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122A - 친수성 광학 기능성 단층막 및 그의 적층체 - Google Patents

친수성 광학 기능성 단층막 및 그의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122A
KR20170117122A KR1020177025298A KR20177025298A KR20170117122A KR 20170117122 A KR20170117122 A KR 20170117122A KR 1020177025298 A KR1020177025298 A KR 1020177025298A KR 20177025298 A KR20177025298 A KR 20177025298A KR 20170117122 A KR20170117122 A KR 2017011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id
ester
mono
acryloyl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즈 오카자키
다카유키 하나와
Original Assignee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58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e.g. wire grids, conduct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방담성, 방오성이 우수하고, 또한 방담 내구성, 방오 내구성, 미끄럼성도 우수하며, 반사 방지 기능을 갖거나, 또는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친수성의 단층막, 및 당해 단층막을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는 단층막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 내지 800㎚의 범위이고, 당해 단층막이, 특정한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및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층막의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와 당해 단층막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의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2/Da2)가 1.1 이상인 단층막을 제작한다.

Description

친수성 광학 기능성 단층막 및 그의 적층체
본 발명은 친수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단층막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이나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나 카메라 렌즈 등의 광학 소자, 안경 렌즈 등에는 통상, 표면 반사를 저감하여 광의 투과량을 높이기 위해 반사 방지 기술이 실시되고 있다. 근년, 이 반사 방지 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기재의, 김서림, 오염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아져 가고 있다.
김서림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반응성 계면 활성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방담(防曇) 도료에 의해, 친수성,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재료 표면의 친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벽 등에 부착된 외기 소수성 물질 등의 오염을 살수 또는 강우에 의해 들뜨게 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및 3 참조).
또한, 기재의 표면에 가교 중합성 단량체 조성물을 도포해서 자외선 조사량을 컨트롤하여 불완전하게 중합된 가교 중합체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친수성 단량체를 도포해 다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친수 단량체를 가교 중합체의 표면에 블록 또는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친수성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
반사 방지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나 아크릴 등의 유기 미립자로 형성된 박막을 다수 적층한 반사 방지 다층막을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반사 방지 기술로서, 요철의 주기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로 제어된 미세한 요철 패턴을 기판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비특허문헌 4 및 5, 특허문헌 4 내지 8을 참조). 이 방법은 소위 모스아이(Motheye, 나방의 눈) 구조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기판에 입사된 광에 대한 굴절률을 요철의 깊이 방향에 따라서 입사 매체의 굴절률부터 기판의 굴절률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반사 방지하고자 하는 파장 영역의 반사를 억제하고 있다. 요철 패턴으로서는, 원뿔이나 사각뿔 등의 뿔형체가 예시되어 있다(특허문헌 6 내지 8을 참조).
그러나, 상기 반사 방지 다층막을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김서림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통상, 진공 증착법 등을 사용하여 성막되기 때문에, 성막 시간이 길고 비용이 높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편광막으로서, 나노 사이즈의 금속층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이 알려져 있다. 이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으로서, 기판 표면에 미세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금속층을 적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4 및 15를 참조). 이들 방법의 경우, 금속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오목부는 친수성으로 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만, 그 처리의 방법은 번잡하고, 비용이 높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반사형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로서, 금속 세선을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가 알려져 있다. 배열 간격에 따라 반사하는 파장 영역이 상이하고, 금속 세선에 평행하게 진동하는 광은 반사되며, 금속 세선과 수직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다. 가시광선 영역이 되면 금속 세선의 굵기와 배열 간격이 나노미터 사이즈가 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의 최소 파장 380㎚의 1/4인 배열 주기가 필요해져, 금속 세선의 배열 주기는 100㎚ 이하가 된다. 이 가시광선 영역 반사형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기판 표면에 나노임프린트법 등에 의해 요철상의 배열 구조를 형성하고 볼록면에 도전성 금속을 증착법이나 특수한 인쇄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6을 참조).
또한, 상기의 미세한 요철 패턴을 기재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사용되는 기재에 유리나 일반적인 아크릴 재료, 불소 코팅이 실시된 재료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충분한 김서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게다가 미세한 요철 패턴에 오염이 부착되면, 미세한 요철 구조로부터 오염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근년, 미세한 요철 패턴을 친수화함으로써 표면에 부착된 지문 등의 오염을 물걸레질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광학 소자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9 및 10을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표면에 부착된 지문 등의 오염을 물걸레질에 의해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요철 패턴을 형성 후, 추가로 표면을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SiO2 등을 증착시키는 등의 표면 처리가 필요하여 성막 공정이 길고 비용이 높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게다가 무기 입자가 최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상태에서 표면을 닦을 때, 미끄러지기 어렵고, 닦아낸 후에는 친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친수계 수지를 포함한 미세한 요철 패턴만으로는 친수성이 불충분하여 오염을 물걸레질에 의해 제거하는 높은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또한 상기 제안되어 있는 방담 기술에서는 최표면에 친수성 수지, 친수성 금속이 존재하기 때문에 최표면의 표면 에너지가 높아, 당해 표면을 마른 상태에서 거즈 등에 의해 닦아낼 때 미끄러지지 않아 닦아내기 어렵다는 문제와, 닦아냈을 때 친수성이 저하되어 방담성, 방오성의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김서림,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특정한 음이온성 친수기가 막 내부로부터 막 표면으로 경사져(편석되어), 표면 부근에 음이온성 친수기가 고농도로 존재하는 단층막을 앞서 제안하였다(특허문헌 3). 그러나, 본 단층막에서는 반사 방지 효과를 얻는 것은 어렵고, 또한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표면 부근에 친수기가 고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 에너지가 높고, 미끄럼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980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2973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7/0640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173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059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872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25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69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8229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2/1339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17278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2/014829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3/1873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70456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7392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9664호
도아 고세이 연구 연보, TREND 1999년 2월호, 39 내지 44페이지 고분자, 44(5), 307페이지 미래 재료, 2(1), 36 내지 41페이지 Bernhard, C. G., Endeavour, 26, 79(1967) P. B. CLAPHAM, M. C. HUTLEY, Nature, 244, 281-282(1973)
본 발명은 방담성, 방오성이 우수하고, 또한 방담 내구성, 방오 내구성, 미끄럼성도 우수하며, 반사 방지 기능을 갖거나 또는,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친수성의 단층막, 및 당해 단층막을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를 진행한 결과, 특정한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및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 또는 에폭시기 및 알콕시실릴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와 특정한 친수기를 갖는 공중합체 및 그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의 표면에 특정한 간격으로 요철 구조가 형성된, 친수기의 농도가 특정한 관계에 있는 단층막이, 종래의 친수성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단층막보다도 미끄럼성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한 김서림,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반사 방지 단층막 등의 광학 기능성 단층막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의 단층막은,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는 단층막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 내지 800㎚의 범위이고,
당해 단층막이,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I), 및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II)(단,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음)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A)의 가교 수지, 또는 에폭시기 및 알콕시실릴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와 음이온성 친수기인 술폰산기를 갖는 공중합체 및 그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층막의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1)과 당해 단층막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1)의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1/Da1)이 1.1 이상이다.
상기 단층막은, 상기 화합물 (I), 상기 화합물 (II), 및 용해 파라미터 σ가 9.1(cal/㎤)1/2 이상인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A)로부터 잔존 용제의 양을 10% 이하로 한 후에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은,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는 단층막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 내지 800㎚의 범위이고,
당해 단층막이,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I')(단 친수기가 수산기를 갖는 기인 경우에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는 하나임),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II)(단,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음), 및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또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적어도 갖는 친수부와 유기 잔기로 이루어지는 소수부를 갖는 계면 활성제 (III)(단,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 않음)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B)의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층막의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2)와 당해 단층막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2)의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2/Da2)가 1.1 이상이다.
상기 단층막은, 중합성 조성물 (B)를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층막의 미경화의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 이루어지는 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부여할 때에는, 당해 막의 표면이 상기 화합물 (I') 또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친수기 하나 이상과,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기 하나 이상을 갖는 화합물 (IV)에 의해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다른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n, (상기 단층막 내의) 그 Pn의 평균값을 Pave라 하고,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점의 높이를 h=0이라 하고, 상기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의 높이를 h=Hn, 그 Hn의 평균값을 Have라 했을 때, Have/Pave가 0.1 내지 5.0의 범위인 단층막 (1)은,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뿔체 형상인 단층막 (2)는,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가장 높은 정점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모든 볼록부의 정점은 h=H의 높이의 xy 평면과 거의 1점에서 접하고, 모든 오목부의 바닥점은 h=0의 높이의 xy 평면과 거의 1점에서 접하는 단층막 (3)은,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의 상기 볼록부는 계단상의 측면을 갖는 단층막 (4)는,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 (1)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다른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n, (상기 단층막 내의) 그 Pn의 평균값을 Pave라 하고,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으로부터 거리 Pave의 범위 내에, 3개 내지 6개의 범위의 오목부의 바닥점이 있는 단층막 (5)는,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가장 높은 정점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높이가 0을 초과하고 H 미만인 범위의 임의의 높이의 xy 평면에 있어서, 볼록부의 단면이 원 형상인 단층막 (6)은,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요철 구조의 주기가 200㎚ 이하이고, 볼록부의 주기에 차지하는 비율이 0.25 이상 0.76 이하이고,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H가 0.05 내지 0.5㎛인 단층막 (7)은,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을,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 (A)로부터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도막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공정,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 요철 구조를 도막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
요철 구조가 형성된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 및
경화하여 얻어진 막으로부터 성형형을 이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 (B)로부터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 요철 구조를 도막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
요철 구조가 형성된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 및
경화하여 얻어진 막으로부터 성형형을 이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층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화합물 (I') 또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친수기 하나 이상과,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기 하나 이상을 갖는 화합물 (IV)가,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표면에 도포된 성형형에 의해, 요철 구조를 도막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층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재 위에 단층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상기 단층막은 당해 단층막과 기재로 형성되는 적층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층막, 전형적으로는 단층막 (1) 내지 (6)은 반사 방지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층막, 전형적으로는 단층막 (7)은 그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금속층을 적층함으로써 편광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층막은 당해 단층막을 구비하는 투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해 투명 재료는,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층막은, 당해 단층막을 구비하는 광학 물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철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방담성, 방오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 및 방담성, 방오성이 우수한 와이어 그리드 구조를 갖는 단층막이 간편하게 얻어진다. 또한, 얻어지는 단층막은, 종래의 친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과 비교해도, 방담 내구성, 방오 내구성, 미끄럼성도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 음이온 농도의 경사도 (Sa/Da)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 조제 방법을 도시하는 약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단층막의 표면을 바로 위에서 본 사진(좌측) 및 경사 30도의 상태에서 본 사진(우측)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단층막의 단면을 경사 방향에서 본 사진(좌측) 및 바로 옆에서 본 사진(우측)이다.
도 4는 실시예 14에서 얻어진 단층막의 표면을 바로 위에서 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 기능성 단층막이란, 광학 기능(예를 들어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단층막, 또한 그 막에 수식(예를 들어 금속층의 적층)함으로써 광학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단층막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광학 기능성 막이란 광학 기능을 갖는 막, 또한 그 막에 수식(예를 들어 금속층의 적층)함으로써 광학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 단층막은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 내지 800㎚의 범위이고,
당해 단층막은, 후술하는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중합성 조성물 (B)를 경화하여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층막의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와 단층막 막 두께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의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Da)가 1.1 이상인 것에 특징이 있다.
이 특징을 가짐으로써, 표면이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고친수성의 수지여도, 표면이 평면인 수지와 비교하여 표면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로 인해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수지여도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층막은, 그의 표면에 화합물 (I) 또는 (I')에서 유래되는 친수기가 고농도로 존재하고, 막의 심부는 화합물 (II)에서 유래되는 가교 구조가 고농도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단층막 전체의 경도를, 종래의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재료보다도 단단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친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조성이 균일한 막 표면에, 미세한 요철 패턴을 형성한 막보다도 높은 미끄럼성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또한, 종래의 표면이 고친수성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평활한 단층막은, 그 표면 전체가 접촉될 수 있어, 물체와의 마찰이나 접촉에 의해 최표면의 친수기가 결락되어 친수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지만,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갖는 고친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막은, 표면의 오목부 부분이, 물체와 접촉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친수기가 결락되는 일이 거의 없어 고친수성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최표면 농도란, 단층막의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이라 하고, 상기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의 높이를 h=Hn이라 했을 때, 그 높이 Hn에 있어서의 친수기 농도를 의미한다.
상기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와 심부 농도 (Da)는, 소정의 단층막 샘플을 비스듬히 절단하고, 단층막의 외기에 접하고 있었던 표면과, 단층막의 막 두께 1/2 지점에 있어서의, 음이온성 친수기(예를 들어,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등), 양이온성 친수기(예를 들어, 4급 암모늄기 등), 및 수산기를 갖는 기의 농도를, 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TOF-SIMS)를 사용하여 프래그먼트 이온 강도로서 각각 측정하고, 그 값(상대 강도)으로부터 구한다.
최표면 농도 (Sa)와, 단층막 막 두께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의 농도비, Sa/Da가 1.1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은, 단층막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농도가,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 1/2의 깊이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농도보다도 높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또한, 이하, 상기 Sa/Da를 친수기의 경사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즉, 상기 친수기는, 기재 측의 막심부로부터 표면까지 분포를 하고 있지만, 특히 단층막이 외기와 접하는 최표면에 많이 분포하도록 농도 차(경사도(친수기 농도비) (Sa/Da))를 갖고 있다. 이러한 친수기의 분포에 의해, 본 발명의 단층막에는 높은 표면 친수성에 기초하는 성능(예를 들어, 방담성, 방오성, 셀프 클리닝성, 대전 방지성, 먼지 부착 방지성 등)이 부여된다. 상기 친수기의 경사도 (Sa/Da)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단층막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의 형상으로서는, 삼각 기둥 형상, 사각 기둥 형상 등의 다각 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타원형 기둥 형상 등의 기둥 형상, 원뿔 형상, 사각뿔 형상 등의 다각뿔 형상 등의 뿔체 형상, 원뿔대 형상, 사각뿔대 형상 등의 다각뿔대 형상 등의 뿔대 형상, 반구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층막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의 가장 높은 부분이 평면(예를 들어, 사각 기둥 형상 또는 사각뿔대 형상인 경우의 직사각형 평면, 원뿔대 형상인 경우의 원 평면)인 경우에는, 그 평면 부분의 무게 중심을 정점으로 한다.
상기 단층막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철 구조를 그의 표면에 갖고, 예를 들어 요철의 주기가 가시광의 파장(대략 380㎚ 내지 780㎚ 정도) 이하로 제어된 미세한 요철 패턴이 형성되면, 단층막에 반사 방지 기능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단층막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철 구조를 그의 표면에 갖고, 예를 들어 요철의 주기가 대략 200㎚ 이하로 제어된 미세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고, 당해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금속층을 적층함으로써, 단층막에 편광 기능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단층막은 상기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며 또한 친수기의 경사도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또한 방담 내구성, 방오 내구성, 미끄럼성도 우수한 단층막이 된다.
상기 단층막의 표면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는 1㎚ 내지 800㎚의 범위이지만, 단층막의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의 범위이다. 또한, 단층막을,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단층막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의 범위이다.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다른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n, (상기 막 내의) 그 Pn의 평균값을 Pave라 하고,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점의 높이를 h=0이라 하고, 상기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의 높이를 h=Hn, 그 Hn의 평균값을 Have라 했을 때,
Have/Pave(이하, 애스펙트비라고도 함)가 0.1 내지 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스펙트비가 너무 낮으면, 반사 특성 및 투과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애스펙트비가 너무 높으면, 요철 구조를 후술하는 성형형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에, 성형형의 박리 특성이 저하되어, 단층막의 표면에 형성된 원하는 요철 구조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층막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는 통상 뿔체 형상을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뿔 형상이다.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층막의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가장 높은 정점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모든 볼록부의 정점은 h=H의 높이의 xy 평면과 거의 1점에서 접하고, 모든 오목부의 바닥점은 h=0의 높이의 xy 평면과 거의 1점에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는, h'=H/2의 xy면에 대하여 상기 볼록부와 거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요철 구조의 상기 볼록부는 계단상의 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요철 구조의 상기 오목부의 최심부는 실질적으로 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다른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n, (상기 단층막 내의) 그 Pn의 평균값을 Pave라 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제1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제2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라 하고, 제1 볼록부의 정점으로부터 거리 Pave의 범위 내에, 3개 내지 6개의 범위의 오목부의 바닥점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의 형상으로서는, 사각 기둥 형상 또는 사각뿔대 형상 등 정상부가 직사각형의 평면에 포함되어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요철 구조의 주기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막으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H가 0.05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친수성의 단층막은, 친수성이 높은 편이 바람직하고, 수접촉각은 통상 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수접촉각이 상기 수치 이하인 단층막은, 친수성이 높고, 물에 친화되기(젖기) 쉬워 친수성 재료로서 우수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방담성, 방오성, 셀프 클리닝성, 대전 방지성, 먼지 부착 방지성이 필요한 용도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수접촉각이 상기 수치 이하인 단층막은, 막 표면에 물방울이 퍼져서 수막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방담 효과가 우수하고, 오염이 붙었을 경우에도 물이 오염과 코팅면의 사이에 들어가서 오염을 뜨게 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방오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친수성의 단층막은, 물이 퍼짐으로써 증발 면적이 확대되고, 증발 속도가 향상되어 건조가 빨라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은 친수성기를 고농도로 표면에 편석(집중화)시키고 있으므로, 편석시키지 않은 종래의 친수성 피막에 비하여 대전 방지성이 우수하다.
상기 수접촉각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친수성 단층막은, 방담성, 방오성, 속건성, 대전 방지성이 우수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접촉각은 통상 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은, 친수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미경화의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 이루어지는 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부여할 때에는, 당해 막의 표면이 친수성과 중합성 조성물에 대한 반응성을 겸비하는 후술하는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V)에 의해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경화란, 그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 포함되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거의 완전히 반응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당해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반응률이, 바람직하게는 60mo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ol% 이하인 상태이다. 이러한 처리의 구체적 방법은, 후술하는 단층막의 제조 방법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합성 조성물]
본 발명의 상기 단층막은, 중합성 조성물, 예를 들어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중합성 조성물 (B)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층막을 제작함으로써, 방담성, 방오성이 우수하고, 반사 방지 기능, 편광 기능 등의 광학 기능을 갖거나, 또는 가질 수 있고, 종래의 친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기능, 편광 기능 등의 광학 기능을 갖거나, 또는 가질 수 있는 단층막과 비교해도 방담 내구성, 방오 내구성, 미끄럼성도 우수한 단층막이 얻어진다.
중합성 조성물 (A)는,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I), 및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II)(단,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합성 조성물 (B)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I')(단 친수기가 수산기를 갖는 기인 경우에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는 하나임),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II)(단,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음), 및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또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적어도 갖는 친수부와 유기 잔기로 이루어지는 소수부를 갖는 계면 활성제 (III)(단,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 않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 (A)에 포함되는 화합물 (I)은,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친수기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포함되는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물에 친수성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친수기로서는, 예를 들어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O-황산기(-O-SO3-) 및 N-황산기(-NH-SO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음이온성 친수기 중에서도,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및 인산기가 바람직하고, 표면의 친수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술폰산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친수기는 염의 형태가 되어 상기 화합물 (I)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술폰산기는 하기 식 (α), 카르복실기는 하기 식 (β), 인산기는 하기 식 (γ1) 또는 (γ2)의 형태로 화합물 (I)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SO3Z (α) -COOZ (β) -OP=O(OZ)2 (γ1) (-O)2P=O(OZ)1 (γ2)
상기 식 (α) 내지 (γ2) 중,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및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1가 양이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암모늄 이온이란, 암모니아, 1급 아민, 2급 아민 또는 3급 아민에 수소 이온이 결합하여 생긴 양이온이다. 상기 암모늄 이온으로서는, 친수성의 관점에서는, 암모니아 및 탄소수가 적은 아민에 수소 이온이 결합한 양이온이 바람직하고, 암모니아에 수소 이온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암모늄 이온, 메틸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Z 중에서도 알칼리 금속 이온이 바람직하고,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루비듐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친수기로서는, 예를 들어 4급 암모늄기, 베타인기 및 아민옥시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양이온성 친수기 중에서도 4급 암모늄기 및 베타인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I)이 갖는 친수기로서는, 음이온성 친수기가 바람직하다.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로서는, 그 관능기가 라디칼 중합 또는 이온 중합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아크릴로일티오기, 메타크릴로일티오기, 아크릴아미드기, 메타크릴아미드기, 알릴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말레일기(-CO-CH=CH-CO-), 이타코닐기 및 스티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아크릴로일과 메타크릴로일을 총칭해서 (메트)아크릴로일, 아크릴로일옥시와 메타크릴로일옥시를 총칭해서 (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크릴로일티오와 메타크릴로일티오를 총칭해서 (메트)아크릴로일티오,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아미드를 총칭해서 (메트)아크릴아미드라 칭하기도 한다.
상기 화합물 (I)로서는, 하기 일반식 (10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00) 중, A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1 내지 5개 갖는 탄소수 2 내지 10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CD는, 하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기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고, n은 CD에 결합하는 A의 수이며, 1 또는 2를 나타내고, n0은 A에 결합하는 CD의 수이며,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CD가 되는, 음이온성 친수기를 포함하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01) 내지 (107)로 표시되는 친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 (101)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 (102)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 (103)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 (104)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암모늄 이온, 및 아민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 (105) 중,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n50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상기 식 (106)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상기 식 (107)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상기 CD가 되는, 양이온성 친수기를 포함하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08)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친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9
상기 식 (108) 중,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상기 식 (109) 중,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상기 식 (110) 중, R6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1은 식 (100)의 A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상기 식 (100) 중의 A로서는, 하기 일반식 (111) 내지 (121)로 표시되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1개 또는 2개 갖는 탄소수 2 내지 100의 유기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2
상기 식 (111)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상기 식 (112)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 및 m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상기 식 (113)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2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0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상기 식 (114)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상기 식 (115)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 m2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0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상기 식 (116)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상기 식 (117)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9
상기 식 (118)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 및 r0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수산기, 히드록시메틸, 또는 히드록시에틸을 나타내고, m0은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상기 식 (119)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상기 식 (120)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상기 식 (121)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101) 내지 (110)으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 (I)이 되는 음이온성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Ia) 내지 (Il)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23
상기 식 (Ia)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술폰산, 1-(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술폰산 나트륨, 1-(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술폰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술폰산, 2-(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술폰산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리튬,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루비듐,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칼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리튬,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루비듐,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술폰산 칼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리튬,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루비듐,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술폰산 칼슘,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리튬,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나트륨,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칼륨,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루비듐,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암모늄,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마그네슘,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술폰산 칼슘,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나트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칼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루비듐,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암모늄,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마그네슘,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술폰산 칼슘,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나트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칼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루비듐,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암모늄,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마그네슘,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술폰산 칼슘,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리튬,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나트륨,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칼륨,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루비듐,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암모늄,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마그네슘,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술폰산 칼슘,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나트륨,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칼륨,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루비듐,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암모늄,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마그네슘,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술폰산 칼슘,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나트륨,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칼륨,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나트륨,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칼륨,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루비듐,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암모늄,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티오메틸술폰산 칼슘,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루비듐,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티오에틸술폰산 칼슘,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칼륨,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루비듐,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티오프로필술폰산 칼슘,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나트륨,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칼륨,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루비듐,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암모늄,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아미드메틸술폰산 칼슘,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루비듐,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칼슘,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루비듐,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아미드-N-메틸-에틸술폰산 칼슘,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칼륨,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루비듐,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칼슘,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루비듐,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1-술폰산 칼슘,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나트륨((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칼륨((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칼륨), ((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루비듐((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루비듐),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암모늄((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마그네슘((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칼슘((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4
상기 식 (Ib)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 및 r0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벤질기, 수산기, 히드록시메틸, 또는 히드록시에틸을 나타내고, m0은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n1은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b)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10-술포데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아세트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10-술포데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피온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10-술포데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부티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10-술포데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발레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10-술포데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로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 술포메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에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2-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4-술포부틸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6-술포헥실에스테르칼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10-술포데실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리튬,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륨,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2,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카프릴산-3-술포프로필에스테르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5
상기 식 (Ic)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c)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 비닐술폰산 리튬, 비닐술폰산 나트륨, 비닐술폰산 칼륨, 비닐술폰산 루비듐, 비닐술폰산 암모늄, 비닐술폰산 마그네슘, 비닐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술폰산, 이소프로페닐술폰산 리튬, 이소프로페닐술폰산 나트륨, 이소프로페닐술폰산 칼륨, 이소프로페닐술폰산 루비듐, 이소프로페닐술폰산 암모늄, 이소프로페닐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술폰산 칼슘, 알릴술폰산, 알릴술폰산 리튬, 알릴술폰산 나트륨, 알릴술폰산 칼륨, 알릴술폰산 루비듐, 알릴술폰산 암모늄, 알릴술폰산 마그네슘, 알릴술폰산 칼슘, 메탈릴술폰산, 메탈릴술폰산 리튬, 메탈릴술폰산 나트륨, 메탈릴술폰산 칼륨, 메탈릴술폰산 루비듐, 메탈릴술폰산 암모늄, 메탈릴술폰산 마그네슘, 메탈릴술폰산 칼슘, 5,6-헥세닐-1-술폰산, 5,6-헥세닐-1-술폰산 리튬, 5,6-헥세닐-1-술폰산 나트륨, 5,6-헥세닐-1-술폰산 칼륨, 5,6-헥세닐-1-술폰산 루비듐, 5,6-헥세닐-1-술폰산 암모늄, 5,6-헥세닐-1-술폰산 마그네슘, 5,6-헥세닐-1-술폰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6
상기 식 (Id)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 m2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0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d)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리튬, 스티렌술폰산 나트륨, 스티렌술폰산 칼륨, 스티렌술폰산 루비듐, 스티렌술폰산 암모늄, 스티렌술폰산 마그네슘, 스티렌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리튬,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나트륨,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칼륨,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루비듐,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암모늄,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벤젠술폰산 칼슘, 알릴벤젠술폰산, 알릴벤젠술폰산 리튬, 알릴벤젠술폰산 나트륨, 알릴벤젠술폰산 칼륨, 알릴벤젠술폰산 루비듐, 알릴벤젠술폰산 암모늄, 알릴벤젠술폰산 마그네슘, 알릴벤젠술폰산 칼슘, 메탈릴벤젠술폰산, 메탈릴벤젠술폰산 리튬, 메탈릴벤젠술폰산 나트륨, 메탈릴벤젠술폰산 칼륨, 메탈릴벤젠술폰산 루비듐, 메탈릴벤젠술폰산 암모늄, 메탈릴벤젠술폰산 마그네슘, 메탈릴벤젠술폰산 칼슘, 비닐나프탈렌술폰산, 비닐나프탈렌술폰산 리튬, 비닐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 비닐나프탈렌술폰산 칼륨, 비닐나프탈렌술폰산 루비듐, 비닐나프탈렌술폰산 암모늄, 비닐나프탈렌술폰산 마그네슘, 비닐나프탈렌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리튬,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칼륨,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루비듐,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암모늄,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술폰산 칼슘, 알릴나프탈렌술폰산, 알릴나프탈렌술폰산 리튬, 알릴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 알릴나프탈렌술폰산 칼륨, 알릴나프탈렌술폰산 루비듐, 알릴나프탈렌술폰산 암모늄, 알릴나프탈렌술폰산 마그네슘, 알릴나프탈렌술폰산 칼슘,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리튬,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칼륨,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루비듐,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암모늄,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마그네슘, 메탈릴나프탈렌술폰산 칼슘, 비닐안트라센술폰산, 비닐안트라센술폰산 리튬, 비닐안트라센술폰산 나트륨, 비닐안트라센술폰산 칼륨, 비닐안트라센술폰산 루비듐, 비닐안트라센술폰산 암모늄, 비닐안트라센술폰산 마그네슘, 비닐안트라센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리튬,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나트륨,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칼륨,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루비듐,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암모늄,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안트라센술폰산 칼슘, 알릴안트라센술폰산, 알릴안트라센술폰산 리튬, 알릴안트라센술폰산 나트륨, 알릴안트라센술폰산 칼륨, 알릴안트라센술폰산 루비듐, 알릴안트라센술폰산 암모늄, 알릴안트라센술폰산 마그네슘, 알릴안트라센술폰산 칼슘,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리튬,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나트륨,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칼륨,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루비듐,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암모늄,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마그네슘, 메탈릴안트라센술폰산 칼슘, 비닐페난트렌술폰산, 비닐페난트렌술폰산 리튬, 비닐페난트렌술폰산 나트륨, 비닐페난트렌술폰산 칼륨, 비닐페난트렌술폰산 루비듐, 비닐페난트렌술폰산 암모늄, 비닐페난트렌술폰산 마그네슘, 비닐페난트렌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리튬,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나트륨,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칼륨,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루비듐,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암모늄,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페난트렌술폰산 칼슘, 알릴페난트렌술폰산, 알릴페난트렌술폰산 리튬, 알릴페난트렌술폰산 나트륨, 알릴페난트렌술폰산 칼륨, 알릴페난트렌술폰산 루비듐, 알릴페난트렌술폰산 암모늄, 알릴페난트렌술폰산 마그네슘, 알릴페난트렌술폰산 칼슘,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리튬,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나트륨,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칼륨,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루비듐,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암모늄,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마그네슘, 메탈릴페난트렌술폰산 칼슘, 스티렌디술폰산, 스티렌디술폰산 디리튬, 스티렌디술폰산 디나트륨, 스티렌디술폰산 디칼륨, 스티렌디술폰산 디루비듐, 스티렌디술폰산 디암모늄, 스티렌디술폰산 마그네슘, 스티렌디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리튬,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나트륨,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칼륨,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루비듐,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암모늄,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벤젠디술폰산 칼슘,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리튬,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나트륨,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칼륨,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루비듐,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암모늄,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마그네슘, 비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칼슘,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디리튬,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디나트륨,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디칼륨,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디루비듐,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디암모늄,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마그네슘, 이소프로페닐나프탈렌트리술폰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7
상기 식 (If)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f)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리튬, (메트)아크릴산 나트륨, (메트)아크릴산 칼륨, (메트)아크릴산 암모늄, (메트)아크릴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산 칼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리튬,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칼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리콜산 칼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리튬,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칼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리튬,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피온산 칼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리튬,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칼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글루콘산 칼슘,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리튬,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칼륨,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글리콜산 칼슘,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리튬,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칼슘,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리튬,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로일티오-프로피온산 칼슘,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리튬,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나트륨,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칼륨,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암모늄,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마그네슘, N-(메트)아크릴로일-글리신칼슘,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 리튬,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나트륨,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칼륨,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암모늄,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마그네슘, N-(메트)아크릴로일-알라닌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8
상기 식 (Ig)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 및 m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g)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말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말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말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말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숙신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숙신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숙신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글루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글루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글루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글루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아디프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아디프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아디프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아디프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피멜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피멜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피멜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피멜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수베르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수베르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수베르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수베르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세바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세바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세바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세바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칸디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칸디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칸디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칸디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말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말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말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말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이타콘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이타콘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이타콘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이타콘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9
상기 식 (Ih)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 m2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0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h)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이소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이소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이소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이소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테레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테레프탈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테레프탈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테레프탈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리튬,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나트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암모늄,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마그네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칼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리튬,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나트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암모늄,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마그네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스테르·칼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리튬,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나트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암모늄,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마그네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에스테르·칼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리튬,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나트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륨,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암모늄,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마그네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모노{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에스테르·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0
상기 식 (Ii)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n50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또한, n1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끼리 내지 r4끼리, 및 X1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리튬,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디리튬,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디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칼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디칼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디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말론산 칼슘,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리튬,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디리튬,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나트륨,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디나트륨,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칼륨,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디칼륨,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암모늄,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디암모늄,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아미드말론산 칼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리튬,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디리튬,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디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칼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디칼륨,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디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신산 칼슘,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리튬,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디리튬,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디나트륨,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칼륨,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디칼륨,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디암모늄,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마그네슘, (메트)아크릴로일티오-숙신산 칼슘,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리튬,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리튬,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나트륨,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칼륨,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칼륨,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암모늄,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암모늄,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마그네슘, 말산(메트)아크릴레이트·칼슘,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리튬,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리튬,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나트륨,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칼륨,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칼륨,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암모늄,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디암모늄,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마그네슘, 타르타르산(메트)아크릴레이트·칼슘,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리튬,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디리튬,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나트륨,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디나트륨,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칼륨,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디칼륨,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암모늄,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디암모늄,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마그네슘, N-(메트)아크릴로일-아스파라긴산 칼슘,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리튬,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디리튬,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나트륨,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디나트륨,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칼륨,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디칼륨,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암모늄,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디암모늄,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마그네슘, N-(메트)아크릴로일-글루탐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1
상기 식 (Ij) 중, M1 및 M2는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j)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말레산, 말레산 리튬, 말레산 디리튬, 말레산 나트륨, 말레산 디나트륨, 말레산 칼륨, 말레산 디칼륨, 말레산 암모늄, 말레산 디암모늄, 말레산 마그네슘, 말레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2
상기 식 (Ik) 중, M1 및 M2는 독립적으로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k)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이타콘산, 이타콘산 리튬, 이타콘산 디리튬, 이타콘산 나트륨, 이타콘산 디나트륨, 이타콘산 칼륨, 이타콘산 디칼륨, 이타콘산 암모늄, 이타콘산 디암모늄, 이타콘산 마그네슘, 이타콘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3
상기 식 (Il)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a 및 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a+b=3을 충족하지만, a가 2인 경우, X 및 r끼리, r1 내지 r4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b가 2인 경우, M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l)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 인산,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 인산 디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리튬,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디리튬,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디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디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디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칼슘,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리튬,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나트륨,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칼륨,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암모늄,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마그네슘,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 칼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리튬,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리튬,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나트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칼륨,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암모늄,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마그네슘,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슘,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리튬,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나트륨,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륨,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암모늄,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마그네슘,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리튬,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리튬,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나트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나트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칼륨,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암모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디암모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마그네슘,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슘,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리튬,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나트륨,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륨,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암모늄,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마그네슘,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인산 칼슘,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리튬,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디리튬,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나트륨,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디나트륨,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칼륨,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디칼륨,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암모늄,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디암모늄,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마그네슘,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칼슘,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리튬,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나트륨,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칼륨,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암모늄,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마그네슘, 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인산 칼슘,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리튬,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디리튬,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나트륨,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디나트륨,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칼륨,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디칼륨,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암모늄,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디암모늄,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마그네슘,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칼슘,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리튬,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나트륨,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칼륨,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암모늄,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마그네슘, 비스{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인산 칼슘,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리튬,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리튬,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나트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나트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칼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칼륨,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암모늄,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암모늄,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마그네슘,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칼슘,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리튬,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나트륨,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칼륨,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암모늄,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마그네슘, 비스{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인산 칼슘,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리튬,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리튬,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나트륨,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나트륨,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칼륨,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칼륨,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암모늄,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암모늄,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마그네슘,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칼슘,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리튬,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나트륨,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칼륨,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암모늄,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마그네슘, 비스{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I)이 되는 음이온성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Iu) 내지 (Iw)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4
상기 식 (Iu) 중,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u)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론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론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론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론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론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글루탐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글루탐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글루탐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글루탐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글루탐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글루탐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아디프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아디프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아디프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아디프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아디프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아디프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피멜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피멜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피멜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피멜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피멜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피멜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수베르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수베르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수베르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수베르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수베르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수베르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세바스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세바스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세바스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세바스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세바스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세바스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레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레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레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레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레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말레산 에스테르·칼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이타콘산 에스테르,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이타콘산 에스테르·나트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이타콘산 에스테르·칼륨,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이타콘산 에스테르·암모늄,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이타콘산 에스테르·마그네슘, 1,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이타콘산 에스테르·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5
상기 식 (Iv) 중,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칼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칼륨,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암모늄,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칼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6
상기 식 (Iw) 중,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w)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론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글루탐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아디프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피멜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수베르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세바스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도데칸디오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칼륨,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에스테르·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I)이 되는 양이온성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Ir) 내지 (It)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37
상기 식 (Ir)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끼리 내지 r4끼리, 및 X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r)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포름산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헥실-6-(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헥실-6-(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헥실-6-(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헥실-6-(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헥실-6-(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옥틸-8-(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옥틸-8-(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옥틸-8-(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옥틸-8-(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옥틸-8-(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3-옥사펜틸-5-(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3-옥사펜틸-5-(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3-옥사펜틸-5-(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3-옥사펜틸-5-(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3-옥사펜틸-5-(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포름산염,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염산염,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브롬화수소염,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황산염,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포름산염,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염, 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산염,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에틸암모늄브로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에틸암모늄술포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에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포름산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아세트산염,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아미드·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아미드·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아미드·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아미드·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2-(메트)아크릴아미드·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아미드·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아미드·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아미드·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아미드·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트)아크릴아미드·인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아미드·염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아미드·브롬화수소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아미드·황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아미드·아세트산염, N,N-디메틸아미노-부틸-4-(메트)아크릴아미드·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8
상기 식 (Is)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끼리 내지 r4끼리, 및 X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s)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4-(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부틸-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4-(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부틸-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4-(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부틸-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4-(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부틸-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5-(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펜틸-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펜틸-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5-(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펜틸-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5-(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펜틸-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6-(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헥실-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6-(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헥실-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6-(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헥실-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6-(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헥실-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8-(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옥틸-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8-(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옥틸-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8-(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옥틸-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8-(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옥틸-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데실-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데실-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데실-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데실-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티오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메트)아크릴로일티오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티오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3-(메트)아크릴로일티오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3-(메트)아크릴아미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메트)아크릴아미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3-(메트)아크릴아미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술포마이드, 3-(메트)아크릴아미드2-히드록시프로필-1-트리메틸암모늄포스포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9
상기 식 (It)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끼리 내지 r4끼리, 및 X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R6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t)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베타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베타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베타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베타인,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베타인, 5-(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베타인,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베타인, 7-(메트)아크릴로일옥시-헵틸베타인, 8-(메트)아크릴로일옥시-옥틸베타인,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베타인, 11-(메트)아크릴로일옥시-운데실베타인,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베타인, 5-(메트)아크릴로일옥시-2,5-디메틸-3-옥사펜틸베타인, 8-(메트)아크릴로일옥시-2,5,8-트리메틸-3,6-디옥사옥틸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도, 일반식 (Ir) 내지 (Is)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일반식 (Is)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I)의 분자량은, 통상 72 내지 18,000,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1000이다.
상기 화합물 (I)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A)에는 상기 화합물 (I)이 포함되지만, 상기 화합물 (I)의 적어도 일부가 반응하여 올리고머의 형태가 되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올리고머란 상기 화합물 (I)로부터 형성되는 반복 단위를 통상 2 내지 20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 (I)은 공지된 방법 또는 공지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I)은 시판품으로서도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B)에 포함되는 화합물 (I')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단, 친수기가 수산기를 갖는 기인 경우에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는 하나임). 이러한 친수기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포함되는 조성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물에 친수성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I')로서는, 조성물 (A)에 포함되는 화합물 (1)에 더하여, 친수기인 수산기를 하나 이상과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 하나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한 알코올성 수산기, 페놀성 수산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알코올성 수산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I')가 갖는 친수기로서는, 음이온성 친수기가 바람직하다.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로서는, 그 관능기가 라디칼 중합 또는 이온 중합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아크릴로일티오기, 메타크릴로일티오기, 아크릴아미드기, 메타크릴아미드기, 알릴기, 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말레일기(-CO-CH=CH-CO-), 이타코닐기 및 스티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I')가 되는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 및 적합예는, 중합성 조성물 (A)에 포함되는 화합물 (I)과 마찬가지이다.
친수기인 수산기를 하나 이상과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 하나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20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40
상기 식 (200) 중, B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1개 갖는 탄소수 2 내지 10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EF는, 하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내고, n은 EF에 결합하는 B의 수로 1이며, n0은 B에 결합하는 EF의 수이다.
상기 EF가 되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친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41
상기 식 (201) 중,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n1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끼리 및 r2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1은 식 (200)의 B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2
상기 식 (202)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X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20은 2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끼리, r1끼리, r2끼리, r3끼리 및 r4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1은 식 (200)의 B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3
상기 식 (203) 중, #1은 식 (200)의 B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4
상기 식 (204) 중, X3 및 X4는 독립적으로 -CH2-, -CH(OH)- 또는 -CO-를 나타내고, n30은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50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30이 2 이상인 경우, X3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n50이 2 이상인 경우, X4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1은 식 (200)의 B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상기 식 (200) 중의 B로서는, 하기 일반식 (210) 내지 (216)으로부터 선택되는 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45
상기 식 (210)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6
상기 식 (211)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리덴기,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r7 및 r8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의 결합은, 단결합이어도 이중 결합이어도 되고, m1 및 m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7
상기 식 (212)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2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0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8
상기 식 (213)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9
상기 식 (214)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 m2는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0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50
상기 식 (215)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51
상기 식 (216) 중,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일반식 (201) 내지 (204)로 표시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에 포함되는 #1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 (I')가 되는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Im) 내지 (Iq)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52
상기 식 (Im)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이 2 이상인 경우, r1끼리 및 r2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m)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2-(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틸-4-히드록시펜틸-2-(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7-히드록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18-히드록시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티오-메탄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2-에탄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판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판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탄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3-부탄올, 2-(메트)아크릴로일티오-3-부탄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2-부탄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6-헥산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8-옥탄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12-라우릴알코올, (메트)아크릴로일티오-18-스테아릴알코올, 히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부틸-2-(메트)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5-히드록시펜틸(메트)아크릴아미드, 4-메틸-4-히드록시펜틸-2-(메트)아크릴아미드,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7-히드록시헵틸(메트)아크릴아미드,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아미드, 18-히드록시스테아릴(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m)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는, 하기 일반식 (Im-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53
상기 식 (Im-2)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1이 2 이상인 경우, r1끼리 및 r2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m-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메트)아크릴로일옥시-2,3-디히드록시프로판, 1-(메트)아크릴로일티오-2,3-디히드록시프로판, 1-(메트)아크릴아미드-2,3-디히드록시프로판, 1-(메트)아크릴아미드-3,4-디히드록시부탄, N-(메트)아크릴로일-글루카민, 1-(메트)아크릴로일옥시-3,4-디히드록시부탄, 1-(메트)아크릴로일옥시-4,5-디히드록시헵탄, 1-(메트)아크릴로일옥시-5,6-디히드록시헥산, 1-(메트)아크릴로일옥시-6,7-디히드록시헵탄, 1-(메트)아크릴로일옥시-7,8-디히드록시옥탄, 1-(메트)아크릴로일옥시-8,9-디히드록시노난, 1-(메트)아크릴로일옥시-9,10-디히드록시데칸, L-트레이톨(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1-(메트)아크릴로일옥시-2,3,4-트리히드록시부탄 기타}, 크실리톨(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1-(메트)아크릴로일옥시-2,3,4,5-테트라히드록시펜탄 기타}, 소르비톨(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1-(메트)아크릴로일옥시-2,3,4,5,6-펜타히드록시헥산 기타}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54
상기 식 (In) 중,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20은 2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X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끼리, r1끼리, r2끼리, r3끼리 및 r4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3-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2-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4-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2-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2,3-부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5-펜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카(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카(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카(1,6-헥실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2-프로필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3-프로필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로일티오-4-부틸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2-프로필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3-프로필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디(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펜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헥사(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옥타(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테트라데카(에틸렌글리콜), 모노{1-(메트)아크릴아미드4-부틸에틸}-옥타데카(에틸렌글리콜), 5-{(메트)아크릴로일옥시}-3-티아펜틸알코올, 8-{(메트)아크릴로일옥시}-3,6-디티아옥틸알코올, 5-{(메트)아크릴로일티오}-3-티아펜틸알코올, 8-{(메트)아크릴로일티오}-3,6-디티아옥틸알코올, 5-{(메트)아크릴아미드}-3-티아펜틸알코올, 8-{(메트)아크릴아미드}-3,6-디티아옥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55
상기 식 (Ip)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Ip)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N-(메트)아크릴로일-디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56
상기 식 (Iq) 중, X1은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X3 및 X4는 -CH2-, -CH(OH)- 또는 -CO-을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n30은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50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n1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1끼리 내지 r4끼리, 및 X1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n30이 2 이상인 경우, X3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n50이 2 이상인 경우, X4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Iq)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리보오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스코르브산-(메트)아크릴레이트, 크실로오스-(메트)아크릴레이트, 소르비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루코오스-(메트)아크릴레이트, 글루코노-1,5-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리보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아스코르브산-(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크실로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소르비탄-(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글루코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글루코노-1,5-락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리보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1,2-프로필, 아스코르브산-(메트)아크릴로일옥시-1,2-프로필, 크실로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1,2-프로필, 소르비탄-(메트)아크릴로일옥시-1,2-프로필, 글루코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1,2-프로필, 글루코노-1,5-락톤-(메트)아크릴로일옥시-1,2-프로필, 리보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1,3-프로필, 아스코르브산-(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1,3-프로필, 크실로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1,3-프로필, 소르비탄-(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1,3-프로필, 글루코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1,3-프로필, 글루코노-1,5-락톤-(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1,3-프로필, 리보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아스코르브산-(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크실로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소르비탄-(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글루코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글루코노-1,5-락톤-(메트)아크릴로일옥시-3-옥사펜틸, 및 그것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부티로락톤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도, 일반식 (Im) 내지 (In)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일반식 (Im)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일반식 (Im-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B)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면 활성제 (III)이 포함되기 때문에 표면에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경사지게 한 고친수성막을 형성할 수 있지만, 계면 활성제를 이용한 중합성 조성물 (B)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화합물 (I')로서는 친수기로서,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이온성 친수기를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합물 (I')의 분자량은, 통상 72 내지 18,000,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1000이다.
상기 화합물 (I')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B)에는 상기 화합물 (I')가 포함되지만, 상기 화합물 (I')의 적어도 일부가 반응하여 올리고머의 형태가 되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올리고머란 상기 화합물 (I')로부터 형성되는 반복 단위를 통상 2 내지 20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 (I')는 공지된 방법 또는 공지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I)은 시판품으로서도 입수할 수 있다.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 포함되는 화합물 (II)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화합물 (II)는,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는다. 이러한 화합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중합함으로써, 충분히 가교된 경화물이 얻어질 수 있다.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로서는, 화합물 (I)에 포함될 수 있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로서 예시된 기와 마찬가지의 기를 들 수 있다. 이들 기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기 및 (메트)아크릴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로일기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메트)아크릴로일티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II) 중에서도, 1개 이상의 수산기와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에테르 결합 및 티오에테르 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결합과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1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단, (메트)아크릴로일기와 직접 결합된 부분의 에스테르 결합을 제외함)과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지환족기 및 방향족기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기와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1개 이상의 헤테로환과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II)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2-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1,8-옥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2-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에탄, 1,2-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프로판, 1,3-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프로판, 1,4-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헵탄, 1,6-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헥산;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피발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2-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1,2-폴리프로필렌글리콜-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1,2-폴리프로필렌글리콜-비스{(메트)아크릴로일-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3-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폴리부틸렌글리콜-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II)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2-(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술피드, 비스{5-(메트)아크릴로일티오-3-티아펜틸}술피드;
시클로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산, 비스{7-(메트)아크릴로일옥시-2,5-디옥사헵틸}시클로헥산,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메틸}시클로헥산;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펜산{2-(1,1-디메틸-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5-에틸-1,3-디옥산-5-일}메틸에스테르(닛폰 가야쿠사 제조, 상품명 「KAYARAD R-604」);
N,N',N"-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크실릴렌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7-(메트)아크릴로일옥시-2,5-디옥사헵틸}벤젠,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메틸}벤젠;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비스페놀 A,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비스페놀 A, 비스{(메트)아크릴로일-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 A, 비스{(메트)아크릴로일-폴리(옥시-1,2-프로필렌)}비스페놀 A,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비스페놀 A,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에틸}비스페놀 A,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프로필}비스페놀 A,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 A,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폴리(옥시-1,2-프로필렌)}비스페놀 A;
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프로필}비스페놀 A, 비스{(메트)아크릴로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1,2-프로필렌)}비스페놀 A;
나프탈렌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나프탈렌;
9,9-플루오렌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플루오렌, 9,9-비스{3-페닐-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II)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노볼락형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가가쿠 제조, 상품명 「NK올리고 EA-6320, EA-7120, EA-7420」);
글리세린-1,3-디(메트)아크릴레이트, 1-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판, 2,6,10-트리히드록시-4,8-디옥사운데칸-1,11-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프로판, 1,2,3-트리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프로판, 1,2,3-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프로판, 1,2,3-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프로판, 1,2,3-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2-에틸렌옥시)}프로판, 1,2,3-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2-프로필렌옥시)}프로판, 1,2,3-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3-프로필렌옥시)}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2-프로필렌옥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2-프로필렌옥시)}에테르;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테르,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에테르,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에테르,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키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2-프로필렌옥시)}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옥시}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1,2-프로필렌옥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화합물 (II)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 반응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 반응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노르보르난과의 우레탄 반응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노르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메탄과의 우레탄 반응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과의 우레탄 반응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II)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화합물 (II)는, 공지된 방법, 또는 공지된 방법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의 배합 비율은,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의 중량에 대하여 화합물 (I)이 0.1 내지 50중량%, 화합물 (II)가 99.9 내지 50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합물 (I)이 0.3 내지 30중량%, 화합물 (II)가 99.7 내지 70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화합물 (I)이 0.5 내지 20중량%, 화합물 (II)가 99.5 내지 80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B)에는, 상기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에 더하여,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또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친수부, 및 유기 잔기로 이루어지는 소수부를 갖는 계면 활성제 (III)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중합함으로써, 상기 화합물 (I')에서 유래되는 친수기가 경화물의 표면에 농축되기 쉬워져, 단층막의 표면에 친수기가 경사지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중합성 조성물 (A)에도, 계면 활성제 (III)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계면 활성제 (III)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용제 없이 화합물 (I')에서 유래되는 친수기가, 단층막의 표면에 편석(경사화)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보다 폭넓은 조건에서 고친수성의 단층막이 얻어지게 됨과 함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과 화합물 (II)의 분리를 억제하는 상용 효과로 생각되는 효과에 의해, 단층막의 투명성도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극성 용제의 증발에 동반시켜서 표면에 편석(경사화)시키는 종래의 방법(예를 들어, 국제 공개 2007/064003호 공보)으로는 경사화할 수 없었던 일반적인 친수성의 중합성 화합물(예를 들어, 국제 공개 2007/064003호 공보에서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의 화합물을 제외한 친수성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도, 계면 활성제 (III)을 포함함으로써, 친수기가 표면에 편재(경사화)된 친수성의 경화물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친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는, 보다 표면에 친수기가 편석(경사화)된, 보다 높은 친수성의 단층막이 얻어지는 경향이 된다. 또한, 종래에는 경사화가 곤란했던 용해 파라미터(SP값)가 9.1(cal/㎤)1/2 미만인 저극성 용제를 사용해도, 비교적 용이하게 표면에 친수기가 편석(경사화)된 친수성의 경화물이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것들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높은 친수성과 투명성을 갖는 단층막 및 그 단층막이 적층된 고친수성의 적층체가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폭넓은 재료로 얻어지게 되었다.
상기 계면 활성제 (III)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30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57
상기 식 (300) 중, R은 탄소수 4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나타내고, FG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포함하는 친수기를 나타내고, n은 FG에 결합하는 R의 수이며, 1 또는 2를 나타내고, n0은 R에 결합하는 FG의 수이며,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FG가 수산기를 하나 포함하는 기인 경우에는 n0은 2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FG가 되는, 음이온성 친수기를 포함하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301) 내지 (308)로 표시되는 친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58
상기 식 (301)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일반식 (301)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술포숙신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바람직하고, 술포숙신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메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프로필)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펜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헥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헵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운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펜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헵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모노(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모노(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노나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이코사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벤질)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부톡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헥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틸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노닐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운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도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트리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테트라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펜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헥사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헵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칼륨,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암모늄, 모노(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모노(노나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모노(이코사놀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디나트륨,
디(메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프로필)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부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헥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헵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옥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노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운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도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트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테트라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펜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헥사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헵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 디(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옥타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디(노나데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이코사닐)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벤질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부톡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헥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틸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노닐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운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도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트리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테트라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펜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헥사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륨, 디(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암모늄, 디(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옥타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칼슘, (노나데실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코사놀옥시에틸)술포숙신산 에스테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59
상기 식 (302)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일반식 (302)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 염계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바람직하고,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 염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닐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운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 황산 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염, 도데실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도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 황산 에스테르·칼륨, 도데실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실 황산 에스테르·칼슘, 트리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사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타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타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나데실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코사닐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라우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라우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륨, 3-라우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3-라우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3-라우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슘,
3-미리스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미리스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륨, 3-미리스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3-미리스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3-미리스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슘,
3-팔미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팔미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륨, 3-팔미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3-팔미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3-팔미트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슘,
3-스테아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스테아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륨, 3-스테아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3-스테아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3-스테아르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슘,
3-올레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올레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륨, 3-올레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3-올레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3-올레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슘,
3-베헨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3-베헨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륨, 3-베헨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3-베헨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3-베헨산-2-히드록시-프로필 황산 에스테르·칼슘,
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옥틸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디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디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륨,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노닐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칼슘,
부틸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소부틸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t-부틸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틸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틸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틸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닐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운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칼륨, 도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도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칼슘, 트리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사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타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타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나데실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코사닐옥시에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부틸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소부틸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t-부틸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틸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틸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틸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닐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운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 도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칼륨, 도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도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칼슘, 트리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사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타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타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나데실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코사닐옥시프로필-2-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부틸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소부틸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t-부틸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틸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틸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틸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닐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운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칼륨,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칼슘, 트리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사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타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타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나데실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코사닐옥시-3-옥사펜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부틸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소부틸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t-부틸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틸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틸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틸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닐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운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칼륨,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암모늄,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라우릴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마그네슘, 트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펜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헥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헵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옥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노나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이코사닐옥시-3,6-디옥사옥틸 황산 에스테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60
상기 식 (303)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일반식 (303)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알콕시알킬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및 아릴옥시알킬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바람직하고, 알콕시알킬 인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알킬 인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에틸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프로필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메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에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프로필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3,6-디옥사옥틸 인산 모노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모노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61
상기 식 (304)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일반식 (304)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알킬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및 아릴옥시알킬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바람직하다.
알킬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 인산 디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알킬 인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부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부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3,6-디옥사옥틸 인산 디에스테르,
부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에틸 인산 디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3-옥사펜틸 인산 디에스테르,
부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펜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헥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헵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옥틸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노닐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운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도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라우릴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트리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테트라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펜타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헥사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헵타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옥타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노나데실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이코사닐나프탈렌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인산 디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62
상기 식 (305)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05)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옥시 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 아릴옥시 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 방향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 N-아실아미노산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페닐아세트산, 대두유, 야자유, 팜유, 아마인유, 면실유, 유채씨유, 동백유, 피마자유,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산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옥시 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톡시에틸옥시아세트산, 펜틸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헥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헵틸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옥틸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노닐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운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도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옥시에틸옥시아세트산,
부톡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펜틸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헥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헵틸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옥틸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노닐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운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도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옥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부톡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펜틸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헥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헵틸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옥틸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노닐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운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옥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부톡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펜틸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헥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헵틸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옥틸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노닐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운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도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 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펜틸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헥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헵틸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옥틸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노닐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운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도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페녹시에틸옥시아세트산,
부틸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펜틸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헥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헵틸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옥틸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노닐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도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페녹시-3-옥사펜틸옥시아세트산,
부틸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펜틸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헥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헵틸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옥틸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노닐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운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도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라우릴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페녹시-3,6-디옥사옥틸옥시아세트산,
부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펜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헥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헵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옥틸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노닐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운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도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라우릴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트리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테트라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펜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헥사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헵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옥타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노나데실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이코사닐페녹시-3,6,9-트리옥사운데실옥시아세트산,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카르복실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산, 톨루일산, 클로로벤조산, 니트로벤조산, 히드록시벤조산, 메톡시벤조산, 부톡시벤조산, 펜틸옥시벤조산, 헥실옥시벤조산, 헵틸옥시벤조산, 옥틸옥시벤조산, 노닐옥시벤조산, 데실옥시벤조산, 운데실옥시벤조산, 도데실옥시벤조산, 트리데실옥시벤조산, 테트라데실옥시벤조산, 펜타데실옥시벤조산, 헥사데실옥시벤조산, 헵타데실옥시벤조산, 옥타데실옥시벤조산, 노나데실옥시벤조산, 이코사닐옥시벤조산,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아미노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부티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N-메틸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부티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부티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N-메틸알라닌의 -N-아실에스테르,
부티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콜라겐펩티드와의 -N-아실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05)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글리신의 -N-아실에스테르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63
상기 식 (306) 중,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n50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06)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 숙신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에테르 숙신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에스테르 숙신산계 계면 활성제, 숙신산 티오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N-아실아미노숙신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N-아실글루탐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 숙신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숙신산, 펜틸숙신산, 헥실숙신산, 헵틸숙신산, 옥틸숙신산, 노닐숙신산, 데실숙신산, 운데실숙신산, 도데실숙신산, 트리데실숙신산, 테트라데실숙신산, 펜타데실숙신산, 헥사데실숙신산, 헵타데실숙신산, 옥타데실숙신산, 노나데실숙신산, 이코사닐숙신산,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에테르 숙신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옥시숙신산, 펜틸옥시숙신산, 헥실옥시숙신산, 헵틸옥시숙신산, 옥틸옥시숙신산, 노닐옥시숙신산, 데실옥시숙신산, 운데실옥시숙신산, 도데실옥시숙신산, 트리데실옥시숙신산, 테트라데실옥시숙신산, 펜타데실옥시숙신산, 헥사데실옥시숙신산, 헵타데실옥시숙신산, 옥타데실옥시숙신산, 노나데실옥시숙신산, 이코사닐옥시숙신산,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에스테르 숙신산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발레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카프로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카프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카프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라우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팔미트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올레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베헨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히드록시숙신산의 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숙신산 티오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올레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베헨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머캅토숙신산의 티오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아미노숙신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아미노숙신산의 N-아실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글루탐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글루탐산의 N-아실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06)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64
상기 식 (307)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07)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프탈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프탈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프탈산 부틸, 프탈산 펜틸, 프탈산 헥실, 프탈산 헵틸, 프탈산 옥틸, 프탈산 노닐, 프탈산 데실, 프탈산 운데실, 프탈산 도데실(라우릴), 프탈산 트리데실, 프탈산 테트라데실, 프탈산 펜타데실, 프탈산 헥사데실, 프탈산 헵타데실, 프탈산 옥타데실, 프탈산 노나데실, 프탈산 이코사닐,
프탈산 부틸옥시, 프탈산 헥실옥시, 프탈산 옥틸옥시, 프탈산 데실옥시, 프탈산 도데실옥시, 프탈산 테트라데실옥시, 프탈산 헥사데실옥시, 프탈산 옥타데실옥시, 프탈산 이코사닐옥시,
프탈산 부틸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헥실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옥틸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데실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도데실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테트라데실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헥사데실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옥타데실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이코사닐옥시-3-옥사펜틸,
프탈산 부틸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헥실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옥틸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도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테트라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헥사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옥타데실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이코사닐옥시-3,6-디옥사옥틸,
프탈산 부틸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헥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옥틸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도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테트라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헥사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옥타데실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프탈산 이코사닐옥시-3,6,9-트리옥사운데실,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07)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65
상기 식 (308) 중,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08)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미노 이아세트산-N-아실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노 이아세트산-N-아실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발레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로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카프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라우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미리스트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팔미트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스테아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올레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베헨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과 이미노 이아세트산의 -N-아실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마그네슘염 및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08)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FG가 되는, 수산기를 포함하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309), (310), (312) 및 (313)으로 표시되는 친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66
상기 식 (309)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n1은 0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또한, 식 (309)로 표시되는 기가 수산기를 하나 포함하는 기인 경우, 식 (300)에 있어서의 n0은 2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09)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발레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카프로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카프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카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라우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미리스트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팔미트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올레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베헨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에스테르,
부티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발레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카프로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카프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카프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라우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미리스트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팔미트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올레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베헨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펜타에리트리톨모노에스테르,
부티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발레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카프로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카프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카프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라우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미리스트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팔미트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올레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베헨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부티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발레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카프로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카프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카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라우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팔미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올레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베헨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디에스테르,
부티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발레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카프로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카프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카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라우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팔미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올레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베헨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에스테르,
부티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발레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카프로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카프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카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라우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팔미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올레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베헨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부티로락톤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09)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67
상기 식 (310) 중, X는 O-, -S-, -NH-, 또는 -NCH3-을 나타내고, X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m1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n20은 2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끼리, r1끼리, r2끼리, r3끼리, 및 r4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또한, 식 (310)으로 표시되는 기가 수산기를 하나 포함하는 기인 경우에는, 식 (300)에 있어서의 n0은 2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10)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발레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카프로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카프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카프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라우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미리스트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팔미트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스테아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올레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베헨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글리세린 부틸에테르, 글리세린펜틸에테르, 글리세린헥실에테르, 글리세린헵틸에테르, 글리세린옥틸에테르, 글리세린노닐에테르, 글리세린데실에테르, 글리세린운데실에테르, 글리세린도데실에테르, 글리세린트리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글리세린펜타데실에테르, 글리세린헥사데실에테르, 글리세린헵타데실에테르, 글리세린옥타데실에테르, 글리세린노나데실에테르, 글리세린이코사닐에테르,
글리세린-부틸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펜틸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헥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헵틸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옥틸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노닐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운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도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트리데실테트라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펜타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헥사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헵타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옥타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노나데실옥시에틸에테르, 글리세린-이코사닐옥시에틸에테르,
부티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발레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카프로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카프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카프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라우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팔미트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올레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베헨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디글리세린모노에스테르,
부티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발레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카프로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카프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카프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라우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미리스트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팔미트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스테아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올레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베헨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티오글리세린모노티오에스테르,
1-부티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발레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카프로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카프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카프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라우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미리스트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팔미트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스테아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이소스테아르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올레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베헨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1-페닐아세트산 아미드-2,3-프로판디올,
부티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발레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카프로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카프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카프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라우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미리스트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팔미트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스테아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올레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베헨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소르비톨모노에스테르,
부티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발레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카프로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카프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카프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라우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미리스트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팔미트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스테아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올레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베헨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소르비톨디에스테르,
부티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발레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카프로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카프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카프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라우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팔미트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올레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베헨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만니톨모노에스테르,
부티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발레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카프로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카프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카프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라우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만니톨디에스테르, 팔미트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올레산 만니톨디에스테르, 베헨산 만니톨디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만니톨디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만니톨디에스테르,
부티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발레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카프로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카프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카프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라우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팔미트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올레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베헨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만니톨트리에스테르,
부티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발레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카프로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카프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카프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라우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미리스트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팔미트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올레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베헨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페닐아세트산 만니톨테트라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부티로락톤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10)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68
상기 식 (312) 중, X3 및 X4는 독립적으로 -CH2-, -CH(OH)-, 또는 -CO-를 나타내고, n30은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50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n30이 2 이상인 경우, X3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n50이 2 이상인 경우, X4끼리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12)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 리보오스, 발레르산 리보오스, 카프로산 리보오스, 카프릴산 리보오스, 카프르산 리보오스, 라우르산 리보오스, 미리스트산 리보오스, 팔미트산 리보오스, 스테아르산 리보오스, 이소스테아르산 리보오스, 올레산 리보오스, 베헨산 리보오스,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리보오스, 페닐아세트산 리보오스,
부티르산 아스코르브산, 발레르산 아스코르브산, 카프로산 아스코르브산, 카프릴산 아스코르브산, 카프르산 아스코르브산, 라우르산 아스코르브산, 미리스트산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아스코르브산, 이소스테아르산 아스코르브산, 올레산 아스코르브산, 베헨산 아스코르브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아스코르브산, 페닐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부티르산 크실롤, 발레르산 크실롤, 카프로산 크실롤, 카프릴산 크실롤, 카프르산 크실롤, 라우르산 크실롤, 미리스트산 크실롤, 팔미트산 크실롤, 스테아르산 크실롤, 이소스테아르산 크실롤, 올레산 크실롤, 베헨산 크실롤,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크실롤, 페닐아세트산 크실롤,
부티르산 소르비탄, 발레르산 소르비탄, 카프로산 소르비탄, 카프릴산 소르비탄, 카프르산 소르비탄, 라우르산 소르비탄, 미리스트산 소르비탄, 팔미트산 소르비탄, 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올레산 소르비탄, 베헨산 소르비탄,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소르비탄, 페닐아세트산 소르비탄,
부티르산 글루코오스, 발레르산 글루코오스, 카프로산 글루코오스, 카프릴산 글루코오스, 카프르산 글루코오스, 라우르산 글루코오스, 미리스트산 글루코오스, 팔미트산 글루코오스, 스테아르산 글루코오스, 이소스테아르산 글루코오스, 올레산 글루코오스, 베헨산 글루코오스,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글루코오스, 페닐아세트산 글루코오스,
부티르산 글루코노-1,5-락톤, 발레르산 글루코노-1,5-락톤, 카프로산 글루코노-1,5-락톤, 카프릴산 글루코노-1,5-락톤, 카프르산 글루코노-1,5-락톤, 라우르산 글루코노-1,5-락톤, 미리스트산 글루코노-1,5-락톤, 팔미트산 글루코노-1,5-락톤, 스테아르산 글루코노-1,5-락톤, 이소스테아르산 글루코노-1,5-락톤, 올레산 글루코노-1,5-락톤, 베헨산 글루코노-1,5-락톤,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글루코노-1,5-락톤, 페닐아세트산 글루코노-1,5-락톤, 및 이것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부티로락톤 부가물, 및 이것들을 탈수 축합한 다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12)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69
상기 식 (313) 중,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내고, U1 내지 U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산소 원자(O-#3)를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13)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티르산 자당, 발레르산 자당, 카프로산 자당, 카프릴산 자당, 카프르산 자당, 라우르산 자당, 미리스트산 자당, 팔미트산 자당, 스테아르산 자당, 이소스테아르산 자당, 올레산 자당, 베헨산 자당,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자당, 페닐아세트산 자당, 및 이것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부티로락톤 부가물, 및 이것들을 탈수 축합한 다량체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13)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G가 일반식 (309) 내지 (313)으로 표시되는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FG가 일반식 (310) 및 (312)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바람직하다.
상기 FG가 되는, 양이온성 친수기를 포함하는 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314) 내지 (319)로 표시되는 친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70
상기 식 (314) 중,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10 및 R20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71
상기 식 (315) 중, R10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72
상기 식 (316) 중,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16)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노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이코사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노닐-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도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헥사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타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이코사닐-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노닐-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도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헥사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타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이코사닐-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노닐-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도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헥사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타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이코사닐-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노닐-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이코사닐-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틸-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노닐-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도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헥사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타데실-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이코사닐-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틸-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노닐-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도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헥사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타데실-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이코사닐-도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틸-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노닐-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도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헥사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옥타데실-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이코사닐-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부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펜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헥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펜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노닐-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운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트리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펜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헵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노나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이코사닐-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부틸-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펜틸-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헥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펜틸-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노닐-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운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트리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펜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헵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노나데실-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이코사닐-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16)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73
상기 식 (317) 중, A(-)는 할로겐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황산 이온, 황산 수소 이온, 인산 이온, 또는 인산 수소 이온을 나타내고,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74
상기 식 (318) 중,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FG가 상기 일반식 (318)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디메틸베타인, 펜틸-디메틸베타인, 헥실-디메틸베타인, 헵틸-디메틸베타인, 옥틸-디메틸베타인, 노닐-디메틸베타인, 데실-디메틸베타인, 운데실-디메틸베타인, 도데실-디메틸베타인, 테트라데실-디메틸베타인, 트리데실-디메틸베타인, 펜타데실-디메틸베타인, 헥사데실-디메틸베타인, 헵타데실-디메틸베타인, 옥타데실-디메틸베타인, 노나데실-디메틸베타인, 이코사닐-디메틸베타인,
부틸-벤질메틸베타인, 펜틸-벤질메틸베타인, 헥실-벤질메틸베타인, 헵틸-벤질메틸베타인, 옥틸-벤질메틸베타인, 노닐-벤질메틸베타인, 데실-벤질메틸베타인, 운데실-벤질메틸베타인, 도데실-벤질메틸베타인, 트리데실벤질메틸베타인, 테트라데실벤질메틸베타인, 펜타데실-벤질메틸베타인, 헥사데실-벤질메틸베타인, 헵타데실-벤질메틸베타인, 옥타데실-벤질메틸베타인, 노나데실-벤질메틸베타인, 이코사닐-벤질메틸베타인,
부틸-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펜틸-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헥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헵틸-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옥틸-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노닐-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운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도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트리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테트라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펜타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헥사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헵타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옥타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노나데실-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이코사닐-시클로헥실메틸베타인,
부틸-도데실메틸베타인, 펜틸-도데실메틸베타인, 헥실-도데실메틸베타인, 헵틸-도데실메틸베타인, 옥틸-도데실메틸베타인, 노닐-도데실메틸베타인, 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운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도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트리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테트라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펜타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헥사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헵타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옥타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노나데실-도데실메틸베타인, 이코사닐-도데실메틸베타인, 및 이것들의 할로겐화수소 부가물, 카르본 부가물, 암모니아 부가물, 아민 부가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부가물, 및 알칼리 토류 금속 수산화물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FG가 일반식 (318)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탄소수 6 내지 10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내지 6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40의 유기 잔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75
상기 식 (319) 중,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벤질기, 알킬시클로알킬기, 알킬시클로알킬메틸기,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3은 식 (300)의 R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 (319) 중, N→O는 N+-O- 또는 N=O라고도 표기되는 기이다.
FG가 일반식 (314) 내지 (319)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에서는, FG가 일반식 (316) 및 (318)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바람직하다.
또한, 기타의 계면 활성제 (III)으로서는, 예를 들어 술폰산기와 암모늄기를 갖는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메틸에틸암모늄프로판술폰산, 3-(벤젠디메틸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 3-(N,N-디메틸라우릴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 3-(N,N-디메틸미리스틸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 3-(N,N-디메틸팔미틸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 3-(N,N-디메틸스테아릴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B) 중, 상기 계면 활성제 (III)은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의 합계에 대하여, 통상 0.0001 내지 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중량%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된다. 이러한 범위로 계면 활성제 (III)이 포함된 조성물을 중합함으로써, 상기 화합물 (I')에서 유래되는 친수기가 경화물의 표면에 농축되기 쉬워져, 예를 들어 경화물이 단층막일 경우에는, 그의 표면에 친수기가 경사지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중에, 계면 활성제 (III)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의 합계에 대하여, 통상 0.0001 내지 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중량%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된다.
중합성 조성물 (A)에는, 상기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에 더하여, 용해 파라미터 σ가 9.1(cal/㎤)1/2 이상인 용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A)의 도막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화합물 (I)에서 유래되는 친수기가 표면에 편석된 단층막이 얻어진다.
상기 바람직한 SP값의 범위에 있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IPA), 1-부탄올, 이소부탄올, 1-펜탄올(1-아밀알코올), 이소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시클로헥산올, 1-메톡시-2-프로판올(메톡시프로판올), 2-메톡시-1-프로판올, 2-메톡시-1-에탄올(메톡시에탄올), 2-이소프로폭시-1-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및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1-펜탄올(1-아밀알코올) 등의, SP값으로 9.0(cal/㎤)1/2 이상인 1급 알코올, 및 1-메톡시-2-프로판올(메톡시프로판올), 2-메톡시-1-에탄올(메톡시에탄올), 2-이소프로폭시-1-에탄올 등의 SP값으로 9.1(cal/㎤)1/2 이상인 알콕시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용해 파라미터(SP값)는 이하에 나타내는 간이 계산법에 의해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용해 파라미터 σ의 계산식
1) 1mol당의 증발 잠열
Hb=21×(273+Tb) (단위: cal/mol), Tb: 비점(℃)
2) 25℃에서의 1mol당 증발 잠열
H25=Hb×{1+0.175×(Tb-25)/100} (단위: cal/mol), Tb: 비점(℃)
3) 분자 간 결합 에너지 E=H25-596 (단위: cal/mol)
4) 용제 1ml(㎤)당 분자 간 결합 에너지
E1=E×D/Mw (단위: cal/㎤), D: 밀도(g/㎤), MW: 분자량
5) 용해 파라미터(SP값) σ=(E1)1/2 (단위: cal/㎤)1/2
중합성 조성물 (B)는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에 더하여 계면 활성제 (III)을 포함하는 경우, 그 조성물에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친수기가 표면에 편석된 경화물이 얻어진다. 그러나, 조성물로부터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을 제작할 때의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중합성 조성물 (B)는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성 조성물 (B)에 비교적 많은 용제를 포함하는 상태(저고형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극성의 용제만을 대량으로 사용하면,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가 분리되어, 균일한 조성의 조성물을 제작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 상태의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면, 균일한 조성의 도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용해성의 관점에서, 고극성의 용제가 적어도 1종 포함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고극성의 용제로서는, 용해도 파라미터(SP값) σ로 9.1(cal/㎤)1/2 이상의 용제가 바람직하다. 용해도 파라미터(SP값) σ로 9.1(cal/㎤)1/2 이상의 범위에 있는 용제로서는, 상술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 포함될 수 있는 용제로서는, 표면이 친수성인 경화물이 얻어지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량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 성분에 대하여 반응하거나, 당해 구성 성분과 염을 형성하거나 하는 등 상호 작용이 너무 강한 용제, 및 비점이 너무 높은 용제, 예를 들어 비점이 200℃를 초과하는 용제는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에틸-에탄올아민, N-(2-에틸헥실)에탄올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N-헥실-디에탄올아민, N-라우릴-디에탄올아민, N-세틸-디에탄올아민 등의 히드록시에틸아미노 구조를 갖는 에탄올아민계 화합물[NRaRb(CH2CH2OH):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 또는 CH2CH2OH기임]은, 화합물 (I)에 포함되는 친수기와 상호 작용, 예를 들어 술폰산기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친수기와는 염 또는 염에 가까운 형태를 형성하기 쉽고, 또한 증발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포한 혼합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려고 해도, 외기에 접하는 표면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내부에 잔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에 포함되는 친수기가, 도포물의 외기에 접하는 표면으로의 경사(집중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에탄올아민계 화합물은 용제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 포함될 수 있는 용제의 양은,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단층막의 물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 함유되는 고형분(화합물 (I) 또는 (I'), (II), (III), 필요에 따라서 포함되는 후술하는 알콕시실란 화합물, 실리카 입자 및 첨가제의 합계량)의 농도(고형분/(고형분+용제)×100)로, 통상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알콕시실란 화합물이 포함됨으로써, 막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알콕시실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염산염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가수분해, 축합한 화합물도 그 밖의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실리카 입자가 포함됨으로써,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거나, 소광 효과(광택 제어)를 부여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 중, 상기 실리카 입자는, 통상 0.00001 내지 50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30중량%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는, 상기 알콕시실란 화합물 및 실리카 입자 이외에도, 그 밖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중합 개시제, 중합 촉진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HALS), 용제, 촉매, 적외선 흡수제, 라디칼 포착제, 내부 이형제, 산화 방지제, 중합 금지제, 색소, 바인더, 분산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부터 본 발명의 단층막을 제조할 때에는, 그 조성물을 경화시키지만, 방사선, 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에 의해 중합시키는 경우에는, 열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및 광 음이온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광중합 개시제 중에서도,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르가큐어 127(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651(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다로큐어 1173(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이르가큐어 50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2959(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907(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369(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30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819(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0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다로큐어 TPO(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다로큐어 4265(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OXE01(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OXE02(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에사큐어 KT55(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ONE(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IP150(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IP100F(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T37(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TO46(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1001M(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IP/EM(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DP250(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B1(란벨티사 제조),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 중에서도, 이르가큐어 127(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다로큐어 1173(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50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819(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다로큐어 TPO(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에사큐어 ONE(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IP100F(란벨티사 제조), 에사큐어 KT37(란벨티사 제조) 및 에사큐어 KTO46(란벨티사 제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르가큐어 25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784(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에사큐어 1064(란벨티사 제조), CYRAURE UVI6990(유니온 카바이드 니혼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72(아사히덴카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70(아사히덴카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52(아사히덴카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50(아사히덴카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등의 케톤퍼옥사이드류;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o-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디아실퍼옥사이드류;
트리스(t-부틸퍼옥시)트리아진,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등의 디알킬퍼옥사이드류;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디(t-부틸퍼옥시)부탄 등의 퍼옥시케탈류;
α-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2,4,4-트리메틸펜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알킬퍼에스테르류;
디-3-메톡시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t-부틸퍼옥시카르보네이트) 등의 퍼카르보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 및 열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화합물 (I) 및 (II), 또는 화합물 (I') 및 (II)의 합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촉진제를 병용해도 된다. 광중합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비스(2-클로로페닐)-4,5'-테트라페닐-2'H-<1,2'>비이미다졸일, 트리스(4-디메틸아미노페닐)메탄,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에틸안트라퀴논, 캄포퀴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 등의 광학 기능막으로서 사용하고,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도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첨가한 내후 처방의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프로판디옥산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다양한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H-벤조트리아졸-2-일)-p-크레졸, 2-(2H-벤조트리아졸-2-일)-4-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6-(1-메틸-1-페닐에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3-온-4-옥사-도데실)-6-tert-부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3-온-4-옥사-도데실)-6-tert-부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펜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tert-옥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n-도데실페놀,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반응성 생물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2-(4-페녹시-2-히드록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사-헥사데실옥시)-4,6-디(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사-헵타데실옥시)-4,6-디(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iso-옥틸옥시-페닐)-4,6-디(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상품명 티누빈 40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405(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46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479(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등의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프로판디옥산-{(4-메톡시페닐)-메틸렌}-디메틸에스테르, 상품명 호스타빈 PR-25(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B-CAP(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의 프로판디옥산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상품명 Sanduvor VSU(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의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Hindered Amin Light Stabilizers: 약칭 HALS)는, 통상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총칭이고, 분자량에 따라, 저분자량 HALS, 중분자량 HALS, 고분자량 HALS 및 반응형 HALS로 크게 구별된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티누빈 111FDL(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상품명 티누빈 123(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144(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292(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765(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티누빈 770(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6-클로로-1,3,5-트리아진 축합물(상품명 CHIMASSORB 119FL(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CHIMASSORB 2020FDL(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숙신산 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상품명 CHIMASSORB 622LD(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라우릴-4-피페리딜)이미노}](상품명 CHIMASSORB 944FD(찌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anduvor 3050 Liq.(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anduvor 3052 Liq.(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anduvor 3058 Liq.(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anduvor 3051 Powder.(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anduvor 3070 Powder.(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VP Sanduvor PR-31(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N20(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N24(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N30(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N321(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PR-31(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호스타빈 845(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나이로스탭 S-EED(클라리언트·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화합물 (I) 및 (II), 또는 화합물 (I') 및 (II)의 합계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는, 통상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이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통상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의 범위이다.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의 내후성 개량 효과가 커진다.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의 내후성 개량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이 불충분할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첨가제 이외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의 기계적 및 열적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광 응답성 및 살균성 등을 부여할 목적 등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산화티타늄, 기타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등을 첨가할 수도 있고,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의 굴절률을 높일 목적 등으로, 황 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고, 살균성, 항균성을 부여할 목적 등으로, 은, 리튬 등의 금속염, 요오드 및 요오도늄염 등을 상기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첨가량은, 그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화합물 (I) 및 (II), 또는 화합물 (I') 및 (II)의 합계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200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중량%의 범위이다.
[단층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단층막은, 예를 들어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층막을 제조할 때에는,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부터, 통상, 먼저 도막을 형성한다. 당해 도막의 형성은,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부터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부터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 도막을 형성한 후, 용제를 제거하는 공정에 의해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에서 유래되는 친수기가, 도포물의 외기에 접하는 표면으로의 이동이 보다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한, 도포물의 외기에 접하는 표면에 상기 친수기가 이동한 경우에도, 상기 조성물 중에 용매가 잔존하면, 외기에 접하는 표면에 존재하는 대기(소수성)와 반발하는 상호 작용이 일어나, 도포물의 내부로 그 친수기가 보다 이동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의 친수기의 외기에 접하는 표면으로의 경사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친수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기재와의 밀착성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 내의 중합 직전의 잔존 용제는 보다 적은 편이 바람직한 경향이 있고, 통상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용제 제거 시의 온도는 적시 결정되지만, 통상 실온 내지 2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의 범위이다.
상기 조성물로부터의 용제 제거를 위한 시간은 적시 결정하면 되지만, 생산성을 고려한 경우, 단시간인 편이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통상 3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5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분 이하의 시간으로 건조하면 된다. 용제 제거 시의 분위기는 대기여도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여도 상관없지만, 분위기의 습도가 낮은 편이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예를 들어 단층막)의 외관이 악화(오렌지 필, 투명성 저하 등)되지 않는 등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위기의 습도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6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에 의해 용제를 제거할 경우의 풍속은, 바람직하게는 30m/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m/초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m/초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m/초의 범위이다.
용제 제거 시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압 또는 감압이 비교적 바람직하지만, 미(微)가압이어도 된다.
도막의 형성 공정, 필요에 따라서 행해지는 용제 제거 공정을 거친 후, 통상, 경화하여 얻어지는 단층막에 원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도록, 얻어진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요철 구조의 형성은, 상기 원하는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키고, 도막 표면에 패턴을 전사하는 공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형(몰드)은, 통상 요철의 주기가 가시광의 파장 이하로 제어된 미세한 요철 패턴을 갖고 있으며, 성형형의 요철 패턴면과 도막을 중첩하여, 당해 패턴을 도막 표면에 전사하고, 그 상태에서 후술하는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을 행하는 것(이하, 나노 프린트라고도 칭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 프린트를 행할 때에는, 예를 들어 도막을 성형형의 중앙부의 요철 패턴면부터 성형형과 도막을 중첩하기 시작하여,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서 도막과 패턴면을 밀착하도록 하고, 성형형의 외부에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성형형과 도막을 중첩함으로써, 성형형의 요철 패턴면을 도막에 충실하게 전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임프린트를 행하는 기타 조건으로서는, 성형형과 도막을 중첩한 후, 진공 하에서 압착하는 방법, 진공 하에서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압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중을 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스압 등을 사용하여 가할 수 있다.
또한, 성형형에 의해 도막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을 방사선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성형형은 방사선 투과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행할 때에는, 도막의 표면을 중합성 조성물 (B)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화합물 (I'), 또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갖는 화합물 (IV)에 의해 도막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단층막의 도막 표면 부분이, 화합물 (I') 또는 (IV)에 의해 처리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 표면의 상기 처리는, 예를 들어 성형형의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의 표면에 화합물 (I') 또는 (IV)를 도포한 후,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 도막 표면에 패턴을 전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화합물 (I') 또는 (IV)에 의해, 단층막의 도막 표면 부분이 처리된 경우, 도막 표면 및 표면 부근에 고농도로 존재하는 친수기(예를 들어 음이온성 친수기)가 화합물 (I') 또는 (IV)와 친화되기 쉬워, 도막의 표면 근방에 존재하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그래프트하여 친수기(예를 들어 음이온성 친수기)가 보다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고 상정된다. 따라서, 보다 표면 및 표면 부근의 친수기(예를 들어 음이온성 친수기)의 농도가 높아지기 쉽고, 친수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짐과 함께, 표면이 다소 열화 또는 분해되어도, 표면 부근 내부의 친수기(예를 들어 음이온성 친수기)가 표면의 백업을 하기 때문에 친수성의 저하가 억제된다(내구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처리를 함으로써 친수성과 투명성 등의 물성과의 밸런스가 좋은 단층막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합물 (IV)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 (3) 내지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76
상기 식 (1) 중, D1은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에틸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R은 탄소수 1 내지 60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방향환, 지방족 환상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q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77
상기 식 (3) 중, D1은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에틸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R은 탄소수 1 내지 60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방향환, 지방족 환상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q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78
상기 식 (4) 중, D2는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에틸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R은 탄소수 1 내지 60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방향환, 지방족 환상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a 및 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a+b=3을 충족한다. a가 2인 경우, D2끼리, R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b가 2인 경우, Z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Figure pct00079
상기 식 (5) 중, D3, R3 및 SO3Z는 상기 식 중에 포함되는 환 위의 탄소에 결합하는 기이며, D3은 각각 독립적으로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k는 0 내지 10의 정수, l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1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k+l+m=2 내지 6+2n이다. n은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l이 2 이상인 경우, D3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k가 2 이상인 경우, R3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m이 2 이상인 경우, Z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단,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80
상기 식 (6) 중, D3, R3 및 SO3Z는 상기 식 중에 포함되는 환 위의 탄소에 결합하는 기이며, D3은 각각 독립적으로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r은 0 내지 6의 정수, q 및 p는 독립적으로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p+q+r=2 내지 8의 정수이다. p가 2 이상인 경우, D3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r이 2 이상인 경우, R3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q가 2 이상인 경우, Z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식 (5) 중, k, l, m, n에 대하여 환언하면,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며, n=0일 때, k는 0 내지 4의 정수, l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 단 k+l+m은 2 내지 6의 정수이며; n=1일 때, k는 0 내지 6의 정수, l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7의 정수, 단 k+l+m은 2 내지 8의 정수이며; n=2일 때, k는 0 내지 8의 정수, l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9의 정수, 단 k+l+m은 2 내지 10의 정수이며; n=3일 때, k는 0 내지 10의 정수, l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1의 정수, 단 k+l+m은 2 내지 12의 정수이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81
상기 식 (7) 중, D1은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에틸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v 및 y는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단, v 또는 y 중 어느 것이 0인 경우, w도 0임). x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v가 2 이상인 경우,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y가 2 이상인 경우, R3끼리, R4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가 2 이상인 경우,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일반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v=w=x=0이며, y=1 내지 10의 정수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v=w=x=0이며, y=1 내지 3의 정수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반식 (7)로 표시되는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틸술폰산 나트륨, 3-머캅토프로필술폰산 나트륨, 8-머캅토-3,6-디옥사옥틸술폰산, 아미노메탄술폰산, 아미노메탄술폰산 나트륨, 아미노메탄술폰산 칼륨, 타우린, 타우린나트륨염, 타우린칼륨염, 2-메틸아미노-에탄술폰산 나트륨, 2-에틸아미노-에탄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일반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82
상기 식 (8) 중, D1은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에틸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v 및 y는 독립적으로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w는 0 또는 1을 나타낸다(단, v 또는 y 중 어느 것이 0인 경우, w도 0임). x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v가 2 이상인 경우,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y가 2 이상인 경우, R3끼리, R4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가 2 이상인 경우,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일반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v=w=x=0인 화합물을,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일반식 (8)로 표시되는 대표적인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나트륨, 3-머캅토프로피온산, 3-머캅토프로피온산 나트륨, L-아스파라긴산, L-아스파라긴산 칼륨, D-아스파라긴산 나트륨, β-알라닌나트륨, L-아르기닌칼륨, 글리신나트륨, L-글루탐산 나트륨, L-시스틴 칼륨, L-세린칼륨, 글리실글리신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일반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83
상기 식 (9) 중, D1은 머캅토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에틸아미노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 이온, 암모늄 이온, 아민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1/2 원자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R1 내지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a 및 b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a+b=3을 충족한다. c는 1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내고, d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c가 2 이상인 경우,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d가 2 이상인 경우,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a가 2인 경우, D1끼리, R1끼리, R2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b가 2인 경우, Z끼리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3-아미노벤젠술폰산, 4-아미노벤젠술폰산 나트륨염, 5-아미노톨루엔-2-술폰산, 4-아미노-3-메톡시벤젠술폰산 나트륨염, 3-아미노-4-메톡시벤젠술폰산 칼륨염, 7-아미노-1,3-나프탈렌디술폰산 모노칼륨염, 8-아미노-1,3-나프탈렌디술폰산 모노나트륨염, 7-아미노-1,3,6-나프탈렌트리술폰산 디나트륨염, 8-아미노-1,3,6-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나트륨염, 4-히드록시벤젠술폰산 나트륨염, 4-히드록시-3-메톡시벤젠술폰산 칼륨염, 1,2-디히드록시-3,5-벤젠디술폰산 디나트륨염, 2-히드록시-6,8-나프탈렌술폰산 디칼륨염, 8-히드록시피렌-1,3,6-트리술폰산 트리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도, 4-아미노벤젠술폰산 나트륨염, 5-아미노톨루엔-2-술폰산 나트륨염, 7-아미노-1,3-나프탈렌디술폰산 모노칼륨염, 8-아미노-1,3,6-나프탈렌트리술폰산 트리나트륨염, 4-히드록시벤젠술폰산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아미노안트라퀴논-2-술폰산 나트륨, 1-아미노안트라퀴논-4-술폰산 나트륨, 1-아미노안트라퀴논-8-술폰산 나트륨, 1-아미노-4-브로모안트라퀴논-2-술폰산 나트륨, 1-아미노-2,4-디히드록시안트라퀴논-3-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도 1-아미노-4-브로모안트라퀴논-2-술폰산 나트륨, 1-아미노-2,4-디히드록시안트라퀴논-3-술폰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이온성 친수기와,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기 하나 이상을 갖는 화합물 (IV)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2-머캅토에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머캅토프로필암모늄클로라이드, 3-머캅토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4-머캅토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4-머캅토메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2-아미노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3-아미노프로필암모늄클로라이드, 3-아미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4-아미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4-아미노메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3-히드록시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4-히드록시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성형형은, 후술하는 성형형을 경화된 단층막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당해 단층막으로부터의 박리를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 외부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외부 이형 처리란 원하는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의 최표면을 미리 불소가공 등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부 이형 처리된 성형형을 사용하여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행할 때, 상술한 화합물 (I') 또는 (IV)를 성형형의 패턴을 갖는 표면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매우 크레이터링되기 쉬워 패턴 표면에 균일하게 도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로 인해, 화합물 (I') 또는 (IV)에 미리, 상술한 계면 활성제 (III)(단,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 않음)을 혼합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크레이터링을 방지할 수 있다.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행할 때에는, 도막은 미경화의 상태,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에 포함되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반응률이 바람직하게는 60mo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ol% 이하이다.
도막의 형성 공정, 필요에 따라서 행해지는 용제 제거 공정, 및 얻어진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거친 후, 통상, 당해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을 행한다.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 도막 표면에 패턴을 전사한 경우에는, 경화하는 공정은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중합)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열 또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또는 양자를 병용하여 경화할 수 있다.
상기 경화는 대기 하에서 행할 수도 있지만,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행한 경우에는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열을 사용하여 경화할 경우, 통상, 상기 조성물에 유기 과산화물 등의 열 라디칼 발생제를 첨가하고 실온으로부터 300℃ 이하의 범위에서 가열한다.
방사선을 사용하여 경화할 경우, 방사선으로서는 파장 영역이 0.0001 내지 800㎚ 범위의 에너지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은 α선, β선, γ선, X선,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 등으로 분류되어 있고, 사용되는 중합성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방사선 중에서도 자외선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의 출력 피크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5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44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43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의 범위이다. 상기 출력 피크의 범위의 자외선을 사용한 경우에는, 중합 시의 황변 및 열변형 등의 문제가 적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도 비교적으로 단시간에 중합을 완결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조성물 중에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출력 피크가 250 내지 280㎚ 또는 370 내지 430㎚의 범위의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에 의해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회피할 목적으로, 도막을 피복재(필름 등)로 피복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해도 된다. 피복재로 당해 도포층을 피복할 때에는, 당해 도포층과 피복재의 사이에 공기(산소)를 포함하지 않도록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량 및 방사선 조사량을 줄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복재로서는, 산소가 차단되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 및 형태여도 상관없지만, 조작성의 면에서 필름이 바람직하고, 그들 필름 중에서도 방사선 중합이 용이한 투명 필름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는 통상 3 내지 200㎛의 범위이며, 그것들 중에서도 5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5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을 들 수 있다.
또한, 장치는 고가이지만, 0.01 내지 0.002㎚의 범위의 전자선을 방사선으로서 사용하면, 단시간에 경화를 완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얻어지는 단층막의 표면에 형성되는 원하는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서 도막 표면에 패턴을 전사하는 공정에 의해 행하고,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막의 경화를 행한 경우에는, 당해 막으로부터 성형형을 이형하는 공정에 의해 성형형을 이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단층막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이 되는 수지는,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부터 얻어지는 가교 수지 대신에, 에폭시기 및 알콕시실릴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와 술폰산기를 갖는 공중합체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화물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하기 일반식 (2a) 및 (3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단위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i)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84
상기 식 (1a), (2a) 및 (3a) 중, a+b+c=1의 경우, a, b 및 c는 각 구성 단위의 구성 단위비를 나타내고, a=0 내지 1, b=0 내지 1, c=0 내지 1이며,
A1은 단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인 2가의 탄화수소기, 하기 식 (1-1)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1-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A2는 단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인 2가의 탄화수소기, 하기 식 (2-1)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2-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A3은 단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인 2가의 탄화수소기, 하기 식 (3-1)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 (3-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또는 부톡시기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이온, 1/2가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또는 아민 이온을 나타내고;
하기 식 (1-1), (1-2), (2-1), (2-2), (3-1) 및 (3-2)에 있어서, n 및 n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n1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m1은 0 내지 6의 정수이고, l은 0 내지 4의 정수이고,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는 SO3M과 결합하는 측의 단부, **는 에폭시기와 결합하는 측의 단부, ***는 Si 원자와 결합하는 측의 단부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85
상기 공중합체 (i) 중에서도, 상기 일반식 (1a) 및 (2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i1), 상기 일반식 (1a), (2a) 및 (3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i3)이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상기 공중합체 (i)로서는, 하기 일반식 (4a) 및 (5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i1-1), 하기 일반식 (4a), (5a) 및 (6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i3-1)이 더욱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Figure pct00086
상기 식 (4a), (5a) 및 (6a) 중, a+b+c=1의 경우, a, b 및 c는 각 구성 단위의 구성 단위비를 나타내고, a=0 내지 1, b=0 내지 1, c=0 내지 1이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며, n1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R2, R3, R5 및 R6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또는 부톡시기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이온, 1/2가의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또는 아민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공중합체 (i)은 예를 들어, 하기 식 (5'a)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 (6'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하기 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Figure pct00087
상기 식 (1'a) 중, R1, A1 및 M은 상기 식 (1a)의 것과 동의이다.
상기 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아미드기를 갖는 술폰산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4'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88
상기 식 (4'a) 중, R1, R5, R6, M 및 n1은 상기 식 (4a)의 것과 동의이다.
Figure pct00089
상기 식 (5'a) 중, R2 및 n은 상기 식 (5a)의 것과 동의이다.
Figure pct00090
상기 식 (6'a) 중, R3, R4, R10 및 n은 상기 식 (6a)의 것과 동의이다.
상기 식 (4'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1-(메트)아크릴아미드-메탄술폰산, 1-(메트)아크릴아미드-메탄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탄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탄술폰산 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칼륨,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메트)아크릴아미드-t-부틸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나트륨염,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칼륨염,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루비듐염,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칼슘염,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마그네슘염,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필술폰산 암모늄염,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칼륨염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아미드기를 갖는 술폰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5'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2-글리시딜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글리시딜옥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글리시딜옥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5-글리시딜옥시-3-옥사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글리시딜옥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3-비스(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4-글리시딜옥시페닐}-{(4-(메트)아크릴로일옥시-3-히드록시-1-옥사부틸)페닐}-2,2-프로판, 7-글리시딜옥시-6,6-디메틸-2-히드록시-4-옥사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6'a)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트리메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리메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i)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표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500 내지 3,0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일반식 (7a)로 표시되는 아미노 수지 (ii), 하기 일반식 (11a)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iii), 무기 입자 (iv)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상기 공중합체 (i)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물을,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부터 얻어지는 가교 수지로 바꾸어 사용해도 된다.
Figure pct00091
상기 식 (7a) 중, R30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히드록시메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메틸기를 나타내고, R40은 수산기,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q190은 1 내지 90의 정수이며, MC는 하기 일반식 (8a) 내지 (10a)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모핵을 나타내고, #2는 하기 일반식 (8a) 내지 (10a) 중의 #1과 결합하는 결합손이며, #1과 #2의 수는 동일하고;
하기 식 (8a)에 있어서, q030은 0 내지 30의 정수이고, q030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R30 및 R40은 식 (7a) 중의 정의와 동일하고,
하기 식 (9a)에 있어서, q050은 0 내지 50의 정수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R30 및 R40은 식 (7a) 중의 정의와 동일하고,
하기 식 (10a)에 있어서, q050은 0 내지 50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상기 식 (11a)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페닐기, 2-페닐-에틸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q는 0 내지 10000의 정수이다.
상기 무기 입자 (iv)로서는, 예를 들어 은 입자, 구리 입자, 산화구리 입자, 실리카 입자, 중공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산화철 입자, 산화코발트 입자, 이산화지르코니아 입자, 이산화티타늄 입자, 산화안티몬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입자는 분산성을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표면을 알킬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유기기 등으로 수식한 무기 입자도 포함한다.
상기 경화물이, 아미노 수지 (ii) 및 공중합체 (i)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것인 경우에는, 그 조성물에 포함되는, 공중합체 (i)과 아미노 수지 (ii)의 중량비 (i)/(ii)는 99/1 내지 1/99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물이, 아미노 수지 (ii), 무기 입자 (iv) 및 공중합체 (i)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것인 경우에는, 그 조성물에 포함되는, 공중합체 (i), 아미노 수지 (ii) 및 무기 입자 (iv)의 합계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공중합체 (i) 5 내지 98중량부, 아미노 수지 (ii) 1 내지 70중량부, 및 무기 입자 (iv) 1 내지 9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물이, 실란 화합물 (iii)과 공중합체 (i)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것인 경우에는, 그 조성물에 포함되는, 공중합체 (i)의 중량과 실란 화합물 (iii)의 SiO2 환산 중량과의 비 (i)/(iii)는 99.1/0.1 내지 0.1/99.9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99/1 내지 1/99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90/10 내지 10/90의 범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i)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물, 또는 아미노 수지 (ii), 실란 화합물 (iii), 무기 입자 (iv)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공중합체 (i)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물은, 예를 들어 가열(즉 열경화)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단층막은 반사 방지 기능을 갖기 때문에 반사 방지막에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단층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얻어진 단층막, 특히 볼록부가 격자상으로 배열된 단층막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추가로 금속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단층막은, 그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적층된 금속층에 의해, 편광 기능이 부여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예를 들어 편광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예를 들어 편광 기능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금속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금속으로서는 충분한 도전성을 갖는 금속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으로서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니켈, 텅스텐,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을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스퍼터링, 화학 증착, 물리 증착, 도금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층의 두께는, 단층막의 오목부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0 내지 300㎚의 두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층막의 막 두께 da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 0.000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의 표면에 형성하는 요철 구조의 두께 db와 단층막의 막 두께 da와의 비 db/da는, 통상 0.003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006 내지 0.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5이다.
본 발명의 상기 단층막은, 기재 위에 형성해도 된다. 단층막을 기재 위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의 적어도 편면 위에 형성하면 된다.
상기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실리카, 금속, 금속 산화물 등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티오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염화비닐 수지, 실리콘 수지, 종이, 펄프 등의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탄산 칼슘 등의 충전재와 유리 섬유 등을 복합한 SMC 및 BMC 등의 유기 무기 기재, 및 이들 무기 재료, 유기 재료, 나아가서는 유기 무기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도장이 실시된, 도료 경화물층을 갖는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기재 표면은 필요에 따라, 기재 표면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코로나 처리, 오존 처리, 산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 등을 사용한 저온 플라즈마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화학 약품 등에 의한 산화 처리, 화염 처리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처리 대신에, 또는 이들 처리에 더하여 프라이머 처리, 언더 코팅 처리, 앵커 코팅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프라이머 처리, 언더 코팅 처리, 앵커 코팅 처리에 사용하는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그의 공중합체 내지 변성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수지를 비히클의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제로서는, 용제형 코팅제, 수성형 코팅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코팅제 중에서도, 변성 폴리올레핀계 코팅제, 에틸비닐 알코올계 코팅제, 폴리에틸렌이민계 코팅제, 폴리부타디엔계 코팅제, 폴리우레탄계 코팅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에멀션 코팅제, 폴리염화비닐 에멀션 코팅제, 우레탄아크릴 에멀션 코팅제, 실리콘아크릴 에멀션 코팅제, 아세트산 비닐아크릴 에멀션 코팅제, 아크릴에멀션 코팅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코팅제,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코팅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코팅제, 클로로프렌 라텍스 코팅제,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의 고무계 라텍스 코팅제,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라텍스 코팅제, 폴리염화비닐리덴 라텍스 코팅제,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코팅제, 또는 이들 라텍스 코팅제에 포함되는 수지의 카르복실산 변성물 라텍스 또는 디스퍼전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코팅제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키스 코팅법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고, 기재에 대한 도포량은, 건조 상태에서, 통상 0.05g/㎡ 내지 10g/㎡이다.
이들 코팅제 중에서는, 폴리우레탄계 코팅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의 코팅제는, 그 코팅제에 포함되는 수지의 주쇄 또는 측쇄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것이다. 폴리우레탄계 코팅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아크릴폴리올 등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코팅제이다.
이들 폴리우레탄계 코팅제 중에서도 축합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락톤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코팅제가,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합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너무 적으면 경화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폴리올 화합물의 OH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NCO기가 당량 환산으로 2/1 내지 1/40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에서는,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된 기재면을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표면에 본 발명의 친수성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단층막으로 형성한 것은, 기재와 단층막을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층막이 방담 피막, 방오 피막, 속건성 피막 또는 대전 방지 피막일 경우에는, 방담 피막, 방오 피막, 속건성 피막 또는 대전 방지 피막으로 기재가 피복된 적층체가 얻어진다.
또한, 기재가 필름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층막을 형성하지 않은 면에, 후술하는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점착층의 표면에 박리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의 다른 편면에 점착층을 적층해 두면, 본 발명의 단층막을 갖는 적층 필름을 방담 필름 및 방오 필름으로서, 유리, 욕실 등의 거울,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등의 표시 재료 표면, 간판, 광고, 안내판 등의 안내판, 철도, 도로 등의 표지, 건물의 외벽, 창 유리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점착층에 사용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에테르 중합체계 점착제 및 실리콘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통상 2 내지 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막 및 당해 단층막을 적층한 적층체에서는, 단층막의 외기에 접하는 표면을 피복재로 피복해 두어도 된다. 피복재에 의해 피복된 단층막 및 당해 단층막을 갖는 적층체에서는, 수송, 보관, 진열 등을 할 때에 단층막에 흠집이 나거나, 더럽혀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복재로서는, 방사선에 의해 중합하여 기재 등의 위에 본 발명의 단층막을 형성시킬 때, 도막에 밀착시켰던 상술한 피복재를 그대로 상기 피복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피복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스티렌(PS),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 등을 다양한 형상의 주형 내에서 중합시킴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 성형체 등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친수성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 및 당해 단층막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방담 재료, 방오 재료, 속건조성 재료, 대전 방지 재료, 반사 방지 재료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단층막 및 당해 단층막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그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특히 그의 요철 형상이 편광 기능을 발현시키기 때문에 적합한 경우에는) 금속층을 적층함으로써, 편광 기능을 갖는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 및 적층체는, 예를 들어, 차량 및 차량 재료, 선박 및 선박 재료, 항공기 및 항공기 재료, 건축물 및 건축 재료, 차량, 선박, 항공기 및 건축물 등의 창, 거울, 외벽, 외장, 보디, 휠, 내벽, 내장, 바닥, 가구 및 가구 재료, 배관 및 배선 등의 용역류 및 그의 재료, 의복 및 천 등의 섬유 제품, 세면대, 욕실, 화장실, 환기팬 및 키친 등의 주택 설비 및 그의 재료, 세탁기, 식기 건조기, 냉장고, 전자 레인지, 오븐 및 전기 면도기 등의 전기 제품 및 그의 재료, 디스플레이 및 그의 재료, 광학 필름, 광 디스크, 광학 렌즈, 안경 렌즈, 콘텍트 렌즈, 고글 등의 광학 물품, 의치 및 틀니 등의 치과 재료, 램프 및 라이트 등의 조명 물품 및 그의 재료, 냉각 핀 등의 열교환기 부품 및 그의 재료, 포토레지스트 및 잉크젯 기록판 등의 기록 인쇄 재료, 화장품 용기 및 그의 재료, 반사 필름, 반사판 등의 반사 재료, 고속 도로 등에 설치되는 차음판, 디스플레이 재료, 인쇄 또는 인자용 프라이머, 기타 프라이머, 플랫 패널, 터치 패널, 시트, 필름, 테이프, 투명 수지 및 유리 등의 투명 재료에 피복하여, 친수성, 방담성, 속건조성, 방오성 및 반사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결로 방지성을 부여하거나,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거나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의 물성 평가는, 하기와 같이 행했다.
<친수기 농도비의 측정>
도 1에 도시하는 시료 조제와 같이 샘플을 비스듬히 절단하고, 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TOF-SIMS)를 사용하여, 친수기인 술폰산기, 카르복실기, 인산기, 4급 암모늄기 및 수산기를 갖는 친수성 화합물의 프래그먼트 이온에 대해서, 그 친수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외표면의 프래그먼트 이온 농도 (Sa)와 상기 중간 지점의 프래그먼트 이온 농도 (Da)를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외기에 접하는 막의 외표면과 막의 내표면과 외표면과의 중간 지점의 친수성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친수기의 농도 비, 즉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Da)를 구하였다.
(분석 장치와 측정 조건)
TOF-SIMS; ION·TOF사 제조 TOF-SIMS5
1차 이온; Bi3 2 +(가속 전압 25kV)
측정 면적; 400㎛2
측정에는 대전 보정용 중화 총을 사용
(시료 조제 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0)의 표면에 코팅층(20)이 형성된 샘플을 절삭 방향(30)을 향하여, 정밀 기울기 절삭을 행한 후, 10×10㎟ 정도의 크기로 잘라내고, 측정면에 메쉬를 대어, 샘플 홀더에 고정하고, 외기와 접하는 코팅층 표면(40) 및 막의 내부인 코팅층 내부(50)(막 두께 1/2의 지점, 기재(10)에 접하는 코팅층의 내표면)에서 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TOF-SIMS)를 사용하여 친수기 농도를 측정하였다.
(평가)
평가는 이하의 계산식으로 행하였다. 또한, 각 측정점의 이온 농도는, 상대 강도(토탈 검출 이온에 대한)를 사용하였다.
Sa/Da(친수기 농도비, 경사도)=코팅층 표면(40)에서의 친수기 농도/코팅층(20)의 막 두께 1/2의 지점에서의 친수기 농도
<수접촉각의 측정>
교와 가이멘 가가쿠사 제조의 수접촉각 측정 장치 CA-V형을 사용하여, 1 샘플에 대하여 3군데 측정하고, 이들 값의 평균값을 수접촉각의 값으로 하였다.
<헤이즈의 측정>
닛폰 덴쇼쿠 고교사 제조의 헤이즈 미터 NDH2000을 사용하여, 1 샘플에 대하여 4군데 측정하고, 이들 값의 평균값을 헤이즈의 값으로 하였다.
<표면 분석>
히타치 하이테크사 제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S-48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속 전압은 3kV, 검출기는 2차 전자 검출기(Mix)이다. 또한 전처리로서 OsO4 스퍼터를 행하였다.
<단면 분석>
히타치 하이테크사 제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S-48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속 전압은 3kV, 검출기는 2차 전자 검출기(Mix)이다. 또한 전처리로서 동결 할단 후, OsO4 스퍼터를 행하였다.
<방오성의 평가>
오염 의사 물질로서, 올레산 100g과 피마자유 150g과 Mitsui Blue RR 0.4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후, 「오염 물질」이라고 약기함)을 조제하였다. 이 오염 물질을 시험체 표면에 약 2ml 적하하고, 오염 물질을 시험체 표면에 펼친 후, 증류수로 분무 50회를 실시하고, 눈으로 오염 상태를 판정하였다.
시험 시트 표면에 오염 물질의 부착이 거의 없어진 경우: ○
약간 부착되어서 남아있는 경우: △
명백하게 부착되어 남아있는 경우: ×
<호기(呼氣) 방담성의 평가>
호기에 의해 흐려지지 않은 경우를 ○, 흐려진 경우를 ×라 하였다.
<반사율>
히다치 세이사쿠쇼 제조의 분광 광도계 U4100형을 사용하여 전반사법으로 측정하였다. 레퍼런스는 스펙트라론 SRS-99 표준 백판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400㎚ 내지 800㎚의 반사율의 평균값을 반사율의 값으로 하였다.
<정지 마찰 계수>
주식회사 인테스코 제조의 만능 재료 시험기 2001형을 사용하여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23.0℃
시험 속도: 200㎜/min
처리 조건: 대(對) 도레이씨(도레이 주식회사 제조, OA 도레이씨), 드라이 조건
추: 199.0g
<방담 내구성 수접촉각>
300g 일정 하중에 있어서 1000회 도레이씨(도레이 주식회사 제조, OA 도레이씨)로 닦은 후의 수접촉각을, 교와 가이멘 가가쿠사 제조의 수접촉각 측정 장치 CA-V형을 사용하여, 1 샘플에 대하여 3군데 측정하고, 이들 값의 평균값을 방담 내구성 수접촉각으로 하였다.
<방담 내구성 호기 방담성>
300g 일정 하중에 있어서 1000회 도레이씨로 닦은 후, 23℃로 하여 호기에 의해 흐려지지 않은 경우를 ○, 흐려진 경우를 ×라 하였다.
[실시예 1]
(중합성 조성물 1의 조제)
하기 표 1에 따라, 고형분 80wt%의 중합성 조성물 1을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중합성 조성물 2의 조제)
하기 표 2에 따라, 고형분 80wt%의 중합성 조성물 2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98
(코팅용 조성물 1의 조제)
중합성 조성물 1 7.0g과 중합성 조성물 2 3.0g의 혼합 용액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0.24g, 희석제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10.0g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1을 조제하였다.
(코팅용 조성물 2의 조제)
하기 표 3에 따라, 고형분 25wt%의 코팅용 조성물 2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99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
폴리메타크릴산 메틸판(닛토 쥬시사 제조 상품명 CLAREX 범용판 투명, 이하PMMA판이라 약기함)에, 코팅용 조성물 1을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또한, 피치 250㎚, 높이 36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SCIVAX사 제조)에, 코팅용 조성물 2를 바 코터 #4로 도포하고, 70℃,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가열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1의 도포층의 위에, 건조시킨 상기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을 갖는 수지 몰드를 코팅용 조성물 1의 도포층과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 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판의 이면에도 마찬가지로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행하고, PMMA판의 양면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게재한다. 또한, 형성한 단층막의 표면도를 도 2에, 단면도를 도 3에 도시한다.
[비교예 1]
가시광 이하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SCIVAX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중합성 조성물 및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게재한다.
Figure pct00100
[실시예 2]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1을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또한,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에, 코팅용 조성물 2를 바 코터 #4로 도포하고, 70℃,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가열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1의 도포층의 위에,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을 갖는 수지 몰드를, 코팅용 조성물 1의 도포층과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판의 이면에도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게재한다.
[실시예 3]
중합성 조성물 1 8.0g과 중합성 조성물 2 2.0g의 혼합 용액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0.24g, 희석제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10.0g을 첨가해서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3을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게재한다.
[실시예 4]
중합성 조성물 1 10.0g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0.24g, 희석제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10.0g을 첨가해서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4를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게재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에, 코팅용 조성물 2를 도포, 건조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게재한다. 또한, 친수기 농도비의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조제예 1: 10wt% DS-Na의 조제)
디스테아릴술포숙신산 나트륨(이하 DS-Na라 약기함) 10g, 물 30g, 및 1-메톡시-2-프로판올(이하 PGM이라 약기함) 60g을 혼합해 고형분 10wt%의 DS-Na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Figure pct00101
(조제예 2: 10wt% STS-Na의 조제)
p-스티렌술폰산 나트륨(이하 STS-Na라 약기함) 10g에, 물 30g, 및 PGM 60g을 혼합해 고형분 10wt%의 STS-Na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코팅용 조성물 5의 조제,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
10wt% STS-Na 혼합액(조제예 2) 15.0g, 10wt% DS-Na 혼합액
(조제예 1) 1.0g과 EA5721를 50.0g 혼합한 용액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1.55g, 희석제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63.0g을 첨가해서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5를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게재한다.
Figure pct00102
Figure pct00103
[비교예 2]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3]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4]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중합성 조성물 및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5]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중합성 조성물 및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6]
폴리메타크릴산 메틸판(닛토 쥬시사 제조 상품명 CLAREX 범용판 투명)의 수접촉각, 반사율, 정지 마찰 계수, 방오성의 평가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7]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수접촉각, 반사율, 정지 마찰 계수, 방오성의 평가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8]
유리판의 수접촉각, 반사율, 정지 마찰 계수, 방오성의 평가 결과를 표 7에 게재한다.
[비교예 9]
A-BPE-10(신나카무라 가가쿠사 제조) 10g과, 1-메톡시-2-프로판올 15g의 혼합 용액에,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사 제조) 0.3g을 첨가해서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6을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6을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가열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6의 도포층의 위에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를 코팅 조성물 6의 도포층과 수지 몰드의 요철면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판의 이면에도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15㎛의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8에 게재한다.
[비교예 10]
비교예 9와 마찬가지로 제작한 반사 방지 단층막 표면에 대하여, 추가로 SiO2(주식회사 고쥰도 가가쿠 겐쿠쇼 제조)를 스퍼터한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였다.
(스퍼터 장치, 타깃, 스퍼터 조건)
장치: 스퍼터 박막 형성 장치, 주식회사 알박사 제조
형식: JSP-8000
타깃: SiO2
제조원: 주식회사 고쥰도 가가쿠 겐큐쇼
SILICON(IV) OXIDE TARGET
산화규소(IV) 타깃 SiO2
순도: 99.99%
형상: 101.6Φ×5t
스퍼터 조건
프리 스퍼터(전처리, 세정)
가스종: Ar
유량(sccm): 15
압력: 4.7×10-1
밸브: HALF
DC 파워: -
RF 파워(W): 400
Time(s): 120
온도(℃): RT
SiO2 스퍼터
가스종: Ar
유량(sccm): 15
압력: 4.7×10-1
밸브: HALF
DC 파워(W): -
RF 파워(W): 400
Time(s): 2500
온도(℃): RT
RF
Pr(W): 0
T(%): 40
M(%): 60
VDC(V): -660
VPP(V): -
DC
VOLT(V):
CURRENT(A):
상기 조건에서 스퍼터한 SiO2의 막 두께는 63㎚였다. 막 두께는 실리콘 웨이퍼를 샘플과 동시에 스퍼터하고, 실리콘 웨이퍼 위의 SiO2의 막 두께를 엘립소미터에 의해 측정하여 구하였다.
[비교예 11]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도쿄 가세이 고교 주식회사 제조) 5g, EA-5721(신나카무라 가가쿠사 제조) 5g, 및 1-메톡시-2-프로판올 10g의 혼합 용액에,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사 제조) 0.3g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고형분 50wt%의 코팅용 조성물 7을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7을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가열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7의 도포층의 위에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를 코팅 조성물 7의 도포층과 수지 몰드의 요철면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이면에도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15㎛의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8에 게재한다.
Figure pct00104
Figure pct00105
[실시예 7]
(조제예 3: 10wt% AS-Na의 조제)
알릴술폰산 나트륨(이하 AS-Na라 약기함) 10g, 물 30g, 및 PGM 60g을 혼합해 고형분 10wt%의 AS-Na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하기 표 9에 따라, 고형분 40wt%의 중합성 조성물 3을 제작하였다.
Figure pct00106
(코팅용 조성물 8의 조제)
중합성 조성물 3 10.0g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0.12g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8을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1에 게재한다.
[실시예 8]
(코팅용 조성물 9의 조제)
중합성 조성물 2 10.0g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0.24g, 희석제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 10.0g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9를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1에 게재한다.
[실시예 9]
(조제예 4: 10wt% LS-Na의 조제)
알릴술폰산 나트륨(이하 LS-Na라 약기함) 10g, 물 30g, 및 PGM 60g을 혼합해 호모믹서(프라이믹스 주식회사, 로보믹스(등록 상표) S-model)를 사용하여 15000rpm으로 3분간 뒤섞어, 고형분 10wt%의 LS-Na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조제예 5: 10wt% ATBS-Na의 조제)
수산화나트륨 1.63g, PGM 55.8g, 물 27.06g, 및 ATBS 8.51g을 혼합해 고형분 10wt%의 ATBS-Na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하기 표 10에 따라, 고형분 40wt%의 중합성 조성물 4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107
(코팅용 조성물 10의 조제)
중합성 조성물 4 10.0g에 UV 중합 개시제로서 다로큐어 1173(BASF) 0.12g을 첨가해서 혼합하여, 고형분 40wt%의 코팅용 조성물 10을 조제하였다.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UV 조사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1에 게재한다.
Figure pct00108
[비교예 12]
가시광 이하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중합성의 고점조 액체 및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12에 게재한다.
[비교예 13]
가시광 이하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중합성의 고점조 액체 및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12에 게재한다.
[비교예 14]
가시광 이하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로 나노임프린트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중합성의 고점조 액체 및 코팅용 조성물의 제작, 기재에 대한 코팅, 및 UV 조사를 행하여, 단층막을 얻었다. 결과를 표 12에 게재한다.
Figure pct00109
[실시예 10]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4를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또한,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에, 코팅용 조성물 2로부터 3-(N,N-디메틸팔미틸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을 뺀 코팅용 조성물 11을 바 코터 #4로 도포하고, 70℃,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가열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의 위에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11의 도포층을 갖는 수지 몰드를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과 코팅용 조성물 11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의 이면에도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이면에도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본 단층막의 수접촉각은 11.2°이며, 반사율은 1.25%였다.
[실시예 11]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4를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0.5mW/㎠, 적산 광량 UVA<1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코팅용 조성물 4를 절반 경화하였다. 이어서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를 상기 반경화시킨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판의 이면에도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본 단층막의 수접촉각은 29.6°이며, 반사율은 1.25%였다.
[실시예 12]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4를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0.5mW/㎠, 적산 광량 UVA<1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코팅용 조성물 4를 반경화하였다. 또한,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에, 코팅용 조성물 2를 바 코터 #4로 도포하고, 70℃,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경화시킨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의 위에,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을 갖는 수지 몰드를,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과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판의 이면에도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본 단층막의 수접촉각은 4.8°이며, 반사율은 1.25%였다.
[실시예 13]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4를 바 코터 #7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0.5mW/㎠, 적산 광량 UVA<1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코팅용 조성물 4를 반경화하였다. 또한, 피치 350㎚, 높이 3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FleFimo 소켄 가가쿠사 제조)에, 코팅용 조성물 2를 바 코터 #4로 도포하고, 70℃,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반경화시킨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의 위에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을 갖는 수지 몰드를,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과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2.7㎛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PMMA판의 이면에도 마찬가지의 기재에 대한 코팅, 나노임프린트 및 UV 조사를 행하여, PMMA판의 양면에 2.7㎛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본 단층막의 수접촉각은 4.4°이며, 반사율은 1.25%였다.
[실시예 14]
PMMA판에, 코팅용 조성물 4를 바 코터 #30으로 도포하고, 70℃, 5분간 가열하였다. 또한,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주기 180㎚, 볼록부의 주기에 차지하는 비율이 0.33, 높이 200㎚의 요철 구조를 갖는 나노임프린트용 수지 몰드에, 코팅용 조성물 2를 바 코터 #4로 도포하고, 70℃, 2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가열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의 위에, 건조시킨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을 갖는 수지 몰드를, 코팅용 조성물 4의 도포층과 코팅용 조성물 2의 도포층이 중첩되도록 맞추어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수지 몰드의 요철 구조를 코팅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물에 전사해 1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UV 조사를 수지 몰드를 맞댄 면, 및 반대 측의 면, 양측으로부터 조사(자외선 경화용 메탈할라이드 램프, UB012-5BM 아이 그래픽 주식회사 제조, 조도 UVA 300mW/㎠, 적산 광량 UVA 3400mJ/㎠, 헤레우스사 UVCURE PLUSII로 측정)하여, PMMA판 위에 15㎛의 친수성 표면을 갖는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편광자가 되는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단층막을 형성시켰다. 평가 결과를 표 13에 게재한다. 또한 단층막의 표면도를 도 4에 기재한다.
Figure pct00110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는,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도 친수기가 표면에 편석된 경화물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친수성 반사 방지막 및 그의 적층체는, 종래의 모스아이 구조를 갖는 적층체에서는 피지 등 부착된 오염이 떨어지기 어려운 과제를 극복하여 높은 방오 성능을 갖는다. 또한 표면이 친수성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미끄럼성을 갖고, 내구성이 우수한 친수성 반사 방지막 및 그의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경화물, 예를 들어 단층막은, 반사 방지 재료, 방담 재료, 방오 재료 등으로서, 다양한 용도에 유용하다.
10: 기재
20: 코팅층
30: 절삭 방향
40: 코팅층 표면
50: 코팅층 내부

Claims (21)

  1.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는 단층막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 내지 800㎚의 범위이고,
    당해 단층막이,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I), 및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II)(단,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음)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A)의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층막의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1)과 당해 단층막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1)의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1/Da1)이 1.1 이상인 단층막.
  2.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는 단층막이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 내지 800㎚의 범위이고,
    당해 단층막이,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친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I')(단 친수기가 수산기를 갖는 기인 경우에는,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는 하나임),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II)(단, 수산기는 가져도 되지만,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는 모두 갖지 않음), 및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 또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적어도 갖는 친수부와 유기 잔기로 이루어지는 소수부를 갖는 계면 활성제 (III)(단,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 않음)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B)의 가교 수지로 이루어지고,
    당해 단층막의 음이온성 친수기 및 양이온성 친수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기의 최표면 농도 (Sa2)와 당해 단층막 1/2 지점에 있어서의 친수기의 심부 농도 (Da2)의 친수기 농도의 경사도 (Sa2/Da2)가 1.1 이상인 단층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경화의 중합성 조성물 (A) 또는 (B)로 이루어지는 막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부여할 때, 당해 막의 표면이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I') 또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친수기 하나 이상과,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기 하나 이상을 갖는 화합물 (IV)에 의해 처리되어 있는 단층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의 정점 간의 거리가 100㎚ 내지 600㎚의 범위인 단층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다른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n, (상기 단층막 내의) 그 Pn의 평균값을 Pave라 하고,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점의 높이를 h=0이라 하고, 상기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의 높이를 h=Hn, 그 Hn의 평균값을 Have라 했을 때,
    Have/Pave가 0.1 내지 5.0의 범위인 단층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뿔체 형상인 단층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가장 높은 정점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모든 볼록부의 정점은 h=H의 높이의 xy 평면과 거의 1점에서 접하고, 모든 오목부의 바닥점은 h=0의 높이의 xy 평면과 거의 1점에서 접하는 단층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 구조의 상기 볼록부는 계단상의 측면을 갖는 단층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과 당해 볼록부에 가장 가까운 다른 볼록부의 정점과의 거리를 Pn, (상기 단층막 내의) 그 Pn의 평균값을 Pave라 하고,
    임의의 볼록부의 정점으로부터 거리 Pave의 범위 내에, 3개 내지 6개의 범위의 오목부의 바닥점이 있는 단층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가장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가장 높은 정점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높이가 0을 초과하고 H 미만인 범위의 임의의 높이의 xy 평면에 있어서, 볼록부의 단면이 원 형상인 단층막.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요철 구조의 주기가 200㎚ 이하이고, 볼록부의 주기에 차지하는 비율이 0.25 이상 0.76 이하이고, 요철 구조의 높이 방향의 좌표축을 h축, h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xy 평면이라 하고, 오목부의 낮은 저점의 높이를 h=0, 볼록부의 높이를 h=H라 했을 때, H가 0.05 내지 0.5㎛인 단층막.
  12. 제1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A)로부터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도막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공정,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 요철 구조를 도막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
    요철 구조가 형성된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 및
    경화하여 얻어진 막으로부터 성형형을 이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단층막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2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B)로부터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성형형을 도막 표면에 밀착시켜, 요철 구조를 도막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
    요철 구조가 형성된 도막을 경화하는 공정, 및
    경화하여 얻어진 막으로부터 성형형을 이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2항에 기재된 단층막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I') 또는 음이온성 친수기, 양이온성 친수기로부터 선택되는 친수기 하나 이상과, 아미노기, 머캅토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기 하나 이상을 갖는 화합물 (IV)가, 요철 구조에 대응된 패턴을 갖는 표면에 도포된 성형형에 의해, 요철 구조를 도막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을 행하는 단층막의 제조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위에 단층막을 형성하는 단층막의 제조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층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막.
  17. 제11항에 기재된 단층막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금속막을 적층한 편광자.
  1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층막, 제16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막 및 제17항에 기재된 편광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투명 재료.
  19.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층막, 제16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막 및 제17항에 기재된 편광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광학 물품.
  20. 제18항에 기재된 투명 재료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1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층막과 기재로 형성되는 적층체.
KR1020177025298A 2015-03-09 2016-03-08 친수성 광학 기능성 단층막 및 그의 적층체 KR20170117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6090 2015-03-09
JP2015046090 2015-03-09
PCT/JP2016/057121 WO2016143778A1 (ja) 2015-03-09 2016-03-08 親水性光学機能性単層膜およびその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122A true KR20170117122A (ko) 2017-10-20

Family

ID=5688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98A KR20170117122A (ko) 2015-03-09 2016-03-08 친수성 광학 기능성 단층막 및 그의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36995A1 (ko)
EP (1) EP3270192A4 (ko)
JP (1) JPWO2016143778A1 (ko)
KR (1) KR20170117122A (ko)
CN (1) CN107430213A (ko)
BR (1) BR112017019270A2 (ko)
WO (1) WO20161437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34B1 (ko) * 2021-06-04 2022-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염성 질병 확산방지를 위한 미세구조 필름
KR20230074710A (ko) * 2020-07-24 2023-05-31 칼 자이스 비전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항균 및/또는 항바이러스 특성을 갖는 안경 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9353B1 (en) * 2017-09-26 2022-04-20 Sharp Kabushiki Kaisha Synthetic polymer film whose surface has microbicidal activity,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polymer film, and sterilization method with use of surface of synthetic polymer film
JP6751731B2 (ja) 2018-02-21 2020-09-09 シャープ株式会社 合成高分子膜および合成高分子膜の製造方法
JP6761437B2 (ja) 2018-03-15 2020-09-23 シャープ株式会社 殺菌作用を備えた表面を有する合成高分子膜、合成高分子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製品、合成高分子膜の表面を用いた殺菌方法、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合成高分子膜の製造方法
JP2019217735A (ja) * 2018-06-22 2019-12-26 三井化学株式会社 透明基材に親水性層と反射防止層とが設けられた多層構造体
TWI753823B (zh) * 2021-04-30 2022-01-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抗反射節能膜結構及其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8184B2 (ja) * 2005-12-02 2014-12-10 三井化学株式会社 単層膜およびこれからなる親水性材料
JP4961941B2 (ja) * 2006-10-23 2012-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2220B2 (ja) * 2009-03-03 2015-07-0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2644646B1 (en) * 2010-12-28 2015-08-19 Mitsubishi Rayo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light-transmitting film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JP2012242525A (ja) * 2011-05-17 2012-12-10 Dnp Fine Chemicals Co Ltd 特定の表面形状を有する構造体及び該構造体の製造方法
US20150126682A1 (en) * 2012-06-12 2015-05-07 Mitsui Chemicals, Inc. Hydrophilic modified acrylic resin film
JP2014071326A (ja) * 2012-09-28 2014-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4710A (ko) * 2020-07-24 2023-05-31 칼 자이스 비전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항균 및/또는 항바이러스 특성을 갖는 안경 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8734B1 (ko) * 2021-06-04 2022-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염성 질병 확산방지를 위한 미세구조 필름
WO2022255602A1 (ko) * 2021-06-04 2022-12-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염성 질병 확산방지를 위한 미세구조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3778A1 (ja) 2016-09-15
JPWO2016143778A1 (ja) 2017-12-28
CN107430213A (zh) 2017-12-01
US20180036995A1 (en) 2018-02-08
EP3270192A1 (en) 2018-01-17
EP3270192A4 (en) 2018-10-31
BR112017019270A2 (pt)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7122A (ko) 친수성 광학 기능성 단층막 및 그의 적층체
KR101804083B1 (ko) 친수성 경화물용 조성물
KR101432455B1 (ko) 단층막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재료
JP5638184B2 (ja) 単層膜およびこれからなる親水性材料
KR101644718B1 (ko) 단층막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재료
JP5881828B2 (ja) 親水性の変性アクリル樹脂膜
TWI542626B (zh) Composition and film formed by it
KR20190038867A (ko) 반사 방지성 적층체
KR101870554B1 (ko) 친수성 단층막
JP2014080471A (ja) 単層膜及びこれからなる親水性材料
JP2013023648A (ja) 単層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