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526A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526A
KR20170116526A KR1020160044407A KR20160044407A KR20170116526A KR 20170116526 A KR20170116526 A KR 20170116526A KR 1020160044407 A KR1020160044407 A KR 1020160044407A KR 20160044407 A KR20160044407 A KR 20160044407A KR 20170116526 A KR20170116526 A KR 2017011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unit
fitting protrusion
groov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941B1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102016004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941B1/ko
Priority to PCT/KR2017/003736 priority patent/WO2017179852A1/ko
Publication of KR201701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내용물을 밀폐용기에 수납 보관함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밀폐용기의 밀폐 기능을 향상시키며,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밀폐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용기유닛과,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적층공간이 구비되고 용기유닛에 적층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유닛과, 적층유닛에 구비된 적층공간을 개폐하는 뚜껑유닛과, 상호 결합되는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유닛 및 상호 결합되는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회전밀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내용물을 밀폐용기에 수납 보관함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밀폐용기의 밀폐 기능을 향상시키며,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과일, 혹은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 조리된 식품 등을 장시간 상하지 않게 보관하면서, 동시에 식품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뚜껑에 패킹이 내장되고, 이러한 뚜껑과 용기본체 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밀봉하게 되는 밀폐용기가 흔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단 개방부분에 결합되는 뚜껑과, 뚜껑과 용기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뚜껑 저면의 선단을 따라 형성되는 패킹홈과, 패킹홈에 삽입되어지는 패킹과, 용기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과, 뚜껑의 외주연을 따라 일부분이 외측으로 더 연장되면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날개부재로 구성된다. 특히, 날개부재는 뚜껑의 외주연과 일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힌지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지므로 해서 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날개부재가 플렉시블하게 회동하면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단 개방부분에 결합되는 뚜껑과, 뚜껑과 용기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뚜껑 저면의 선단을 따라 형성되는 패킹홈과, 패킹홈에 삽입되어지는 패킹을 포함하고, 용기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뚜껑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결합되도록 뚜껑을 회전시켜 용기본체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밀폐용기는 날개부재의 반복적인 회동 동작으로 인해 힌지부가 변형 파손되고, 뚜껑에서 날개부개가 분리되거나 패킹과 용기본체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862호(고안의 명칭 : 밀폐능력이 강화된 용기, 2005. 09. 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내용물을 밀폐용기에 수납 보관함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밀폐용기의 밀폐 기능을 향상시키며,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용기유닛;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적층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유닛에 적층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유닛;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된 상기 적층공간을 개폐하는 뚜껑유닛;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유닛; 및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회전밀착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길게 구비되는 패킹바디부; 상기 패킹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밀착잠금부; 및 상기 패킹바디부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밀착잠금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킹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구획하도록 상기 패킹바디부에서 상기 관통홀에 돌출 형성되는 패킹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용기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용기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용기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유닛에 대한 상기 적층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유닛에 대한 상기 적층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적층유닛 중 인접한 제1적층유닛과 제2적층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제1적층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2적층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제2적층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뚜껑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뚜껑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뚜껑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뚜껑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뚜껑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뚜껑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제1끼움돌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경로홈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뚜껑유닛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단차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림링부에는, 결합가이드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에 따르면, 다양한 내용물을 밀폐용기에 수납 보관함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밀폐용기의 밀폐 기능을 향상시키며,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유닛과 패킹유닛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패킹바디부가 밀폐홈에서 정위치되도록 하며,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 사이의 가압력에 따라 밀착잠금부와 밀착고정부가 밀폐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밀폐홈에서 패킹유닛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킹바디부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고, 패킹유닛의 찌그러짐 또는 패킹유닛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의 결합에서 패킹유닛의 마찰력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킹바디부의 탄성 변형을 저지시키면서 패킹유닛에 가해지는 힘(압력)을 분산시키고, 밀착잠금부에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며 밀착잠금부와 밀착날개부 사이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방식과 후크 방식을 조합하여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을 상호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패킹유닛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킹유닛의 분리, 세척, 결합을 편리하게 하고, 밀폐용기의 위생 관리가 간편해지며, 패킹유닛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과 적층공간에 잔류하는 공기의 배출이 편리하고, 용기유닛과 적층유닛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산폐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상태에서 패킹유닛이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패킹유닛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며, 끼움돌부와 끼움홈부 간의 삽입과 끼움돌부 간의 중첩을 간편하게 하고,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돌부 간의 중첩 상태를 유지시키고, 별도의 외부 충격에 의해 용기유닛과 적층유닛과 뚜껑유닛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패킹유닛을 가압 지지하여 패킹유닛의 탄성 변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돌부 간의 중첩 상태에서 패킹유닛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패킹유닛에 의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패킹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용기유닛에 구비된 회전밀착유닛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뚜껑유닛에 구비된 회전밀착유닛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회전밀착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회전밀착유닛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패킹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용기유닛에 구비된 회전밀착유닛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뚜껑유닛에 구비된 회전밀착유닛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회전밀착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회전밀착유닛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유닛(10)과, 적층유닛(50)과, 뚜껑유닛(20)과, 패킹유닛(30)과, 회전밀착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유닛(10)은 보관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된다. 상기 용기유닛(10)에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유닛(10)의 평단면 형상 또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입구 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단면, 타원형 단면, 다각형 단면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용기유닛(10)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밀착날개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50)은 중공의 통 형상으로 보관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된다. 상기 적층유닛(50)은 상기 용기유닛(10)에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적층유닛(50)은 2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호 적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50)에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적층공간(51)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적층공간(51)은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적층유닛(50)의 평단면 형상 또는 상기 적층공간(51)의 입구 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용기유닛(10)과 같이 원형 단면, 타원형 단면, 다각형 단면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5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밀착날개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유닛(5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가림링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뚜껑유닛(20)은 상기 적층유닛(50)에 구비된 상기 적층공간(51)을 개폐한다. 상기 적층유닛(50)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뚜껑유닛(20)은 상기 용기유닛(10)에 구비된 상기 수용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뚜껑유닛(20)에는 상기 패킹유닛(30)의 끼움 결합을 위한 밀폐홈(2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홈(24)은 후술하는 패킹바디부(31)가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홈(24)의 입구에는 후술하는 밀착고정부(34)가 지지되도록 제한턱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턱부(25)는 후술하는 밀착고정부(34)를 지지하고, 후술하는 밀착고정부(34)가 상기 밀폐홈(24)으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밀폐홈(24)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패킹유닛(30)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뚜껑유닛(20)은 탄성판부(21)와, 고정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판부(21)는 탄성을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상기 탄성판부(21)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입구 단면 형상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부(22)는 상기 탄성판부(21)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한다. 상기 고정판부(22)는 상기 탄성판부(21)보다 단단하고,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상기 뚜껑유닛(20)의 외관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판부(22)에는 상기 밀폐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미도시)는 상기 용기유닛(10) 또는 상기 적층유닛(50) 또는 상기 뚜껑유닛(2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밀폐용기의 이동 또는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밀폐용기를 이동 또는 운반할 때, 사용자는 상기 용기유닛(10) 또는 상기 적층유닛(50) 또는 상기 뚜껑유닛(20)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의 체온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과 상기 적층공간(51)에 수용된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킹유닛(30)은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를 밀폐한다. 상기 패킹유닛(30)은 탄성을 가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패킹유닛(30)은 상기 뚜껑유닛(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유닛(30)은 상기 뚜껑유닛(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유닛(30)은 이중 사출 또는 별도의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뚜껑유닛(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유닛(30)은 상기 용기유닛(10) 또는 상기 적층유닛(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유닛(30)은 상기 밀폐홈(24)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패킹유닛(30)은 상기 밀착잠금부(33)와 상기 밀착고정부(34)가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상기 패킹바디부(31)가 상기 밀폐홈(2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킹유닛(30)은 패킹바디부(31)와, 밀착잠금부(33)와, 밀착고정부(34)를 포함하고, 패킹지지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바디부(31)는 중공의 링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11) 입구 또는 상기 적층공간(51) 입구에 대응하여 무한 궤도를 형성한다. 상기 패킹바디부(3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32)이 길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패킹바디부(31)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 단면, 다각형 단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잠금부(33)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외주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상기 밀착잠금부(33)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밀착잠금부(33)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둘레 일부에 요철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잠금부(33)의 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단면, 타원형 단면, 다각형 단면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밀착잠금부(33)는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의 상호 결합에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에 밀착 지지된다.
상기 밀착고정부(34)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밀착잠금부(33)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킹바디부(31)의 외주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상기 밀착고정부(34)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고정부(34)는 도 3과 같은 상기 밀착잠금부(3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고정부(34) 사이에는 상기 밀착잠금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고정부(34)는 상기 밀착잠금부(3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고정부(34)는 상기 밀폐홈(24) 입구에 지지되어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밀착잠금부(33)가 상기 밀폐홈(24)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킹지지부(35)는 상기 관통홀(32)을 구획하도록 상기 패킹바디부(31)에서 상기 관통홀(32)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패킹지지부(35)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관통홀(32)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킹지지부(35)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밀착잠금부(33)의 가장자리 측 또는 상기 밀착고정부(34) 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상기 관통홀(32)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지지부(35)는 상기 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패킹바디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유닛(30)이 탄성 변형될 때, 상기 패킹바디부(31)와 상기 밀착잠금부(33)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고,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패킹지지부(35)는 가압지지부(36)와, 분산지지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지지부(36)는 상기 패킹바디부(31)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지지부(36)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32)의 상단부와 상기 분산지지부(38)를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가압지지부(36)는 상기 패킹바디부(3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32)의 상단부와 상기 관통홀(32)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밀착잠금부(33)의 중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압지지부(36)는 상기 패킹유닛(30)이 탄성 변형될 때, 상기 패킹바디부의 높이 방향에 따른 탄성 변형을 제한하고, 상기 밀착잠금부(33)와 상기 밀착고정부(34)가 상기 밀폐홈(24)으로 삽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산지지부(38)는 상기 가압지지부(36)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분산지지부(38)는 상기 가압지지부(36)와 상기 패킹바디부(31)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밀착잠금부(33)의 단부 측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지지부(38)는 상기 가압지지부(36)와 상기 밀착고정부(34) 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산지지부(38)는 상기 패킹유닛(30)이 탄성 변형될 때, 상기 밀착잠금부(33)가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밀착잠금부(33)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키고, 상기 밀착고정부(34)를 지지하여 상기 밀착고정부(34)가 상기 밀폐홈(24)으로 삽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라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제1변형예에서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제2변형예에서 상기 적층유닛(50) 중 제1적층유닛과 제2적층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제3변형예에서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제1변형예에서,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첫째,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밀착날개부(41)와, 제1끼움돌부(411)와, 가림링부(43)와, 제2끼움돌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패킹유닛(30)이 접하도록 상기 용기유닛(10)에 구비된다.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날개부(41)에는 상기 밀착잠금부(33)가 접하거나 상기 밀착잠금부(33)와 상기 밀착고정부(34)가 접할 수 있다. 상기 밀착날개부(41)에는 상기 용기유닛(10)에 대해 상기 적층유닛(50)이 상대 회전될 때, 상기 밀착잠금부(3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밀착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414)는 상기 밀착날개부(41)에서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에 따라 상기 밀착잠금부(33)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상기 밀착잠금부(33)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용기유닛(10)에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부러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밀착날개부(41)가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패킹유닛(30)과 상기 밀착날개부(41)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돌부(411)는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용기유닛(10)에서 상기 용기유닛(1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용기유닛(10)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의해 제1끼움홈부(41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도록 상기 적층유닛(50)에 구비된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적층유닛(5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유닛(5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날개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돌부(431)는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하여 사용자와의 접촉면적 또는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의 상대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므로, 상기 패킹유닛(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44)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홈부(412)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421)에 의해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탈되는 제2끼움홈부(42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와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가림링부(43)에서 연장되는 보조날개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각각 상호 쌍을 이루며, 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밀폐용기의 크기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결합가이드(4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링 형태로 상기 가림링부(4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상기 제2끼움홈부(422)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유닛(10)에 상기 적층유닛(5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용기유닛(10)의 옆으로 상기 적층유닛(50)이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용기유닛(10)에 대한 상기 적층유닛(50)의 상대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제1끼움홈부(412, 상호 이격된 상기 제1끼움돌부(411) 사이)에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안정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홈부(422, 상호 이격된 상기 제2끼움돌부(421) 사이)에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안정되게 삽입되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1끼움돌부(411)는 상기 제2끼움홈부(422)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홈부(412)에 삽입되며,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상기 회전경로홈(44)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끼움돌부(421)와 중첩되도록 맞물려 상기 용기유닛(10)에서 상기 적층유닛(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유닛(30)은 상기 밀착날개부(41)와 상기 가림링부(43) 사이 또는 상기 밀착날개부(41)와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어 적어도 상기 밀착잠금부(33)가 상기 밀착날개부(41)에 밀착 지지된다.
둘째,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밀착날개부(41)와, 제1끼움돌부(411)와, 가림링부(43)와, 제2끼움돌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패킹유닛(30)이 접하도록 상기 적층유닛(50)에 구비된다.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적층유닛(5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유닛(5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림링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적층유닛(50)에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돌부(411)는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적층유닛(50)에서 상기 적층유닛(1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적층유닛(50)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의해 제1끼움홈부(412)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유닛(10)에 구비된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용기유닛(10)의 입구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므로, 상기 패킹유닛(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44)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홈부(412)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421)에 의해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탈되는 제2끼움홈부(42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와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가림링부(43)에서 연장되는 보조날개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각각 상호 쌍을 이루며, 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밀폐용기의 크기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결합가이드(4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링 형태로 상기 가림링부(4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상기 제2끼움홈부(422)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유닛(10)에 상기 적층유닛(5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용기유닛(10)의 옆으로 상기 적층유닛(50)이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용기유닛(10)에 대한 상기 적층유닛(50)의 상대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제1끼움홈부(412, 상호 이격된 상기 제1끼움돌부(411) 사이)에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안정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홈부(422, 상호 이격된 상기 제2끼움돌부(421) 사이)에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안정되게 삽입되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제2변형예에서, 상기 적층유닛(50)이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상기 적층유닛(50) 중 제1적층유닛과 제2적층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50) 중 제1적층유닛과 제2적층유닛 사이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밀착날개부(41)와, 제1끼움돌부(411)와, 가림링부(43)와, 제2끼움돌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패킹유닛(30)이 접하도록 상기 제1적층유닛에 구비된다.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제1적층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적층공간(51)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적층유닛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림링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돌부(411)는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서 상기 제1적층유닛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의해 제1끼움홈부(412)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도록 상기 제2적층유닛에 구비된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제2적층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적층공간(51)의 입구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적층유닛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날개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므로, 상기 패킹유닛(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44)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홈부(412)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421)에 의해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탈되는 제2끼움홈부(42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와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가림링부(43)에서 연장되는 보조날개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각각 상호 쌍을 이루며, 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밀폐용기의 크기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적층유닛과 상기 제2적층유닛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결합가이드(4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링 형태로 상기 가림링부(4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상기 제2끼움홈부(422)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적층유닛과 상기 제2적층유닛이 상호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제1적층유닛의 옆으로 상기 제2적층유닛이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제2적층유닛의 상대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제1끼움홈부(412, 상호 이격된 상기 제1끼움돌부(411) 사이)에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안정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홈부(422, 상호 이격된 상기 제2끼움돌부(421) 사이)에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안정되게 삽입되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적층유닛과 상기 제2적층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제3변형예에서,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첫째,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밀착날개부(41)와, 제1끼움돌부(411)와, 가림링부(43)와, 제2끼움돌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패킹유닛(30)이 접하도록 상기 적층유닛(50)에 구비된다.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적층유닛(5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유닛(5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림링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적층유닛(50)에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판부(21)에 대하여 상기 고정판부(22)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밀착날개부(4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돌부(411)는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적층유닛(50)에서 상기 적층유닛(5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적층유닛(50)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의해 제1끼움홈부(412)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도록 상기 뚜껑유닛(20)에 구비된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뚜껑유닛(20)의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므로, 상기 패킹유닛(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44)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홈부(412)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421)에 의해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탈되는 제2끼움홈부(42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와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가림링부(43)에서 연장되는 보조날개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각각 상호 쌍을 이루며, 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밀폐용기의 크기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결합가이드(4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링 형태로 상기 가림링부(4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상기 제2끼움홈부(422)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50)에 상기 뚜껑유닛(2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적층유닛(50)의 옆으로 상기 뚜껑유닛(20)이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적층유닛(50)에 대한 상기 뚜껑유닛(20)의 상대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제1끼움홈부(412, 상호 이격된 상기 제1끼움돌부(411) 사이)에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안정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홈부(422, 상호 이격된 상기 제2끼움돌부(421) 사이)에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안정되게 삽입되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둘째,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밀착날개부(41)와, 제1끼움돌부(411)와, 가림링부(43)와, 제2끼움돌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패킹유닛(30)이 접하도록 상기 뚜껑유닛(20)에 구비된다.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뚜껑유닛(20)의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밀착날개부(41)는 상기 뚜껑유닛(20)에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돌부(411)는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뚜껑유닛(20)에서 상기 뚜껑유닛(2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날개부(41) 또는 상기 뚜껑유닛(20)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의해 제1끼움홈부(412)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도록 상기 적층유닛(50)에 구비된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적층유닛(50)의 타측에서 상기 적층공간(51)의 입구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유닛(5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날개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링부(43)는 상기 밀착날개부(41)를 감싸므로, 상기 패킹유닛(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44)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상기 제1끼움홈부(412)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421)에 의해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삽탈되는 제2끼움홈부(42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돌부(421)와 상기 제2끼움홈부(422)는 상기 가림링부(43)에서 연장되는 보조날개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는 각각 상호 쌍을 이루며, 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밀폐용기의 크기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링부(43)에는 결합가이드(4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링 형태로 상기 가림링부(4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가이드(433)는 상기 제2끼움홈부(422)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43)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50)에 상기 뚜껑유닛(2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적층유닛(50)의 옆으로 상기 뚜껑유닛(20)이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적층유닛(50)에 대한 상기 뚜껑유닛(20)의 상대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433)로 인해 상기 제1끼움홈부(412, 상호 이격된 상기 제1끼움돌부(411) 사이)에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안정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홈부(422, 상호 이격된 상기 제2끼움돌부(421) 사이)에 상기 제1끼움돌부(411)가 안정되게 삽입되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4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413)와 제2걸림부(4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413)는 상기 제1끼움돌부(411)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442)는 상기 제2끼움돌부(421)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경로홈(44)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그러면,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1걸림부(413)와 상기 제2걸림부(44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경로홈(44)에서 밀착 지지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걸림부(413)와 상기 제2걸림부(442)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의 상호 맞물림에 대응하여 상기 제1걸림부(413)와 상기 제2걸림부(442)는 상호 걸림 결합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413)와 상기 제2걸림부(4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경로홈(44)을 따라 복수 개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끼움돌부(411)와 상기 제2끼움돌부(421)가 상호 맞물림에 따라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의 간격, 상기 제1적층유닛과 상기 제2적층유닛 사이의 간격,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상기 패킹유닛(30)에 의한 접촉 면적과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밀폐용기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상기 적층유닛(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용기유닛(10)에 상기 뚜껑유닛(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밀폐용기에 따르면, 다양한 내용물을 밀폐용기에 수납 보관함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고, 밀폐용기의 밀폐 기능을 향상시키며,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패킹유닛(3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패킹바디부(31)가 밀폐홈(24)에서 정위치 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 사이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밀착잠금부(33)와 상기 밀착고정부(34)가 상기 밀폐홈(24)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밀폐홈(24)에서 상기 패킹유닛(30)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바디부(31)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패킹유닛(30)의 찌그러짐 또는 상기 패킹유닛(30)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의 결합에서 패킹유닛의 마찰력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바디부(31)의 탄성 변형을 저지시키면서 상기 패킹유닛(30)에 가해지는 힘(압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밀착잠금부(33)에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밀착잠금부(33)와 상기 밀착날개부(41) 사이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식과 후크 방식을 조합하여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을 상호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상기 패킹유닛(3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유닛(30)의 분리, 세척, 결합을 편리하게 하고, 밀폐용기의 위생 관리가 간편해지며, 상기 패킹유닛(3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과 상기 적층공간(51)에 잔류하는 공기의 배출이 편리하고,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산폐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결합 상태에서 상기 패킹유닛(30)이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기 패킹유닛(30)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며, 상기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홈부 간의 삽입과 상기 끼움돌부 간의 중첩을 간편하게 하고,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 간의 중첩 상태를 유지시키고, 별도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용기유닛(10)과 상기 적층유닛(50)과 상기 뚜껑유닛(20)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패킹유닛(30)을 가압 지지하여 상기 패킹유닛(30)의 탄성 변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 간의 중첩 상태에서 상기 패킹유닛(30)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패킹유닛(30)에 의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용기유닛 11: 수용공간 20: 뚜껑유닛
21: 탄성판부 22: 고정판부 24: 밀폐홈
25: 제한턱부 30: 패킹유닛 31: 패킹바디부
32: 관통홀 33: 밀착잠금부 34: 밀착고정부
35: 패킹지지부 36: 가압지지부 38: 분산지지부
40: 회전밀착유닛 41: 밀착날개부 411: 제1끼움돌부
412: 제1끼움홈부 413: 제1걸림부 414: 밀착부
42: 보조날개부 421: 제2끼움돌부 422: 제2끼움홈부
43: 가림링부 431: 파지돌부 433: 결합가이드
44: 회전경로홈 442: 제2걸림부 50: 적층유닛
51: 적층공간

Claims (11)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용기유닛;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적층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유닛에 적층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유닛;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된 상기 적층공간을 개폐하는 뚜껑유닛;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유닛; 및
    상호 결합되는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에 따른 결합으로 두 부재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회전밀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길게 구비되는 패킹바디부;
    상기 패킹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밀착잠금부; 및
    상기 패킹바디부의 둘레 방향에 따른 상기 밀착잠금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킹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구획하도록 상기 패킹바디부에서 상기 관통홀에 돌출 형성되는 패킹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용기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용기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용기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유닛에 대한 상기 적층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적층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용기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유닛에 대한 상기 적층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유닛 중 인접한 제1적층유닛과 제2적층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제1적층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제1적층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2적층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제2적층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뚜껑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뚜껑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유닛과 상기 뚜껑유닛의 결합에 대하여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패킹유닛이 접하도록 상기 뚜껑유닛에 구비되는 밀착날개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뚜껑유닛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부;
    상기 밀착날개부 또는 상기 뚜껑유닛에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1끼움홈부;
    상기 밀착날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적층유닛에 구비되는 가림링부;
    상기 제1끼움돌부가 삽입되는 회전경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가림링부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부; 및
    상기 가림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경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끼움돌부에 의해 함몰 형성되는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제2끼움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끼움돌부는 상기 제1끼움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유닛에 대한 상기 뚜껑유닛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끼움돌부는 상기 회전경로홈을 거쳐 상기 제2끼움돌부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밀착유닛은,
    상기 제1끼움돌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끼움돌부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경로홈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뚜껑유닛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1.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링부에는,
    결합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160044407A 2016-04-11 2016-04-11 밀폐용기 KR10185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07A KR101859941B1 (ko) 2016-04-11 2016-04-11 밀폐용기
PCT/KR2017/003736 WO2017179852A1 (ko) 2016-04-11 2017-04-05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07A KR101859941B1 (ko) 2016-04-11 2016-04-11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26A true KR20170116526A (ko) 2017-10-19
KR101859941B1 KR101859941B1 (ko) 2018-05-21

Family

ID=6004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407A KR101859941B1 (ko) 2016-04-11 2016-04-11 밀폐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9941B1 (ko)
WO (1) WO2017179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6029B (zh) * 2020-04-23 2022-09-20 扬州通利冷藏集装箱有限公司 组合集装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450A (ja) * 1995-08-09 1997-02-18 Chugoku Pearl Hanbai Kk 蓋嵌合容器
JP3918415B2 (ja) * 2000-08-31 2007-05-23 豊田合成株式会社 弾性ガスケット
KR100556608B1 (ko) * 2004-02-13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1215203B1 (ko) * 2011-03-09 2012-12-24 홍광섭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KR101397483B1 (ko) * 2012-06-28 2014-05-20 한국원자력연구원 에탄올 생산용 재조합 균주를 이용한 알코올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941B1 (ko) 2018-05-21
WO2017179852A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JPH1059501A (ja) 密封容器の蓋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US20070017926A1 (en) Nozzle device for vacuum container
KR200318857Y1 (ko) 다단 적층식 용기
KR100651088B1 (ko) 덮개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12357Y1 (ko) 밀폐용기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JP3225210U (ja) 真空鮮度保存容器
KR200473692Y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180002756U (ko) 식품 포장용기
KR20110009209U (ko) 밀폐용기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