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476A -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476A
KR20170116476A KR1020160044291A KR20160044291A KR20170116476A KR 20170116476 A KR20170116476 A KR 20170116476A KR 1020160044291 A KR1020160044291 A KR 1020160044291A KR 20160044291 A KR20160044291 A KR 20160044291A KR 20170116476 A KR20170116476 A KR 2017011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pe
guide
hole
e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문상
Original Assignee
(주)신영프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프리텍 filed Critical (주)신영프리텍
Priority to KR102016004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476A/ko
Publication of KR2017011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방 장치에서 사용되는 냉매 순환 라인을 구성하며 냉매가 공급되는 부분의 고무관과 냉매를 수급받는 부분의 금속관을 연결하는 단부 연결구를 제조할 때, 파이프를 원소재로 이용하여 두 번의 가공 공정만으로 단부 연결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100)를 1차 금형(10)에 삽입하여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115)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110)로 가공하는 제1공정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2차 금형(20)에 삽입하여 상기 절곡부(115)가 평평하게 펼쳐져 단부 연결구(120)가 형성되도록 한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Equipment of Ferrule for Cooling Pipe in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방 장치에서 사용되는 냉매 순환 라인을 구성하며 냉매가 공급되는 부분의 고무관과 냉매를 수급받는 부분의 금속관을 연결하는 단부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를 원소재로 이용하여 두 번의 가공 공정만으로 단부 연결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은 전체가 금속관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는 고무관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금속관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냉매가 공급되는 부분의 고무관과 냉매를 수급받는 부분의 금속관을 연결하는 부재를 단부 연결구(Ferrule : 이음매)라 한다.
통상적인 단부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이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1)와, 고무관이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3)이 천공되어 상기 본체(1)의 일측 단부를 막아주는 마감부(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단부 연결구는 보통 알루미늄 판재를 타공하여 형성된 셀 부재를 압출 금형에 삽입한 후 임팩트 공법으로 일측 단부가에 마감부(2)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를 형성한 후, 상기 마감부(2)의 중앙에 구멍을 천공하여 관통공(3)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은 알루미늄 판재를 타공하여 셀 부재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버려지는 자투리가 남을 수밖에 없고 임팩트 공법의 적용을 위하여 분리용 분말의 도포, 분말 제거를 위한 세척 및 열처리가 요구되어 제조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파이프 자체를 가공하여 단부 연결구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파이프의 외측을 가압하여 파이프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단부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은 파이프의 외측을 가압하여 직각으로 절곡시킴에 따라 파이프의 외주면 전체에 가공부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지 않아 불균일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공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파이프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전후 이동되는 가공부를 이용하여 회전 중인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그 외측에서 가압함에 따라 힘이 파이프의 외주면 전체에 가공부의 힘이 고르게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직각으로 절곡되었을 때 형성되는 내측 구멍의 단면 형상이나 직경을 균일하지 유지하기가 어렵고, 원하는 크기의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로 피어싱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의 일측 단부에 측방향의 힘을 가하여 경사부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의 경사각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직각으로 절곡하는 방식을 채용할 경우 공정의 수가 대폭 증가하여 가공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몇 개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이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원하는 직경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재료 준비 공정 후, 알루미늄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작은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펀칭 헤드가 순간 압력으로 때려 절곡하는 1차 드로잉 공정과, 작은 각도로 절곡된 알루미늄 파이프 단부를 중간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펀칭 헤드가 순간 압력으로 때려 절곡하는 2차 드로잉 공정과, 2차 드로잉 공정에서 중간 각도로 절곡된 알루미늄 파이프 단부를 직각의 압축면을 갖는 펀칭 헤드가 순간 압력으로 때려 알루미늄 파이프 외경과 직각이 되도록 절곡하는 형상 마무리 과정과, 직각으로 절곡된 알루미늄 파이프 단부의 중앙을 천공기를 통해 타공하는 피어싱 공정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자투리 발생으로 인한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한편, 제조 후 별도의 열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에 시보리 방식을 이용하도록 함에 있어서, 실린더 1에 의해 좌, 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공급장치와, 공급장치 내주면에 형성된 공급홀을 따라 실린더 2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는 원형의 밀판으로 구성된 공급부와, 내측 중앙에 원형 파이프 형상의 배출수단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원형의 삽입홀이 형성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 전방 소정 위치에 실린더 3에 의해 지선 운동하는 전방 단부가 만곡진 가공부재로 구성된 가공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자투리 발생으로 인한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한편, 제조 장치 및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양단에 위치토록 하면서 파이프와 동일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라인과 상기 수직라인 사이에 위치되면서 두께의 변형이 가능한 여유공간을 갖는 복수의 경사라인이 단면상에 구비되는 금형에 상기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경사라인의 두께에 대응토록 금형을 가압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반제품의 경사부를 가압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짐으로써, 원하는 두께의 연결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자동화에 의한 연속작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한, 두께조절이 용이한 자동차 냉매 순환관용 연결구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2003-0001051 A KR 10-2003-0039219 A KR 10-2009-0103048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번의 성형 공정만으로 단부 연결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피어싱 공정이 생략하여 제조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1차 금형을 이용한 공정과 2차 금형을 이용한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자동화가 가능하게 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은, 파이프를 1차 금형에 삽입하여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로 가공하는 제1공정과; 상기 중간 성형체를 2차 금형에 삽입하여 상기 절곡부가 평평하게 펼쳐져 단부 연결구가 형성되도록 한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는, 파이프를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로 가공하는 1차 금형과; 상기 중간 성형체의 절곡부를 평평하게 펼쳐 단부 연결구로 성형하는 2차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1차 금형은 파이프가 삽입되는 안내공의 하단부에 라운드부가 형성된 가이드 금형과,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어 파이프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변형 방지부 및 상기 가이드 금형의 안내공에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 접촉되어 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 금형과, 상기 가이드 금형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금형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를 가이드 금형의 상측으로 배출하는 언로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언로딩 부재는 상기 중간 성형체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2차 금형은, 상기 중간 성형체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 금형과, 상기 중간 성형체의 절곡부에 삽입되는 구멍 형성부와 상기 중간 성형체에 삽입되는 변형 방지부 및 상기 가이드 금형의 안내공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 성형체의 상단에 접촉되어 중간 성형체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 금형과, 상기 가이드 금형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가이드 금형의 안내공의 하부로 삽입되며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가압 금형의 구멍 형성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중간 성형체의 절곡부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형성되는 받침 금형과, 상기 가압 금형의 과다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금형의 요홈 내측에 설치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받침 금형은 상기 베이스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이 완료된 단부 연결구를 배출하는 언로딩 부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1차 금형과 2차 금형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1차 금형에서 상측으로 배출된 중간 성형체를 상기 2차 금형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단부 연결구의 제조를 위한 원소재로 파이프를 사용함에 따라 자투리 발생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파이프를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로 가공하는 공정과 중간 성형체를 단부 연결구로 가공하는 공정 등 두 번의 가공 공정만으로 파이프를 단부 연결구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두께 1.3㎜의 파이프를 1차 금형에 삽입하여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로 가공한 후, 이 중간 성형체를 2차 금형에 삽입하고 상측에서 가압하여 절곡부를 평평하게 펼쳐 줌에 따라 가공 과정에서 파이프의 하단 두께가 대략 1.8~2.0㎜ 정도로 두껍게 형성되어, 단부 연결구의 마감부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1차 금형에 언로딩 부재가 설치되고 2차 금형에 언로딩 부재로 사용되는 받침 금형이 설치됨과 아울러 1차 금형과 2차 금형이 나란히 배치되어 수평 이송장치가 1차 금형에서 배출되는 중간 성형체를 2차 금형으로 이송하게 되므로, 단부 연결구의 제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1차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1처 금형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중간 성형체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2차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2차 금형을 이용하여 중간 성형체를 단부 연결구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를 1차 금형(10)에 삽입하여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115)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110)로 가공하는 제1공정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2차 금형(20)에 삽입하여 상기 절곡부(115)가 평평하게 펼쳐져 단부 연결구(120)가 형성되도록 한 제2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를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115)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110)로 가공하는 1차 금형(10)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를 평평하게 펼쳐 단부 연결구(120)로 성형하는 2차 금형(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1차 금형(10)과 2차 금형(20)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차 금형(10)에서 상측으로 배출된 중간 성형체(110)를 상기 2차 금형(20)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금형(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가 삽입되는 안내공(11a)의 하단부에 라운드부(11b)가 형성된 가이드 금형(11)과, 파이프(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파이프(10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변형 방지부(12a) 및 상기 가이드 금형(11)의 안내공(11a)에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100)의 상단에 접촉되어 파이프(100)를 가압하는 가압부(12b)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 금형(12)과, 상기 가이드 금형(1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11a)에 연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금형(11)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c)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가이드 금형(11)의 상측으로 배출하는 언로딩 부재(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언로딩 부재(14)는 상기 가이드 금형(11)의 관통공(11c)에 삽입되면서도 상기 중간 성형체(110)에 형성되는 절곡부(115)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2차 금형(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성형체(110)가 삽입되는 안내공(21')이 형성된 가이드 금형(21)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에 삽입되는 구멍 형성부(22a)와 상기 중간 성형체(110)에 삽입되는 변형 방지부(22b) 및 상기 가이드 금형(21)의 안내공(21')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상단에 접촉되어 중간 성형체(110)를 가압하는 가압부(22c)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 금형(22)과, 상기 가이드 금형(2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23)에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가이드 금형(21)의 안내공(21')의 하부로 삽입되며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가압 금형(22)의 구멍 형성부(22a)가 삽입되는 요홈(24')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를 지지하는 받침부(24")가 형성되는 받침 금형(24)과, 상기 가압 금형(22)의 과다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금형(24)의 요홈(24') 내측에 설치되는 패드(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 금형(24)은 상기 베이스부(2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이 완료된 단부 연결구(120)를 배출하는 언로딩 부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및 장치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를 원소재로 하여 일측 단부가 직각 방향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절곡된 부분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단부 연결구를 두 번의 가공 공정만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먼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알루미늄 소재의 파이프(100)를 준비하여 1차 금형(10)의 가이드 금형(11)에 형성된 안내공(11a)에 삽입한다. 이어, 상기 가이드 금형(11)의 상측에 위치한 가압 금형(12)을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 금형(12)의 변형 방지부(12a)는 파이프(100)의 내부로 삽입되고 가압부(12b)는 상기 파이프(100)의 상단에 접촉된다. 이후, 상기 가압 금형(12)의 하강에 따라 상기 파이프(100)의 하단부가 안내공(11a) 하단의 라운드부(11b)로 인해 파이프(100)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 금형(12)의 변형 방지부(12a)는 실제로 압력이 가해지는 파이프(100)의 상단부 내에서 파이프(100)가 변형되지 않도록 파이프(100)의 내측을 지지한다.
또, 상기 파이프(100)는 하강하면서 그 하단부가 계속 구부러지게 되므로 상기 가압 금형(12)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을 완료하면, 상기 파이프(10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구부러짐과 아울러 그 끝단부가 상향된 상태가 되어 중간 성형체(110)로의 가공이 완료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중간 성형체(110)가 완료되면, 상기 가압 금형(12)이 상향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금형(11)으로부터 이탈되고, 베이스부(1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언로딩 부재(14)가 상승하면서 가공이 완료된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가이드 금형(11)의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중간 성형체(110)가 가이드 금형(11)으로부터 이탈되면, 수평 이송장치(30)가 작동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2차 금형(2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2차 금형(20)의 상측으로 이동된 중간 성형체(110)는 상기 2차 금형(20)의 가이드 금형(21)에 형성된 안내공(21') 내부로 삽입되고, 곡면 형태로 형성된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 저면이 받침 금형(23)의 받침부(2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110)가 고정된다. 이어, 상기 가이드 금형(21)의 상측에 위치한 가압 금형(22)이 하강하여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가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금형(22)의 하강에 따라 상기 가압 금형(22)의 구멍 형성부(22a)와 변형 방지부(22b)가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 금형(22)의 가압부(22c)는 중간 성형체(110)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멍 형성부(22a)는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에 의해 형성된 구멍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변형 방지부(22b)는 중간 성형체(11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110)가 내측으로 변형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 금형(22)이 하강하면서 가압부(22c)가 중간 성형체(11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중간 성형체(110)도 역시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가 받침 금형(23)의 받침부(23")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하강시 상기 절곡부(115)가 평평하게 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15)의 내측 끝단부가 상기 구멍 형성부(22a)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단부 연결구(120)로의 가공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받침 금형(23)의 요홈(23') 내에 구비된 패드(25)는 상기 구멍 형성부(22a)의 하단면에 접촉되어 상기 구멍 형성부(22a)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곡부(115)가 평평하게 펴진 후에는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압 금형(22)을 상향 이동시켜 가이드 금형(21)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언로딩 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받침 금형(23)을 상향 이동시켜 가공이 완료된 단부 연결구(120)를 가이드 금형(21)의 외측으로 배출함으로써, 단부 연결구(120)의 가공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1차 금형
11...가이드 금형
11a...안내공
11b...라운드부
11c...관통공
12....가압 금형
12a...변형 방지부
12b...가압부
13...베이스부
14...언로딩 부재
20...2차 금형
21...가이드 금형
21'...안내공
22...가압 금형
22a...구멍 형성부
22b...변형 방지부
22c...가압부
23...베이스부
24....받침 금형
24'...요홈
24"...받침부
25...패드
30...수평 이송장치
100...파이프
110...중간 성형체
115...절곡부
120....단부 연결구

Claims (7)

  1. 파이프(100)를 1차 금형(10)에 삽입하여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115)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110)로 가공하는 제1공정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2차 금형(20)에 삽입하여 상기 절곡부(115)가 평평하게 펼쳐져 단부 연결구(120)가 형성되도록 한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2. 파이프(100)를 하단부 내측에 끝단부가 상향된 절곡부(115)가 형성된 중간 성형체(110)로 가공하는 1차 금형(10)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를 평평하게 펼쳐 단부 연결구(120)로 성형하는 2차 금형(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금형(10)은 파이프(100)가 삽입되는 안내공(11a)의 하단부에 라운드부(11b)가 형성된 가이드 금형(11)과, 파이프(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파이프(10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변형 방지부(12a) 및 상기 가이드 금형(11)의 안내공(11a)에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100)의 상단에 접촉되어 파이프(100)를 가압하는 가압부(12b)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 금형(12)과, 상기 가이드 금형(1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1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공(11a)에 연통하도록 상기 가이드 금형(11)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c)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성형체(110)를 가이드 금형(11)의 상측으로 배출하는 언로딩 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부재(14)는 상기 중간 성형체(110)에 형성되는 절곡부(115)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금형(20)은, 상기 중간 성형체(110)가 삽입되는 안내공(21')이 형성된 가이드 금형(21)과,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에 삽입되는 구멍 형성부(22a)와 상기 중간 성형체(110)에 삽입되는 변형 방지부(22b) 및 상기 가이드 금형(21)의 안내공(21')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상단에 접촉되어 중간 성형체(110)를 가압하는 가압부(22c)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 금형(22)과, 상기 가이드 금형(2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23)에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가이드 금형(21)의 안내공(21')의 하부로 삽입되며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가압 금형(22)의 구멍 형성부(22a)가 삽입되는 요홈(24')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중간 성형체(110)의 절곡부(115)를 지지하는 받침부(24")가 형성되는 받침 금형(24)과, 상기 가압 금형(22)의 과다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금형(24)의 요홈(24') 내측에 설치되는 패드(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금형(24)은 상기 베이스부(2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이 완료된 단부 연결구(120)를 배출하는 언로딩 부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금형(10)과 2차 금형(20)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1차 금형(10)에서 상측으로 배출된 중간 성형체(110)를 상기 2차 금형(20)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장치(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KR1020160044291A 2016-04-11 2016-04-11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KR20170116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291A KR20170116476A (ko) 2016-04-11 2016-04-11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291A KR20170116476A (ko) 2016-04-11 2016-04-11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76A true KR20170116476A (ko) 2017-10-19

Family

ID=6029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291A KR20170116476A (ko) 2016-04-11 2016-04-11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4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63A (ko) 2018-10-17 2020-04-27 (주)신영프리텍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63A (ko) 2018-10-17 2020-04-27 (주)신영프리텍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229B2 (en) Method for producing highly dimensionally accurate half-shell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alf-shell
US9833828B2 (en) Hot-press deep-drawing forming method and hot-press deep-drawing forming method apparatus
EP32253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ipe and press mold used in said method
CN106607469B (zh) 触头座挤压模具及其挤压成型方法
JP2003117619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EP18448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setting cylindrical material
KR102177383B1 (ko) 비드형 캔 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109365A (en) Method for forming contoured tubing
US201402988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tal drawing and redrawing
KR20170116476A (ko)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장치
KR20080102033A (ko) 후방가압형 냉간성형장치를 이용한 압출단조품 제조방법
US9120143B2 (en) Cut-off end surface improvement
US9046157B2 (en) Mandrel, set of mandrels, and hollow rack bar
JPS5844932A (ja) 自在継手の外輪製造方法
JP2003103314A (ja) 膨出部付き金属曲がり管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207668292U (zh) 一种阶梯深孔轴类零件冲压模具
KR100502780B1 (ko) 인너튜브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1215523A (zh)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CN204799778U (zh) 一种汽车尾管端锥整形模具
KR20200043063A (ko)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방법
CN216404184U (zh) 玻璃治具
JP6976302B2 (ja) 金属加工品の製造方法
CN104289542A (zh) 具有法兰的轴类零件的成型方法
KR102272735B1 (ko) 탄성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071659B1 (ko) 타이로드엔드 및 그 제작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