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09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094A
KR20170117094A KR1020177024034A KR20177024034A KR20170117094A KR 20170117094 A KR20170117094 A KR 20170117094A KR 1020177024034 A KR1020177024034 A KR 1020177024034A KR 20177024034 A KR20177024034 A KR 20177024034A KR 20170117094 A KR20170117094 A KR 20170117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washing
water
circulation channe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749B1 (ko
Inventor
타케시 카와카미
요시카즈 반바
카츠미 오에
타카아키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하이얼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하이얼 아시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실밥 등을 양호하게 수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였다.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탈수조(22); 세탁탈수조(22)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24); 세탁탈수조(22)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펄세이터(24)의 회전에 의해 보내진 물을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하는 순환 수로(26); 및 순환 수로(26)에 장착되고, 순환 수로(26)에서 세탁탈수조(22) 내로 되돌아오는 물을 유입구(122)에서 흡입하고 통과시키며, 통과되는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을 수집하는 필터유닛(28)을 포함한다. 세탁탈수조(22)는 통 몸체부(22a)와 통 몸체부(22a) 하부에 장착된 바닥부(22b)를 포함하고 필터유닛(28)은 통 몸체부(22a)와 바닥부(22b) 사이를 걸치도록 세탁탈수조(22)의 하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자동 세탁기에서 세탁 시 세탁물에서 나오는 실밥과 먼지를 모으기 위한 구조의 하나로는 아래의 실밥 수집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즉, 세탁탈수조의 측면부에 순환 수로가 형성되고 순환 수로에는 필터유닛이 자유로이 탈장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순환 수로는 펄세이터(pulsator)의 측면에 연결된다. 펄세이터의 배면에 날개가 설치되고 펄세이터가 회전 시 배면의 날개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밀려 나가는 물은 순환 수로 내로 도입된다. 순환 수로 내로 도입된 물은 순환 수로 내에서 상승되고 필터유닛을 거쳐 세탁탈수조 내로 되돌아 오게 된다. 물이 필터유닛 내를 통과 시, 물 중에 함유된 실밥 등은 필터유닛에 수집된다(특허문헌1을 참조).
특허문헌1:일본 특개2013-141553호 공보 상기의 실밥 수집 구조에 관하여, 작동 코스, 부하량 등 원인으로 인해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낮아지거나 세탁탈수조의 물 수위가 낮을 시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물이 펌핑되는 높이 즉 수위차가 낮아지게 되고 필터유닛을 거치는 수량은 감소되어 실밥 등에 대한 수집이 양호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밥 필터 수집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수위차가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실밥 등이 양호하게 수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 실시형태의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탈수조; 상기 세탁탈수조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탈수조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보내진 물을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하는 순환 수로; 및 상기 순환 수로에 장착되고, 상기 순환 수로에서 상기 세탁탈수조 내로 되돌아오는 물을 유입구에서 흡입하고 통과시키며, 통과되는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을 수집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탈수조는 통 몸체부와 해당 통 몸체부 하부에 장착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통 몸체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를 걸치도록 상기 세탁탈수조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필터유닛으로 보내는 순환 수량을 증가하여 더욱 많은 실밥 등이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물을 필터유닛으로 보내는데 수요되는 수위차를 비교적 낮게 억제시킬 수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낮을 경우, 세탁탈수조 내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도, 물을 필터유닛으로 충분히 보낼 수 있어 실밥 등의 수집은 원활하게 진행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 상기 필터유닛은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케이스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후면에 형성되고 흡입된 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유출구는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의 내측에는 물을 통과시키고 실밥 등을 머무르게 하는 필터가 배치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필터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편평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유닛의 세탁탈수조 내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이 세탁탈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도 펄세이터와의 간섭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순환 수로에 장착된 형태에서 상기 세탁탈수조의 측면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는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필터유닛이 수직상태로 순환 수로에 장착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유입구의 높이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할 경우, 필터유닛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증가된 부분에 대응되게 실밥 등이 수용되는 용적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 상기 순환 수로 내에는 상기 유입구의 상방으로 흐르려는 수류를 해당 유입구로 향하는 수류로 변경시키는 조향체가 설치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순환 수로 내를 흐르는 물은 유입구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 상기 순환 수로의 상기 유입구보다 상류 측에 더 가까운 곳에, 적어도 상기 유입구의 부근에서, 상기 세탁탈수조의 측면에서 상기 필터유닛으로 향하는 방향의 수로 너비는 상기 유입구에 근접할수록 점차 작아지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유입구로 향하는 물의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어 물은 실밥 등과 함께 강력하게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이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더 나아가,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제 1부재 및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2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부재 및 상기 제 2부재는 전후 방향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부재에서 상기 유입구보다 상방에 더 근접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차양(eaves) 형상의 돌출체가 설치된다.
상기 구조를 통해, 필터유닛이 순환 수로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체에 의해 순환 수로 내의 수류는 변경되어 물은 유입구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을 순환 수로에서 분리하여 실밥 등을 회수할 경우, 돌출체를 손잡이로 사용함으로써 제 1부재와 제 2부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밥 등을 양호하게 수집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의미는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유닛이 장착된 순환 수로의 주변부분의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수로 형성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변경예1에 따른 필터유닛이 장착된 순환 수로의 주변부분의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는 변경예2에 따른 필터유닛이 장착된 순환 수로의 주변부분의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기의 일 실시형태인 전자동 세탁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자동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전자동 세탁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상면,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 통형의 세탁기 몸체부(11), 세탁기 몸체부(11)의 상면을 덮는 상부 패널(12) 및 세탁기 몸체부(11)를 지지하는 받침대(13)를 포함한다. 상부 패널(12)에는 세탁물의 투입구(14)가 형성된다. 투입구(14)는 자유로이 개폐하는 상 덮개(15)에 의해 덮힌다.
하우징(10) 내에, 외조(20)는 진동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4 개의 현수봉(21)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려 지지된다. 외조(20) 내에 세탁탈수조(22)가 배치된다.
세탁탈수조(22)는 원통형의 통 몸체부(22a) 및 얕은 그릇형의 바닥부(22b)로 형성된다. 바닥부(22b)는 나사 고정 등 고정 방법을 사용하여 통 몸체부(22a)의 하부에 장착된다.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에 다수의 탈수홀(22c)이 형성된다. 또한 세탁탈수조(22)의 바닥면에 복수의 통수홀(22d)이 형성된다. 또한 세탁탈수조(22)의 상부에 균형링(23)이 설치된다.
외조(20)의 바닥부에 펄세이터(24)가 배치된다. 펄세이터(24)의 표면에 표면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24a)가 형성된다. 또한, 펄세이터(24)의 배면에 배면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양수(pumping) 날개(24b)가 형성된다. 이러한 양수 날개(24b)는 펄세이터(24)의 배면과 세탁탈수조(2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펌프 챔버(25)에 배치된다.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순환 수로(26)는 수로 형성 부재(27)와 세탁탈수조(22)의 통 몸체부(22a) 및 바닥부(22b)로 형성된다. 순환 수로(26)의 하단부는 펌프 챔버(25)와 연결된다. 필터유닛(28)은 순환 수로(26), 즉 순환 수로(26)를 구성하는 수로 형성 부재(27)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유닛(28)은 통 몸체부(22a)와 바닥부(22b) 사이를 세로 걸치도록 세탁탈수조(2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필터유닛(28)은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진다.
외조(20)의 외부 바닥부에 세탁탈수조(22)와 펄세이터(24)를 구동하는 토크를 생성시키는 구동유닛(30)이 배치된다. 구동유닛(30)은 구동모터(31) 및 전달기구부(32)를 포함한다. 전달기구부(32)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하고, 해당 클러치기구에 의해 진행되는 전환조작을 통해 세탁 과정 및 헹굼 과정에서 구동모터(31)의 토크를 펄세이터(24)로만 전달시켜 펄세이터(24)만 회전시키며, 탈수과정에서 구동모터(31)의 토크를 펄세이터(24) 및 세탁탈수조(22)로 전달시켜 펄세이터(24) 및 세탁탈수조(22)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또한, 전달기구부(32)는 감속기구를 구비한다. 세탁 과정 및 헹굼 과정에서 펄세이터(24)는 구동모터(31)의 회전속도가 감속기구의 감속비에 따라 낮아진 후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외조(20)의 바닥부에 배수구부(20a)가 형성된다. 배수구부(20a)에 배수 밸브(40)가 설치된다. 배수 밸브(40)는 배수 호스(41)에 연결된다. 배수 밸브(40)가 열리게 되면, 세탁탈수조(22) 및 외조(20)에 저장된 물은 배수 호스(41)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 패널(12)의 후방에는 수돗물을 세탁탈수조(22) 내로 제공하는 급수유닛(50)이 배치된다. 급수유닛(50)은 급수 밸브(51)를 구비한다. 급수 밸브(51)는 수도꼭지와 연결된다. 급수 밸브(51)가 열리게 되면, 수돗물은 수도꼭지에서 급수유닛(50)으로 도입된다. 도입된 수돗물은 급수유닛(50)의 주수구(52)에서 세탁탈수조(22) 내로 흐르게 된다.
전자동 세탁기(1)는 각종 작동 코스의 세탁 작동을 실시한다. 세탁 작동은 세탁 과정, 중간 탈수 과정, 헹굼 과정 및 최종 탈수 과정을 포함한다.
세탁 과정 및 헹굼 과정에 세탁탈수조(22) 내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펄세이터(24)는 오른쪽 방향 및 왼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24)의 회전에 의해 세탁탈수조(22) 내에 수류가 생성된다. 세탁 과정에서 생성된 수류 및 물에 함유된 세제에 의해 세탁물은 세탁된다. 헹굼 과정에서 생성된 수류에 의해 세탁물은 헹굼된다.
중간 탈수 과정 및 최종 탈수 과정에서 세탁탈수조(22) 및 펄세이터(24)는 일체로 고속 회전된다. 세탁물은 세탁탈수조(22)에 생성되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탈수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는 순환 수로(26) 및 필터유닛(28)으로 구성된 실밥 수집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하, 실밥 수집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필터유닛(28)이 장착된 순환 수로(26)의 주변부분의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필터유닛(28)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필터유닛(28)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3(b)는 필터유닛(28)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a)는 폐쇄 형태의 필터유닛(28)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b)는 개방 형태의 필터유닛(28)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수로 형성 부재(27)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필터유닛(28)은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작고 전후 방향으로 편평한 케이스 형상을 구비한다. 필터유닛(28)은 후방으로 개방된 전방 케이스(110) 및 전방으로 개방된 후방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전방 케이스(110)는 본 발명의 제 1부재에 해당되고 후방 케이스(120)는 본 발명의 제 2부재에 해당된다.
전방 케이스(110) 및 후방 케이스(120)는 후방 케이스(120)가 전방 케이스(110) 내측에 끼워지도록 전후 방향에서 중첩되고, 따라서 필터유닛(28)의 내부에 실밥 등이 저장될 수 있는 수용부(130)가 형성된다. 후방 케이스(12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축부(121)는 전방 케이스(1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축홀(111)에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케이스(120)가 축부(12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면,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는 개방된 상태로 된다.
전방 케이스(110)의 전면에 유출구(112)가 형성된다. 유출구(112)는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유출홀(112a)로 형성된다. 유출구(112)의 내측에 메쉬 시트(mesh sheet)로 구성된 필터(113)가 접착되고, 각 유출홀(112a)은 필터(113)에 의해 덮힌다.
전방 케이스(110)의 상단부에 걸림 클로부(114)가 형성된다. 걸림 클로부(114)는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잇는 본체부(114a) 및 본체부(11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클로부(114b)(claw)를 포함한다. 전방 케이스(110)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착 리브(115)가 형성된다.
후방 케이스(120)의 후면에는 상부에 가로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 유입구(122)가 형성된다. 유입구(122)의 상 가장자리부에 차양(eaves) 형상의 돌출편(123)이 형성된다. 돌출편(123)은 유입구(122)의 횡 방향 너비와 대략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전방 케이스(110)의 측면보다 더욱 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편(123)은 본 발명의 조향체 및 돌출체에 해당된다.
수로 형성 부재(27)에는 필터유닛(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가 대폭 벌려진 장착구부(201)가 형성된다. 장착구부(201)는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고 약간 상방으로 향한다. 장착구부(201)의 변두리부(202)는 그 주변보다 약간 패어 있다. 변두리부(202)의 상부에 장착구부(201) 내로 약간 돌출된 걸림편(203)이 형성된다. 변두리부(202)의 하부에는 전방 케이스(110)의 장착 리브(115)에 대응되는 리브 소켓구(rib socket)(204)가 형성된다.
수로 형성 부재(27)의 하단부에 원호형의 홈부(205)가 형성된다. 수로 형성 부재(27)가 세탁탈수조(22) 내에 장착되면, 해당 홈부(205)는 세탁탈수조(22)의 바닥부(22b)에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링형 홈부의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세이터(24)의 외주연에 형성된 링형 리브(24c)는 홈부(205)에 포함된 링형 홈부에 삽입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유닛(28)은 수로 형성 부재(27)의 장착구부(201)에 장착된다. 전방 케이스(110)의 끝단부는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 및 양측부는 기타 부위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고, 해당 돌출부분은 장착구부(201)의 변두리부(202)에 끼워짐으로써, 필터유닛(28)은 상하 좌우 방향 및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 클로부(114)의 클로부(114b)는 걸림편(203)의 배면 측에 결림되고 장착 리브(115)는 리브 소켓구(204)에 끼워짐으로써, 필터유닛(28)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28)을 장착구부(201)에 장착할 때, 사용자는 먼저 필터유닛(28)의 하단의 장착 리브(115)를 리브 소켓구(204)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클로부(114b)가 걸림 시트(203)보다 낮도록 걸림 클로부(114)를 하방으로 굴곡시킴과 동시에 필러유닛(28)의 상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필터유닛(28)이 장착구부(201)에 완전히 장착되면서 클로부(114b)가 걸림편(203)의 배면 측에 도달했을 때, 사용자는 걸림 클로부(114)의 굴곡을 풀어주어 클로부(114b)를 걸림편(203)에 걸림시킨다.
필터유닛(28)이 수로 형성 부재(27), 즉 순환 수로(26)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유닛(28)의 돌출편(123)의 끝단부는 순환 수로(26)의 후면을 구성하는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에 근접한다. 또한, 필터유닛(28)의 유입구(122)보다 순환 수로(26) 내의 상류 측에 더 가까운 곳에, 후방 케이스(120)의 후면과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순환 수로(26)의 전후 방향의 너비(W)는, 유입구(122) 부근의 영역을 포함하는 세탁탈수조(22)의 통 몸체부(22a)의 모음부(22e)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유입구(122)에 근접할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좁혀진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필터유닛(28)의 실밥 등의 수집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세탁 과정 또는 헹굼 과정에서, 펄세이터(24)가 회전 시 양수 날개(24b)에 의한 양수 작용을 통해, 세탁탈수조(22) 및 외조(20) 사이의 물은 통수홀(22d)을 통과하여 펌프 챔버(25) 내로 흡입되며 외주 방향으로 밀려 나간다. 밀려 나간 물은 순환 수로(26) 내로 도입되고 순환 수로(26) 내에서 상승하며 유입구(122)를 통해 필터유닛(28)의 수용부(130) 내로 유입된다. 이때, 물 중에 함유된 실밥 등도 수용부(130) 내로 유입된다.
돌출편(123)이 유입구(122)의 상방에서 돌출되어, 순환 수로(26) 내에서 유입구(122)의 상방으로 흐르려는 수류는 해당 돌출편(123)에 의해 유입구(122)로 향하는 수류로 변경된다. 따라서, 순환 수로(26) 내에서 상승하는 물은 유입구(122)로 원활하게 도입된다. 더 나아가, 유입구(122)의 부근에서 순환 수로(26)의 전후 방향의 너비(W)는 점차 작아지도록 좁혀지므로, 유입구(122)로 향하는 물의 유속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물은 실밥과 함께 유입구(122)로 강력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필터유닛(28)의 수용부(130) 내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113) 및 유출구(112)의 각 유출홀(112a)을 통과하여 세탁탈수조(22) 내로 흐르게 된다. 이때, 실밥 등은 필터(113)를 통과하지 못하여 수용부(130) 내에 남게 된다.
세탁 작동이 반복적으로 실시되는 기간동안, 실밥 등은 필터유닛(28)의 수용부(130) 내에 남게 된다. 사용자는 필터유닛(28)을 순환 수로(26)에서 분리하고, 한 손으로 전방 케이스(1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후방 케이스(120)의 돌출편(123)을 후방으로 잡아 당긴다.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사용자는 필터유닛(28) 내에서 실밥 등을 꺼내여 버릴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터유닛(28)은 통 몸체부(22a)와 바닥부(22b) 사이를 세로 걸치도록 세탁탈수조(22)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설치되므로, 펌프 챔버(25)에 의해 생성된 수위차가 동일한 경우에도 필터유닛(28)으로 보내지는 수량은 증가될 수 있어, 그 결과 더 많은 실밥 등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다시 말해서, 물을 필터유닛(28)으로 보내는데 수요되는 수위차를 비교적 낮게 억제시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펄세이터(24)의 회전속도가 낮을 경우, 세탁탈수조(22) 내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도, 물을 필터유닛(28)으로 충분하게 보낼 수 있어 실밥 등의 수집은 원활하게 진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터유닛(28)은 전후 방향으로 편평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필터유닛(28)이 세탁탈수조(2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22)이 세탁탈수조(22)의 하부에 배치되어도 펄세이터(24)와의 간섭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더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터유닛(28)은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나타나도록 순환 수로(26)에 장착된다. 따라서, 수직상태로 장착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유입구(122)의 높이 위치가 동일하게 설정될 경우, 필터유닛(28)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증가된 부분에 대응되게 실밥 등이 수용되는 용적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탈수조(22)의 구조에서, 바닥부(22b)의 내경은 통 몸체부(22a)의 내경보다 작을 지라도, 필터유닛(28)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세탁탈수조(22)의 내측에 더 근접하는 위치에 놓이므로, 수로 형성 부재(27) 및 바닥부(22b)로 구성된 순환 수로(26)의 부분이 좁아지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유닛(28)에서 유입구(122)의 상방 위치에 돌출편(123)이 설치되므로, 필터유닛(28)이 순환 수로(26)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편(123)에 의해 순환 수로(26) 내의 수류는 변경되어 물은 유입구(122)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28)을 순환 수로(26)에서 분리하여 실밥 등을 회수할 경우, 돌출편(123)을 손잡이로 사용함으로써,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순환 수로(26)의 전후 방향의 너비(W)는 적어도 유입구(122)의 부근에서 유입구(122)로 근접할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좁하지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122)로 향하는 물의 유속은 높아지게 되고 물은 실밥과 함께 유입구(122)로 강력하게 유입될 수 있으므로 실밥 등의 수집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기 이외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변경예 1>
도 6은 변경예1에 따른 필터유닛(28A)이 장착된 순환 수로(26A)의 주변부분의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필터유닛(28A) 및 순환 수로(26A)를 구성하는 수로 형성 부재(27A)에 관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필터유닛(28) 및 수로 형성 부재(27)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필터유닛(28A)에서 유입구(122)의 상방에는 돌출편을 설치하지 않는다. 대신, 수로 형성 부재(27A)에 유입구(122)의 상부 후방에는 좌우로 연장하는 조향판(206)이 형성된다. 조향판(206)의 좌우 너비는 유입구(122)의 좌우 너비와 같거나 그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향판(206)의 후단은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에 근접한다. 조향판(206)은 본 발명의 조향체에 해당된다.
이런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향판(206)에 의해 순환 수로(26) 내의 수류는 변경되어 물은 유입구(122)로 원활하게 도입될 수 있다.
<변경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 내부에 실밥 등이 남을 수 있는 케이스 형상의 필터유닛(28)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루체 실밥 필터(304)를 구비하는 필터유닛(28B)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변경예2에 따른 필터유닛(28B)이 장착된 순환 수로(26A)의 주변부분의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경예에서 변경예 1과 동일하게 수로 형성 부재(27A)를 사용하였다. 필터유닛(28B)은 수로 형성 부재(27A), 즉 순환 수로(26A)에 장착된다.
필터유닛(28B)은 필터케이스(301)를 구비하고 해당 필터케이스(301)는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긴 유입구(302)를 구비한다. 필터케이스(301)의 전면에 개구부(303)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303)에 메쉬 자루로 구성된 실밥 필터(304)가 장착된다. 필터케이스(301)의 상단부에 상기 실시형태의 걸림 클로부(114)와 동일한 걸림 클로부(305)가 형성된다. 걸림 클로부(305)는 본체부(305a)와 클로부(305b)를 포함하고 클로부(305b)는 수로 형성 부재(27A)의 걸림편(203)에 걸림된다. 또한, 필터케이스(301)의 하단부에 상기 실시형태의 장착 리브(115)와 동일한 장착 리브(306)가 형성되고, 해당 장착 리브(306)는 수로 형성 부재(27A)의 리브 소켓구(204)에 끼워진다.
본 변경예의 구조에서, 순환 수로(26A)에서 유입구(302)를 통과하여 필터케이스(301)로 유입되는 물은 계속하여 실밥 필터(304)를 통과하여 세탁탈수조(22) 내로 흐르게 된다. 물 중에 포함되는 실밥 등은 실밥 필터(304) 내에 남게 된다.
본 변경예의 구조에서 필터유닛(28A)은 실밥 필터(304)의 끝단 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므로, 실밥 필터(304)와 펄세이터(24)의 접촉을 면할 수 있다.
<기타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에서, 전방 케이스(110) 및 후방 케이스(120)는 하단부에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케이스(120)는 후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는 개방된다. 그러나,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는 어떤 종류의 분리 방식이여도 모두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는 전후 방향으로 완전히 분리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 케이스(110)와 전방으로 개방되는 후방 케이스(120)를 조립시킴으로써 케이스 형상의 필터유닛(2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 형상의 필터유닛의 구조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면이 열리는 케이스와 후면을 덮는 덮개로 필터유닛을 구성하는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수로 형성 부재(27)는 상방으로 균형링(23)의 위치까지 연장되는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균형링(23)과 결합된다. 그러나, 수로 형성 부재(27)의 장착구부(20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순환 수로(26)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방의 부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는 건조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갖춘 전자동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 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2: 세탁탈수조; 22a: 통 몸체부; 22b: 바닥부; 24: 펄세이터; 26: 순환 수로; 26A: 순환 수로; 27: 수로 형성 부재; 27A: 수로 형성 부재; 28: 필터유닛; 28A: 필터유닛; 28B: 필터유닛; 110: 전방 케이스(제1부재); 112: 유출구; 113: 필터; 120: 후방 케이스(제2부재); 122: 유입구; 123: 돌출편(조향체, 돌출체); 206: 조향판(조향체).

Claims (6)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탈수조;
    상기 세탁탈수조의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탈수조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보내진 물을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하는 순환 수로; 및
    상기 순환 수로에 장착되고, 상기 순환 수로에서 상기 세탁탈수조 내로 되돌아가는 물을 유입구에서 흡입하고 통과시키며, 통과되는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을 수집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탈수조는 통 몸체부와 해당 통 몸체부 하부에 장착된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통 몸체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를 걸치도록 상기 세탁탈수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케이스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는 후면에 형성되고, 흡입된 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유출구는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의 내측에는, 물을 통과시키고 실밥 등을 포획하는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순환 수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세탁탈수조의 측면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수로 내에는 상기 유입구의 상방으로 흐르려는 수류를 상기 유입구로 향하는 수류로 변경시키는 조향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수로의 상기 유입구보다 상류 측에 더 가까운 곳의 적어도 상기 유입구의 부근에서, 상기 세탁탈수조의 측면에서 상기 필터유닛으로 향하는 방향의 수로의 너비는 상기 유입구에 근접할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제 1부재 및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부재 및 상기 제 2부재는 전후 방향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2부재에서 상기 유입구보다 상방에 더 근접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차양 형상의 돌출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77024034A 2015-01-28 2016-01-13 세탁기 KR101964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4816 2015-01-28
JP2015014816A JP2016137154A (ja) 2015-01-28 2015-01-28 洗濯機
PCT/CN2016/070778 WO2016119595A1 (zh) 2015-01-28 2016-01-13 洗衣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094A true KR20170117094A (ko) 2017-10-20
KR101964749B1 KR101964749B1 (ko) 2019-04-02

Family

ID=5654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34A KR101964749B1 (ko) 2015-01-28 2016-01-13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73188A1 (ko)
EP (1) EP3252208A4 (ko)
JP (1) JP2016137154A (ko)
KR (1) KR101964749B1 (ko)
CN (1) CN107208347A (ko)
WO (1) WO2016119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3884B2 (ja) * 2016-01-27 2021-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13265854A (zh) * 2020-02-14 2021-08-17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线屑过滤装置及波轮洗衣机
JP2023096748A (ja) * 2021-12-27 2023-07-0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フィルタ装置及び洗濯機
CN116282270B (zh) * 2023-04-17 2023-12-08 东北石油大学 一种去除洗衣机水中微塑料的方法、组件及洗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51318Y (zh) * 2005-03-16 2006-12-2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回水盖板
CN101105000A (zh) * 2007-08-02 2008-01-16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衣机布屑过滤装置
JP2013141553A (ja)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4210001A (ja) * 2013-04-18 2014-11-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977U (ko) * 1985-04-19 1986-12-10
KR0125924Y1 (ko) * 1995-05-16 1999-04-15 구자홍 세탁기
TW366015U (en) * 1997-08-16 1999-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JP3439108B2 (ja) * 1998-01-29 2003-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3296789B2 (ja) * 1998-06-26 2002-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MXPA06011181A (es) * 2004-06-01 2007-01-25 Lg Electronics Inc Una lavadora de ropa y su filtro de pelusa.
KR101115218B1 (ko) * 2004-06-01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JP5625466B2 (ja) * 2010-04-28 2014-1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CN102212956B (zh) * 2011-06-03 2012-08-15 合肥荣事达洗衣设备制造有限公司 波轮式全自动洗衣机中组合滤网
EP2728058B1 (en) * 2012-05-03 2017-12-27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Filter device of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51318Y (zh) * 2005-03-16 2006-12-2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回水盖板
CN101105000A (zh) * 2007-08-02 2008-01-16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衣机布屑过滤装置
JP2013141553A (ja)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4210001A (ja) * 2013-04-18 2014-11-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의 실밥 수집 구조에 관하여, 작동 코스, 부하량 등 원인으로 인해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낮아지거나 세탁탈수조의 물 수위가 낮을 시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물이 펌핑되는 높이 즉 수위차가 낮아지게 되고 필터유닛을 거치는 수량은 감소되어 실밥 등에 대한 수집이 양호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우려가 있게 된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3188A1 (en) 2018-03-15
EP3252208A4 (en) 2018-09-05
CN107208347A (zh) 2017-09-26
WO2016119595A1 (zh) 2016-08-04
JP2016137154A (ja) 2016-08-04
EP3252208A1 (en) 2017-12-06
KR101964749B1 (ko)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749B1 (ko) 세탁기
US20050241347A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JP5242153B2 (ja) 洗濯機
JP6343457B2 (ja) 洗濯機
KR20080081745A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JP200716739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350317B1 (ko) 세탁기
KR20150094326A (ko) 세탁기
WO2015117529A1 (zh) 洗衣机
WO2013042402A1 (ja) 洗濯機
JP6697782B2 (ja) 洗濯機
JP6933884B2 (ja) 洗濯機
JP6691028B2 (ja) 洗濯機
CN108691141B (zh) 洗衣机
JP4466531B2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7202298A1 (zh) 洗衣干衣机
US11131047B2 (en) Washing machine
KR100730923B1 (ko) 드럼세탁기의 필터 조절장치
JP5879490B2 (ja) 洗濯機
KR20170089709A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JP5802822B2 (ja) 洗濯機
JP6223274B2 (ja) 洗濯機
KR20170105331A (ko) 세탁기
JP6502139B2 (ja) 洗濯機
JP4200288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