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711A -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이와 관련된 기계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이와 관련된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711A
KR20170118711A KR1020177021939A KR20177021939A KR20170118711A KR 20170118711 A KR20170118711 A KR 20170118711A KR 1020177021939 A KR1020177021939 A KR 1020177021939A KR 20177021939 A KR20177021939 A KR 20177021939A KR 20170118711 A KR20170118711 A KR 20170118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roup
hot water
outlet
accumul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625B1 (ko
Inventor
리카르도 가티
마시밀리아노 발다치오니
Original Assignee
라 마르쪼코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 마르쪼코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라 마르쪼코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1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5Brewing hea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에스프레소 커피)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으로서, 상기 그룹은: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가진 물 축적 챔버; 및 가열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 경로는 물 축적 챔버의 출구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입구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로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출구를 포함한다. 가열 경로는 가열 가능한 외부 표면 및 내부 코어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 경로를 포함한다. 내부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출구 주변에 위치된 온도 프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이와 관련된 기계
본 발명은 음료를 준비하는 기계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스프레소(또는 다른 음료)를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온수 공급 그룹을 포함하는 에스프레소(또는 다름 음료)를 제조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EP 2 070 457은 커피 등을 준비하는 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시트(seat)와, 커피 등을 배출 및 준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물의 흐름의 제어된 공급을 위한 유압 펌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상기 시트의 상류에 위치되고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기 결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도록 설계된 전기 가열기를 포함하며; 유압 회로는 가열기의 입구와 펌프 수단을 연결하며, 가열기가 본질적으로 물을 비울 수 있는 휴지 구성, 및 가열기가 커피 등의 준비를 위해 펌프 수단에 의해서 전달된 물의 흐름을 통하여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작동 구성으로 동작하게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제어 수단은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고 커피 등의 밴부 및 준비 명령이 주어질 때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수단을 작동 구성으로 전환시킨다. 히터의 유압적 상류에 위치된 상기 그룹은 히터와 열-교환 관계에 있고 가열기 쪽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예열하도록 설계된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계는 뜨거운 스팀을 발생시키는 그룹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수단은 상기 가열기가 펌프 수단에 의해서 전달된 물의 유동을 수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챔버가 스팀 발생 그룹의 입구에 연결되어 펌프 수단에 의해서 전달된 물의 유동을 수용하고 챔버를 통과하게 하는 추가 작동 구성을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출원인의 목적은 에스프레소 커피 (또는 다른 음료)를 제조하는 기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그룹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된 물을 빠르고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프레소 커피(또는 다른 음료)를 제조하는 기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이 제공되며, 물은 가열될 수 있는 와인딩 경로를 따라 흐르며, 온도 프로브는 배출 지점에 가능한 가깝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 축적 챔버 및 가열 경로를 포함하는 음료, 예컨대 에스프레소 커피를 배출 및 준비하는 기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으로서,
물 축적 챔버는 물을 수용하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며,
가열 경로는 물 축적 챔버의 출구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입구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로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열 경로는 가열 가능한 외부 표면 및 내부 코어에 의해서 경계되는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코어는 가열된 물의 온도를 탐지하기 위한 온도 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코어는 세로축, 입구에 제1 단부, 및 반대편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온도 프로브는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로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세트에 보관되어 상기 온도 프로브는 출구 부근의 물의 온도를 탐지하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가 코어에 삽입되는 위치 및 방식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온도 프로브는 코어 내부에 삽입되어있기 때문에 와인딩 경로를 따르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경하지 않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온도 프로브는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석회 형성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효율과 지속 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기본적으로, 가열된 물은 코어의 외부 표면 및 온도 센서가 보관된 시트 사이의 (상대적으로 얇은) 벽을 가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벽의 가열은 시트에 온도 센서에 전달된다.
셋째, 온도 프로브는 와인딩 경로의 출구 근처에서 물의 온도를 감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의 온도는 브루잉 챔버에 도달하기 직전에 감지되고 확인된다.
바람직하게, 가열 경로는 나선형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와인딩 경로이다.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표면은 상기 내부 코어의 외부 표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경로는 상기 가열 경로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내부 코어의 외부로 완전히 연장되는 온수를 공급한다. 반면에, 공지 기술은, 가열 경로를 따라 유동하기 시작하기 전에 물의 침입의 코어의 횡방향의 구멍을 통해 일어났다. 이는 다른 단점과 함께 기계가 사용되지 않을 때 공급 경로를 완전히 비울 수 없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경로는 상기 나선형 표면 주위에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은 고체 몸체에서 구멍의 표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은 또한 축적 챔버의 출구 및 상기 와인딩(winding) 경로의 입구 사이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한다.
축적 챔버의 입구는 출구와 다른 높이에 있거나, 및/또는 축적 챔버의 입구는 축적 챔버의 출구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상기 그룹은 또한 분리 가능한 디퓨저를 더 포함하며, 디퓨저는 그룹을 모듈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파우더, 포드, 캡슐 등으로부터 상이한 종류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를 갖는 디퓨저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상기 그룹은 또한 음료 추출 주기를 시작하기 위한 제1 방향 및 음료 추출 주기를 정지하기 위한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를 더 포함한다.
본 별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상기 그룹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 예컨대 에스프레소 커피를 배출 및 준비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는 스팀 보일러, 및 상기 스팀 보일러에 의해서 발생된 열에 의해서 상기 펌프에 공급된 물을 예열하고, 상기 그룹에 예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예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계는 와인딩 경로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는 온도 프로브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그룹의 가열 요소를 조절하는 처리 그룹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타입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CPU는 원하는 온도 값으로 물의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룹(6)에 존재하는 가열 요소들(7)의 전기적 활성화를 관리 및 제어한다.
상기 처리 그룹은, 사용자가 브루잉을 위해 온수의 배출을 활성화할 때, 펌프(1)의 작동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연되며 상기 지연되는 시간 동안에만 솔레노이드 밸브(5)의 로드(load) 통로가 개방되도록 프로그램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예시로 개시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의 유압 회로를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그룹의 두 개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 및 3에 따른 그룹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음료 분배 및 준비하는 기계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CPU 및 임의의 부품들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의 유압 회로를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한다. 사용된 기호는 냉수를 가리키는 점선, 온수를 가리키는 실선, 혼합된 물을 나타내는 일점 쇄선, 배출 온도에서 물을 가리키는 파선, 배출되는 물을 가리키는 점선으로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은 편의를 위해,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기계로 언급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기계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음료를 분배하는 기계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계는 물을 수용하는 펌프(1)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펌프(1)는 가열되지 않은 물을 수용한다. 통상적으로, 펌프(1)는 파이프로부터 냉수를 수용하고 압력하에 상기 냉수를 하류 쪽 구성요소로 보낸다.
예열기(2)는 바람직하게는 펌프(1)의 하류에 제공된다. 예열기(2)는 냉수를 수용하고 이를 제1 온도로 가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열기(2)는(예컨대, 카푸치노 등, 차 및 주입물을 준비하기위해) 스팀 및/또는 온수를 만들도록 구성된 스팀 보일러(3)에 삽입된다. 이 배열은 예열기가 스팀 보일러(3)의 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사용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믹서 장치(mixer device)(4)는 예열기(2)의 하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믹서 장치(4)에서, 예열기(2)로부터 배출된 온수가 펌프(1)의 하류에 위치된 분기점(10)으로부터 공급된 냉수와 혼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피 그룹(6)의 입구에서 온도가 안정화되어, 물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열기(2)는 믹서 장치(4)에서 적절하게 혼합된 커피 그룹(6)으로 들어가는 물을 예열하는 스팀 보일러(3)의 열을 수동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예열기(2)의 출구에서, 물은 100도씨 보다 높고 가변적인 제1 온도에서 빠져 나오는 반면, 펌프(1)의 물구에서 물은 약 20도씨의 온도 또는 어떤 경우에는 실내온도에서 빠져나온다. 펌프를 통과하는 물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주변온도에 영향을 받고, 어떤 경우에는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도 2, 3, 4는 커피 그룹(6)을 도시한다. 커피 그룹(6)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블록(19)을 포함한다. 금속 블록(19)은 (바람직하게는, 육각 소켓 헤드를 가진) 나사(20`) 또는 다른 기존의 수단을 통하여 커버(20)에 의해서 상부에서 폐쇄된 축적 챔버(14)를 갖는다. 축적 챔버(14)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배출하기 위한 온수의 저장소를 형성한다. 금속 블록(19)은 바람직하게는 축적 챔버(14)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구비하며, 가열 요소(7)는 좌석 내에 보관된다. 예컨대, 가열 요소(7)는 전기 저항의 형태일 수 있다.
커피 그룹(6)은 축적 챔버(1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구멍(11)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축적 챔버를 채우는 물은 믹서 장치(4), 예열기(2) 또는 존재하는 경우 분기점(10)으로부터 공급된다.
그룹(6)은 축적 챔버(14)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 구멍(12)을 포함한다.
입구 및 출구 구멍(11, 12)은 바람직하게는 축적 챔버(14)의 하부에 대하여 다른 높이에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입구 구멍 및 출구 구멍(11, 12)의 축(11`, 12`)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축적 챔버(14)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성층 효과가 제거된다.
출구 구멍(들)(12)로부터 물은 솔레노이드 밸브(5)로 통과하고 구멍(13)을 통해 그룹(6)으로 다시 들어가며, 물은 와인딩(winding) 경로를 따라 흐르며 물의 온도는 정밀 제어 방식으로 원하는 온도에 더 가깝게 상승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 피팅(fittings), 호스(hose)는 그룹(6)의 작동을 위해서 구비된다. 이들 중 일부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 및 7에 도시되어 있다.
일단 와인딩 온도-조절 경로를 따라 통과되면, 물은 구멍(15)을 통해 흐르고 추출될 커피 파우더(또는 유사물)을 함유하는 브루잉 챔버에 도달한다. 파우더는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와인딩 경로는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9)에 구멍(13)은 원형 단면을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 구멍이며, (구멍(13)의 표면과 마주하는) 나선형 외부 표면을 가진 코어(9)가 상기 구멍(13)에 삽입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9)에서 구멍(13)은 나사 구멍이며, (구멍(13)의 나사를 마주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표면이 있는 코어(9)는 나사 구멍(13) 안으로 삽입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9)에 구멍(13)은 나사 처리되며, 또한 나사 처리(그러나, 예컨대 피치 또는 나사 종류가 다른 나사)된 (구멍(13)의 나사와 마주하는) 외부 표면 가진 코어(9)는 상기 나사 구멍(13)으로 삽입되어, 구멍(13)의 나사 및 코어(9)의 나사 사이의 간격을 둔다. 다시 말해, 와인딩 경로는 (구멍(13) 또는 코어(9)의) 나선형 표면 및 원통형 표면, 또는 나선형 표면들 사이에 공간을 남겨두기 위해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개의 나선형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된 와인딩 경로의 형태는 작은 치수 부피 내에서 높은 접촉 표면적을 갖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유로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며 장치 내부의 공간을 줄인다.
와인딩 경로를 형성하는 나사는 고정 또는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13)의 직경은 약 15mm이며, 코어(9)의 나사산 및 나사골의 직경은 각각 약 14.9mm 및 11.4mm이며, 나사 피치는 3.5mm이다.
또한, 유리하게는, 나선형 나사로 형성된 코어(9)의 형태는 헤드 손실을 발생시켜 관통 구멍의 직경을 갖는 노즐에 석회 형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코어(9)는 온도 프로브(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프로브(8)는 코어(9)의 일 단부의 특별 시트(9`) 내에 보관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브용 시트(9`)는 물이 축적 챔버(14) 안으로 들어가는 곳의 반대편 단부 근처에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배출된 물의 온도가 브루잉 챔버(16)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되었듯이, 내부 코어(9)는 세로축(A-A), 가열 경로(13)의 입구(IN)에서 제1 단부(91), 및 제2 단부(92)를 포함하며; 온도 프로브(8)는 제2 단부(92)로부터 제1 단부(91) 쪽으로 코어(9) 안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시트(9`)에 보관되어서, 온도 프로브(8)은 출구(OUT) 부근의 물의 온도를 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9`)는 외부로 개방되며, 프로브는 플러그 방식으로 시트 내에 삽입된다. 간섭 또는 나사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테스트가 수행되거나 필요에 따라 대체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시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프로브(8)는 약 6.5mm의 직경을 가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네거티브 서미스터(NTC) 종류이다.
온도 프로브(8)는 이것이 브루잉 챔버(16)에 도달하기 직전에 물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고, 바람직하게는 그룹(6) 내에 존재하는 가열 요소(7)의 전자적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CPU로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특정 형태의 코어(9) 및 온도 프로브(8)의 특징적 위치로 인해서, 기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정확한 값과 브루잉되는 물의 높은 열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프로브는 가열 요소(7)를 활성화하는 CPU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온도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유리하게는, 온도 프로브(8)은 브루잉 챔버에 공급된 물의 온도를 정확하고 빠르게 탐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는 도 3의 단면에 명확히 도시되었듯이, 얇은 벽에 의해서 코어(9)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프로브는 열관성에 의해 단지 약간 영향을 받을 뿐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은 와인딩 경로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특은 와인딩 경로를 따라 석회 형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일단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면, 마이크로스위치(18) 등의 작동은 코어(9)를 통해 그리고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5)로부터 커피의 배출 흐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배출 동안에, 코어(9)는 물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반면, 휴지 단계 동안 비어있다.
음료 추출 주기는 주지의 수단(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 또는 버튼(18))에 의해서 시작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주기는 그룹(6)에 실질적으로 연결된 레버(17)를 제1 방향에서 회전함으로써 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주기는 주기의 처음 작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동일한 레버(17)를 회전함으로써 정지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CPU는 커피 내부에 존재하는 아로마(aromas)를 보다 잘 추출하기 위해 예비-브루잉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사용자가 (예컨대, 레버(17)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18)의 작동에 의해) 브루잉을 위한 오수의 배출을 활성화할 때, CPU는 펌프(1)가 활성되지 않는 제1 수초동안 솔레노이드 벨브(5)의 로드 통로만을 개방한다. 이후, 적절히 정의된 시간이 경과하면, CPU가 펌프(1)를 활성화한다. 상기 방식으로, 축적 챔버(14) 내부에 발생된 과압으로 인해, 주입수는 일정 온도에서 브루잉 챔버(16)에 도달하여 이는 추출될 커피를 "어택(attack)"하지 않으나, 커피 내부에 존재하는 아로마를 가능한 최상의 방법으로 추출하기에 이상적인 방법으로 예비-브루잉을 수행한다. 유리하게는, 축적 챔버 내의 과압은 하나 이상의 압력 측정 장치(21)의 수단에 의해서 탐지될 수 있다.
도 7은 레버(17)에 의해서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18)에 접속된 CPU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펌프(1), 3방향 밸브(5), 가열 요소(7), 및 온도 프로브(8)에 대한 연결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PU는 상술한 요소 중 하나 이상에만 접속될 수 있다. 연결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그룹은 (예컨대 나사 등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는 디퓨저(22)를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커피 그룹을 모듈화하고 파우더, 포드(pod), 캡슐 등으로부터 상이한 유형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를 갖는 다른 디퓨저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룹의 와인딩 경로는 코어의 전체 길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예로서, 약 10cm의 길이를 갖는 나선형 코어의 경우, 약 80cm의 경로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또한 물의 배출이 쉽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는 물이 작은 구멍을 통해 가로 방향으로 횡단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 코어 주체 주위로 흐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압력 손실이 감소되고, 파우더(커피)의 퍽(puck)이 더 잘 건조되고 구멍(13) 및 코어(9)에 의해서 형성된 와인딩 가열 경로 내에 정체된 배출수의 축적이 감소한다.

Claims (13)

  1. 물 축적 챔버(14) 및 가열 경로(9, 13)를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6)으로서,
    물 축적 챔버(14)는 물을 수용하는 입구(11) 및 출구(12)를 구비하며,
    가열 경로(9, 13)는 물 축적 챔버(14)의 출구(12)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입구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16)로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출구(15)를 구비하며,
    상기 가열 경로(9, 13)는 가열가능한 외부 표면(13) 및 내부 코어(9)에 의해서 경계되는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코어(9)는 가열된 물의 온도를 탐지하기 위한 온도 프로브(8)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코어(9)는 세로축(A-A), 가열경로(9, 13)의 입구(IN)에 제1 단부(91), 및 반대편 제2 단부(92)를 포함하며,
    온도 프로브(8)는 제2 단부(92)로부터 제1 단부(91)로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시트(9`)에 보관되어 상기 온도 프로브(8)은 출구(15) 부근의 물의 온도를 탐지하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 경로(9, 13)는 나선형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와인딩 경로인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3. 제 2 항에 있어서,
    나선형 표면은 상기 내부 코어(9)의 외부 표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경로(9, 13)는 상기 가열 경로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내부 코어(9)의 외부로 완전히 연장되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챔버(14)의 출구(12) 및 상기 와인딩 경로의 입구(13) 사이에 솔레노이드 밸브(5)를 더 포함하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적 챔버의 입구(11)는 출구(12)와 다른 높이에 있거나, 및/또는 축적 챔버(14)의 입구(11)의 축(11`)은 축적 챔버(14)의 출구(12)의 축(12`)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디퓨저(22)를 더 포함하며,
    디퓨저는 그룹(6)을 모듈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파우더, 포드(pod), 캡슐 등으로부터 상이한 종류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를 갖는 디퓨저와 상호 교환될 수 있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료 추출 주기를 시작하기 위한 제1 방향 및 음료 추출 주기를 정지하기 위한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17)를 더 포함하는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따른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6), 및 상기 그룹(6)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1)를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스팀 보일러(3), 및
    상기 스팀 보일러(3)에 의해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상기 펌프(1)에 공급된 물을 예열하고, 상기 그룹(6)에 예열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예열기(2)를 더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와인딩 경로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 호스 및 피팅(fitting)을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프로브(8)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그룹(6)의 가열 요소(7)를 조절하는 처리 그룹(CPU)을 더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그룹(CPU)은, 사용자가 브루잉을 위해 온수의 배출을 활성화할 때, 펌프(1)의 작동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연되며 상기 지연되는 시간 동안에만 솔레노이드 밸브(5)의 로드(load) 통로가 개방되도록 프로그램되는 음료를 준비 및 배출하는 기계.
KR1020177021939A 2015-02-25 2016-02-24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이와 관련된 기계 KR102458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0258A ITUB20150258A1 (it) 2015-02-25 2015-02-25 Gruppo di erogazione di acqua calda per una macchina per caffè espresso o simile e relativa macchina
IT102015000006957 2015-02-25
PCT/EP2016/053894 WO2016135212A1 (en) 2015-02-25 2016-02-24 Group for supplying hot water for a machine for making espresso coffee or the like and associated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711A true KR20170118711A (ko) 2017-10-25
KR102458625B1 KR102458625B1 (ko) 2022-10-25

Family

ID=5328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939A KR102458625B1 (ko) 2015-02-25 2016-02-24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이와 관련된 기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517142B2 (ko)
EP (1) EP3261499B1 (ko)
JP (1) JP6673925B2 (ko)
KR (1) KR102458625B1 (ko)
CN (1) CN107405020B (ko)
AU (1) AU2016223487B2 (ko)
CA (1) CA2972566C (ko)
DK (1) DK3261499T3 (ko)
HK (1) HK1246120B (ko)
IT (1) ITUB20150258A1 (ko)
LT (1) LT3261499T (ko)
NZ (1) NZ733921A (ko)
PL (1) PL3261499T3 (ko)
RU (1) RU2688905C2 (ko)
SI (1) SI3261499T1 (ko)
WO (1) WO2016135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020B1 (ko) * 2016-12-30 2018-10-10 주식회사 비다스테크 에스프레소 머신의 그룹헤드 예열장치가 구비된 추출수 온도 유지장치
IT201800007714A1 (it) * 2018-08-01 2020-02-01 Caffe' D'italia Srl Macchina erogatrice di bevande infuse e simili, particolarmente del tipo a capsule e/o cialde.
IT201900001623A1 (it) 2019-02-05 2020-08-05 La Marzocco Srl Macchina macina caffè con sistema di dosatura perfezionato e relativo metodo
IT201900018401A1 (it) * 2019-10-10 2021-04-10 Simonelli Group Spa Vaschetta di scarico per elettrovalvole di macchine per l’erogazione del caffè e macchina per l’erogazione del caffè provvista di tale vaschetta di scaric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319A (ko) * 2010-08-10 2014-03-05 레아벤도르스 서비시스 에스.피.에이. 추출 챔버 히터를 갖춘 음료 분배 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8986A (en) * 1994-11-17 2000-05-09 Imi Cornelius Inc. Beverage dispensing control
US6611660B1 (en) * 2002-04-30 2003-08-26 Cool Options, Inc. A New Hampshire Corp. Radial fin thermal transfer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021197B2 (en) 2003-07-18 2006-04-04 Electrical & Electronics Ltd. Hot beverage machine
US7461585B2 (en) * 2004-11-24 2008-12-09 Chris Nenov Portable electrical expresso machine
DE502007004495D1 (de) 2006-05-22 2010-09-02 Jura Elektroapparate Ag Erwärmungsvorrichtung für eine getränkebereitungsmaschine
EP1886605A1 (en) * 2006-08-08 2008-02-13 CME di Faccinti A.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and the like
CN102133047B (zh) * 2007-10-04 2014-04-3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饮料制备设备的集成的加热器
CL2008002963A1 (es) * 2007-10-04 2010-01-22 Nestec Sa Dispositivo calentador para una maquina para la preparacion de alimento liquido o bebida, que comprende una unidad termica con una masa metalica, a traves de la cual circula el liquido, y acumula calor y lo suministra al liquido, y tiene uno o mas componentes electricos asegurados en forma rigida a la unidad termica; y maquina.
US20100018407A1 (en) * 2008-07-25 2010-01-28 Tsung-Hsi Liu Thermostatic brewing mechanism with a structure for adjusting volume or concentration of a beverage obtained thereby
IT1393999B1 (it) * 2009-04-01 2012-05-17 Rancilio Macchine Caff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infusi, in particolare caffe' espresso, gruppo erogatore e metodo di realizzazione della stessa
US8663724B1 (en) * 2010-03-03 2014-03-04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Automated beverage brewing method
US8646379B2 (en) 2010-11-15 2014-02-11 Conair Corporatio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FR2971134A1 (fr) * 2011-02-07 2012-08-10 Reneka Internat Dispositif anti-rotation pour le filtre dissociable d'un groupe d'injection et de percolation dans une machine a cafe du type expresso
ITRE20110109A1 (it) * 2011-12-07 2013-06-08 Redox S R L Macchina da caffe' a risparmio energetic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319A (ko) * 2010-08-10 2014-03-05 레아벤도르스 서비시스 에스.피.에이. 추출 챔버 히터를 갖춘 음료 분배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5212A1 (en) 2016-09-01
ITUB20150258A1 (it) 2016-08-25
RU2017131860A3 (ko) 2019-03-26
PL3261499T3 (pl) 2020-01-31
AU2016223487B2 (en) 2020-03-12
US11517142B2 (en) 2022-12-06
CA2972566C (en) 2023-04-18
HK1246120B (zh) 2020-06-26
CN107405020A (zh) 2017-11-28
RU2688905C2 (ru) 2019-05-22
CN107405020B (zh) 2019-10-18
JP2018506344A (ja) 2018-03-08
CA2972566A1 (en) 2016-09-01
LT3261499T (lt) 2019-11-11
DK3261499T3 (da) 2019-10-21
US20180271319A1 (en) 2018-09-27
SI3261499T1 (sl) 2019-11-29
RU2017131860A (ru) 2019-03-25
NZ733921A (en) 2020-02-28
EP3261499A1 (en) 2018-01-03
EP3261499B1 (en) 2019-08-07
AU2016223487A1 (en) 2017-07-20
JP6673925B2 (ja) 2020-03-25
KR102458625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8628B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AU2017200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Coffee Maker
KR102458625B1 (ko)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제조하는 기계에 온수를 공급하는 그룹 및 이와 관련된 기계
JP5260512B2 (ja) 温かい液体をディスペンスする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
EP3451879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RU258411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2959808B1 (en) Improved device for wetting a dose of ground coffee in coffee machines having a heating element on the dispenser unit, and wetting process
JP2016537071A (ja) 飲料を制御して供給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セス
BR112020003060B1 (pt) Dispositivo para a preparação de bebidas quentes
JP2018519126A (ja) 飲料調製マシン
AU2011254541B2 (en) Dynamic double-circuit in-Line heater
EP2537449A1 (en) An espresso coffee machine provided with independent control of operating temperature of each coffee dispensing unit
EP3062667B1 (en) Liquid heating device
ES2752048T3 (es) Grupo para suministrar agua caliente a una máquina para realizar café expreso o similares y máquina asociada
ITTO20101087A1 (it)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 partire da materiale solu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