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953A -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953A
KR20170115953A KR1020170043726A KR20170043726A KR20170115953A KR 20170115953 A KR20170115953 A KR 20170115953A KR 1020170043726 A KR1020170043726 A KR 1020170043726A KR 20170043726 A KR20170043726 A KR 20170043726A KR 20170115953 A KR20170115953 A KR 2017011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easurement
healthcare
termina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하루 마쯔다이라
다까시 하세
아끼라 다나베
가즈야 우에지마
Original Assignee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5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for synchronising or triggering a physiological measurement or image acquisition with a physiological event or waveform, e.g. an ECG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61B2560/0247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for compensation or correction of the measured physiological value
    • A61B2560/025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for compensation or correction of the measured physiological value using ambient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75Special features of memory means, e.g. removable memory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측정 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지표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 대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센서 시스템은, 제1 및 제2 센서와, 제1 센서의 측정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정부와,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측정 조건 기억부와, 검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측정 조건에 따르는 측정과는 별도로 제2 센서에 의한 측정을 실행하고, 당해 측정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센서 시스템{SENSOR SYSTEM}
이 개시는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복수의 센서를 갖는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의 발전에 있어서, 사회의 여러 장소에 존재하는 센서 단말기로부터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로 된다. 특히, 센서 단말기가 하비스트 전원이나 전지로 구동되는 등의 공급 전력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센서의 측정 시간이나 측정 빈도가 제한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요구된다.
센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취득의 기술에 관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57552호 공보(특허문헌 1)는 복수 항목의 생체 지표에 대하여 측정값을 축적하고, 각 생체 지표의 변동 패턴이나 생체 지표간의 상관을 구하고, 어떤 생체 지표에 관하여 변동 패턴으로부터 벗어난 값이 측정된 경우에, 다른 생체 지표와의 상관에 기초하여, 건강 상태의 평가에 필요한 생체 지표의 종류, 그 측정 타이밍, 측정 횟수 등을 결정하고, 유저에게 제시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5755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기술은, 결정한 측정 타이밍을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제의 측정 타이밍은 유저에 의존한다. 또한, 그 기술은, 유저의 상태 변화, 즉, 측정 대상의 변화에 기초하여, 센서의 측정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측정 대상과는 독립되고, 또한, 측정 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지표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어떤 국면에 있어서의 목적은, 측정 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지표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 대상의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밖의 과제와 신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센서 시스템은, 제1 및 제2 센서와, 제1 센서의 측정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정부와,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측정 조건 기억부와, 검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측정 조건에 따르는 측정과는 별도로 제2 센서에 의한 측정을 실행하고, 당해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측정 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지표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 대상의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열중증의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6의 스텝 S66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센서 시스템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A. 개요]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시스템(1X)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센서 시스템(1X)은, 센싱 시스템(10)과 센싱 시스템(30)을 갖는다. 센싱 시스템(10)은 센서(12)와, 판정부(14)와, 신호 전달부(16)를 포함한다. 센싱 시스템(30)은 신호 전달부(32)와, 제어부(34)와, 센서(36)와, 측정 조건 기억부(38)를 포함한다. 센싱 시스템(10 및 30)은, 통상 시, 서로 독립하여 측정 등의 동작을 행하지만, 후술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서로 제휴하여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12)는 외부 지표(예를 들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판정부(14)에 출력한다. 판정부(14)는 센서(12)의 측정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신호 전달부(16)를 통해 센싱 시스템(30)에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34)는 측정 조건 기억부(38)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측정함)에 따라서, 센서(36)에 의해 측정 대상의 측정을 행한다. 제어부(34)는 신호 전달부(32)를 통해 센싱 시스템(10)으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 조건 기억부(38)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과는 별도로, 센서(36)에 의해 측정을 행한다. 제어부(34)는 당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 조건 기억부(38)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4)는 당해 측정 결과가 이상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측정 빈도를 올리도록 측정 조건 기억부(38)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갱신한다.
상기에 의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시스템(1X)은, 측정 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 외부 지표의 변화에 따른 측정 대상의 상태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이 센서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 및 제어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B. 실시 형태 1]
(b1. 센서 시스템(1)의 전체 구성)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센서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센서 시스템(1)은 외부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과, 측정 대상을 측정하기 위한 헬스 케어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외부 지표는, 일례로서,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인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측정 대상은, 체온, 혈압 등의 생체 정보인 것으로 한다. 외부 환경의 변화는 생체에 영향을 주므로, 환경 정보와 생체 정보는 어떤 기간에 있어서 관련성이 있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환경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와,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헬스 케어 시스템(30)은,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와,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b2. 센서 시스템(1)의 구성)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센서 시스템(1)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통신부(110)와, 판정부(120)와, 풍량계(130)와, 대기 오염 농도계(140)와, 온도계(150)와, 습도계(160)와 데이터 저장부(165)를 갖는다. 통신부(110)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일례로서, 풍량, 대기 오염 농도, 온도 및 습도의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
환경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풍량계(130), 대기 오염 농도계(140), 온도계(150) 및 습도계(160)(이하, 총칭하여 「환경 센서」라고도 칭함)는 측정 결과를 판정부(120) 및 데이터 저장부(165)에 출력한다. 판정부(120)는 환경 센서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에 통신부(110)를 통해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에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부(165)는 일시적으로 환경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이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데이터 저장부(165)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당해 데이터를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에 출력한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유저가 일상 활동을 행하는 건물의 실내 또는 주위에 부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신호 전달부(210)와, 데이터 기억부(220)와, 통신부(230)와, 제어부(240)를 갖는다. 신호 전달부(210)는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데이터 기억부(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환경 센서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240)는 데이터 기억부(220)에 저장되는 환경 정보 등에 기초하여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의 전체 동작을 관리한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제어부(240)에서 결정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서, 환경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에 출력한다. 또한, 후술하는 센서 데이터의 처리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처리부가 행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통신부(310)와, 활동량계(320)와, 혈압계(330)와, 체온계(340)와, 측정 조건 기억부(350)와, 표시부(360)와, 데이터 저장부(365)를 갖는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에 탑재되는 각 디바이스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일례로서, 리스트 밴드형의 단말기로서, 유저의 신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유저의 이동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의 형태는, 반창고형 등, 인체에 장착하기 쉬운 형태이면 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가 반창고형의 단말기인 경우, 혈압계(330)는 유저의 팔에 감기지 않고(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혈압을 측정한다.
통신부(31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일례로서, 활동량, 혈압 및 체온의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활동량계(320), 혈압계(330) 및 체온계(340)(이하, 총칭하여 「생체 센서」라고도 칭함)는 측정 결과를 표시부(360) 및 데이터 저장부(365)에 출력한다. 표시부(360)는 생체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생체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데이터 저장부(365)는 일시적으로 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이다. 소정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데이터 저장부(365)에 저장되는 생체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출력한다. 측정 조건 기억부(350)는 생체 센서의 각각의 측정 조건을 저장한다. 측정 조건 기억부(350) 및 데이터 저장부(365)는 빈번히 가동(판독 기입)과 정지를 반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Re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저소비 전력 또한 랜덤 액세스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신호 전달부(410)와, 데이터 기억부(420)와, 통신부(430)와, 제어부(450)를 갖는다. 신호 전달부(410)는 신호 전달부(210)와, 통신부(430)는 통신부(310)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데이터 기억부(420)는 통신부(430)를 통해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45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의 전체 동작을 관리한다. 제어부(450)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이하,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이라고도 칭함)을 갱신한다. 또한, 후술하는 센서 데이터의 처리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처리부가 행한다.
통신부(110)와 통신부(230), 통신부(310)와 통신부(430) 및 신호 전달부(210)와 신호 전달부(410)의 신호의 송수신은 무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선으로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에,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b3.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의 동작)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처리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 및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로 소자 그 밖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당해 조건은 후술하는 도 1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스텝 S10에 있어서, 환경 센서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환경 정보를 판정부(120) 및 데이터 저장부(165)에 출력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의 변화를 검지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120)가, 취득한 환경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켰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취득한 환경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에 있어서 "예"), 통신부(110)를 통해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에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스텝 S20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22에 있어서 수신한 검지 신호를 헬스 케어 시스템(30)에 송신한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에 있어서의 스텝 S20 및 22의 처리는, 소위 인터럽트 처리로서, 통상의 처리와는 상이한 처리이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스텝 S22에 있어서 검지 신호를 송신한 후, 일련의 인터럽트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통상의 처리로 복귀하여,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로부터의 환경 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취득한 환경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를 스텝 S16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6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데이터 저장부(165)에 저장되는 센서 데이터(환경 정보)가 소정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량은, 일례로서, 256kB로 한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데이터 저장부(165)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이 소정량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6에 있어서 "예"), 저장되는 센서 데이터(환경 정보)를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에 송신한다(스텝 S18). 이에 의해,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환경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와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스텝 S24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26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수신한 환경 정보를 데이터 기억부(220)에 저장한다. 한편,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데이터 저장부(165)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이 소정량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6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를 스텝 S10으로 되돌려, 다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때까지 대기한다. 다음에, 헬스 케어 시스템(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b4. 헬스 케어 시스템(30)의 동작)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30)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처리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 및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로 소자 그 밖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당해 조건은 후술하는 도 6 및 도 1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스텝 S30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슬립 모드에서 대기를 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생체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의 취득을 행하는 액티브 모드와, 불필요한 기능을 정지시킴으로써 액티브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을 억제한 슬립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슬립 모드에 있어서, 생체 센서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한다. 또한, 활동량계(320)는 유저의 활동량을 측정한다고 하는 특성상, 항상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다른 국면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슬립 모드에 있어서도 활동량계(3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스텝 S32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당해 소정 시간은,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어 있다. 일례로서, 소정 시간은 1분으로 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2에 있어서 "예"), 처리를 스텝 S34로 진행시켜, 슬립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2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를 스텝 S30으로 되돌린다.
스텝 S36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생체 센서에 의해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표시부(360)에 표시함과 함께, 데이터 저장부(365)에 기억한다.
스텝 S38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와 통신 가능하며, 또한, 송신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통신부(310)와 통신부(430) 사이에서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와 통신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송신 타이밍의 일례로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최근 24시간 이내에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생체 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송신 타이밍이라고 판단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와 통신 가능하며, 또한, 송신 타이밍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38에 있어서 "예"), 데이터 저장부(365)에 저장되는 생체 정보를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송신한다(스텝 S40).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스텝 S50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스텝 S52에 있어서, 수신한 생체 정보를 데이터 기억부(420)에 저장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와 통신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송신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38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를 스텝 S42로 진행시킨다. 스텝 S42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전지의 사용 한계이거나, 또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로부터 정지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전지의 전압이 3.3V 이하로 되면, 전지의 사용 한계라고 판단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전지의 사용 한계이거나, 또는, 정지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2에 있어서 "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전지의 사용 한계가 아니고, 또한, 정지 명령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2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를 스텝 S30으로 되돌려,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로부터 취득한 매일의 활동량, 체온, 혈압과 같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의 건강을 관리한다. 다음에,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b5. 측정 조건의 갱신)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60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가 스텝 S22(도 4 참조)에서 송신한 검지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62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검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생체 센서의 각각에 생체 정보의 취득을 명하는 취득 명령을 송신한다.
스텝 S70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로부터 취득 명령을 수신하고, 스텝 S72에 있어서 생체 센서에 의해 유저의 생체 정보(센서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74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취득한 생체 정보를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송신한다.
스텝 S64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스텝 S66에 있어서 수신한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66의 상세는 후술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수신한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6에 있어서 "예"),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헬스 케어 단말기(300)에 송신한다(스텝 S68).
스텝 S69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수신한 생체 정보(센서 데이터)를 검지 신호와 관련지어 데이터 기억부(420)에 보존한다. 즉,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정보와,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구별하여 데이터 기억부(420)에 저장한다. 또한, 다른 국면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검지 신호 대신에 환경 정보와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데이터 기억부(420)에 보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스텝 S14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검지 신호와 함께 환경 정보를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송신한다.
스텝 S76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로부터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수신한다. 스텝 S78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수신한 측정 조건을 사용하여 갱신한다.
상기에 의하면, 센서 시스템(1)은 측정 대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지표(환경 정보)의 변화를 검지하고, 당해 외부 지표의 변화에 따른 측정 대상(유저)의 상태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전지 등의 한정된 전력 내에서 유저에게 유익한 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b6. 측정 조건의 갱신-구체예)
이하,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일례로서, 열중증을 대책하기 위해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열중증의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열중증을 야기하는 요인은, 인간(헬스 케어 단말기(300)의 유저)의 상태에 기인하는 것과, 외부 환경에 기인하는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외부 환경에 기인하는 열중증의 원인으로서, 기온이 높거나, 습도가 높은 등의 원인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4의 스텝 S12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는 온도계(150)의 온도가 35℃를 초과한 경우, 및 습도계(160)의 습도가 60%를 초과한 경우 중 어느 한쪽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외부 환경의 변화를 검지하였다고 판단한다.
한편, 유저의 상태에 기인하는 열중증의 원인으로서, 수분의 부족을 들 수 있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장착하는 유저의 수분 부족은 혈압의 저하로서 관측 가능하다. 그 때문에, 도 6의 스텝 S62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서, 혈압계(330)에 대하여 유저의 혈압을 측정한다는 취지의 취득 명령을 송신한다. 이것에 따라서, 혈압계(330)는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과는 별도로, 유저의 혈압을 측정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한 혈압계(330)의 측정 결과를,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송신한다.
스텝 S66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수신한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혈압이 소정의 역치를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최고 혈압(수축기 혈압)이 100mmHg를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역치는, 데이터 기억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역치는, 의료적 지견에 기초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 이 역치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장착하는 유저의 성별, 연대별로 정의되는 값이어도 된다.
스텝 S68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수신한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혈압이 소정의 역치를 하회한다고 판단한 경우, 혈압계(330)의 측정 정밀도를 올리는 측정 조건을 헬스 케어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장착하는 유저가 열중증에 이환할 위험성이 높아, 유저의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감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측정 정밀도를 올리는 제어예로서, 혈압계 등의 센서의 측정 빈도(샘플링 레이트)를 올리거나, 한 번에 드는 측정 시간을 길게 하는 등의 제어를 들 수 있다. 일례로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데이터 기억부(420)에 저장되는 복수의 측정 조건 중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측정 조건보다도 정밀도가 높은 측정 조건을 선택하여, 헬스 케어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또한, 다른 국면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 내의 활동량계(320)의 측정 결과를 더 고려하여,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결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시에는 열중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활동량계(320)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검지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유저가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유저가 보다 열중증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스텝 S76 및 78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수신한 측정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갱신한다. 또한, 다른 국면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로부터의 측정 조건의 수신에 따라서, 표시부(360)에, 열중증의 위험성이 있다는 취지를 경고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에 의하면, 센서 시스템(1)은 헬스 케어 단말기(300)의 유저가 자각하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환경 정보의 변화에 따라서 유저가 위험한 상태로 되면, 보다 유저의 상태를 상세하게 감시하기 위해 생체 센서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센서 시스템(1)은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유저마다 최적화할 수 있다.
(b7. 측정 조건의 갱신-변형예 1)
상기의 예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은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성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은 측정 조건 기억부(35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서 측정된 측정 결과(이하, 「통상 데이터」라고도 칭함)와,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측정 결과(이하, 「돌발 데이터」라고도 칭함)에 기초하여,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8은 도 6의 스텝 S66에 있어서의 다른 제어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부(420)에 저장되는 통상 데이터와 돌발 데이터가, 혈압값(예를 들어, 최고 혈압값)마다의 데이터수의 분포로서 표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기억부(420)에 저장되는 혈압의 데이터수는, 소정의 역치 미만의 통상 데이터수(이하, 「NL」이라고도 칭함), 역치 이상의 통상 데이터수(이하, 「NH」라고도 칭함), 역치 미만의 돌발 데이터수(이하, 「AL」이라고도 칭함) 및 역치 이상의 돌발 데이터수(이하, 「AH」라고도 칭함)를 더한 값으로 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의 유저가 열중증으로 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 A를, 이하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지표 A의 값이 클수록, 통상 데이터의 역치에 대한 분포와, 돌발 데이터의 역치에 대한 분포가 보다 상이하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지표 A의 값이 클수록 유저가 열중증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일례로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지표 A가 0.8 이상일 때에, 도 6의 스텝 S66에 나타내어지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한다.
상기에 의하면, 센서 시스템(1)은, 통상 데이터와 돌발 데이터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당해 구성에 따른 센서 시스템(1)은 수신한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측정 결과에만 기초하여 판단하는 구성에 비해, 고정밀도로 열중증으로 될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상 데이터수와 돌발 데이터수는, 데이터수가 크게 상이한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도 6의 스텝 S68에 있어서, 양자가 통계 데이터로서 비교 가능하게 되도록, 혈압계(330)의 한 번에 드는 측정 시간을 길게 설정해도 된다.
(b8. 측정 조건의 갱신-변형예 2)
상기의 예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은 기지의 증상(열중증)을 대책하는 구성, 즉, 미리 측정 조건을 변경하는 생체 센서를 파악하고 있는 구성이었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은 미지의 증상을 대책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하, 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통상 데이터와 돌발 데이터를 통계 데이터로서 비교 가능하게 될 때까지 헬스 케어 단말기(300)에 탑재되는 모든 생체 센서에 의해 생체 정보의 측정을 행한다. 일례로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어떤 생체 정보에 대한 돌발 데이터의 데이터수가 소정값(예를 들어, 100개)에 도달할 때까지 모든 생체 센서에 의해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돌발 데이터의 데이터수가 소정값에 도달하면, 생체 정보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내어지는 지표 A를 산출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지표 A가 미리 정해진 값(예를 들어, 0.8) 이상인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변경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돌발 데이터의 데이터수가 소정값에 도달한 후에는, 검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측정 조건을 변경한 생체 센서만 측정을 행한다.
상기에 의하면, 센서 시스템(1)은 미지의 증상에 대해서도,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유저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생체 센서의 측정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시스템(1)은 측정 조건을 변경한 후에는 검지 신호를 수신해도,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되지 않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다.
(b9. 복수의 헬스 케어 단말기(300))
상기의 예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와 통신을 행하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1대이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는 복수의 헬스 케어 단말기(300)와 통신을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주택에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를 설치하고, 당해 주택에 사는 가족이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몸에 착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회사에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를 설치하고, 종업원이 헬스 케어 단말기(300)를 몸에 착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도 6의 스텝 S66의 판단에 사용되는 소정의 역치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접속되는 모든 헬스 케어 단말기(300)로부터 얻어지는 생체 정보의 평균값이어도 된다.
[C.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따른 센서 시스템(1)은 열중증 대책을 예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으로부터 헬스 케어 시스템(30)에 검지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센서 시스템(1A)은, 헬스 케어 시스템으로부터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도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즉, 센서 시스템(1A)은, 헬스 케어 단말기를 장착하는 유저의 상태(생체 정보)를 외부 지표로 하여, 이 상태 변화에 따른 환경 정보의 측정도 행한다. 이하, 센서 시스템(1A)의 구성 및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센서 시스템(1A)의 기본 구성은 센서 시스템(1)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c1. 센서 시스템(1A)의 구성)
도 9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센서 시스템(1A)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센서 시스템(1A)은,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A)과, 헬스 케어 시스템(30A)을 포함한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A)은,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와,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를 갖는다. 헬스 케어 시스템(30A)은, 헬스 케어 단말기(300A)와,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를 갖는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에 비해 측정 조건 기억부(170)를 더 갖는다. 측정 조건 기억부(170)는 환경 센서의 각각의 측정 조건을 저장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에 비해 판정부(370)를 더 갖는다. 판정부(370)는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에 통신부(310)를 통해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생체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는 검지 신호(이하, 「생체 검지 신호」라고도 칭함)를 출력한다.
(c2. 헬스 케어 시스템(30A)의 동작)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30A)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5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그 부분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스텝 S80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취득한 생체 정보(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상태 변화를 검지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취득한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켰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취득한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정하는 경우(스텝 S80에 있어서 "예"), 스텝 S82에 있어서, 생체 검지 신호를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에 송신한다. 한편,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취득한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처리를 스텝 S38로 진행시킨다.
스텝 S90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A)로부터 생체 검지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92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는, 수신한 생체 검지 신호를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A)에 송신한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에 있어서의 스텝 S90 및 92의 처리는, 인터럽트 처리로서, 통상의 처리와는 상이한 처리이다.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는, 스텝 S92에 있어서 검지 신호를 송신한 후, 일련의 인터럽트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는, 통상의 처리로 복귀하여, 헬스 케어 단말기(200A)로부터의 생체 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c3.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텝 S100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가 스텝 S92(도 7 참조)에서 송신한 생체 검지 신호를 수신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생체 검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환경 센서의 각각에 환경 정보의 취득을 명하는 취득 명령을 송신한다.
스텝 S120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로부터 취득 명령을 수신하고, 스텝 S122에 있어서, 환경 센서에 의해 환경 정보(센서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124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는, 취득한 환경 정보를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에 송신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스텝 S106에 있어서, 수신한 환경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수신한 환경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6에 있어서 "예"),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에 송신한다(스텝 S108).
스텝 S109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수신한 환경 정보(센서 데이터)를 생체 검지 신호와 관련지어 데이터 기억부(220)에 보존한다. 즉,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측정 조건 기억부(17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서 측정된 환경 정보와, 생체 검지 신호에 따라서 측정된 환경 정보를 구별하여 데이터 기억부(220)에 저장한다. 또한, 다른 국면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생체 검지 신호 대신에 생체 정보와 환경 정보를 관련지어 데이터 기억부(220)에 보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스텝 S82에 있어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는, 생체 검지 신호와 함께 생체 정보를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에 송신한다.
스텝 S126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는,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로부터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수신하고, 스텝 S128에 있어서, 측정 조건 기억부(17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수신한 측정 조건을 사용하여 갱신한다.
상기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에 따른 센서 시스템(1A)은, 외부 지표로서의 생체 정보의 변화를 검지하고, 당해 외부 지표의 변화에 따른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일례로서, 화분증을 대책하기 위해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체예를 설명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구체예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반창고형의 단말기로서, 유저의 흉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구체예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A)의 활동량계는, 슬립 모드에 있어서도 측정을 계속하는 것으로 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활동량계(320)에 탑재되는 가속도 센서의 신호 파형으로부터, 재채기 및 기침을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동량계(320)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장치에 재채기, 기침에 대응하는 가속도 센서의 신호 패턴을 저장한다. 활동량계(320)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결과로부터, 당해 신호 패턴에 대응하는 개소를 검출한 경우에, 재채기, 기침을 검지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도 10의 스텝 S80에 있어서, 활동량계(320)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채기 및 기침을 검지한 경우에, 유저의 상태 변화를 검지하였다고 판정하고,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에 생체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A)는, 활동량계(320)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 재채기 또는 기침을 검지한 횟수가 소정 횟수를 상회하는 경우에, 생체 검지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1의 스텝 S100 및 102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로부터의 생체 검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대기 오염 농도계(140)에 대하여 대기 오염 농도의 측정을 행한다는 취지의 취득 명령을 송신한다.
이것에 따라서, 대기 오염 농도계(140)는 스텝 S122 및 124에 있어서, 측정 조건 기억부(17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과는 별도로, 주위의 대기 오염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에 송신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위 체적당의 꽃가루량이 소정의 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대기 오염 농도계는, 단위 체적당의 미립자의 수를, 미립자의 직경별로 카운트한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직경 20∼40㎛의 미립자를 꽃가루라고 판단한다. 일례로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1입방미터당의 꽃가루량이 12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소정의 역치는, 데이터 기억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역치는, 의료적 지견에 기초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단위 체적당의 꽃가루량이 소정수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08에 있어서, 대기 오염 농도계(140)의 측정 정밀도를 올리는 측정 조건을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에 송신한다.
또한, 다른 국면에 있어서, 스텝 S108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A)에 대하여 헬스 케어 단말기(300A)의 표시부(360)에, 주위의 꽃가루 농도가 높다는 취지를 경고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명령을 더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 스텝 S108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A)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청정기 등의 외부 장치에 대하여, 꽃가루를 제거한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시스템(1A)은, 유저의 화분증에 대한 자각 증상이 없거나, 또는 증상이 가벼운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꽃가루를 제거하여, 화분증의 중증화를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126 및 128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A)는, 수신한 측정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 조건 기억부(170)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을 갱신한다.
상기에 의하면, 센서 시스템(1A)은, 헬스 케어 단말기(300A)의 유저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자동으로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적절하게 갱신할 수 있다. 즉, 센서 시스템(1A)은,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유저마다 최적화할 수 있다.
[D. 실시 형태 3]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센서 단말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끼리가 통신을 행하는 구성이었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센서 시스템(1B)은, 센서 단말기끼리가 통신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센서 시스템(1B)의 기본 구성을 설명할 때에, 센서 시스템(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d1. 센서 시스템(1B)의 구성)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센서 시스템(1B)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센서 시스템(1B)은,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B)과, 헬스 케어 시스템(30B)을 포함한다.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10B)은, 복수의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1, 100B2, 100B3 …)(이하, 총칭하여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라고도 칭함)를 갖는다. 헬스 케어 시스템(30B)은, 복수의 헬스 케어 단말기(300B1, 300B2, 300B3 …)(이하, 총칭하여 「헬스 케어 단말기(300B)」라고도 칭함)를 갖는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대기 오염 농도계(140) 대신에 일사계(175)를 탑재함과 함께,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200)에 탑재되어 있던 여러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신호 전달부(180)와, 데이터 기억부(185)와, 제어부(190)를 더 갖는다. 신호 전달부(180)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B)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데이터 기억부(185)는 환경 센서(풍량계(130), 온도계(150), 습도계(160) 및 일사계(175))의 측정 결과(환경 센서)를 기억한다. 제어부(190)는 데이터 기억부(185)에 저장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환경 센서의 측정 조건을 결정한다. 또한, 통신부(110B)는, 다른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400)에 탑재되어 있던 여러 기능을 더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신호 전달부(375)와, 데이터 기억부(380)와, 제어부(385)를 갖는다. 데이터 기억부(380)는 생체 센서의 측정 결과(생체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통신부(310B)는, 다른 헬스 케어 단말기(300B)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생체 정보의 취득 외에,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다. 그 때문에,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다. 즉, 헬스 케어 단말기(300B)를 장착하는 유저는,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와의 통신 가능 영역에 속박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데이터 처리 기능도 갖기 때문에, 생체 정보 등을 사용한 다양한 리얼타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d2. 센서 시스템(1B)에서의 제어)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센서 시스템(1B)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 케어 단말기(300B)를 장착하는 유저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가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길을 조깅한다. 이 사용예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B)은 열중증을 대책하는 것으로 한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의 각각은, 환경 센서의 측정 결과로부터 더위 지수 WBGT(Wet Bulb Globe Temperature)를 산출한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더위 지수 WBGT가 소정값(예를 들어 25℃)을 상회하는 경우에, 환경의 변화를 검지한 것으로 하여, 주위의 통신 가능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B)를 검색한다.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통신을 확립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B)에 대하여 환경의 변화를 검지한 것을 알리는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유저가 조깅을 행하면, 헬스 케어 단말기(300B)에 검지 신호를 송신하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1, 100B2, 100B3)의 순으로 전환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이동처에 설치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에 의해, 이동처에서의 정확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정밀도가 높은 열중증(유저의 상태 이상)의 리스크 통지(검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로부터의 검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혈압, 체온 등의 생체 정보의 측정 조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유저의 상태를 상세하게 감시한다. 헬스 케어 단말기(300)는 유저의 상태가 악화되면 표시부(360)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에 의해, 센서 시스템(1B)은, 유저가 열중증에 이환하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다.
(d3.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의 제휴)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통신부(110B)를 통해 다른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와 환경 정보를 공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일례로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다른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가 취득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상태 이상(예를 들어, 열중증)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도시하지 않은 서버에 환경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에 있어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검지 신호를 헬스 케어 단말기(300B)에 송신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다른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에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당해 신호를 수신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는, 소정 기간, 헬스 케어 단말기(300B)에의 검지 신호의 송신을 제한해도 된다.
(d4. 헬스 케어 단말기(300B)의 제휴)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다른 헬스 케어 단말기(300B)를 통해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와 통신을 확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주위에 직접 통신 가능한 환경 모니터 단말기(10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다른 헬스 케어 단말기(300B)를 통해, 유저의 상태 이상에 관한 리스크 통지(검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다른 헬스 케어 단말기(300B)와 생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헬스 케어 단말기(300B)를 장착하는 유저의 생체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유저의 생체 정보와 평균값의 차분이 소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헬스 케어 단말기(300B)는, 도시하지 않은 서버에 생체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에서 생체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 1∼3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외부 지표로서 환경 정보(또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외부 지표의 변화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으로서의 생체 정보(또는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측정 조건을 변경하는 구성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공장에서의 생산성/안전성 향상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장의 노동자가 각종 센서를 탑재한 웨어러블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를 몸에 장착한다. 또한, 공장의 가동 상황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당해 환경에 있어서, 외부 지표로서의 가동 상황이 변화된 것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에 탑재된 센서에서의 측정을 행하고, 당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자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120, 370 : 판정부
180, 210, 375, 410 : 신호 전달부
30 : 헬스 케어 시스템
170, 350 : 측정 조건 기억부
100, 100A, 100B1, 100B : 환경 모니터 단말기
110, 110B, 230, 310, 310B, 430 : 통신부
130 : 풍량계
140 : 대기 오염 농도계
150 : 온도계
160 : 습도계
165, 365 : 데이터 저장부
175 : 일사계
185, 220, 380, 420 : 데이터 기억부
190, 240, 385, 450 : 제어부
200, 200A : 환경 모니터용 컨트롤러
300, 300A, 300B1, 300B : 헬스 케어 단말기
320 : 활동량계
330 : 혈압계
340 : 체온계
360 : 표시부
400, 400A : 헬스 케어용 컨트롤러

Claims (12)

  1. 제1 및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의 측정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정부와,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측정 조건 기억부와,
    상기 검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측정 조건에 따르는 측정과는 별도로 상기 제2 센서에 의한 측정을 실행하고, 당해 측정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은, 측정 빈도 및 측정에 드는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중 한쪽의 센서는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되고, 다른 쪽의 센서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센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센서는 인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센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센서는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다른 쪽의 센서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의, 상기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서 측정하는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검지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측정하는 제2 측정 결과를 구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되는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센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역치를 하회하는 상기 제1 측정 결과의 수, 상기 소정의 역치를 하회하는 상기 제2 측정 결과의 수,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상기 제1 측정 결과의 수, 및 상기 소정의 역치 이상의 상기 제2 측정 결과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는 센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측정하는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 단말기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 단말기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센서 단말기 중 다른 제1 센서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 단말기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서 단말기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센서 단말기 중 다른 제2 센서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1. 센서와,
    상기 센서의 측정 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측정 조건 기억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측정 조건에 따르는 측정과는 별도로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을 실행하고, 당해 측정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조건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센서의 측정 조건을 갱신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
  12.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의 측정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에 대하여, 당해 제2 센서의 측정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검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
KR1020170043726A 2016-04-08 2017-04-04 센서 시스템 KR20170115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8202 2016-04-08
JP2016078202A JP2017185141A (ja) 2016-04-08 2016-04-08 センサ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53A true KR20170115953A (ko) 2017-10-18

Family

ID=5999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726A KR20170115953A (ko) 2016-04-08 2017-04-04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90553A1 (ko)
JP (1) JP2017185141A (ko)
KR (1) KR20170115953A (ko)
CN (1) CN107260125A (ko)
TW (1) TW2017368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7612A (ja) * 2017-12-27 2019-07-1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91411B2 (en) * 2018-03-19 2022-04-05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ic adjustment of wearable device band
JP2019164634A (ja) * 2018-03-20 2019-09-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健康管理支援方法及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US11488720B2 (en) * 2019-03-04 2022-11-01 Lifebooster Inc. Thermal stress risk assessment using body worn sensors
JP7334991B2 (ja) * 2021-04-22 2023-08-29 株式会社エイティセンス 心電図データに係わる心音データを利用し、心電図データの異常信号区間を検出する生体信号測定装置及び生体信号測定方法
CN114495328B (zh) * 2022-01-19 2024-02-20 深圳市凯迪仕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门锁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685A (ja) * 1995-07-24 1997-02-04 Nec Corp 血圧測定装置
JP2004216125A (ja) * 2002-11-19 2004-08-05 Seiko Instruments Inc 生体情報検出端末制御システム
US8005543B2 (en) * 2006-05-08 2011-08-23 Cardiac Pacemakers, Inc. Heart failure management system
US20090105567A1 (en) * 2007-10-19 2009-04-23 Smiths Medical Pm,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daptable for patient monitoring
JP4743268B2 (ja) * 2008-12-15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665535A (zh) * 2009-09-30 2012-09-12 健康监测有限公司 连续的非干扰式健康监测与警报系统
WO2011076884A2 (en) * 2009-12-23 2011-06-30 Delta, Dansk Elektronik, Lys Og Akustik A monitoring system
JP5745977B2 (ja) * 2011-09-14 2015-07-08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熱中症警戒システム
US9041530B2 (en) * 2012-04-18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Biometric attribute anomaly detection system with adjusting notifications
US9439567B2 (en) * 2013-02-06 2016-09-13 Abraham Carter Updating firmware to customize the performance of a wearable sensor device for a particular use
JP2014233585A (ja) * 2013-06-05 2014-12-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体温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3848865U (zh) * 2014-02-17 2014-09-24 王懿 一种环境和生理参数监测设备
EP3076865B1 (en) * 2014-03-17 2017-05-10 Koninklijke Philips N.V. Heart rate monitor device
US9804836B2 (en) * 2014-06-27 2017-10-31 Welch Allyn, Inc. Medical device nucleus architecture
JP2016043041A (ja) * 2014-08-22 2016-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検出方法
CN104224147A (zh) * 2014-09-15 2014-12-24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无线便携式人体健康与睡眠质量监护仪
US20170065232A1 (en) * 2015-09-04 2017-03-09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function of a biological sensor
CN105212912A (zh) * 2015-10-31 2016-01-06 愈先梅 基于物联网、云计算和大数据分析的智能可穿戴设备健康安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85141A (ja) 2017-10-12
TW201736836A (zh) 2017-10-16
CN107260125A (zh) 2017-10-20
US20170290553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5953A (ko) 센서 시스템
US10588567B2 (en) Alertness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CN101248984B (zh) 信息管理系统和服务器
JP6012758B2 (ja) 吸収性製品の使用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152542A (zh) 用于检测何时传感器被穿戴的系统和方法
CN103561636B (zh) 发热检测装置
CN104970774A (zh) 一种智能连续人体测温仪
JP7044829B6 (ja) 増悪及び/又は入院の危険性を評価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11768A (ko) 무선 근거리 기반 생체 신호 측정 단말기 및 방법
JP70163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593860A (zh) 患者健康状态复合评分分布和/或基于其的代表性复合评分
JP6110348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8096634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96631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64880B2 (ja) 生体情報解析システム、非一時的記憶媒体及び生体情報解析方法
KR20200031355A (ko) 대규모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작업효율성 평가 및 알림 방법
CN204484078U (zh) 一种智能连续人体测温仪
WO2018096632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96630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20715A (zh) 压力监测与缓解系统
JP2022086699A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KR101861324B1 (ko) 움직임 분석에 기반한 응급상황 판단 시스템 및 방법
CN113080899A (zh) 一种生命体征智能监测床垫及监测系统
KR101375673B1 (ko) 간질 발작 경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13598721A (zh) 可穿戴终端及其核心体温监测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