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672A -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 Google Patents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672A
KR20170115672A KR1020160043126A KR20160043126A KR20170115672A KR 20170115672 A KR20170115672 A KR 20170115672A KR 1020160043126 A KR1020160043126 A KR 1020160043126A KR 20160043126 A KR20160043126 A KR 20160043126A KR 20170115672 A KR20170115672 A KR 20170115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il
fan
range hoo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석
Original Assignee
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석 filed Critical 서윤석
Priority to KR102016004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672A/ko
Publication of KR2017011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인지 후드장치 사용 후 자동으로 필터망 표면의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름때 등의 이물질이 필터망 표면에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높임과 동시에 필터망을 분리시켜 별도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레인지 후드장치 사용 후 자동으로 필터망 표면의 기름때 등을 닦아내어 제거하도록 하되, 닦아내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아래로 낙하 되는 현상을 막고 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거 과정에서 떨어진 이물질에 의해 음식이 오염되거나 가열조리기구가 지저분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Kitchen range hood cleaning with a filter network foreign matter automatic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 주방의 가열조리기구 위에 설치되어 조리음식으로부터 발생 되는 유증기나 수증기를 흡기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필터가 안착 되는 매쉬 형태의 필터망 표면에 묻은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정시키되 세정과정에서 이물질의 낙하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항시 필터망의 표면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거의 모든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에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사용된다.
레인지 후드장치는 주방의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 위쪽에 설치되어 해당 가열조리기구 상에서 조리되는 음식으로부터 발생 된 유증기나 수증기를 강제로 흡입한 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해당 실내에 기름냄새 등이 남지 않도록 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레인지 후드장치는 유증기 또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내에 부직포 형태의 필터지가 위치되어, 흡입된 유증기 또는 수증기가 필터지를 통과하면서 기름입자 등이 걸러지게 되는데,
이러한 필터지의 하측에는 별도 매쉬(mesh) 형태의 필터망이 위치되고 필터지는 필터망 상에 안착 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유증기나 수증기 중 일부는 필터망의 표면에 묻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필터망 표면에는 기름때 등의 각종 이물질이 눌러 붙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정기적으로 필터의 교체뿐만 아니라 필터망도 분리시켜 별도로 세척해 사용해야 하는데, 실제 생활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필터지의 교체도 잘 챙기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필터지를 교체하더라도 필터망은 세척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렇게 필터망 표면에 기름때 등이 너무 많이 눌어붙을 경우 조리 과정에서 이물질이 음식 안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고, 특히 필터망은 표면 전체가 외부에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너무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기술이 갖는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기 위해 구상되어 제안된 기술로써,
레인지 후드장치 사용 후 자동으로 필터망 표면의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름때 등의 이물질이 필터망 표면에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높임과 동시에 필터망을 분리시켜 별도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레인지 후드장치 사용 후 자동으로 필터망 표면의 기름때 등을 닦아내어 제거하도록 하되, 닦아내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아래로 낙하 되는 현상을 막고 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거 과정에서 떨어진 이물질에 의해 음식이 오염되거나 가열조리기구가 지저분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을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조리기구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구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설치홈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각 설치홈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 및 일부가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설치홈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며 외부힘에 의해 설치홈을 향해 이동된 후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한 체결볼, 상기 메인케이스의 흡기구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되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이 매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흡기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구를 막고 있는 형태로 위치하며 좌우 외측 테두리면에는 걸림홈이 상기 메인케이스의 설치홈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 중 상기 설치홈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필터망, 상기 메인케이스의 흡기구 내부 중 상기 필터망 상에 안착 되어 있는 판재 형태의 필터지, 전후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하단부 중 상기 흡기구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메인케이스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케이스, 좌우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하단부 중 상기 흡기구 후측에 위치하며 전측면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케이스,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하단부 중 상기 흡기구의 전측에 위치하며 좌우 양단부가 상기 양 수용케이스 전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후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 사각 판재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우 길이방향에 따라 좌우 직선이동 가능하며 전측면 중앙에는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는 직선이동판, 상기 양 구동케이스의 내부 후측단부에 상호 대칭 형태로 위치하는 베어링하우징,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원형 봉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양단부가 각각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관통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볼스크류, 사각 블록 형태이고 내부에는 나선홀이 좌우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성홀에 상기 볼스크류가 관통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시 나선구조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직선이동 하는 직선이동블록, 판재 형태이고 상기 직선이동블록 전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며 상기 직선이동블록과 함께 좌우 직선이동 가능한 안착프레임을 포함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공기의 흐름 유로상 이고상기 팬보다 상류측에 존재해, 상기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는 필터(filter)와 상기 필터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필터의 주위를 둘러싸는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와 상기 팬과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을 회전시키고 있을 때 적어도 일시점으로 상기 전동기를 회전시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상기 팬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을 개시할 때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개시할 때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을 개시할 때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개시할 때가 동시이도록 제어해 및, 상기 팬의 회전 종료후 소정 시간 경과후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과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장치 사용 후 자동으로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세척부재가 필터망 하부 표면을 훑고 지나가면서 자동으로 표면을 닦아냄에 따라, 항시 필터망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망 표면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닦아내는 과정에서 가림판이 필터망 하측을 가로막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필터망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이 음식이나 가열조리기구 상에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1은 전체 측단면 개략도
도2는 레인지 후드의 흡기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3은 흡입부와 필터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저면개략도, 측면개략도 평면개략도
도4는 도3의 확대 측단면 개략도
도5는 흡기과정 및 흡기 과정에서 기름때 등의 이물질이 포집되는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개략도
도6은 도5의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는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가정이나 식당 주방에서 사용되어 하부에서 행해지는 조리에 의해서 발생하는김이나 유연 등을 포집하기 위한 , 상부에 오목한 상태의 내면패널 81을 내면에 가지는 박형의 후드부 80을 가진다.
후드부 80은 그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후드 개구부 2 부근에서, 배기 덕트 D에 접속된 송풍기 박스(box) 82로 연결된다. 송풍기 박스(box) 82는 내부에 팬 케이싱(fan casing) 61을 가지고, 팬 케이싱(fan casing) 61은 내부에 다익 송풍기(sirrocco fan)(sirocco fan)이며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60을 가진다. 팬60의 흡입구 62는 후드부 80의 후드 개구부 2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팬 60이 가동하면 후드 개구부 2는 음압이 되어, 내면 패널 81의 하부의 공기는 후드 개구부 2를 통해 흡입되어 배기 덕트 D를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즉, 후드 개구부 2는팬 60이 발생시킨 공기의 흐름 유로상 이고, 팬 60보다 상류측에 위치한다.
후드 개구부 2에는 내면 패널 81과의 사이 공기의 유로가 될 수 있는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장착되는 부착판 50과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는 원반상의 필터(filter) 10과 필터(filter) 10의 원반의 중심으로 회전축이 연결되어 필터(filter)1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 20과 전동기 20을 부착판 50에 설치하기 위한 전동기 취부구 40과 부착판 50에 장착되어 필터(filter)10의 바깥 둘레를 둘러싸는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이 존재한다.
따라서, 렌지 후드 1은 팬 60이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유로상 이고, 팬 60보다 그 흐름의 상류측에 존재해, 그 공기의 흐름을 도시에서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는 필터(filter) 10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또, 후드부 80은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 20의 회전과 팬 6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90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 90은 후드부 80에 설치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렌지 후드 1의 어느 것에 설치되어도 좋으며 또 렌지후드 1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괜찮다.
제어부 90은 팬 60으로 전동기 2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일이 있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어부 90은 렌지 후드 1이 조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연 등을 포집하기 위해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60을 회전시키고 있을 때 적어도 일시점으로 전동기 20을 회전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덧붙여 팬 60이나 전동기 20(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킨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팬 60이나 전동기 20에 전기가 흐르게 하는 것을 말하고, 회전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통전을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내면 패널 81의 하부의 공기는 조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김이나 유연 등을 포함하고 있어 팬 60이 가동하면, 후드 개구부 2에 존재한다, 즉 팬 60이 발생시킨 공기의 흐름 유로상 이고 팬 60보다 상류측에 위치 하는 필터(filter) 10의 구멍에 흡인되어 그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
필터(filter) 10은 전동기 20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어 렌지 후드 1이 가동하면, 팬 60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모두 전동기 20이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킨다.
렌지 후드 1은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공기에 포함되는 유분(기름기)를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에 포집한다.
렌지 후드 1은 종래 슬롯(slot) 필터(filter)나 헤파 필터 등(filter)을 이용해 슬릿(slit)이나 눈을 세세하게 하거나 중첩(superposition)이라고 복층으로 하거나 하는 것으로써 기름포집 효율(collection efficiency)을 향상시키는 것에 비교해 압력 손실(pressure drop)이 작은 상태로 높은 기름 포집 효율(collection efficiency)을 가질 수 있다. 즉, 종래 슬롯(slot) 필터(filter)나 HEPA 필터 등(filter)을 이용하고, 슬릿(slit)의 눈을 세세하게 한다.
혹은 중첩(superposition)이라고 복층 하는 것으로 기름 포집 효율(collection efficiency)을 향상시키면, 필터(filter)의 환기부가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환기 저항(ventilation resistance)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걸리는 렌지 후드 1의 경우에는 필터(filter)의 회전에 의해서 기름 포집 효율(collection efficiency)을 높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복잡한 유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 필터(filter)와 비교해 낮은 환기 저항(ventilation resistance)을 유지한 채로 높은 기름 포집 효율(collection efficiency)을 얻을 수 있다.
또, 필터(filter)에 유분(기름기)가 부착해 로딩을 일으키는 것이 적게 되는 것으로, 필터(filter) 자체의 세정의 노력이 저감해, 사용하는 것은 따라서 압력손실(pressure drop)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게다가 공기 유로에서 필터(filter)보다 하류 부분에 거의 유분(기름기)가 부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filter)보다 하류 부분을 청소 및 세정하는 수고를 큰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팬 60의 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기의 흐름을 일으키게 하는 축류팬(axial fan) 등의 그 외의 팬 이고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정압의 높은 다익 송풍기(sirrocco fan)(sirocco fan)이다. 또, 후드부 80의 하부에는 후드부 80으로 착탈 가능하고, 후드부 80과의 사이 틈새를 가지고 흡입력을 높이는 정류판 7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류판 70을 구비하지만, 정류판 70의 존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정류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정류판을 떼어냈을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 80의 내면인 상부에 오목한 상태의 내면 패널 81과 내면 패널 81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장착된 부착판 50과 원반상의 필터(filter) 10과 부착판 50에 장착되어 필터(filter) 10의 바깥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이, 직접 사용자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도 2는 전동기 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필터(filter) 회전 제어 스위치(control switch) 91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제어부 90은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 20에 대해서 여러가지 제어를 실시하지만, 거기에 더하고, 사용자가 필터(filter) 회전제어 스위치(control switch) 91을 조작하는 것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유연한 필터(filter)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필터(filter) 회전 제어 스위치(control switch) 9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동기 20의 회전을 개시하는 회전을 종료하는 회전의 속도를 변경하는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필터(filter) 10의 메인터넌스 조작으로서 전동기 20만을 소정시간 회전 시킨후에 자동으로 정지하는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filter) 10은 원반상을 이룬 박판으로부터 형성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필터(filter)는 통 모양 이고도 좋다. 이 경우, 통 모양의 필터(filter)는 통의 중심축에 전동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것으로 통이 회전해, 통의 측면으로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진다.
공기의 흐름은 통의 측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또,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는 통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통은 횡치 나무에서도, 세로치 나무라도 좋다. 통이 횡치 나무의 경우는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는 공기를 흡입하는 하부에 개방한 개구부와 공기를 팬측에 흘리기 위해서 개방한 개구부를 구비한다.
필터(filter)는 측면에서 공기의 흐름을 흡입하기 위해서 저면은 개구시키지 않고, 또,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는 필터측(filter)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간단하고 쉬운 구조를 가지고, 박형의 렌지 후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은 원반상을 이루어 박판으로부터 형성된 필터(filter)가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filter) 10의 양측의 표면에서 구멍 이외의 부분은 돌기물이나 요철이 없고, 평평하고 매끄럽다 평활한 면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슬롯(slot) 필터(filter)와 같이 슬릿(slit)(구멍)과 함께 잘라 데릭 업 등의 돌기물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필터(filter)가 평활한 면을 구비하면, 필터(filter)에서의 공기의 흐름의 환기 저항(ventilation resistance)이 한층 더 작아져, 또 필터(filter)의 회전 저항도 작아지므로 필터(filter)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는 작은 토크를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 돌기부가 없기 때문에 공기를 자르는 소음이 작은 렌지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filter)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거의 모든 유분(기름기)은 필터(filter)의 표면에서 포집되어 필터(filter)의 구멍의 측면에서 유분(기름기)를 포집하는 것은 거의 없기 때문에, 필터(filter)의 구멍이 기름으로 로딩 하는 것이 자체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필터망의 청소 및 세정이 용이하게 된다.
필터 유닛 3은 후드개구부 2에 장착되는 부착판 50과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는 원반상의 필터(filter) 10과 필터(filter) 10의 원반의 중심으로 회전축이 연결되어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 20과 전동기 20을 부착판 50에 설치하기 위한 전동기 취부구 40과 부착판 50에 장착되어 필터(filter) 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을 구비한다.
부착판 50은 중앙부에 원형의 부착판 개구부 51을 구비한 거의 정방형의 단조롭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의 주위는 곡률을 가져 상부에 만곡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내면 패널 81의 후드 개구부 2에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면 좋다. 부착판 50으로 후드 개구부 2의 설치는 틈새 등을 가지지 않고 되어 이 설치부분에는 공기의 흐름은 통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착판 개구부 51은 팬 60이 발생시킨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유일한 부분이 되어, 부착판 개구부 51은 팬 60이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의 유로가 된다.
전동기 취부구 40은 부착판 50의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에, 부착판 개구부 51을 넘도록 해서 설치된다. 전동기 취부구 40은 거의 중앙부에 전동기 20의 회전축 21을 통하기 위한 구멍 41을가지고, 또, 부착판 50에 설치하기 쉽게 올라라 부분을 가진다.
전동기 취부구 40은 구멍 41이 평면시로 부착판 개구부 51의 중심이 되도록, 부착판 50에 장착된다.
전동기 20은 그 회전축을 전동기 취부구 40의 구멍 41에 도시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해서(공기의 흐름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관통시키고, 전동기 취부구 40에 고정된다. 전동기20의 회전축 21은 평면시로 원형의 부착판 개구부 51의 중심이 된다.
필터(filter) 10은 전동기 20의 회전축 21의 선단 부분에, 필터(filter) 10의 면이 회전축 21에 수직이 되도록 착탈 자재에 장착된다. 필터(filter) 10의 외형은 원형이며, 필터(filter) 10은 필터(filter) 10의 중심으로 두고, 원형의 부착판 개구부 51의 중심에 위치하는 전동기 20의 회전축 21에 장착되므로, 필터(filter) 10의 외형과 부착판 개구부 51의 외형은 동심원의 원형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필터(filter) 10의 직경은 부착판 개구부 51에 연재부 52가 있으므로, 부착판 개구부 51의 직경 보다 크다. 연재부 52는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의 상류측의 단부에,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의 내벽보다 더 내측, 즉 전동기 20의 회전축측에 연결된다.
이 연재부 52는 구멍을 통과한 유분(기름기)도 포집할 수 있는 비율을 증가시켜,유 포집 효율(collection efficiency)이 높은 렌지 후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필터(filter) 10의 정면시에서 위치는 부착판 50의 하부, 즉, 공기의 흐름의 상류측이다. 따라서,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은 필터(filter) 10의 바깥 둘레를 둘러싸도록 부착판 50에 장착된다. 필터(filter) 10의 바깥 둘레와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의 내벽과의 거리는 양자가 접하지 않기 위해(때문에) 0 보다 클 필요가 있지만, 유분(기름기)가 새지 않게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5 mm정도이다.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은 하단에 기름굄 31이 설치되고 있다. 기름 굄 31은 필터(filter) 10의 상류측표면에 해당되어 연주해 날아간 유분(기름기)가 유분(기름기)포집 부재 30의 내벽에 해당되어, 그 유분(기름기)가 고이는곳 중에 있다.
덧붙여 렌지 후드 1의 높이는 후드부 80의 높이와 송풍기 박스(box) 82의 높이로 이루어지지만, 송풍기 박스(box) 82의 높이는 거의 팬 60의 높이로부터 규정되어 후드부 80의 높이는 전동기 20의 상단으로부터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의 하단까지의 높이 즉 필터 유닛 3의 높이와 유분 등 포함한 공기를 포획하기 위한 내면 패널 81의 오목부의 깊이(높이)라는 화로부터 규정된다. 유분 등 포함한 공기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오목부의 깊이(높이)를 필요로 하기 위해, 필터 유닛 3의 높이를 작게 하는 것이, 렌지 후드 1의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해, 박형의 렌지 후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 에서는 필터 유닛 3은 필터(filter) 10이 원반상을 이룬 박판으로부터 형성되고 있으므로 얇고, 바람직하다.
렌지 후드 1의 하부에서 행해지는 조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김이나 유연 등과 함께, 따뜻하게 할 수 있었던 공기 A는 렌지 후드 1에 솟아오른다.
렌지 후드 1이 운전을 개시해 팬 6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팬 60은 공기의 흐름을 도시에서 아래에서 위의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그렇다면, 정류판 70 근처에 솟아오른 공기는 정류판 70으로 내면 패널 81의 사이부터 빨려 들여가 그 후 필터(filter) 10의 구멍 11을 통과하고, 팬 케이싱(fan casing) 61내의 팬 60의 흡입구 62에 흡입된다. 그리고, 그 후, 송풍기 박스(box) 82로부터 배기 덕트 D에 배출된다.
필터(filter) 10의 단위시간당의 회전수는 필터(filter)의 구멍의 개구상태에도 밤이, 적어도 230 rpm(Rotation Per Minute)이상이면 좋다. 필터(filter) 10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면, 필터(filter) 10의 표면(구멍 11이 없는 부분)이, 그 표면에 접하는 공기를 마찰력에 따라 질질 끌어, 공기의 점성에 따라 부근의 공기에도 그 움직임이 전해지는 것으로, 필터(filter) 10의 표면 부근에는 공기의 움직임이 생겨 필터(filter) 10은 회전운동(rotary motion)을 하고 있으므로, 공기의 움직임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소용돌이 모양이 된다.
이 소용돌이 모양의 공기의 움직임은 필터(filter) 10의 양면, 즉 필터(filter) 10의 아래쪽 면과 상면의 양쪽, 바꾸어 말하면, 필터(filter) 10의 공기의 흐름 A의 상류측의 면과 하류측의 면의 양쪽에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팬 60이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 A가, 도시에서 아래에서 위로, 필터(filter) 10의 구멍 11을 통해 흐르고 있으므로, 필터(filter) 10의 하류측에서는 소용돌이 모양의 공기의 움직임은 필터(filter) 10의 표면으로부터 갈라 놓아져서 개개, 필터(filter) 10의 바깥 둘레로 향하는 나사상류가 발생해, 팬 60에 따라 흡입구 62로부터 흡인된다.
한편, 필터(filter) 10의 상류측에서는 소용돌이 모양의 공기의 움직임은 필터(filter) 10의 표면에 억누를 수 있어 필터(filter)10의 바깥 둘레로 향하는 소용돌이 모양류를 수반하는 밀도의 높은 공기층이 형성된다.
조리 등으로 발생한 유분(기름기) OP1는 공기의 흐름 A와 함께 흘러가 필터(filter) 10의 상류측의 표정근에 도달한다. 상류측의 표정근에 도달한 유분(기름기) OP2는 일부(입자 지름의 작은 유분(기름기))는 밀도의 높은 공기층의 바깥 둘레로 향하는 소용돌이 모양류에 따라, 또, 다른 일부(입자 지름의 큰 유분(기름기))는 필터(filter) 10의 상류측의 표면(구멍 11이 없는 부분)에 충돌하는 것으로써, 필터(filter) 10의 바깥 둘레 방향으로 연주해 날아간다.
그 결과, 원반상의 필터(filter) 10의 바깥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할 수 있었던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에, 유분(기름기) OP3로서 포집되어 기름 굄 31에 기름 OL로서 회수된다.
매우 세세한 미립자가 된 유분(기름기)는 공기의 흐름 A와 함께 필터(filter) 10의 구멍을 통과하게 되지만, 그 내의 일부는 연재부 52나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0의 필터(filter) 10보다 하류측의 내벽에 충돌해 회수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회수할 수 없었던 유분(기름기)의 일부는 이것으로 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팬60이나 배기 덕트 D 등에 부착하지만, 필터(filter) 10의 구멍을 통과했을 정도의 미립자가 된 유분(기름기)의 대부분은 그대로 공기의 흐름 A를 타 배기 덕트 D를 통해 옥외에 배출된다. 따라서, 본발명과 관련된 본 실시예의 렌지 후드 1은 공기 유로에서 필터(filter) 10보다 하류 부분에 거의 유분(기름기)를 부착시키지 않고, 필터(filter) 10보다 하류 부분의 팬 60이나 배기 덕트D 등을 청소 및 세정하는 수고를 큰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유분(기름기)가 필터(filter)의 상류측의 표면(구멍 11이 없는 부분)에 충돌할 때, 유분(기름기)의 대부분은 필터(filter)의 바깥 둘레 방향으로 연주해 날아가지만, 일부는 그 표면에 부착하는 일이 있다. 필터(filter)의 회전속도(rotational speed)가 빨라지면, 필터(filter) 표면에 일단 부착한 유분(기름기)는 원심력에 따라 바깥 둘레 방향으로 날아간다. 그 결과, 본 발명과 관련된 렌지 후드는 필터(filter)에 유분(기름기)가 부착해 잔존하는 것이 적게 되는 것으로, 필터(filter) 자체의 세정의 노력을저감할 수 있다.
제어부 90은 팬 60으로 전동기 20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일이 있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어부 90은 렌지 후드 1이 조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연 등을 포집하기 위해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60을 회전시키고 있을 때 적어도 일시점으로 전동기20을 회전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 90은 팬 60이 회전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있을 때 , 전동기20에 따라 필터(filter) 10이 회전시키는 일이 있다. 또, 제어부90은 전동기 20에 따라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고 있을 때, 팬 60을 회전시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있는 일이 있도록 제어를 실시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하면, 팬 60과 동시에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필터(filter) 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 20이 발생시키는 소음이나 필터(filter)의 회전에 의한 바람 가르는 소리를 사용자가 신경이 쓰이지 않는 정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팬이 정지하고 있을 때 필터(filter)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팬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 없기 때문에 전동기가 발생시키는 소음이나 필터(filter)의 회전에 의한 바람 가르는 소리가 눈에 띄어 버리지만, 팬과 동시에 필터(filter)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팬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에 따라 전동기가 발생하는 소음이나 필터(filter)의 회전에 의한 바람 가르는 소리가 싹 지워지기 위해, 사용자가 신경이 쓰이지 않는 정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팬 60의 회전 즉 렌지 후드 1의 가동과 필터(filter) 10의 회전의 양쪽을 적어도 일시점으로 동시에 실시하는 것으로, 필터(filter) 10으로의 유분(기름기)의 부착량이 적게 되어, 필터(filter) 표면에서의 유분(기름기)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다.
1; 렌지 후드 2; 레인지 개구부
3; 필터 유닛 10; 필터(filter)
11; 구멍 20; 전동기
21; 전동기의 회전축 30; 유분(기름기) 포집 부재
31; 유 굄 40; 전동기 취부구
41; 전동기 취부구구멍 50; 부착판
51; 부착판 개구부 52; 연재부
60; 팬 61; 팬 케이싱(fan casing)
62; 흡입구 70; 정류판
80; 후드부 81; 내면 패널
82; 송풍기 박스(box) 90; 제어부
91; 필터(filter) 회전 제어 스위치(control switch)
D; 배기 덕트 A; 공기의 흐름
OP; 유분(기름기)

Claims (1)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조리기구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구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설치홈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각 설치홈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스프링 및 일부가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설치홈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며 외부힘에 의해 설치홈을 향해 이동된 후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한 체결볼,
    상기 메인케이스의 흡기구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되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이 매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흡기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구를 막고 있는 형태로 위치하며 좌우 외측 테두리면에는 걸림홈이 상기 메인케이스의 설치홈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 중 상기 설치홈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필터망,
    상기 메인케이스의 흡기구 내부 중 상기 필터망 상에 안착 되어 있는 판재 형태의 필터지,
    전후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하단부 중 상기 흡기구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메인케이스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용케이스,
    좌우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형태이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하단부 중 상기 흡기구 후측에 위치하며 전측면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케이스,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메인케이스의 하단부 중 상기 흡기구의 전측에 위치하며 좌우 양단부가 상기 양 수용케이스 전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후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
    사각 판재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좌우 길이방향에 따라 좌우 직선이동 가능하며 전측면 중앙에는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는 직선이동판,
    상기 양 구동케이스의 내부 후측단부에 상호 대칭 형태로 위치하는 베어링하우징,
    좌우 길이방향을 갖는 원형 봉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양단부가 각각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관통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볼스크류,
    사각 블록 형태이고 내부에는 나선홀이 좌우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성홀에 상기 볼스크류가 관통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시 나선구조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직선이동 하는 직선이동블록,
    판재 형태이고 상기 직선이동블록 전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며 상기 직선이동블록과 함께 좌우 직선이동 가능한 안착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KR1020160043126A 2016-04-08 2016-04-08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KR20170115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26A KR20170115672A (ko) 2016-04-08 2016-04-08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26A KR20170115672A (ko) 2016-04-08 2016-04-08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72A true KR20170115672A (ko) 2017-10-18

Family

ID=6029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26A KR20170115672A (ko) 2016-04-08 2016-04-08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6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99B1 (ko) 2019-06-28 2019-12-09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KR20190138214A (ko) 2018-06-04 2019-12-12 동건화학 주식회사 증기배출을 유도하는 위생적인 조리실
CN111765618A (zh) * 2020-07-18 2020-10-13 郭云美 一种节能空调管道自清送风装置及其使用方法
WO2022075633A1 (en) * 2020-10-08 2022-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ntilation ho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14A (ko) 2018-06-04 2019-12-12 동건화학 주식회사 증기배출을 유도하는 위생적인 조리실
KR102053799B1 (ko) 2019-06-28 2019-12-09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CN111765618A (zh) * 2020-07-18 2020-10-13 郭云美 一种节能空调管道自清送风装置及其使用方法
WO2022075633A1 (en) * 2020-10-08 2022-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ntilation h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106B2 (ja) レンジフード
TWI570367B (zh) Ventilator
US11573010B2 (en) Self-cleaning kitchen hood
KR20170115672A (ko) 필터망의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는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KR20070002528A (ko) 공기청정기
KR101876224B1 (ko) 공기정화유닛
JP6353629B2 (ja) レンジフード
KR20210052176A (ko) 주방용 후드
KR101423602B1 (ko) 육류 구이기용 집진기
JP4429402B2 (ja) レンジフード
JP5876556B2 (ja) レンジフード
KR20170116324A (ko) 주방 환기용 후드장치
CN114076327A (zh) 空气净化装置和吸油烟机
JPS61202032A (ja) 調理用排気装置
CN208764990U (zh) 一种新型高效油烟机
JP6545107B2 (ja) 流体送り装置
JP7337374B2 (ja) 油煙清浄装置
KR102607249B1 (ko) 조리 중 발생하는 조리가스를 흡입하는 인덕션 국솥장치
JP7423035B2 (ja) 油煙清浄装置
KR100674276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0614460B1 (ko) 레인지 후드
KR200342547Y1 (ko) 주방용 공기청정기
JP6661376B2 (ja) 集塵装置
CN111336562A (zh) 一种吸油烟机