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608A -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608A
KR20170116608A KR1020160043480A KR20160043480A KR20170116608A KR 20170116608 A KR20170116608 A KR 20170116608A KR 1020160043480 A KR1020160043480 A KR 1020160043480A KR 20160043480 A KR20160043480 A KR 20160043480A KR 20170116608 A KR20170116608 A KR 2017011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길
손병락
이동하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4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608A/ko
Publication of KR2017011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G08G5/0078Surveillance aids for monitoring traffic from the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은, 비행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와 송수신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한 후 처리된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매개체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가고자 하는 예상 경로에서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가 앞서 비행하면서 교통 상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Traffic report system using unmanned vehicle and method to process the traffic report thereof}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가고자 하는 예상 경로에서 무인 비행체가 앞서 비행하면서 교통 상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최근 들어, 차량 운전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 수단을 이용해 교통체증 및 사고 등의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하고 목적지까지의 우회로나 최단경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2008-0058054호의 "도로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도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감지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장치 및 차량에 설치되고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이동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현위치에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목적지까지의 도로상태 또는 최적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교통체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교통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에서의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차량의 바로 앞의 상황 또는 정보에 대해서는 알기 어렵고 따라서 대처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차량의 근거리의 상황에 대해서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교통 정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차량이 가고자 하는 예상 경로에서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가 앞서 비행하면서 교통 상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차량에 해당 무인 비행체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인 교통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다른 차량의 교통 정보 시스템과도 정보 공유가 가능하여 미처 차량의 해당 무인 비행체가 파악하지 못한 경로까지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이 설정된 경로의 교통 상황까지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무인비행체가 블랙 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무인 비행체를 통해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은, 비행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와 송수신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한 후 처리된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매개체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차량이 가고자 하는 예상 경로에서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가 앞서 비행하면서 교통 상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인 비행체는, 몸체를 이루는 비행몸체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정보 처리하여 상기 매개체에 전달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내리는 제어 명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도킹부에 도킹 및 도킹 해제 가능하며, 상기 도킹부에 대한 상기 무인 비행체의 도킹 상태 유지 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도킹부에 대한 도킹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무인 비행체는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작동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차량의 구조를 위한 구조 요청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은 상기 차량에 결합 가능한 상기 무인 비행체 외에도 다른 차량의 무인 비행체와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상기 차량이 가고자 하는 경로의 교통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매개체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또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은, 비행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무인 비행체와, 상기 무인 비행체와 송수신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를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매개체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인 비행체의 모드를 교통 상황 파악 모드, 감시 모드 및 긴급 상황 대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교통 상황 파악 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자동 비행을 통해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정보 처리하는,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매개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게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감시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차량의 도킹부에 도킹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적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긴급 상황 대처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는 수동 비행 실행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의 구조를 위한 구조 요청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가고자 하는 예상 경로에서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가 앞서 비행하면서 교통 상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차량에 해당 무인 비행체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인 교통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차량의 교통 정보 시스템과도 정보 공유가 가능하여 미처 차량의 해당 무인 비행체가 파악하지 못한 경로까지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이 설정된 경로의 교통 상황까지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비행체가 블랙 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무인 비행체를 통해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100)은, 즉 본 실시예의 드론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100)은, 비행하면서 차량(101)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무인 비행체, 즉 드론(110)과, 차량(101)에 장착되며 드론(110)과 송수신하여 드론(110)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과,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매개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차량(101)이 이동하는 경로에 있어서 원거리뿐만 아니라 근거리까지의 교통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교통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최적의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무인 비행체, 즉 드론(110)은, 음성 명령 또는 버튼 등의 조작에 의하여 스스로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로서, 차량(101)이 이동하는 경로 상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론(110)은, 도 2의 블록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몸체(미도시)와, 비행몸체에 구비되는 구동부(1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1)와,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117)와, 정보 수집부(117)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로 송신하는 통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후술할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서 구동부(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1)는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부(113)의 온/오프, 구동부(113)의 구동에 의한 드론(110)의 이동 속도 또는 구동부(113)의 구동에 의한 드론(110)의 이동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7)는, 촬영에 의해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7)는 촬영에 의해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차량(105)의 숫자, 속도 등을 파악하여 차량(105)의 설정된 거리 내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5)는, 정보 수집부(117)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드론(110)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조종되기 때문에 주변 주파수 및 왜란에 취약할 우려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드론(110)은 주변 주파수 및 왜란에 강인한 구조를 가짐은 당연하다.
부연하면, 드론(110)은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것이라 전술하였는데, 여기서 설정된 거리란 정보 수집부(117)와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일 수 있다.
이러한 드론(110)은 자동 비행을 위하여 충전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드론(110)은 차량(101)의 도킹부(미도시)에 도킹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론(110)이 교통 상황을 파악하는 등의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 드론(110)은 차량(101)에 구비된 도킹부에 도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때 드론(11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101)의 이동 시 드론(110)의 충전을 실행할 수 있어 별도의 충전 장비 또는 충전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 때, 드론(11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이에 대한 감지를 통해 드론(110)의 충전 실행을 중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드론(110)이 이를 테면 도킹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드론(110)은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드론(110)에 구비된 정보 수집부(117)의 촬영부로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촬영부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블랙박스로서의 우수한 기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정차 등의 경우 차량의 전후방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여 주정차 과정에 도움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주행 시 드론(110)이 도킹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드론(110)은 주변 차량의 위협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각 영역에 대하여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이 원활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의 드론(110)은 차량 운행 시 보조 시스템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드론(110)은 교통 상황 파악 및 블랙박스와 같은 감시의 기능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처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차량(101)이 긴급 상황 상태에 있고, 그 상태가 발생된 장소가 휴대폰 작동이 되지 않는 곳일 경우, 수동 조작이 가능한 드론(110)으로부터 긴급 상황에 대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 상황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드론(110)은 원거리뿐만 아니라 차량의 바로 앞의 상황까지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하며, 또한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와 같은 감시 기능 그리고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대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교통 정보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편의 및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은, 차량(101)에 장착되어 드론(110)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교통 정보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이용자, 예를 들면 운전자가 매개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드론(110)의 통신부(115)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133)와, 수신부(133)로부터 받은 정보를 정보 처리하여 매개체에 전달하는 정보 처리부(135)와, 드론(110)에 대한 제어 명령을 드론(110)의 제어부(111)에 내리는 제어 명령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통신부(115)로부터 제공된 교통 상황 정보를 수신부(133)에서 수신한 후 정보 처리부(135)로 전달하고, 정보 처리부(135)에서 교통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5)와 수신부(133)의 네트워크 통신 시 정보 보호를 위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암호화하여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정보 처리부(135)는 드론(110)에 의해 수집된 정보만으로도 정보 처리를 할 수 있을 것이나, 다른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은 기능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양한 수집 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아울러 온라인상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및 드론(11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여 차량(101)의 이동 경로의 교통 정보를 보다 더 정확히 파악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매개체로는, 차량(101)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101)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 또는 동승자의 스마트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을 통해 처리된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가 예를 들면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운전자는 운전을 하면서 교통 상황에 대한 파악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경로 선택 등의 운전자 판단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교통 정보 시스템(100)은 차량(101) 사이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1)의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은 차량(101)에 결합 가능한 드론(110) 외에도 다른 차량(101a)의 드론(110a)과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차량(101)이 가고자 하는 경로의 교통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차량(101)은 자신의 드론(110) 및 다른 차량(101a)에 속한 드론(110a)까지 이용 가능하여 차량(101)의 이동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 파악을 보다 면밀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차량(101)이 가고자 하는 예상 경로에서 드론(110)과 같은 무인 비행체가 앞서 비행하면서 교통 상황을 먼저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차량(101)의 운전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차량(101)에 해당 드론(110)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인 교통 정보 시스템(100)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다른 차량(101a)의 교통 정보 시스템과도 정보 공유가 가능하여 미처 자신의 드론(110)이 파악하지 못한 경로까지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이 설정된 경로의 교통 상황까지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드론(110)이 블랙 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101)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드론(110)을 통해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100)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은, 드론(110)의 모드를 교통 상황 파악 모드, 감시 모드 및 긴급 상황 대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와, 모드 선택 단계에서 교통 상황 파악 모드로 선택된 경우 드론(110)의 자동 비행을 통해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와,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을 이용하여 드론(110)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정보 처리하는 정보 처리 단계와, 매개체를 통해 차량(101)의 운전자에게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드론(110)은 교통 상황을 파악하는 모드인 교통 상황 파악 모드,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사용되어 주변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 모드 및 차량(101)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어 긴급 상황에 대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긴급 상황 대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S110)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교통 상황 파악 모드가 선택(S120)되어 드론(110)이 사용되는 경우, 정보 수집 단계에서 드론(110)의 자동 비행이 실행(S130)되고 차량(101)이 이동하는 경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S140)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단계(S15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에서 정보 처리한 후, 정보 제공 단계를 통해 정보 처리된 정보를 매개체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와 같은 이용자는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는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판단(S160)하여 경로를 유지할 수 있거나 경로를 변경하여 다른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모드 선택 단계에서 감시 모드(S220)가 선택되는 경우, 무인 비행체는 차량(101)의 도킹부에 도킹된 복귀 또는 초기 모드 상태를 유지(S230)하면서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적용되어 차량(101) 주변을 감시(S240)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획득된 정보는 전술한 네트워크 처리 모듈(130)의 정보 처리부(135)를 통해 정보 처리(S150)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선택 단계에서 긴급 상황 대처 모드가 선택(S320)되는 경우, 무인 비행체는 수동 비행 실행(S330)이 가능하며, 주변의 통신 장비와의 통신 시도(S340)를 통해 차량(101)의 구조를 위한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101)의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드론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101 : 차량
110 : 드론
130 : 네트워크 처리 모듈

Claims (11)

  1. 비행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와 송수신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한 후 처리된 정보를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매개체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몸체를 이루는 비행몸체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정보 처리하여 상기 매개체에 전달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무인 비행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내리는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도킹부에 도킹 및 도킹 해제 가능하며, 상기 도킹부에 대한 상기 무인 비행체의 도킹 상태 유지 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도킹부에 대한 도킹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무인 비행체는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작동 가능한,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차량의 구조를 위한 구조 요청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은 상기 차량에 결합 가능한 상기 무인 비행체 외에도 다른 차량의 무인 비행체와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상기 차량이 가고자 하는 경로의 교통 상황을 파악 가능한,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또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인,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9. 비행하면서 차량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의 교통 상황을 수집하는 무인 비행체와, 상기 무인 비행체와 송수신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를 운전자가 인지 가능한 매개체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의 모드를 교통 상황 파악 모드, 감시 모드 및 긴급 상황 대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교통 상황 파악 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자동 비행을 통해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네트워크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정보 처리하는,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매개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게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감시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차량의 도킹부에 도킹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블랙박스 또는 전후방 카메라로 적용되는,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긴급 상황 대처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는 수동 비행 실행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의 구조를 위한 구조 요청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KR1020160043480A 2016-04-08 2016-04-08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KR20170116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80A KR20170116608A (ko) 2016-04-08 2016-04-08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80A KR20170116608A (ko) 2016-04-08 2016-04-08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08A true KR20170116608A (ko) 2017-10-20

Family

ID=6029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480A KR20170116608A (ko) 2016-04-08 2016-04-08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6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5A (ko) *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드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210026918A (ko) 2019-09-02 2021-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2937589A (zh) * 2019-12-10 2021-06-11 奥迪股份公司 用于执行能量回收的方法和系统
KR20230102871A (ko) 2021-12-30 2023-07-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객체추적 알고리즘을 활용한 드론 항공영상 기반 미시적 교통데이터 추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5A (ko) *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드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210026918A (ko) 2019-09-02 2021-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2937589A (zh) * 2019-12-10 2021-06-11 奥迪股份公司 用于执行能量回收的方法和系统
US11767027B2 (en) * 2019-12-10 2023-09-26 Audi Ag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ecuperation
KR20230102871A (ko) 2021-12-30 2023-07-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객체추적 알고리즘을 활용한 드론 항공영상 기반 미시적 교통데이터 추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618B1 (ko) 자동 운전 지원 시스템, 자동 운전 감시 장치, 도로 관리 장치 및 자동 운전 정보 수집 장치
CN107871399B (zh) 车辆自动驾驶系统及方法
US10964213B2 (en) Parking assist system and parking assist method
JP662402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車両用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10870433B2 (en) Emergency route planning system
US10773715B2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US11378980B2 (en) Cellular device location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1688585B1 (ko) 무인항공기 관제시스템
US116986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bile object,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6292684B (zh) 搭载飞行器的车辆
US10558218B2 (en)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JP5018613B2 (ja) 路上通信機および事故監視システム
KR20170116608A (ko) 무인 비행체 적용 교통 정보 시스템 및 그의 교통 정보 처리 방법
JP2008102762A (ja) 画像収集システム、記録装置
WO2015174017A1 (ja) 車載装置および走行画像保管システム
CN109781124B (zh) 一种无人机救援方法、装置、无人机及车辆
TW201823080A (zh) 自動輔助駕駛系統及其方法
WO2016129250A1 (ja) 通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情報センタ
KR20180025416A (ko) 모션 인식 및 가상 현실을 이용한 드론 비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41077B1 (ko) 차량의 드론 이착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5051B1 (ko) 후방차량 충돌사고 방지장치
KR20220009379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JP2016031707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EP3901934A1 (en) Moving body control device, moving body control method, moving bod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470265B2 (ja) 無人航空機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