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764A -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 Google Patents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764A
KR20170116764A KR1020160044766A KR20160044766A KR20170116764A KR 20170116764 A KR20170116764 A KR 20170116764A KR 1020160044766 A KR1020160044766 A KR 1020160044766A KR 20160044766 A KR20160044766 A KR 20160044766A KR 20170116764 A KR20170116764 A KR 2017011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t
banner
point
banner advertisem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16004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764A/ko
Publication of KR2017011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너 광고 운영 서버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를 운영함에 있어서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에 있어서,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 판단 과정;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한 회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하는 포인트 적립 과정; 회원이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할 때마다 회원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하는 포인트 차감 과정; 상기 채무지원 게시판에 요청글을 등록한 회원 중에서 채무지원받을 채무지원 대상자가 선정되면,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사용하는 회원 단말기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과정;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부터 채무 항목을 입증할 수 있는 채무 증거 자료를 수신받는 채무 증거 자료 수신 과정; 및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채무지원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확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Method for bring back banner advertisement profit}
본 발명은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으로서, 배너 광고의 수익 중 일부를 소비자에게 환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너 광고란 사전적 의미로 웹페이지에 띠 모양으로 만들어 부착하는 광고라고 정의하고 있다.
배너광고란 인기 있는 홈페이지의 한쪽에 특정 웹페이지의 이름이나 내용을 부착하여 홍보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의미하며, 이때 현수막과 같은 형태로 생겨 배너(banner)란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배너는 처음에는 사각형 모양에 도메인과 사업내용을 알리는 단순한 형태로 시작했으나, 근래에는 미리 정해진 규격에 동영상 파일 등을 이용하거나, 해당 페이지를 열면 화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광고주들은 지속적인 광고를 위하여 네이버, 구글 등과 같이 인지도가 높은 포탈 사이트에 배너 광고를 게시한다. 일반적인 배너 광고 방법은 사용자들에게 배너를 보여주는 노출횟수 혹은 클릭 횟수로 단가를 책정하여 광고주들에게 수익을 얻는다.
그런데 사용자들로 인해 광고수익이 발생하지만 사용자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은 거의 없다. 사용자들에게 배너 광고는 화면을 차지하는 귀찮은 존재이며, 광고 또한 큰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너 광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배너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등록특허 10-150212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너 광고 수익의 일부분을 회원들에게 환원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채무자에게 환원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배너 광고 운영 서버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를 운영함에 있어서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에 있어서,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 판단 과정;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한 회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하는 포인트 적립 과정; 회원이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할 때마다 회원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하는 포인트 차감 과정; 상기 채무지원 게시판에 요청글을 등록한 회원 중에서 채무지원받을 채무지원 대상자가 선정되면,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사용하는 회원 단말기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과정;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부터 채무 항목을 입증할 수 있는 채무 증거 자료를 수신받는 채무 증거 자료 수신 과정; 및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채무지원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확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배너 뷰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의 개수, 배너 일주 횟수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이 모두 완료된 횟수로 정의된다고 할 때,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의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켜 포인트가 적립되면, 회원이 열람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가 초기화되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회원이 열람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의 50%만 이월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적립 과정은, 회원이 배너 광고를 열람한 형태에 따라서 포인트 적립 레벨을 부여하는 과정;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회원의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른 포인트를 회원에게 적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라 적립되는 포인트가 다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적립 레벨은, 웹페이지에 배너 뷰만 표시될 뿐 별도의 클릭을 하지 않은 회원에 부여되는 뷰 레벨;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을 모두 완료한 배너 일주를 수행한 회원에게 부여되는 클릭 레벨; 및 상기 클릭 레벨에 속하는 회원 중에서 신용 등급이 미리 설정한 임계 등급 이하를 가지는 회원에게 부여되는 저신용 등급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의 채무 증거 자료에 기록된 채무 금액보다 채무지원 금액이 클 경우, 상기 채무 금액만 지원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너 광고를 반드시 클릭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마케팅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채무가 있다는 것은 구매활동의 반증이며, 구매력이 있는 집단에 마케팅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원들의 채무를 해결하여 서민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업들의 사회환원 일환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신용 등급의 회원들의 신용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회원들에게는 도움을 주는 기업으로 인식되어 기업의 이미지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수익 환원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수익 환원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원 단말기에 배너 광고가 표시된 예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운영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수익 환원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수익 환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수익 환원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원 단말기에 배너 광고가 표시된 예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운영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배너 광고 수익 환원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회원 단말기(200), 및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회원 단말기(200)와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간의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원 단말기(200)는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 가입된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회원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RF통신부(210), 표시부(220), 입력부(230), 카메라(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RF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모뎀 및 코덱을 가지는 데이터처리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수신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거나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변조 및 부호화하여 신호로 변환한다.
표시부(220)는,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표시되며, 이밖에 다양한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웹페이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배너 광고(10)가 표시된다. 또한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채무지원 게시판을 표시하여 회원으로부터 채무지원 요청글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서 선정한 채무지원 대상자의 결과를 표시한다.
입력부(230)는, 웹페이지 주소, 검색어 등을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230)는,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게시할 수 있다. 입력부(230)와 표시부(220)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받는 입력부(230)인 자판 배열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작업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자판 배열 입력창의 위치 및 투명도는 조절이 가능하다.
카메라(240)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수단으로서,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채무지원금을 지급받기 위해 채무 증거 자료를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 제출할 때, 메모리에 저장된 채무 증거 자료 전자파일을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밖에 카메라(240)를 통해 채무 증거 자료를 촬영하여 촬영된 채무 증거 자료 이미지 파일을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단말기 RF통신부(210), 표시부(220), 입력부(230), 및 카메라(240)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다.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받은 웹주소에 단말기 RF통신부(210)를 통해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이러한 웹페이지에는 배너 광고(10)가 표시되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의 채무지원 게시판이 표시될 수 있다.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는, 웹페이지에 배너 광고(10)를 표시하고 운영하는 서버로서,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광고비를 받아 웹페이지에 배너 광고(10)를 게재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는 광고주로부터 지급받은 광고비 중의 일부를 소비자인 회원에게 환원하는데, 채무를 가진 회원들을 대상으로 광고비의 일부를 환원함으로써 채무 환경 개선 및 소비 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 로그인 처리부(320),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 판단부(330), 포인트 적립부(340), 채무지원 대상자 통보부(350), 채무 증거 자료 저장부(360), 및 채무지원금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회원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그인 처리부(320)는,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 가입한 회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있어, 회원의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다. 참고로, 회원은 세 가지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신용 등급 8등급 이상의 회원으로 채무지원 시에 증명이 가능한 채무가 있는 사용자 회원, 신용 등급 9 등급 이하의 회원으로 채무지원 시에 증명이 가능한 채무가 있는 사용자 회원, 광고주 회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 판단부(330)는,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배너 뷰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의 개수, 배너 일주 횟수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이 모두 완료된 횟수로 정의된다고 할 때,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를 충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포인트 적립부(340)는,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한 회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한다. 포인트 적립은, 회원이 배너 광고를 열람한 형태에 따라서 포인트 적립 레벨을 부여하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회원의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른 포인트를 회원에게 적립한다.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라 적립되는 포인트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 적립 레벨은, 웹페이지에 배너 뷰만 표시될 뿐 별도의 클릭을 하지 않은 회원에 부여되는 뷰 레벨과,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을 모두 완료한 배너 일주를 수행한 회원에게 부여되는 클릭 레벨과, 클릭 레벨에 속하는 회원 중에서 신용 등급이 미리 설정한 임계 등급 이하를 가지는 회원에게 부여되는 저신용 등급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배너를 동일한 횟수로 열람하더라도 신용 등급이 낮은 회원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해주어, 채무 상태가 더 나쁜 회원들을 더 효율적으로 구제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포인트 적립부(340)는, 회원이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할 때마다 회원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한다.
채무지원 대상자 통보부(350)는, 채무지원 게시판에 요청글을 등록한 회원 중에서 채무지원받을 회원이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사용하는 회원 단말기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한다.
채무 증거 자료 저장부(360)는,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으로부터 채무 항목을 입증할 수 있는 채무 증거 자료를 수신받아 저장한 메모리이다. 이러한 채무 증거 자료 저장부(36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채무지원금 처리부(370)는, 정해진 기간내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을 취소하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된 경우 채무지원금을 지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너 광고 수익 환원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10)를 운영함에 있어서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에 있어서, 우선, 로그인 과정(S602)을 가진다. 로그인 과정은 배너 광고 운영 서버(300)에 로그인 시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로그인 인증 과정을 가지며, 회원이 아닐 시에 회원 등록(S604)을 유도한다.
회원 인증이 성공되면, 해당 회원의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파악(S606)한다. 상기의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은 회원별로 다르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인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를 파악(S606)한다.
그 후, 웹페이지를 방문하여 로그인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 판단 과정(S608,S610)을 가진다.
여기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의 충족 여부의 판단은,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를 파악(S608)한 후,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가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판단(S610)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배너 뷰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의 개수이며, 배너 일주 횟수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이 모두 완료된 횟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웹페이지에 배너 광고(10)가 6개 표시되어 있다면 배너 뷰는 '6'이 되며,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10) 6개를 모두 클릭한 경우가 3번 발생되었다면 배너 일주 횟수는 '3'이 된다.
만약,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이 배너 뷰 '6'이상 이며 배너 일주 횟수 '4'이상라고 가정할 때, 배너 뷰 '6'을 가지는 웹페이지에 대해서 제1회원의 배너 일주 횟수가 '2'인 경우에는 제1회원은 배너 뷰 '6'이상의 배너 일주 횟수 '4'이상인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반면에 배너 뷰 '6'을 가지는 웹페이지에 대해서 제1회원의 배너 일주 횟수가 5인 경우에는 제2회원은 배너 뷰 '6'이상의 배너 일주 횟수 '4'이상인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은 초기화 또는 이월이 가능하다. 즉,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켜 포인트가 적립되면, 회원이 열람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가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회원이 열람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의 50%만 이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월에 배너 뷰가 '6'을 가지는 웹페이지에 대하여 제1회원의 배너 일주 횟수가 '2'인 경우로서 추천 대상 회원으로 선정되지 못한 경우, 제1회원의 배너 일주 횟수는 3월에 50%인 '1'로서 이월된다.
한편,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킨 회원(이하, '채무지원 대상자 회원'이라 함)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받는 포인트 적립 과정(S612,S614)을 가진다.
이러한 포인트 적립 과정(S612,S614)은, 회원이 배너 광고를 열람한 형태에 따라서 포인트 적립 레벨을 부여하는 과정(S612)와,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회원의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른 포인트를 회원에게 적립하는 과정(S614)를 포함한다.
포인트 적립(S614) 시에 회원에게 부여되는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라 적립되는 포인트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 적립 레벨은, 웹페이지에 배너 뷰만 표시될 뿐 별도의 클릭을 하지 않은 회원에 부여되는 뷰 레벨과,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을 모두 완료한 배너 일주를 수행한 회원에게 부여되는 클릭 레벨과, 상기 클릭 레벨에 속하는 회원 중에서 신용 등급이 미리 설정한 임계 등급 이하를 가지는 회원에게 부여되는 저신용 등급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신용 등급 레벨은 클릭 그룹에 속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회원 중에서 9등급 이하의 신용 등급을 가지는 저신용의 회원이 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뷰 레벨, 클릭 레벨, 및 저신용 등급 레벨은 회원이 배너 광고를 열람하는 형태에 따라서 각 회원에 맞게 할당된다.
포인트 적립이 이루어진 후에는, 적립된 포인트가 채무지원 게시를 위한 임계 포인트를 초과한지를 판단(S616)하여, 초과한 경우, 포인트 적립된 회원으로부터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받는 과정(S618)을 가진다. 미리 설정된 일정 포인트 이상 적립된 회원만이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할 수 있다. 회원이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할 때마다 회원에게 적립된 포인트가 일정부분 차감된다. 예컨대, 채무지원 요청글 1개당 100포인트가 차감된다고 할 때, 1000포인트를 적립한 회원은 채무지원 게시글의 등록후 900포인트로 갱신된다.
이러한 채무지원 요청글은, 채무지원을 받고자 하는 회원의 지원 희망 금액이 포함된다. 희망 금액의 한도가 정해질 수 있으며, 채무 항목은 카드, 대출, 할부금, 보증채무, 미납요금, 세금, 사금융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벌금, 개인간의 채무, 미등록 대부업체의 채무 항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배너 광고 운영 서버의 관리자는, 채무지원 게시판에 등록된 채무지원 요청글을 열람하여, 채무지원 대상자를 선정(S620)한다.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은, 채무의 항목, 기간, 금액, 이자율, 사연 등을 평가하여 선정하며, 지정된 일자도 없으며, 몇명을 선정할지에 대한 규정도 없다.
채무지원 대상자가 선정되면, 채무지원 게시판에 요청글을 등록한 회원 중에서 채무지원받을 채무지원 대상자가 선정되면,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사용하는 회원 단말기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과정(S622)을 가진다.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과정(S622)이 있은 후,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으로부터 채무 항목을 입증할 수 있는 채무 증거 자료를 수신받는 채무 증거 자료 수신 과정(S624)을 가진다.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은 반드시 채무지원 게시판에 등록한 채무지원 요청글에 게시된 채무가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채무증거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9등급 이하의 신용등급 회원은 해당 신용등급도 증명해야 한다. 채무지원 요청글에 등록한 채무 항목과 일치함을 확인하는데 사용하기 위함이다.
만약, 정해진 기간내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채무지원 대상 선정을 취소하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된 경우 채무지원금을 지급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확정 과정(S626)을 가진다.
정해진 기간내에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가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채무지원 대상자의 선정을 취소하는 것이다. 취소가 된 채무지원금은 기부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된 경우 채무지원금을 지급하는데, 이때,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에 기록된 채무 금액보다 채무지원금이 클 경우, 상기 채무 금액만 지급한다. 이는,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입력한 채무 금액이 제출한 채무 증거 자료의 채무 금액보다 클 경우 채무 증명된 채무 금액만을 지급하여, 본 발명의 의도와 맞게 채무 금액만큼만 지급하여 다수의 채무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배너 광고 100:유무선 통신망
200:회원 단말기 300:배너 광고 운영 서버

Claims (7)

  1. 배너 광고 운영 서버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를 운영함에 있어서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에 있어서,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 판단 과정;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한 회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적립하는 포인트 적립 과정;
    회원이 채무지원 게시판에 채무지원 요청글을 등록할 때마다 회원에게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하는 포인트 차감 과정;
    상기 채무지원 게시판에 요청글을 등록한 회원 중에서 채무지원받을 채무지원 대상자가 선정되면,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이 사용하는 회원 단말기에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과정;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부터 채무 항목을 입증할 수 있는 채무 증거 자료를 수신받는 채무 증거 자료 수신 과정; 및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회원의 채무 증거 자료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채무지원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채무지원 대상자 확정 과정;
    을 포함한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배너 뷰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배너 광고의 개수, 배너 일주 횟수는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이 모두 완료된 횟수로 정의된다고 할 때, 웹페이지를 방문한 회원의 배너 광고 열람이 미리 설정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의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시켜 포인트가 적립되면, 회원이 열람한 배너 뷰와, 배너 일주 횟수가 초기화되는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적립 과정은,
    회원이 배너 광고를 열람한 형태에 따라서 포인트 적립 레벨을 부여하는 과정; 및
    상기 포인트 적립 대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회원의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른 포인트를 회원에게 적립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적립 레벨에 따라 적립되는 포인트가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적립 레벨은,
    웹페이지에 배너 뷰만 표시될 뿐 별도의 클릭을 하지 않은 회원에 부여되는 뷰 레벨;
    웹페이지에 표시된 광고 배너들에 대한 클릭을 모두 완료한 배너 일주를 수행한 회원에게 부여되는 클릭 레벨; 및
    상기 클릭 레벨에 속하는 회원 중에서 신용 등급이 미리 설정한 임계 등급 이하를 가지는 회원에게 부여되는 저신용 등급 레벨;
    을 포함하는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무지원 대상자의 채무 증거 자료에 기록된 채무 금액보다 채무지원 금액이 클 경우, 상기 채무 금액만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KR1020160044766A 2016-04-12 2016-04-12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KR20170116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66A KR20170116764A (ko) 2016-04-12 2016-04-12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66A KR20170116764A (ko) 2016-04-12 2016-04-12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64A true KR20170116764A (ko) 2017-10-20

Family

ID=6029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766A KR20170116764A (ko) 2016-04-12 2016-04-12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08B1 (ko) * 2020-06-12 2021-11-04 이종호 리워드 기반의 광고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08B1 (ko) * 2020-06-12 2021-11-04 이종호 리워드 기반의 광고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73358A1 (en) Associating vehicles with advertisement display and conversion
US20140344037A1 (en) Digital exchange serving as an integrated, continuous sponsorship and promotion system for community businesses, organizations, and schools
US20090281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itable donations
KR101367248B1 (ko) 상황인지를 통한 광고배포 플랫폼 및 광고배포 방법
KR101808161B1 (ko) 모바일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88879A1 (en) On-line advertisement method using advertisement website
KR101475353B1 (ko) 전화 마케팅과 모바일 페이지 마케팅을 모두 지원하는 제휴마케팅서비스 시스템
Evans et al. The new economics of multi-sided platforms: A guide to the vocabulary
KR20130027177A (ko) 개인의 지출내역을 이용한 카드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US20150051964A1 (en) Providing offers for local discounted goods and services
US20130204779A1 (en) Monetizing a social networking website
US20130166392A1 (en)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by means of designated website and designated webpage recognition and a method for the same
KR20170116764A (ko) 배너 광고 수익 환원 방법
JP2014135050A (ja) ビジュアルサーチを利用した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607169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grammatically updating data for communication to a social network system
JP201712590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50262263A1 (en) Business method permitting a charity to monetize its followers at a social networking site by permitting these followers to easily donate in response to solicitation messages
KR20160046513A (ko) Nfc 태그를 이용한 광고보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JP2016532931A (ja) 対話型デジタル広告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123940A (ko)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2139B1 (ko) 오프라인 광고 공간의 거래 시스템
KR102030093B1 (ko) 리워드 차등 부여를 위한 광고 제공 방법
KR20140094374A (ko) 잠금 화면을 이용한 모바일 광고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7678B1 (ko) 온라인상에서 광고 매체 선정하는 광고 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466216B1 (ko) 광고중개서버 및 광고중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8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0

Effective date: 2019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