145A KR 20170119014 A KR20170119014 A KR 20170119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eed
counter
sta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617B1 (ko
Inventor
어순기
손우철
김천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617B1/ko
Priority to DE102016212685.7A priority patent/DE102016212685B4/de
Priority to CN201610576265.5A priority patent/CN107299965B/zh
Publication of KR2017011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eans for synchronisation not incorporated in th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including a single counter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 F16H3/3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with synchro-me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37/045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a separate gearing unit for shifting between high and low ratio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5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nine forward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차량용 다단 DCT는 제1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 제1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2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 홀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 짝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2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 홀수단구동기어 및 짝수단구동기어들과 치합되도록 제1카운터축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 홀수단피동기어들과 짝수단피동기어들을 선택적으로 제1카운터축과 연결시키는 다수의 싱크로나이저; 기어비가 클수록 저속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큰 저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 제1카운터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 저속단구동기어 및 고속단구동기어에 각각 치합되도록 출력축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 및 고속단피동기어; 및 저속단피동기어 또는 고속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출력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다단 DCT {MULTI-STAGE DC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듀얼클러치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가급적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다수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듀얼클러치 변속기(DCT: Dual Clutch Transmission)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동기치합식 수동변속기의 입력축을 2개로 구성하고 엔진으로부터 2개의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두 입력축에서 서로 인접한 변속단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입력축들과 여기에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 사이에 상시 치합된 각 변속단들을 구성하는 변속단기어들이 배치되고, 이들 변속단기어들을 선택적으로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동기장치가 배치되어, 이들 변속단기어들과 동기장치들이 설치되는 개수에 따라 변속기의 전체 길이 및 구현할 수 있는 변속단의 개수가 결정된다.
차량에서 엔진의 운전효율을 최적의 상태로 확보하여 연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변속기가 구현할 수 있는 변속단의 수를 가급적 많게 해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변속단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반대로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켜서 차량에의 탑재성을 떨어뜨리고 중량을 증가시켜 연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09982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가급적 짧게 구성하여, 변속기의 중량을 저감하고,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단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다단 DCT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단 DCT는 제1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 상기 제1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2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 홀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 짝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 상기 홀수단구동기어 및 짝수단구동기어들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1카운터축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 상기 홀수단피동기어들과 짝수단피동기어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카운터축과 연결시키는 다수의 싱크로나이저; 기어비가 클수록 저속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큰 저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 상기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 상기 제1카운터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 상기 저속단구동기어 및 고속단구동기어에 각각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 및 고속단피동기어; 및 상기 저속단피동기어 또는 고속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출력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의 일단과 상기 출력축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5단을 구현하기 위해 제1입력축과 출력축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싱크로나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는, 1단을 구현하기 위한 1단 구동기어와, 3단 및 7단을 구현하기 위한 3&7단구동기어와, 9단을 구현하기 위한 9단구동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는, 2단 및 6단을 구현하기 위한 2&6단구동기어와, 4단 및 8단을 구현하기 위한 4&8단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는, 1단을 구현하기 위한 1단피동기어와, 3단 및 7단을 구현하기 위한 3&7단피동기어와, 9단을 구현하기 위한 9단피동기어와, 2단 및 6단을 구현하기 위한 2&6단피동기어와, 4단 및 8단을 구현하기 위한 4&8단피동기어와, 후진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후진피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아이들러축; 상기 아이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4&8단구동기어에 치합된 제1아이들러기어; 상기 제1아이들러기어와 동심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후진피동기어에 치합된 제2아이들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1단피동기어와 9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싱크로나이저와, 상기 후진피동기어와 3&7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싱크로나이저와, 상기 2&6단피동기어와 4&8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5싱크로나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는 1단, 2단, 3단, 4단 및 후진변속단을 구현하고,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배치된 고속단피동기어는 6단, 7단, 8단 및 9단을 구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는 출력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되어 4단을 구현하는 4단구동기어; 상기 제1카운터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된 제2카운터축; 상기 제2카운터축에 구비되고, 상기 4단구동기어와 치합된 제1카운터기어 및 상기 제1카운터기어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카운터기어로 구성된 4단카운터기어; 및 상기 출력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운터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에 의해 상기 출력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4단피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다단 DCT에 따르면,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구성하는바, 변속기의 중량을 저감하고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단 변속단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효율적인 운전으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단 DCT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변속기로 9속 전진변속단과 1속의 후진변속단을 구현하는 작동모드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단 DCT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다단 DCT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단 DCT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다단 DCT는 제1클러치(C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IS1); 상기 제1입력축(IS1)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2클러치(C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IS2); 홀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입력축(IS1)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 짝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2입력축(IS2)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 상기 제1입력축(IS1) 및 제2입력축(IS2)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CS1); 상기 홀수단구동기어 및 짝수단구동기어들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1카운터축(CS1)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 상기 홀수단피동기어들과 짝수단피동기어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카운터축(CS1)과 연결시키는 다수의 싱크로나이저; 기어비가 클수록 저속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큰 저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축(CS1)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LD); 상기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축(CS1)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HD); 상기 제1카운터축(CS1)과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OS); 상기 저속단구동기어(LD) 및 고속단구동기어(HD)에 각각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OS)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LP) 및 고속단피동기어(HP); 및 상기 저속단피동기어(LP) 또는 고속단피동기어(HP) 중 하나를 출력축(OS)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싱크로나이저(SN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기술은 상기 제1입력축(IS1)의 일단과 상기 출력축(OS)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5단을 구현하기 위해 제1입력축(IS1)과 출력축(OS)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싱크로나이저(SN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SN2)는 상기 출력축(OS)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LP)와 고속단피동기어(HP) 사이의 제1싱크로나이저(SN1)가 전환될 때, 변속 단절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입력축(IS1)과 출력축(OS)를 직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동작모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1입력축(IS1)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는, 1단을 구현하기 위한 1단 구동기어(1D)와, 3단 및 7단을 구현하기 위한 3&7단구동기어(3&7D)와, 9단을 구현하기 위한 9단구동기어(9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축(IS2)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는, 2단 및 6단을 구현하기 위한 2&6단구동기어(2&6D)와, 4단 및 8단을 구현하기 위한 4&8단구동기어(4&8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CS1)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는, 1단을 구현하기 위한 1단피동기어(1P)와, 3단 및 7단을 구현하기 위한 3&7단피동기어(3&7P)와, 9단을 구현하기 위한 9단피동기어(9P)와, 2단 및 6단을 구현하기 위한 2&6단피동기어(2&6P)와, 4단 및 8단을 구현하기 위한 4&8단피동기어(4&8P)와, 후진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후진피동기어(RP)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입력축(IS1), 제2입력축(IS2)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들과 짝수단구동기어들은 각각 1개 또는 2개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제1카운터축(CS1)에 구비되고 기어비가 서로 다른 저속단구동기어(LD)와 고속단구동기어(HD) 간의 선택적인 동력전달을 통해 구현된다.
또한, 본 기술은 후진피동기어(RP)와 함께 후진단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2입력축(IS2)에 평행하게 배치된 아이들러축(IDS); 상기 아이들러축(ID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4&8단구동기어(4&8D)에 치합된 제1아이들러기어(RID1); 상기 제1아이들러기어(RID1)와 동심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후진피동기어(RP)에 치합된 제2아이들러기어(RI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1단피동기어(1P)와 9단피동기어(9P)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CS1)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싱크로나이저(SN3)와, 상기 후진피동기어(RP)와 3&7단피동기어(3&7P)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CS1)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싱크로나이저(SN4)와, 상기 2&6단피동기어(2&6P)와 4&8단피동기어(4&8P)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CS1)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5싱크로나이저(SN5)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2, 3, 4 및 5 싱크로나이저(SN1, SN2, SN3, SN4, SN5)를 제어함으로써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짧게 유지하면서도 다단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의 싱크로메시 방식의 변속메커니즘과 같이, 각 변속단의 피동기어를 출력축(OS)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각각의 변속단 피동기어들 옆에는 1단싱크로(S1), 2&6단싱크로(S2&6), 3&7단싱크로(S3&7), 4&8단싱크로(S4&8), 5단싱크로(S5), 9단싱크로(S9) 및 후진단싱크로(SR)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카운터축(CS1)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LD)와 상기 출력축(OS)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LP)는 1단, 2단, 3단, 4단 및 후진변속단을 구현하고, 상기 제1카운터축(CS1)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HD)와 상기 출력축(OS)에 배치된 고속단피동기어(HP)는 6단, 7단, 8단 및 9단을 구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실시 예의 구성에서는 다단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해 변속단수와 동일한 변속단기어들을 모두 구비하지 않고, 각각 1개 또는 2개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바, 변속기의 중량 및 전체길이를 저감시키면서도, 다수의 변속단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차량의 연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변속기로 9속 전진변속단과 1속의 후진변속단을 구현하는 작동모드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다단 DCT는 도 3과 같은 작동모드표에 따라 각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 DCT로 3단은 제1클러치를 체결하고, 제4싱크로나이저로 3&7싱크로를 연결하며, 제1싱크로나이저로 저속단싱크로를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엔진의 동력은 상기 제1클러치, 제1입력축, 3&7구동기어, 3&7피동기어, 제4싱크로나이저, 제1카운터축, 저속단구동기어, 저속단피동기어, 제1싱크로나이저 및 출력축을 차례로 통과하여 디퍼렌셜로 인출된다.
아울러, 7단은 제1클러치를 체결하고, 제4싱크로나이저로 3&7싱크로를 연결하며, 제1싱크로나이저로 고속단싱크로를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엔진의 동력은 상기 제1클러치, 제1입력축, 3&7구동기어, 3&7피동기어, 제4싱크로나이저, 제1카운터축, 고속단구동기어, 고속단피동기어, 제1싱크로나이저 및 출력축을 차례로 통과하여 디퍼렌셜로 인출된다.
5단은 제1클러치를 체결하고, 제2싱크로나이저를 연결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엔진의 동력은 제1입력축으로부터 바로 출력축에 전달되어 디퍼렌셜로 인출된다.
한편, 후진 변속단은 상기 제2클러치를 체결한 상태에서 후진단싱크로를 체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엔진의 동력은 제2입력축으로부터, 4&8단구동기어, 제1아이들러기어, 아이들러축, 제2아이들러기어, 후진피동기어, 제4싱크로나이저, 제1카운터축, 저속단구동기어, 저속단피동기어, 제1싱크로나이저 및 출력축을 차례로 통과하여 디퍼렌셜로 인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단 DCT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다단 DCT에서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SN2)는 출력축(OS)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입력축(IS1)에 구비되어 4단을 구현하는 4단구동기어(4D); 상기 제1카운터축(CS1)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된 제2카운터축(CS2); 상기 제2카운터축(CS2)에 구비되고, 상기 4단구동기어(4D)와 치합된 제1카운터기어(4C1) 및 상기 제1카운터기어(4C1)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카운터기어(4C2)로 구성된 4단카운터기어(4C); 및 상기 출력축(OS)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운터기어(4C2)와 치합되고,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SN2)에 의해 상기 출력축(OS)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4단피동기어(4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에서는 4단구동기어(4D)와 4단피동기어(4P) 옆에는 5단싱크로(S5)와 4단싱크로(S4)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량을 다운시프트할 경우에 변속지연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9단에서 4단으로 다운시프트 될 경우, 이전 실시 예에서는 변속시 단절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9단→6단→5단→4단의 3번의 변속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9단에서 6단 다운시프트를 수행한 후, 5단 변속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4단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싱크로나이저(SN2)를 출력축(OS)과 4단피동기어(4P)를 연결시키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제1클러치(C1)를 체결시킴으로써 다운시프트 변속과정을 줄여 변속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제1클러치(C1)를 통한 4단 구현이 완료되고 제2클러치(C2)가 해제되면, 바로 제5싱크로나이저(SN5)를 4&8싱크로(S4&8) 측에 예치합하고 제1싱크로나이저(SN1)를 저속단싱크로(SL)에 예치합하며, 예치합이 완료된 이후, 제1클러치(C1)를 해제하고, 제2클러치(C2)를 체결함으로써 동력의 끊김없이 기존에 제2출력축(IS2)을 통한 4단 변속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다단 DCT에 따르면, 변속기의 전체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구성하는바, 변속기의 중량을 저감하고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단 변속단을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효율적인 운전으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1: 제1클러치
C2: 제2클러치
IS1: 제1입력축
IS2: 제2입력축
CS1: 제1카운터축
CS2: 제2카운터축
OS: 출력축
IDS: 아이들러축
S1: 제1싱크로나이저

Claims (9)

  1. 제1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1입력축;
    상기 제1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2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된 제2입력축;
    홀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
    짝수 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카운터축;
    상기 홀수단구동기어 및 짝수단구동기어들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1카운터축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
    상기 홀수단피동기어들과 짝수단피동기어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카운터축과 연결시키는 다수의 싱크로나이저;
    기어비가 클수록 저속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큰 저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
    상기 다수의 변속단 중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단변속단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
    상기 제1카운터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
    상기 저속단구동기어 및 고속단구동기어에 각각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 및 고속단피동기어; 및
    상기 저속단피동기어 또는 고속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출력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단 DCT.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의 일단과 상기 출력축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5단을 구현하기 위해 제1입력축과 출력축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싱크로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다단 DCT.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홀수단구동기어는, 1단을 구현하기 위한 1단 구동기어와, 3단 및 7단을 구현하기 위한 3&7단구동기어와, 9단을 구현하기 위한 9단구동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입력축에 구비된 다수의 짝수단구동기어는, 2단 및 6단을 구현하기 위한 2&6단구동기어와, 4단 및 8단을 구현하기 위한 4&8단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단 DCT.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에 배치된 다수의 홀수단피동기어 및 짝수단피동기어는, 1단을 구현하기 위한 1단피동기어와, 3단 및 7단을 구현하기 위한 3&7단피동기어와, 9단을 구현하기 위한 9단피동기어와, 2단 및 6단을 구현하기 위한 2&6단피동기어와, 4단 및 8단을 구현하기 위한 4&8단피동기어와, 후진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후진피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단 DCT.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아이들러축;
    상기 아이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4&8단구동기어에 치합된 제1아이들러기어;
    상기 제1아이들러기어와 동심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후진피동기어에 치합된 제2아이들러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다단 DCT.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1단피동기어와 9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싱크로나이저와, 상기 후진피동기어와 3&7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싱크로나이저와, 상기 2&6단피동기어와 4&8단피동기어 중 하나를 제1카운터축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5싱크로나이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단 DCT.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저속단구동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배치된 저속단피동기어는 1단, 2단, 3단, 4단 및 후진변속단을 구현하고,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고속단구동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배치된 고속단피동기어는 6단, 7단, 8단 및 9단을 구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단 DCT.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는 출력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단 DCT.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에 구비되어 4단을 구현하는 4단구동기어;
    상기 제1카운터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된 제2카운터축;
    상기 제2카운터축에 구비되고, 상기 4단구동기어와 치합된 제1카운터기어 및 상기 제1카운터기어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카운터기어로 구성된 4단카운터기어; 및
    상기 출력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2카운터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싱크로나이저에 의해 상기 출력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4단피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단 DCT.

KR1020160046145A 2016-04-15 2016-04-15 차량용 다단 dct KR10183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45A KR101836617B1 (ko) 2016-04-15 2016-04-15 차량용 다단 dct
DE102016212685.7A DE102016212685B4 (de) 2016-04-15 2016-07-12 Mehrstufiges DCT für Fahrzeuge
CN201610576265.5A CN107299965B (zh) 2016-04-15 2016-07-20 用于车辆的多挡位双离合器变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45A KR101836617B1 (ko) 2016-04-15 2016-04-15 차량용 다단 d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14A true KR20170119014A (ko) 2017-10-26
KR101836617B1 KR101836617B1 (ko) 2018-03-09

Family

ID=5998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45A KR101836617B1 (ko) 2016-04-15 2016-04-15 차량용 다단 dc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36617B1 (ko)
CN (1) CN107299965B (ko)
DE (1) DE10201621268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3715A (zh) * 2018-01-05 2018-07-31 浙江中马传动股份有限公司 新型多挡变速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328B2 (en) * 2002-04-18 2005-02-08 Kubota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for transmission
JP2003343712A (ja) 2002-05-24 2003-12-03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DE10338355A1 (de) * 2003-08-21 2005-03-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oppelkupplungsgetriebe mit Zustandshaltefunktion
DE102006007010B4 (de) * 2006-02-15 2015-02-05 Zf Friedrichshaf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und Verfahren zur Schaltsteuerung desselben
DE102007040449A1 (de) * 2007-08-28 2009-03-05 Daimler Ag Zahnräderwechselgetriebe
JP5097880B2 (ja) * 2007-12-28 2012-12-12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装置
JP4572956B2 (ja) 2008-06-03 2010-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駆動装置
CN203051641U (zh) * 2012-12-20 2013-07-10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双中间轴dct结构
KR101526396B1 (ko) * 2013-10-28 2015-06-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장치
KR101509982B1 (ko) 2013-11-25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ct 구조
KR101500202B1 (ko) 2013-11-25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기 구조
CN204004217U (zh) * 2014-06-30 2014-12-1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八速双离合器式自动变速器
KR101637685B1 (ko) * 2014-09-29 2016-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mt 하이브리드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99965B (zh) 2021-07-09
KR101836617B1 (ko) 2018-03-09
DE102016212685B4 (de) 2020-10-15
CN107299965A (zh) 2017-10-27
DE102016212685A1 (de)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200B1 (ko) 차량용 더블클러치 변속기
KR101704203B1 (ko) 차량용 10단 dct
KR101550984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2651622B1 (ko) 차량용 dct
KR101063654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US7107866B2 (en) Single clutch layshaft transmission
KR20210109064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470203B1 (ko) 듀얼 클러치가 적용된 8속 변속기
KR20160134967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20200104955A (ko) 차량용 dct
US688041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ratio changes in a layshaft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power-on shifting
KR20210031579A (ko)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836617B1 (ko) 차량용 다단 dct
KR101550983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20210117364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417667B1 (ko) 듀얼 클러치 8속 변속기
KR20100062642A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20210108518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2564980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063616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 파워트레인
CN112065935A (zh) 一种多挡双离合变速器
KR20210102528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20160147088A (ko) 차량용 변속기
KR101765499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101765502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